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5869Y1 -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풀 - Google Patents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5869Y1
KR200345869Y1 KR20-2003-0039204U KR20030039204U KR200345869Y1 KR 200345869 Y1 KR200345869 Y1 KR 200345869Y1 KR 20030039204 U KR20030039204 U KR 20030039204U KR 200345869 Y1 KR200345869 Y1 KR 2003458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tube
pool
cap
outer tub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92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현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리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58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58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MBUREAU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M11/00Hand or desk devices of the office or personal type for applying liquid, other than ink, by contact to surfaces, e.g. for applying adhesive
    • B43M11/06Hand-held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MBUREAU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M11/00Hand or desk devices of the office or personal type for applying liquid, other than ink, by contact to surfaces, e.g. for applying adhesiv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45D40/04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effected by a screw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풀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사용자가 원터치 방식으로 용이하게 마개 뚜껑을 개방시켜 사용 가능한 막대형 풀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풀{STICK TYPE GLUE HAVING QUICK-OPENING FUNCTION}
본 고안은 용이하게 마개 뚜껑을 이탈시켜 사용할 수 있는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막대형 풀은 막대형 고체풀과 막대형 액체풀로 분류될 수 있다.
이 중, 막대형 고체풀은 통상 출몰식으로 구성되는데, 그것은 고체풀이 튜브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출몰식으로 구성되는 막대형 고체풀은 통상적으로 그 구성상, 고체풀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체풀 홀더가 튜브 내부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위치하고, 이러한 고체풀 홀더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스크류가 고체풀 홀더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부와 나사 결합 방식에 의하여 결합하며, 그러한 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가 스크류와 일체로 결합하여 형성된다. 회전구를 회전시키게 되면 고체풀 홀더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부와 나사 결합된 스크류가 회전하면서 고체풀 홀더를 튜브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시키게 된다. 물론 이 경우 튜브 내부에서 고체풀 홀더가 상하 이동이 가능한 것은 고체풀 홀더에 선상의 안내 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 안내 홈과 맞물리게 튜브 내부에 선상의 안내 돌기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출몰식의 막대형 고체풀은 전술한 바의 구성을 갖춤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시 원하는 길이 만큼 고체풀을 전진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사용하지 않을 때는 튜브 내부에 함몰되도록 고체풀을 후퇴시키게 된다.
한편, 막대형 액체풀은 튜브 내부에 액체풀이 함유되어 있다가 사용자가 튜브를 누르면 액체풀이 방출됨으로써 사용이 가능해지는 방식의 풀이다. 이 경우 튜브는 사용의 편의를 위하여 통상 플라스틱 등의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게 된다.
전술한 막대형 고체풀이나 막대형 액체풀에 있어서, 상기한 구성요소들 이외에 또한 반드시 갖추어져야 하는 것이 튜브 하단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마개 뚜껑이다. 액체풀 뿐만 아니라 고체풀도 수분이 그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그것들이 공기와 접촉하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그것들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그만큼 증발되게 됨으로써 그것들이 가지는 접착력은 그에 비례하여 떨어지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마개 뚜껑은 고체풀이나 액체풀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그런데, 전술한 막대형 풀에 있어서,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 막대형 풀의 케이스 본체를 한 손으로 잡고, 다른 손으로 마개 뚜껑을 이탈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그것은 사용자가 접착시킬 부분을 이미 한 손으로 고정시키고 있을 때는 사용상의 큰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막대형 풀이 가지는 사용상의 불편을 해소하고자 하는 관점에서 안출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가 막대형 풀을 잡은 상태에서 다른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마개 뚜껑을 개방시켜 사용가능한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풀을 제공함에 있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일 태양에 있어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고체풀을 제공하며, 다른 태양에 있어서는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액체풀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풀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선을 따라 절단하여 바라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풀의 단면도이다.
도 5은 받침대를 구비하고 있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받침대를 구비하고 있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풀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풀의 분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풀의 정면도이다.
도 11는 도 10의 B-B' 선을 따라 절단하여 바라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풀의 단면도이다.
<주요 도면 부호의 설명>
20, 200: 내부 튜브 40, 400: 외부 튜브
41, 410: 슬릿 50, 500: 하부 마개 뚜껑
51, 510: 경사면의 상단부 54, 540: 받침대
60, 600: 오목부 A: 내부 공간
본 고안은 일 태양에 있어서,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고체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막대형 고체풀은 (a) 스크류, (b) 상기 스크류와 결합 형성된 상부 회전 뚜껑, (c) 상기 상부 회전 뚜껑에 그 상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내부 튜브, (d) 상기 내부 튜브 내부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고체풀이 안착되며, 상기 스크류와 나사 결합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고체풀 홀더, (e) 상기 내부 튜브를 감싸도록 결합하고, 그 하부는 상기 내부 튜브의 하부와의 사이에 일정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개방되어 있는 외부 튜브, 및 (f) 상기 내부 튜브의 하단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내부 튜브의 하부와 상기 외부 튜브의 하부 사이에 형성된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그 상단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된 하부 마개 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의 막대형 고체풀은 원터치 방식에 의하여 하부 마개 뚜껑을 이탈시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외부 튜브의 하부를 누르면 그 외부 튜브의 하단부가 하부 마개 뚜껑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에 작용하여 그 하부 마개 뚜껑을 이탈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막대형 고체풀에 있어서, 상기 외부 튜브에는 하나 이상의 일정 길의의 슬릿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 상기 슬릿은 서로 대칭되게 4개가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외부 튜브의 하부를 누를 수 있고 따라서 외부 튜브의 하단부가 하부 마개 뚜껑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에 용이하게 작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 상기 외부 튜브가 플라스틱 등의 연질의 재료로서 형성되는 경우라면 슬릿이 형성되는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막대형 고체풀에 있어서, 상기 외부 튜브의 중앙부에는 막대형 고체풀의 구름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넓이와 일정 길이를 갖는 평면부 또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막대형 고체풀에 있어서, 상기 하부 마개 뚜껑은 그 외부 바닥면에 결합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대가 하부 마개 뚜껑의 외부 바닥면에 결합하게 되면, 본 고안의 막대형 고체풀을 세우는 것이 용이해짐으로써 보관의 편리성이 증가하고, 또 사용을 위하여 하부 마개 뚜껑을 이탈시켰을 때 그 하부 마개 뚜껑이 일탈된 장소에 그대로 머물러 있게 될 것이어서 사용상의 편리성이 증가한다.
또한 본 고안의 막대형 고체풀에 있어서, 상기 상부 회전 뚜껑의 외부 형상이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 튜브는 그 하단부의 지름이 그 상단부의 지름보다 큰 원통형의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 마개 뚜껑의 외부 바닥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이 이러한 구성을 갖출 경우, 후술하는 이유에서, 상기의 받침대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거의 동일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고안을 포함한 막대형 고체풀은 그 특성상 사용이 증가할수록 고체풀이 짧아지면서 그 고체풀 자체의 무게중심이 내부 튜브의 하단부로 점차 이동해 가기 때문에, 그 하단부 주위의 하중을 증가시키게 되면, 막대형 고체풀을 세웠을 때의 안정성이 더불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막대형 고체풀이 상기의 구조로 형성될 경우, 본 고안의 막대형 고체풀을 세우는 것이 용이해지고 또 본 고안의 막대형 고체풀을 바로 세우는 것 즉 하부 마개 뚜껑의 외부 바닥면을 지면에 접하게 하여 세우는 것만이 가능하여 결국 보관의 편리성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하부 마개 뚜껑의 외부 바닥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면 받침대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효과는 덜하더라도 마찬가지의 이유에서 사용상의 편리상이 증가한다.
또한 본 고안의 막대형 고체풀에 있어서, 상기 하부 마개 뚜껑은 그 내부의 바닥면에 볼록부 또는 선상의 돌기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막대형 고체풀이 이러한 구성을 갖출 경우, 고체풀과 하부 마개 뚜껑이 접촉면이 작아지게되므로, 그 접촉면이 작아지는 것에 비례하여 고체풀의 접착력에 의해서 형성된 고체풀과 하부 마개 뚜껑 사이의 결합력이 작아지게 될 것이어서, 하부 마개 뚜껑의 이탈을 더욱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하부 마개 뚜껑의 내부 바닥면에 선상의 돌기가 형성될 경우 그 선상의 돌기는 나이테 형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막대형 고체풀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튜브은 그 단면이 상기 하부 마개 뚜껑과 결합하는 부분의 길이가 짧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하부 마개 뚜껑도 그 단면이 상기 내부 튜브와 결합하는 부분의 길이가 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 튜브와 상기 하부 마개 뚜껑이 그러한 형상을 가질 경우, 상기 내부 튜브와 상기 하부 마개 뚜껑이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경우에 비하여 서로에게 미치는 마찰력이 감소하게 되어 내부 튜브에서 하부 마개 뚜껑이 더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다른 태양에 있어서,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액체풀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막대형 액체풀은 (a) 액체풀을 수용하는 내부 튜브; (b) 상기 내부 튜브의 하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액체풀을 방출시키 위한 팁 부재; (c) 상기 내부 튜브를 감싸도록 결합하고, 그 하부는 상기 내부 튜브의 하부와의 사이에 일정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개방되어 있는 외부 튜브; 및 (d) 상기 내부 튜브의 하단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내부 튜브의 하부와 상기 외부 튜브의 하부 사이에 형성된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그 상단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된 하부 마개 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막대형 액체풀은, 전술한 본 고안의 막대형 고체풀과 마찬가지로, 상기의 구성을 지님으로써 상기 외부 튜브의 하부를 눌러 상기 하부 마개 뚜껑을 용이하게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지닌다.
본 고안의 막대형 액체풀에 있어서, 전술한 바의 본 고안의 막대형 고체풀에서 채택된 바람직한 구성이 동일한 이유에서 모두 그대로 적용·채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막대형 액체풀에 있어서도, 상기 외부 튜브에는 하나 이상의 일정 길이의 슬릿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상기 슬릿은 서로 대칭되게 4개가 형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 상기 외부 튜브는 플라스틱 등의 연질의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외부 튜브의 중앙부에는 일정 넓이와 일정 길이를 갖는 평면부 또는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부 마개 뚜껑은 그 외부 바닥면에 결합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부 튜브는 그 상부가 상기 외부 튜브의 상부에서 돌출되어 반구형의 외부 형상을 지니고, 상기 외부 튜브는 그 하단부의 지름이 그 상단부의 지름보다는 큰 원통형의 형상이며, 상기 하부 마개 뚜껑은 그 외부 바닥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하부 마개 뚜껑은 그 내부의 바닥면에 볼록부 또는 선상의 돌기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내부 튜브는 그 단면이 상기 하부 마개 뚜껑과 결합하는 부분의 길이가 짧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하부 마개 뚜껑도 그 단면이 상기 내부 튜브와 결합하는 부분의 길이가 긴 사다리꼴 형상으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의 액체풀에 있어서는, 액체풀의 특성상 내부 튜브는 플라스틱 등의 연질의 재료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은, 내부 튜브를 사용자가 손으로 누르는 것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팁 부재를 통하여 액체풀의 방출을 용이하게 하여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고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고안의 액체풀에 있어서, 액체풀의 방출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팁 부재는 액체풀의 출구로서 작용하는 하단부를 포함하고, 그 하단부가 탄성력에 의한 출몰식의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의 청구범위가 그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일 실시예에 있어 막대형 고체풀을 개시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막대형 고체풀이 도 1 내지 도 7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막대형 고체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막대형 고체풀의 사시도이며, 본 3은 본 고안에 따른 막대형 고체풀의 평면도이다. 또 도 4는 도 3의 A-A' 선을 따라 바라본 본 고안에 따른 막대형 고체풀의 단면도이고, 도 5은 받침대를 구비하고 있는 본 고안에 따른 막대형 풀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받침대를 구비하고 있는 본 고안에 따른 막대형 풀의 분해 사시도이다. 마지막으로 도 7a 내지 도 7b는 본 고안에 따른 막대형 풀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위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보면, 본 고안에 따른 막대형 고체풀은 기본적으로 상부 회전 뚜껑(10)과, 그 상부 회전 뚜껑(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내부 튜브(20)와, 그 내부 튜브(20)의 내부에 위치하여 고체풀(1)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고체풀 홀더(30)와, 상기 내부 튜브(20)를 감싸며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42)에는 일정 길이의 슬릿(41)을 갖는 외부 튜브(40)와, 상기 내부 튜브(20)의 하부와 상기 외부 튜브(40)의 하부 사이에 형성된 일정 공간(A)에 위치하는 경사면의 상단부(51)를 지닌 하부 마개 뚜껑(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막대형 고체풀에 있어서, 상기 상부 회전 뚜껑(10)은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부 회전 뚜껑(10)에는 나사 돌기(11')가 형성된 스크류(11)가 고정 결합되어 있다. 스크류(11)는 상기 상부 회전 뚜껑(10)에 고정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상부 회전 뚜껑(10)이 회전하면 그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 회전 뚜껑(10)은 그에 고정 결합된 스크류(11)가 내부 튜브(20)의 상단부(21)를 관통하며, 내부 튜브(20)의 상단부(21)에 고정 결합하는데, 그것은 상기 상부 회전 뚜껑(10)의 내주연에 형성된 고정 돌기(12)가 내부 튜브(20)의 상단부(21)의 외주연에 형성된 고정 홈(24)에 맞물려 들어가기 때문이다(도 4 참조). 또한, 스크류(11)와 상기 상부 회전 뚜껑(10) 사이에는 이음부(13)가 존재하는데, 이러한 이음부(13)의 하부에는 원형 홈(14)이 형성되어 있어, 내부 튜브(20)의 상단부(21)의 내주연에 형성된 원형 돌기(25)와 맞물리게 된다(도 4 참조). 이음부(13)에 형성된 원형 홈(14)과 내부 튜브(20)의 상단부(21) 내주연에 형성된 원형 돌기(25)가 맞물림으로써, 상부 회전 뚜껑(10)과 내부 튜브(20)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되고 스크류(11)의 회전시 스크류(11)의 좌우 또는 전후로의 불필요한 요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내부 튜브(20)는 그 내부에는 고체풀(1)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고체풀 홀더(30)가 위치하고 있는데, 이러한 고체풀 홀더(30)에는 그 중앙에 중공부(3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공부의 내측(31)에는 상기 스크류(11)의 나사 돌기(11')와 맞물림이 가능한 나사 홈(31')이 형성되어 있어, 스크류(11)의 회전 이동을 고체풀 홀더(30)의 상하 이동으로 전환시키게 된다.
또한 고체풀 홀더(30)에는 그 외주연에 3개의 선상의 안내 홈(3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 홈(32)은 내부 튜브(20)의 내주연에 형성된 3개의 선상의 안내 돌기(26)와 맞물림으로써 고체풀 홀더(30)가 상하로만 이동하도록 한다.
한편, 외부 튜브(40)는 그 상부가 상기 내부 튜브(20)의 그 상부(22)에 결합한다. 첨부된 도면상은 일체로 결합되어 도시되어 있지만, 걸림홈과 걸림턱 구조에 의하여 결합하더라도 무방하다. 외부 튜브(40)의 하부(40)와 내부 튜브(20)의 하부(23) 사이에 일정한 공간(A)이 형성될 수 있다면, 외부 튜브(40)와 내부 튜브(20)의 결합 방식은 어떠한 방식이든 무방하다. 이러한 외부 튜브(40)는 상기 내부 튜브(20)를 감싸면서 그 하단부의 지름이 그 상단부의 지름보다 큰 원통형의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외부 튜브(40)는 그 상부(43)가 내부 튜브(20)의 상부(22)에 일체로 결합하여 있기 때문에 그 상단부는 폐쇄형이지만, 그 하단부는 개방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외부 튜브(40)는 그 하부(42)가 내부 튜브(20)의 하부(23)와 일정 공간(A)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외부 튜브(40)에는 그 하부(42)에 4개의 슬릿(4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슬릿(41)은 외부 튜브(40)의 하부(42)와 내부 튜브(20)의 하부(23) 사이에 형성된 상기 일정 공간(A)과 함께, 사용자가 본 고안의 사용시 외부 튜브(40)의 하부(42)를 용이하게 누를수 있게 하며, 결과적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부 마개 뚜껑(50)의 경사면의 상단부(51)에 상기 외부 튜브(40)의 하단부를 작용시켜 원터치 방식으로 하부 마개 뚜껑(50)을 이탈시키게 한다.
또한, 외부 튜브(40)는 하단부의 지름이 상단부의 지름 보다는 큰 원통형의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전체의 무게 중심이 하부 쪽에 위치하게 되어 세워서 보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외부 튜브(40)에는 그 중앙부에 일정 넓이와 길이의 오목부(60)가 형성되어 있어, 본 고안의 구름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그것은 본 고안의 사용시 또는 보관시의 편리성을 제고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하부 마개 뚜껑(50)은 그 상단부(51)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면 상단부(5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튜브(40)의 하단부가 이에 작용하여 원터치 방식에 의해 하부 마개 뚜껑(50)을 이탈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하부 마개 뚜껑(50)은 내측 상부에 걸림 홈(5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 홈(52)은 내부 튜브(20)의 하부(23)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 턱(27)과 맞물림으로써 내부 튜브(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부 마개 뚜껑(50)은 그 외부 바닥면(53)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이렇게 외부 바닥면(53)은 그 형상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단부의 지름이 상단부의 지름 보다는 큰 원통형의 형상을 하고 있는 외부 튜브(40)와 더불어 본 고안의 막대형 고체풀을 세우는 것을 용이하게 하여 보관의 편리성을 더욱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상부 회전 뚜껑(10)이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또 본 고안의 막대형 고체풀은 항상 바로 세워서 즉 하부 마개 뚜껑(50)의 외부 바닥면(53)을 지면에 접하게 세우는 것만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상기 보관의 편리성은 더욱 증가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받침대(54)를 구비한 본 고안의 막대형 고체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는 위 도 5의 막대형 고체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인데, 이러한 도 5 및 6에서 확인되듯이, 받침대(54)가 하부 마개 뚜껑(50)의 외부 바닥면(53)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받침대(54)는 본 고안의 막대형 고체풀을 세워서 보관하는 것만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보관이 편리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받침대(54)는 본 고안의 막대형 고체풀을 사용하기 위하여 하부 마개 뚜껑(50)을 이탈시켰을 때 그 하부 마개 뚜껑(50)이 일탈된 장소에 그대로 머물러 있게 할 것이서 사용상의 편리성도 증가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받침대(54)가 이탈된 하부 마개 뚜껑(50)을 그 바닥면(53)이 지면에 접한 상태에서 이탈된 자리에 그대로 위치시키게 할 것이므로, 사용이 끝난 후 그 하부 마개 뚜껑(50)에 내부 튜브(20)을 결합시키는 것이 용이해지는 것이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하부 마개 뚜껑(50)의 내부 바닥면에는 선상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그 선상의 돌기는 고체풀(1)과 하부 마개 뚜껑(50)사이의 접촉면을 작게 하여 결과적으로 고체풀(1)의 접착력에 의해서 형성된 고체풀(1)과 하부 마개 뚜껑(50) 사이의 결합력을 작게 한다. 이는 결국 하부 마개 뚜껑(50)의 이탈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또한 첨부되는 도면상으로는 명확히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고안의 고체풀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튜브(20)는 그 단면이 상기 하부 마개 뚜껑(50)과 결합하는 부분의 길이가 짧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하부 마개 뚜껑(50)도 그 단면이 상기 내부 튜브(20)와 결합하는 부분의 길이가 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 튜브(20)와 상기 하부 마개 뚜껑(50)이 이러한 형상을 가지게 되면 직사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보다 서로에게 미치는 마찰력의 감소로 내부 튜브(20)에서 하부 마개 뚜껑(50)이 더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한편, 원터치 방식에 의한 본 고안의 막대형 고체풀의 사용 방법을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a는 본 고안의 막대형 고체풀의 사용 전 상태인 폐쇄된 상태를 표시한 것이고, 도 7b는 본 고안의 사용을 위하여 개방 후의 상태를 표시한 것이다. 사용자가 도 7a 상태의 본 고안의 막대형 고체풀을 한 손을 잡고, 그 손으로 외부 튜브(40)의 하부(42)를 화살표 방향으로 누르면 외부 튜브(40)의 하단부가 하부 마개 뚜껑(50)의 경사면 상단부(51)에 작용하여 도 7b와 같이 상기 하부 마개 뚜껑(50)을 화살표 방향으로 이탈되게 된다. 하부 마개 뚜껑(50)이 이탈되면 그 상태로 본 고안의 막대형 고체풀은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
본 고안은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액체풀을 개시한다.
도 8 내지 11에 상기 막대형 액체풀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막대형 액체풀의 분해도인데, 이중 도 8a은 본 고안의 막대형 액체풀의 분해 사시도이도, 도 8b는 본 고안의 막대형 액체풀의 분해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막대형 액체풀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막대형 액체풀의 정면도이며, 도 11는 도 10의 B-B' 선을 따라 절단하여 바라본 본 고안의 막대형 액체풀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막대형 액체풀은 액체풀의 특성에 따라 필수적으로 달리 구성될 수 밖에 없는 구성요소를 제외한다면 전술한 본 고안의 막대형 고체풀과 기본적으로 그 구성이 동일하다. 즉, 본 고안의 막대형 액체풀에 있어서는 그 특성상, 막대형 고체풀이 지니고 있는 스크류(11)가 형성된 상부 회전 뚜껑(10), 고체풀 홀더(30) 등이 구비되지 않고, 내부 튜브(200)가 그들에 대신하여 구비되고, 그 내부 튜브(200)에 액체풀이 함유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막대형 액체풀에 있어서, 아래에서 특별히 설명되지 않더라도, 상기 본 고안의 막대형 고체풀에서의 모든 설명이 액체풀이라는 특성상 적용될 수 없는 것을 제외하면 본 고안의 막대형 액체풀에서 그대로 적용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이러한 전제하에서,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막대형 액체풀의 구성을 살펴보면, 본 고안의 막대형 액체풀은 내부 튜브(200)를 포함하고, 그 내부 튜브(200)를감싸면서 그 내부 튜브(200)의 중앙부(230)에 결합하는 외부 튜브(400)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튜브(200)의 하단부(24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마개 뚜껑(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내부 튜브(200)는 그 중앙부(230)의 윗부분인 상부(220)가 외부 튜브(400) 밖으로 긴 반구형의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고, 중앙부(230)의 아랫부분인 하부(210)는 원통형의 형상을 하고 있으면서 외부 튜브(400)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내부 튜브(200)는 도면상 확인되지는 않지만, 사용자가 직접 액체풀의 원활한 방출을 유도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등의 연질의 재료로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내부 튜브(200)의 하단부(240)는 약간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는데, 이 하단부(240)에 팁 부재(300)가 그 상단부(310)를 통하여 걸림홈(310')과 걸림턱(240')의 맞물림 구조에 의하여 결합한다. 그러나 팁 부재(300)는 내부 튜브(200)의 하단부(240)에 일체로 결합하더라도 무방하다. 팁 부재(300)의 하단부(320)는 액체풀의 출구로서 작용하며, 통상은 스폰지 등이 메쉬(mesh)형 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하단부(320)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탄성력에 의하여 출몰식의 구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단부(320)가 누르는 힘에 의하여 팁 부재의 내부로 함몰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것은 누르는 힘에 의해서는 위 하단부(320)가 팁 부재의 내부로 함몰되지만 그러한 힘이 제거되면 위 하단부(320)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는 구성인데, 이러한 구성은 팁 부재 내부에 적절한 탄성 부재가 구비됨으로써 가능하다. 팁 부재(300)의 하단부(320)가 상기 구성을 갖추게 되면 액체풀의 보다 원할한 방출이 가능해진다.
한편, 외부 튜브(400)는 그 상부(430)를 통하여 내부 튜브(200)의 하부(210)를 감싸며 내부 튜브(200)의 중앙부(230)에 걸림홈(430')과 걸림턱(230')의 맞물림 구조에 의하여 결합한다. 팁 부재(300)의 결합 방식과 마찬가지로 외부 튜브(400)는 내부 튜브(200)에 일체로 결합하더라도 무방하다. 본 고안의 막대형 고체풀과 같이, 외부 튜브(400)의 하부(420)와 내부 튜브(200)의 하부(210) 사이에 일정한 공간(A)이 형성될 수 있다면, 외부 튜브(400)와 내부 튜브(200)의 결합 방식은 어떠한 방식이든 무방하다. 상기 외부 튜브(400)에는 그 하부(420)에 네개의 슬릿(410)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경사면의 상단부(510)를 지닌 마개 뚜껑(500)과 더불어 본 고안의 특징인 원터치 방식에 의한 마개 뚜껑(500)을 일탈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이다. 한편 이러한 외부 튜브(400)에도 구름을 방지하여 보관의 편리성을 제고 시킬수 있도록 오목부(600)가 형성될 수 있다.
마개 뚜껑(500)은 내부 튜브의 하부(210)에 걸림홈(520)과 걸림턱(270) 방식에 의하여 결합한다. 그 상단부(510)는 경사면을 하고 있어, 외부 튜브(400)의 하단부가 작용하여 원터치 방식에 의하여 마개 뚜껑(500)을 이탈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그 외부 바닥면(530)에는 보관의 편리성과 사용상의 편리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받침대(540)가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의 막대형 액체풀의 작동 방식은 특별히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그것은 도 7a 내지 도 7b에서 확인되는 막대형 고체풀의 작동 방식과 동일하다.
한편, 본 고안의 막대형 고체풀과 막대형 액체풀은 플라스틱 재질, 세라믹재질, 금속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개별적인 구성 요소들에 적합한 재질의 선택은 앞서 설명한 그 구성요소들이 갖는 기능 등을 고려하여 선택되는 것이므로, 그러한 선택은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에 기초한다면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 속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막대형 고체풀 및 막대형 액체풀은 원터치 방식에 의하여 하부 마개 뚜껑을 이탈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막대형 고체풀 및 막대형 액체풀은 보관상의 편리한 이점과 사용상의 편리한 이점도 지닌다.

Claims (22)

  1. (a) 스크류;
    (b) 상기 스크류와 결합 형성된 상부 회전 뚜껑;
    (c) 상기 상부 회전 뚜껑에 그 상단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내부 튜브;
    (d) 상기 내부 튜브 내부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고체풀이 안착되며, 상기 스크류와 나사 결합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고체풀 홀더;
    (e) 상기 내부 튜브를 감싸도록 결합하고, 그 하부는 상기 내부 튜브의 하부와의 사이에 일정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개방되어 있는 외부 튜브; 및
    (f) 상기 내부 튜브의 하단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내부 튜브의 하부와 상기 외부 튜브의 하부 사이에 형성된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그 상단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된 하부 마개 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외부 튜브의 하부를 누르면 상기 마개 뚜껑이 이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고체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튜브의 하부에는 하나 이상의 일정 길이의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고체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튜브의 하부에 형성되는 슬릿은 서로 대칭하여 4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고체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튜브는 연질의 재료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고체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튜브의 중앙부에는 막대형 고체풀이 구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 넓이와 길이의 오목부 또는 평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고체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회전 뚜껑은 그 외부 형상이 반구형이고, 상기 외부 튜브는 그 하단부의 지름이 그 상단부의 지름보다는 큰 원통형의 형상이며, 상기 하부 마개 뚜껑은 그 외부 바닥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고체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마개 뚜껑은 그 외부 바닥면에 받침대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고체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마개 뚜껑은 그 내부의 바닥면에 볼록부 또는 선상의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고체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상의 돌기는 나이테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고체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튜브은 그 단면이 상기 하부 마개 뚜껑과 결합하는 부분의 길이가 짧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하부 마개 뚜껑도 그 단면이 상기 내부 튜브와 결합하는 부분의 길이가 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고체풀.
  11. (a) 액체풀을 수용하는 내부 튜브;
    (b) 상기 내부 튜브의 하단부에 결합하고, 상기 액체풀을 방출시키 위한 팁 부재;
    (c) 상기 내부 튜브를 감싸도록 결합하고, 그 하부는 상기 내부 튜브의 하부와의 사이에 일정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개방되어 있는 외부 튜브; 및
    (d) 상기 내부 튜브의 하단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내부 튜브의 하부와 상기 외부 튜브의 하부 사이에 형성된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도록 그 상단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된 하부 마개 뚜껑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외부 튜브의 하부를 누르면 상기 마개 뚜껑이 이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액체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튜브의 하부에는 하나 이상의 일정 길이의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액체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튜브의 하부에 형성되는 슬릿은 서로 대칭하여 4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액체풀.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튜브는 연질의 재료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액체풀.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튜브의 중앙부에는 막대형 고체풀이 구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 넓이와 길이의 오목부 또는 평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액체풀.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튜브는 그 상부가 상기 외부 튜브의 상부에서 돌출되어 반구형의 외부 형상을 지니고, 상기 외부 튜브는 그 하단부의 지름이 그 상단부의 지름보다는 큰 원통형의 형상이며, 상기 하부 마개 뚜껑은 그 외부 바닥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액체풀.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마개 뚜껑은 그 외부 바닥면에 받침대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액체풀.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마개 뚜껑은 그 내부의 바닥면에 볼록부 또는 선상의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액체풀.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선상의 돌기는 나이테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액체풀.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튜브은 그 단면이 상기 하부 마개 뚜껑과 결합하는 부분의 길이가 짧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하부 마개 뚜껑도 그 단면이 상기 내부 튜브와 결합하는 부분의 길이가 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액체풀.
  2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튜브는 연질의 재료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액체풀.
  2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팁 부재는 액체풀의 출구로서 작용하는 하단부를 포함하고, 그 하단부가 탄성력에 의한 출몰식의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을 하는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액체풀.
KR20-2003-0039204U 2003-10-21 2003-12-16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풀 KR20034586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2901 2003-10-21
KR20030032901 2003-10-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5869Y1 true KR200345869Y1 (ko) 2004-03-22

Family

ID=34386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204U KR200345869Y1 (ko) 2003-10-21 2003-12-16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47393B2 (ko)
EP (1) EP1525818B1 (ko)
KR (1) KR200345869Y1 (ko)
AT (1) ATE341963T1 (ko)
DE (1) DE602004002745T2 (ko)
ES (1) ES2274336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47807A1 (en) * 2005-11-29 2008-10-09 Whitehorn William P Liquid dispensing instrument
US8662776B2 (en) * 2007-02-08 2014-03-04 Avon Products, Inc Multi-unit cosmetic applicator
US20120145744A1 (en) * 2010-12-08 2012-06-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quid dispenser
US9375033B2 (en) 2014-02-14 2016-06-28 R.J. Reynolds Tobacco Company Tobacco-containing gel composition
US10906726B2 (en) 2014-04-01 2021-02-02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Dispensing system for a tobacco-related product, and associated method
US9858827B2 (en) 2015-12-22 2018-01-02 Courtney Shirvani Caps and methods of usage
FR3077711A1 (fr) * 2018-02-15 2019-08-16 Albea Services Mecanisme pour un etui d'application d'un produit cosmetique, notamment un raisin de rouge a levres, et etui comportant un tel mecanism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79057A (en) * 1918-11-06 1921-05-24 Thomas C Spelling Fountain-pen
US1481443A (en) * 1922-03-16 1924-01-22 Stone Harry Seal-tight preserving jar
US3817426A (en) * 1972-06-16 1974-06-18 M Fooks Tube holder
US5263787A (en) * 1992-05-22 1993-11-23 The Flagship Group, Inc. Inverted cap for craft paint applicators
AT407511B (de) * 1997-10-22 2001-04-25 Kores Holding Zug Ag Stift zum auftragen einer flüssigkeit
WO1999057028A1 (fr) * 1998-05-06 1999-11-11 Karisu International Yugen Kaisha Applicateur a extrusion
US5975783A (en) * 1998-08-19 1999-11-02 Pro Eton Corporation Pen cap with pressure relief means
US6409403B1 (en) * 2000-11-13 2002-06-25 Manco, Inc. Glue sti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74336T3 (es) 2007-05-16
DE602004002745T2 (de) 2007-08-16
EP1525818B1 (en) 2006-10-11
ATE341963T1 (de) 2006-11-15
DE602004002745D1 (de) 2006-11-23
US7147393B2 (en) 2006-12-12
EP1525818A1 (en) 2005-04-27
US20050082318A1 (en) 2005-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4891B1 (en) Structure of a make-up pen
CA2421987C (en) Cosmetic container with interchangeable attachments
JP3452579B2 (ja) 塗布物、特に接着剤を塗布する為の可再補充コンテナ
US6035865A (en) Cosmetic holder assembly
EP1803368A1 (en) Cosmetics Case
JPS61257605A (ja) 1ピニオン2ラツク機構化粧品アプリケ−タ要素用ケ−ス
KR20090000177U (ko) 화장용브러쉬
KR200345869Y1 (ko)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풀
KR20040096089A (ko) 화장용구의 수납 기능을 갖는 화장품케이스
JPH0356165A (ja) 分与装置
JP3202178B2 (ja) 化粧料塗布容器
JPWO2019038799A1 (ja) 化粧用塗布具
US5975088A (en) Nail polish dispenser and receptacle
KR20150017982A (ko) 화장용 브러시 기구
JP5075434B2 (ja) 化粧料収納容器
JP2001197926A (ja) 化粧料容器
JP3110661U (ja) 化粧料塗布器
JP3996373B2 (ja) 棒状化粧料繰出し容器
WO2006088268A1 (en) Stick-type glue dispenser with quick-opening cap
KR101611068B1 (ko) 화장용 도구
JPH061050Y2 (ja) 化粧用刷毛付き容器
KR100763273B1 (ko) 뚜껑 거치대
JPH105036A (ja) コンパクトな化粧容器組立体
EP0272293A1 (en) Eyeliner pencils
KR930005398Y1 (ko) 화장용 크림의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