KR200347713Y1 - 구이용 불판 - Google Patents

구이용 불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7713Y1
KR200347713Y1 KR20-2004-0001028U KR20040001028U KR200347713Y1 KR 200347713 Y1 KR200347713 Y1 KR 200347713Y1 KR 20040001028 U KR20040001028 U KR 20040001028U KR 200347713 Y1 KR200347713 Y1 KR 2003477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sting
metal plate
hole
ro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10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재
Original Assignee
이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재 filed Critical 이성재
Priority to KR20-2004-00010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77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77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77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으로서, 화력이 집중되는 금속판에 주연부를 갖는 관통구멍을 형성하여 폐기름이 화덕으로 흘러들어가 그을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열원이 직화되는 복수의 구이막대가 타지 않도록 하부면과 양측면을 절취한 금속판으로 감싸서 장시간 사용 할 수 있도록 한 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이다.
본원 고안은, 중심부에 복수의 관통구멍(11b)이 형성된 금속판(10)과, 상기 금속판(10)의 일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복수의 폭보다 길이가 긴 형상의 구이막대(20)와, 상기 금속판(10)과 상기 각각의 구이막대(20)를 고정시켜주는 고정부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구멍(11b)은 주연부(11a)가 상기 구이막대(20)가 배치된 면의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금속판(11)의 관통구멍(11b)은 구이막대(20)가 배치된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구멍(11b)이 형성된 구이막대(20) 사이의 금속판(10) 부분은 구이막대(20) 측으로 완만하게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금속판(10)의 상기 관통구멍(11b)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구이막대(20)가 배치된 사이에 금속판(10)의 일부가 절개되어 통공(14b)이 형성되며, 상기 구이막대(20)의 측면을 감싸도록 절곡된 가이드부(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이용 불판{GRILL FOR ROAST}
본 고안은 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으로서, 화력이 집중되는 금속판에 주연부를 갖는 관통구멍을 형성하여 폐기름이 화덕으로 흘러들어가 그을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열원이 직화되는 복수의 구이막대가 타지 않도록 하부면과 양측면을 절취한 금속판으로 감싸서 장시간 사용 할 수 있도록 한 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이다.
종래 구이판은 화덕의 형태에 따라 사각모양 또는 원형모양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재질에 따라 상기 구이판은 금속 또는 석재 등을 이용하여 제작된다.
또한 대나무의 이로운 점이 알려지면서 대나무절편을 이용하여 구이판을 제작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이판을 장시간 동안 사용하면 고기들이 달라 붙어 타기도하며, 고기에서 생성되는 폐기름이 화덕에 흘러들어가 그을음이 발생되기 때문에 빈번한 교체를 해줘야 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금속재질 및 석재를 사용한 구이판은 무겁기 때문에 구이판을 들고 야외 및 식당에서 이동하거나 사용하기에 불편한 결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대나무절편을 이용하기도 하나 단순히 대나무를 편편하게하여 화덕에 얻는 형태로서, 대나무구이판에 열원이 직화되면 수액이 증발되어 쉽게 타서 장시간 사용할 수 없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구이막대의 열원이 직화되는 하부면과 양측면을 금속판으로 감싸고 있기 때문에, 상기 구이막대에서 생성되는 수액이 오랜시간 동안 지속되며, 따라서 상기 구이막대에 올려진 고기가 쉽게 타지 않고 장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고기에서 생성되는 폐기름이 화덕에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의 주연부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그을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얇은 금속판에 대나무절편인 구이막대를 안착하여 고정시킨 본 고안은, 제작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며, 가볍기 때문에 야외나 식당에서 일회용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불판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불판의 분리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불판의 저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불판의 사용상태도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구이용 불판 10 금속판
11 중심판부 11a 주연부
11b 관통구멍 11c 곡면부
12 외형띠부 13 연결판부
14 가이드부 14a 내측면
14b 통공 20 구이막대
30 고정부재 H 열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중심부에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금속판과, 상기 금속판의 일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복수의 폭보다 길이가 긴 형상의 구이막대와, 상기 금속판과 상기 각각의 구이막대를 고정시켜주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구멍은 주연부가 상기 구이막대가 배치된 면의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금속판의 관통구멍은 구이막대가 배치된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구멍이 형성된 구이막대 사이의 금속판 부분은 구이막대 측으로 완만하게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금속판의 상기 관통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구이막대가 배치된 사이에 금속판의 일부가 절개되어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구이막대의 측면을 감싸도록 절곡된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불판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불판의 분리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불판의 저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불판(100)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판형태이며 일측면에 일정간격 이격된 동일선상에 복수의 관통구멍(11b)을 갖는 중심판부(11)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구멍(11b)은 상부에 프레스 금형작업인 버링(Burring)가공으로 상기 구이막대(20)가 배치된 면의 상부로 돌출된 주연부(11a)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부에 올려진 고기에서 생성되는 폐기름이 관통구멍(11b)을 통해 하부의 화덕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중심판부(11)에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폐기름이 화덕으로 흘러내려 숯불과 함께 타서 그을음과 불쾌한 냄새가 발생되기 때문이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또 다른 방법으로 상기 중심판부(11)의 외경이 화덕의 외경보다 같거나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심판부(11)의 외경보다 크고 소정폭을 갖는 외형띠부(12)는 상기 중심판부(11)의 중심과 동일하며, 상기 중심판부(11)와 외형띠부(12)를 연결시켜주는 연결판부(13)가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상기 중심판부(11)의 외주연과 외형띠부(12)의 내주연 그리고 연결판부(13)의 사이에 중심을 기준으로 부채꼴형태를 갖는 부분이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주연부(11a)가 돌출된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된 복수의 가이드부(14)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복수의 폭보다 긴 길이재인 구이막대(20)는 가이드부(14)에 각각 대응되게 안착되며, 특히 중심판부(11)의 관통구멍(11b)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배치된다.
또한 금속판(10)의 마주보는 외주연은 상기 가이드부(14)와 동일방향으로 소정길이 절곡되어 상기 구이막대(20)를 감싸게 됨은 물론이다.
상기 가이드부(14)의 내측면(14a)에는 구이막대(20)가 안착되며 각각의 구이막대(20)의 길이는 상기 금속판(10)의 외형에 맞도록 가공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부(14)의 외측면 하부에는 각각의 가이드부(14)의 형상과 동일한 모양의 통공(14b)이 형성된 금속판(10)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공(14b)은 구이용 불판(100)의 하부에 놓여진 화덕의 열기가 통하는 곳으로서 상기 구이막대(20)에 놓여진 고기가 잘 익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금속판(10)을 원형형태로 하고 있으나, 화덕의 형태에 따라서 사각형 또는 타원형 및 다각형 등의 여러가지 모양으로 변형 가능하다.
상기 금속판(10)과 구이막대(20)를 고정하기 위해서 열원이 직화되는 금속판(10)의 저면에서 구이막대(20) 방향으로 고정핀과 같은 고정부재(30)를 사용하여 고정된다.
또한 상기 구이막대(20)는 여러가지 목재를 사용할 수 있고, 가공이 편리하고 인체에 유익한 수액 및 증기가 발생되는 대나무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중심판부(11)는 화덕의 지름보다 같거나 큰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주연부(11a)가 형성된 관통구멍(11b)이 구이막대(20)가 배치된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멍(11b)이 형성된 구이막대(20) 사이의 금속판(10) 부분인 곡면부(11c)가 구이막대(20) 측으로 완만한 곡면형태를 갖도록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상기 화덕의 열원(H)이 중심판부(11)에 집중적으로 직화하게 되고, 상기 직화된 열원(H)을 좀 더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불판의 사용상태도서, 원형형태를 갖는 화덕의 열원(H)이 놓여지는 몸체(B)에 있어서, 상기 몸체(B)의 상측면에 구이용 불판(100)이 놓여지고, 상기 중심판부(11)의 하부에 열원(H)이 직화되어 상기 구이막대(20)에 놓여진 고기(M)를 굽게된다.
상기 금속판(10)에 열원(H)이 직화되더라도 불연재인 가이드부(14)에 안착된 구이막대(20)에 열원만을 전도시키기 때문에, 상기 구이막대(20)는 타지 않고 수액 및 증기를 생성하게 되며, 따라서 구이막대(20)에 놓여진 고기를 태우지 않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복수개의 구이막대(20)는 금속판(10)과 고정되기 위해 일반적으로 고정부재(30)는 철심, 못 등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으나 사용이 편리한 타카건을 이용하여 고정핀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시에 열원이 불연재인 금속판에직화되기 때문에 각각의 구이막대가 타지 않고 장시간 사용될 수 있으며, 주연부를 갖는 관통구멍을 형성하여 폐기름이 화덕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막아 고기가 타거나 그을음에 의한 불쾌한 냄새없이 고기를 구어먹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체로된 금속판에 각각의 구이막대를 고정시키면 되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5)

  1. 중심부에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금속판과,
    상기 금속판의 일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복수의 폭보다 길이가 긴 형상의 구이막대와,
    상기 금속판과 상기 각각의 구이막대를 고정시켜주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은 주연부가 상기 구이막대가 배치된 면의 상부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의 관통구멍은 구이막대가 배치된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구멍이 형성된 구이막대 사이의 금속판 부분은 구이막대 측으로 완만하게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의 상기 관통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구이막대가 배치된 사이에 금속판의 일부가 절개되어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구이막대의 측면을 감싸도록 절곡된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이막대는 대나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불판.
KR20-2004-0001028U 2004-01-14 2004-01-14 구이용 불판 KR2003477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028U KR200347713Y1 (ko) 2004-01-14 2004-01-14 구이용 불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028U KR200347713Y1 (ko) 2004-01-14 2004-01-14 구이용 불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7713Y1 true KR200347713Y1 (ko) 2004-04-13

Family

ID=49428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028U KR200347713Y1 (ko) 2004-01-14 2004-01-14 구이용 불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77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025B1 (ko) 2009-09-09 2011-08-29 이종우 고기구이 불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025B1 (ko) 2009-09-09 2011-08-29 이종우 고기구이 불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9930Y1 (ko) 열 유도반사체
USRE32288E (en) Heat trapping cooking grill
KR101490601B1 (ko) 구이용 보조불판 및 이를 이용한 2단 불판유닛
KR200347713Y1 (ko) 구이용 불판
KR200482646Y1 (ko)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화덕장치
KR200431912Y1 (ko) 고기 구이판
US20020152900A1 (en) Radiant heat sausage cook plate
KR200238657Y1 (ko) 구이판
KR20060083068A (ko) 고기구이용 구이판
KR101632833B1 (ko) 숯불구이용 직화 차단판
KR200481195Y1 (ko) 숯불구이판
KR200344213Y1 (ko) 육류 구이판
KR20100038622A (ko) 열 균등 확산판을 갖는 무연 불판
KR200338450Y1 (ko) 구이용 불판
JP3134472U (ja) 調理用具
KR102073752B1 (ko) 바베큐 오븐
KR200305077Y1 (ko) 다중구조를 갖는 구이용 판
KR200379979Y1 (ko) 고기구이판
KR102224962B1 (ko) 숯불구이용 불판
KR200326411Y1 (ko) 숯불 화로용 구이 돌판
ES1049245U (es) Rejilla apagallamas para barbacoa.
KR200196889Y1 (ko) 석쇠
KR200349552Y1 (ko) 대나무 석쇠와 이를 이용한 구이장치
KR200408478Y1 (ko) 휴대용 구이판
KR200185562Y1 (ko) 세라믹 고기 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