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3273B1 - 뚜껑 거치대 - Google Patents

뚜껑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3273B1
KR100763273B1 KR1020060054730A KR20060054730A KR100763273B1 KR 100763273 B1 KR100763273 B1 KR 100763273B1 KR 1020060054730 A KR1020060054730 A KR 1020060054730A KR 20060054730 A KR20060054730 A KR 20060054730A KR 100763273 B1 KR100763273 B1 KR 100763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holder
coupling portion
stand ba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4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현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리스
Priority to KR1020060054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32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3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3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MBUREAU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M11/00Hand or desk devices of the office or personal type for applying liquid, other than ink, by contact to surfaces, e.g. for applying adhesive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막대형 풀을 잡은 상태에서 다른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마개 뚜껑을 개방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풀칠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뚜껑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내용물의 토출구를 상하 분리식으로 개폐시키는 뚜껑과 결합되는 뚜껑결합부와; 상기 뚜껑결합부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공중에 위치하도록 그 일측단이 상기 뚜껑결합부의 측면과 결합되어 있으며, 그 타측단은 지면에 수직되게 세워지도록 지면과 밀착하는 받침대를 형성하고 있는 경질의 막대형 스탠드바로 구성되는 거치대에 의해, 상기 뚜껑결합부와 결합되어 있는 뚜껑에 의해 토출구가 막혀있는 용기를 아래로 잡아당겨 그 뚜껑과 분리시킴과 동시에 토출구를 개방시키며, 이 상태에서 상기 뚜껑결합부를 뒤집어 상기 용기를 아래로 눌러 상기 뚜껑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토출구를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막대형 풀, 뚜껑, 거치대

Description

뚜껑 거치대{HOLDER FOR A CAP}
도 1은 본 발명의 뚜껑 거치대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전체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뚜껑을 A-A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
도 3a는 도 1을 조립한 전체사시도,
도 3b는 도3의 뚜껑 거치대를 B-B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
도 4 및 도5는 본 발명의 뚜껑 거치대의 제1실시예에 따라 막대형 풀의 뚜껑을 열고 닫기 위한 작동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뚜껑 거치대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뚜껑 거치대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뚜껑 거치대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전체 분해사시도,
도 9a는 도 8의 전체 조립사시도,
도 9b는 도 9a의 C-C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
도 10은 도 9a의 막대형 풀의 뚜껑을 닫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뚜껑 거치대의 제4실시예에 따라 막대형 풀의 뚜껑을 열고 닫기 위한 작동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 거치대 11 : 스탠드바
12, 12' : 단턱 13, 13' : 수용부
20, 20' : 뚜껑 21, 21' : 단턱
22, 22' : 단턱 27, 27' : 밑면
30 : 막대형 풀 31 : 축심
32 : 회전부 33 : 몸통
34 : 단턱 35 : 토출구
본 발명은 튜브 내부에 형성된 스크류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여 출몰하는 막대형 풀에 있어서 그 뚜껑을 포함하여 형성된 뚜껑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막대형 고체풀은 출몰식으로 구성되는데, 그것은 고체풀이 튜브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출몰식으로 구성되는 막대형 고체풀은 통상적으로 그 구성상, 고체풀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체풀 홀더가 튜브 내부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위치하고, 이러한 고체풀 홀더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스크류가 고체풀 홀더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부와 나사 결합방식에 의하여 결합하며, 그러한 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가 고체풀 홀 더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부와 나사 결합방식에 의하여 결합하며 그러한 스크류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가 스크류와 일체로 결합하여 형성된다, 회전구를 회전시키게 되면 고체풀 홀더의 중앙에 형성된 중공부와 나사 결합된 스크류가 회전하면서 고체풀 홀더를 튜브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시키게 된다.
물론 이 경우 튜브 내부에서 고체풀 홀더가 상하 이동이 가능한 것은 고체풀 홀더에 선상의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 안내홈과 맞물리게 튜브 내부에 선상의 안내 돌기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출몰식의 막대형 고체풀은 전술한 바의 구성을 갖춤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시 원하는 길이만큼 고체풀을 전진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튜브 내부에 함몰되도록 고체풀을 후퇴시키게 된다.
전술한 막대형 고체풀에 있어서, 상기한 구성요소들 이외에 또한 반드시 갖추어져야 하는 것이 튜브 하단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하는 뚜껑이다.
막대형 고체풀은 수분이 그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그것들이 공기와 접촉하는 시간이 증가할수록 그것들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그만큼 증발하게 됨으로써 그 접착력은 그에 비례하여 떨어지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마개 뚜껑은 고체풀이나 액체풀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그런데, 전술한 막대형 풀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 막대형 풀의 케이스 본체를 한손으로 잡고 다른 손으로 마개 뚜껑을 이탈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그것은 사용자가 접착시킬 부분을 이미 한손으로 고정시키고 있을 때는 사용 상의 큰 불편을 초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막대형 풀을 잡은 상태에서 다른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마개 뚜껑을 개방시켜 사용 가능하도록 막대형 풀의 규격에 맞는 뚜껑을 포함하는 뚜껑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은 내용물의 토출구를 상하 분리식으로 개폐시키는 뚜껑과 결합되는 뚜껑결합부(14)와; 상기 뚜껑결합부(14)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공중에 위치하도록 그 일측단이 상기 뚜껑결합부(14)의 측면과 결합되어 있으며, 그 타측단은 지면에 수직되게 세워지도록 지면과 밀착하는 받침대를 형성하고 있는 경질의 막대형 스탠드바로 구성되는 거치대에 의해, 상기 뚜껑결합부(14)와 결합되어 있는 뚜껑에 의해 토출구가 막혀있는 용기를 아래로 잡아당겨 그 뚜껑과 분리시킴과 동시에 토출구를 개방시키며, 이 상태에서 상기 뚜껑결합부(14)를 뒤집어 상기 용기를 아래로 눌러 상기 뚜껑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토출구를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거치대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받침대는 상기 뚜껑결합부(14)와 동일한 형태, 치수 및 결합방식으로 부착되어 있어, 상기 거치대가 상기 스탠드바를 중심으로 양 단이 대칭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뚜껑은 외표면과 내표면에 각각 원형 단턱을 형성하고 있으며, 하부가 밑면으로 폐쇄된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용기는 상기 토출구와 몸통 사이에 단턱(34)을 형성하고 있어, 상기 뚜껑의 일측단과 상기 단턱(34)이 맞닿으며, 상기 뚜껑의 내표면 단턱과 상기 토출구 끝단이 맞닿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탠드바는 그 내부에 강철심(19)을 내재해 있으며, 그 외부를 금속재질 혹은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감싸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뚜껑결합부(14)는 상하 직경이 동일한 원형띠이며, 그 내부 상단에 단턱(12, 12')과 상기 단턱(12, 12')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는 수용부(13, 13')를 형성하고 있어, 상기 뚜껑을 결합 및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탠드바의 형상은 'C'자의 대칭형 띠 형상이며, 그 요부는 모래시계형으로 오목지게 들어간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탠드바 형상이 상하 좌우 대칭되는 원형띠 형상이며, 그 요부는 모래시계형으로 오목지게 들어간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받침대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얇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결합부의 직경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뚜껑결합부(14)는 그 외표면과 일체로 성형되 어 있는 회전부에 의해, 상기 스탠드바와 회전되게 결합되어 있어, 상기 뚜껑에 결합되는 용기 혹은 뚜껑결합부가 그 무게중심에 의해 스탠드바로부터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탠드바의 상부는 일렬로 구성되어 있는 관경이 서로 다른 관통홀과 그 사이에 형성되는 단턱(16)으로 구성되는 홀(17)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홀(17)로 관통되게 삽입된 나사(25)가 상기 회전부의 평면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나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헤드(28)는 상기 단턱(16)에 걸리게 되어, 상기 스탠드바와 상기 뚜껑결합부가 서로 이탈되지 않는 범위에서 360°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뚜껑 거치대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뚜껑 거치대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전체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뚜껑을 A-A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3a는 도 1을 조립한 전체사시도이며, 도 3b는 도3의 뚜껑 거치대를 B-B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5는 본 발명의 뚜껑 거치대의 제1실시예에 따라 막대형 풀의 뚜껑을 열고 닫기 위한 작동순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뚜껑 거치대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뚜껑 거치대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체사시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뚜껑 거치대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전체 분해사시도 이며, 도 9a는 도 8의 전체 조립사시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C-C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도 9a의 막대형 풀의 뚜껑을 닫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뚜껑 거치대의 제4실시예에 따라 막대형 풀의 뚜껑을 열고 닫기 위한 작동순서도이다.
하기에 설명될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들은 내용물과 그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로써, 막대형 풀을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치약, 화장품 등과 같은 용기를 거꾸로 세워도 흘러내리지 않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와 용기의 일측에 형성된 토출구를 막는 뚜껑, 그리고 상기 뚜껑과 상기 용기가 상하 이동에 의해 분리 및 결합되며 이로 인해 상기 용기의 토출구가 개폐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뚜껑 거치대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체 분해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뚜껑 거치대는 외부의 압력이나 환경의 변화에 그 형태가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금속 재질 혹은 경질의 플라스틱이며, 스탠드바(11)와 뚜껑결합부(1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탠드바(11)는 그 내부에 강철심(19)이 내재해 있으며, 그 외부를 금속재질 혹은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감싸고 있는 직선형태의 바이다.
그 단면은, 직각모서리를 1개 갖고 있으며 그 직각모서리로부터 뻗은 두 직선이 (하기에 설명될 뚜껑결합부(14)와 면접하는 오목형상의) 호와 만나는 삼각형 상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뚜껑결합부(14)는 상기 스탠드바(11)의 상 하단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으며, 동일한 형상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뚜껑결합부(14)는 상하 직경이 동일한 원형띠 형상을 하고 있으며, 외표면의 일부가 상기 스탠드바(11)의 호와 면접해 있다.
또한 그 내부 상단에는 단턱(12, 12')과 상기 단턱(12, 12')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는 수용부(13, 13')를 형성하고 있어, 하기에 설명될 뚜껑이 상기 뚜껑결합부(14)에 결합 및 수용되도록 한다.
상기 상하 뚜껑결합부(14)에 결합되는 동일한 형상의 상하 뚜껑(20, 20')은 도 2의 그 단면 형상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뚜껑(20)은 그 외표면의 2개의 단턱과 내표면의 1개의 단턱으로 형성된, 하부가 밑면으로 폐쇄된 원통이며, 그 재질은 상기 뚜껑결합부(14)에 쉽게 탈착 가능하도록 유연한 플라스틱 재질임이 바람직하다.
외표면의 단턱(21)은 상기 뚜껑결합부(14)의 단턱(12)과 맞물리기 되며, 내표면의 단턱(22)은 하기에 설명할 막대형 풀의 토출구(35)와 맞물리게 된다.
상기 막대형 풀(30)은 그 구조와 형상에 있어서, 일반적인 막대형 풀과 동일 유사하다.
즉, 돌림부(32)를 회전함에 따라, 축심(31)을 중심으로 상기 몸통(33) 내부에 수용되어 회전하는 고체형 풀이 토출구(35)를 통해 출몰하게 되어 있다.
상기 막대형 풀(30)은 상기 몸통(33)과 상기 토출구(35)의 사이에 단턱(34) 을 형성하고 있어 상기 뚜껑결합부(14)의 단턱(22, 22')에 걸리도록 한다.
도 3 및 도4에서는 상기의 거치대(10)에 뚜껑(20, 20')과 막대형 풀(30)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상기 뚜껑결합부(14)와 스탠드바(11)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거치대(10)에 있어서, 상하 뚜껑결합부(14) 내부의 단턱(12, 12')과, 상기 뚜껑(20, 20')의 단턱(21, 21')을 맞물리게 하여 상기 뚜껑결합부(14)와 상기 뚜껑(20, 20')이 결합되도록, 상기 뚜껑(20, 20')의 풀수용부(26, 26')를 상기 뚜껑결합부(14)에 각각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뚜껑(20, 20')이 상기 뚜껑결합부(14)의 단턱(12, 12')이 형성되어 있는 방향으로부터 삽입하여야 상기 단턱(12, 12')과 상기 단턱(21, 21')이 맞물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 뚜껑(20)과 상부 뚜껑결합부(14), 하부 뚜껑(20')과 하부 뚜껑결합부(14)가 고정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막대형 풀(30)을 상기 뚜껑(20')에 결합시키게 된다.
즉, 막대형 풀(30)의 단턱(34)을 상기 뚜껑(20')의 단턱(22')에 맞물리도록 결합시킴으로써 막대형 풀(30)이 상기 풀수용부(26) 내에서 밀폐되게 된다.
상기 도면에서는 상기 뚜껑(20')이 하부에 위치하므로 상기 막대형 풀(30)을 상기 뚜껑(20')과 결합시키는 것일 뿐, 상기 뚜껑(20)이 하부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막대형 풀(30)은 당연히 상기 뚜껑(20)과 결합되는 것이므로, 뚜껑(20)과 뚜껑(20')중 어느 것과 결합하여도 그 맞물림의 동작은 동일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4의 화살표 방향 즉, 상기 거치대(10)를 상하로 뒤집어 세우게 되면, 막대형 풀(30)은 상기 뚜껑(20')에 결합된 채로 거꾸로 매달리게 된다.(a)
이러한 상태에서, 한 손으로 막대형 풀(30)을 잡고 아랫방향으로 잡아 당기게 되면(b), 스탠드바(11)가 상기 잡아당기는 힘으로부터 거치대 형태를 유지시키도록 지탱하게 되며, 상기 막대형 풀(30)의 단턱(34)과 상기 뚜껑(20')의 단턱(22') 간의 맞물림이 해제되면서 상기 막대형 풀(30)이 거치대(10)로부터 분리되게 된다.(c)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막대형 풀(30)을 다시 거치대(10)에 꽂기 위해, 상기 막대형 풀(30)을 거치대의 뚜껑(20, 20') 사이에 위치시킨 후(a), 상기 막대형 풀(30)을 수직 하강하여(b) 상기 뚜껑(20)의 단턱(22)에 맞물리도록 결합시키게 된다.(c)
도 6은 본 발명의 뚜껑 거치대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2실시예에서는 거치대의 뚜껑결합부, 뚜껑, 막대형 풀의 형상과 치수 등이 모두 제1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 유사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상기 제2실시예에서는 거치대의 스탠드바(11a)의 형상이 직선이 아닌 곡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탠드바(11a)는 'C'자의 라운드형 띠형상이며, 그 요부는 모래시계형으로 오목지게 들어간 형태로 되어 있어, 상기 거치대(10)를 상하로 뒤집을 때 손 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그 양 끝단이 상기 뚜껑결합부(14)로부터 연장되게 일체로 면접하고 있는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2실시예의 작동원리 또한 상기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행하도록 한다.
즉, 상기 스탠드바(11a)를 손으로 잡고 상기 거치대(10)를 상하로 뒤집어 세우게 되면, 막대형 풀(30)은 상기 뚜껑(20')에 결합된 채로 거꾸로 매달리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한 손으로 막대형 풀(30)을 잡고 아랫방향으로 잡아 당기게 되면, 스탠드바(11)가 상기 잡아당기는 힘으로부터 거치대 형태를 유지시키도록 지탱하게 되며, 상기 막대형 풀(30)의 단턱(34)과 상기 뚜껑(20')의 단턱(22') 간의 맞물림이 해제되면서 상기 막대형 풀(30)이 거치대(10)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또한 막대형 풀(30)을 다시 거치대(10)에 꽂기 위해, 상기 막대형 풀(30)을 거치대의 뚜껑(20, 20') 사이에 위치시킨 후, 상기 막대형 풀(30)을 수직 하강하여상기 뚜껑(20)의 단턱(22)에 맞물리도록 결합시키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막대형 풀(30)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3실시예 역시 거치대의 뚜껑결합부, 뚜껑, 막대형 풀의 형상과 치수 등이 모두 제1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 유사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상기 제3실시예에서는 거치대의 스탠드바(11b)의 형상이 직선이 아닌 곡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그 재질은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스탠 브바와 동일 유사하다.
상기 스탠드바(11b)는 상기 제2실시예의 스탠드바(11a)가 상기 뚜껑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는 원형띠형상이며, 그 요부는 모래시계형으로 오목지게 들어간 형태로 되어 있어, 상기 거치대(10)를 상하로 뒤집을 때 손으로 잡기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3실시예의 스탠드바(11b)는 상기 제1실시예와 상기 제2실시예의 스탠드바(11a)에 비해 상기 뚜껑에 결합되어 있는 막대형 풀(30)을 분리시키기 위한 압력을 보다 잘 견딜 수 있어 내구성이 뛰어난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상기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작동원리와 동일한 방식으로 막대형 풀의 뚜껑을 열고 닫을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뚜껑 거치대의 제4실시예의 거치대 분리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뚜껑결합부(14) 및 뚜껑 그리고 막대형 풀의 형상은 제1실시예의 형상과 동일 유사한 것이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제3실시예의 거치대는 뚜껑결합부, 스탠드바(11c), 받침대(18), 회전부(29) 및 뚜껑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뚜껑결합부, 뚜껑은 상기 제1실시예의 뚜껑결합부, 뚜껑의 형상 및 재질이 동일 유사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받침대(18)는 원형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결합부의 직경보다 약간 넓은 면적을 갖고 있다.
상기 스탠드바(11c)는 상기 받침대(18)의 일측과 접선하여 수직되게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직선바이다.
상기 스탠드바(11c)의 상부는 관경이 서로 다른 두개의 관통홀로 구성되어 있어 단턱(16)을 형성하는 홀(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뚜껑결합부 외표면의 일측은 판상의 회전부(29)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회전부(29)는 그 하부에 뚜껑결합부를 감싸며 수직되게 뻗어있다.
또한, 뚜껑결합부와 면접하는 면은 라운드형으로 되어 있으며, 그 반대편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25)는 그 끝이 상기 나사(25)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헤드(2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탠드바(11c)의 홀(17)에 상기 나사(25) 끝을 삽입하여, 상기 회전부(29)의 평면 중앙에 고정되게 박게 되면, 도 9a와 도9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나사(25)보다 직경이 큰 상기 헤드(28)는 상기 홀(17)의 단턱(16)에 걸리게 되어 상기 홀(17)의 작은 관통경을 빠져나올 수 없게 되며, 상기 나사(25)의 끝은 상기 회전부(29)의 평면 중앙에 박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나사(25)에 의해 상기 스탠드바(11c)와 상기 뚜껑결합부가 이탈되지 않는 범위에서 360°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뚜껑결합부의 단턱(12)은 그 상단 끝에 위치하게 된다.
도 10은 상기의 뚜껑 거치대에 막대형 풀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 면이다.
상기 막대형 풀은 그 무게에 의해 회전하여 뚜껑 및 뚜껑결합부와 함께 아래로 향해 있게 되는데 상기 막대형 풀을 상기 거치대의 뚜껑으로부터 열고 닫는 순서를 도 11에서 상세히 도시하도록 한다.
도 11에서와 같이 뚜껑결합부에 결합된 뚜껑에 의해 막대형 풀이 닫혀있는 상태에서(a) 한 손으로 상기 막대형 풀을 잡고 아래로 내리게 되면, 상기 막대형 풀은 뚜껑과 분리되는 상태로 아래로 떨어지게 되며(b), 상기 막대형 풀과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뚜껑결합부는 그 무게로 인해 회전부(29)의 작동으로 상기 뚜껑결합부가 아래로 내려가도록 180° 회전하게 된다(c).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뚜껑결합부의 뚜껑에 상기 풀을 결합시키게 되면(d, e, f), 상기 막대형 풀의 무게에 의해 회전부(29)의 작동으로 상기 막대형 풀과 함께 상기 뚜껑결합부가 180° 회전하게 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뚜껑 거치대는 사용자가 막대형 풀을 잡은 상태에서 다른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마개 뚜껑을 개방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풀칠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뚜껑 거치대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11)

  1. 내용물의 토출구를 상하 분리식으로 개폐시키는 뚜껑과 결합되는 뚜껑결합부(14)와;
    상기 뚜껑결합부(14)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공중에 위치하도록 그 일측단이 상기 뚜껑결합부(14)의 측면과 결합되어 있으며, 그 타측단은 지면에 수직되게 세워지도록 지면과 밀착하는 받침대를 형성하고 있는 경질의 막대형 스탠드바로 구성되는 거치대에 의해, 상기 뚜껑결합부(14)와 결합되어 있는 뚜껑에 의해 토출구가 막혀있는 용기를 아래로 잡아당겨 그 뚜껑과 분리시킴과 동시에 토출구를 개방시키며, 이 상태에서 상기 뚜껑결합부(14)를 뒤집어 상기 용기를 아래로 눌러 상기 뚜껑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토출구를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뚜껑결합부(14)와 동일한 형태, 치수 및 결합방식으로 부착되어 있어, 상기 거치대가 상기 스탠드바를 중심으로 양 단이 대칭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거치대.
  3. 제 1항 및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외표면과 내표면에 각각 원형 단턱을 형성하고 있으며, 하부가 밑면으로 폐쇄된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거치대.
  4. 제 1항 및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토출구와 몸통 사이에 단턱(34)을 형성하고 있어, 상기 뚜껑의 일측단과 상기 단턱(34)이 맞닿으며, 상기 뚜껑의 내표면 단턱과 상기 토출구 끝단이 맞닿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거치대.
  5. 제 1항 및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바는 그 내부에 강철심(19)을 내재해 있으며, 그 외부를 금속재질 혹은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감싸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거치대.
  6. 제 1항 및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결합부(14)는 상하 직경이 동일한 원형띠이며, 그 내부 상단에 단턱(12, 12')과, 상기 단턱(12, 12')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는 수용부(13, 13')를 형성하고 있어, 상기 뚜껑의 외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된 단턱 이 상기 단턱(12, 12')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거치대.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바의 형상은 'C'자의 대칭형 띠 형상이며, 그 요부는 모래시계형으로 오목지게 들어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거치대.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바 형상이 상하 좌우 대칭되는 원형띠 형상이며, 그 요부는 모래시계형으로 오목지게 들어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거치대.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얇은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결합부의 직경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거치대.
  10. 제 1항 및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결합부(14)는 그 외표면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회전부에 의해, 상기 스탠드바와 회전되게 결합되어 있어, 상기 뚜껑에 결합되는 용기 혹은 뚜껑결합부가 그 무게중심에 의해 스탠드바로부터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거치대.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바의 상부는 일렬로 구성되어 있는 관경이 서로 다른 관통홀과 그 사이에 형성되는 단턱(16)으로 구성되는 홀(17)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홀(17)로 관통되게 삽입된 나사(25)가 상기 회전부의 평면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나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헤드(28)는 상기 단턱(16)에 걸리게 되어, 상기 스탠드바와 상기 뚜껑결합부가 서로 이탈되지 않는 범위에서 360°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뚜껑 거치대.
KR1020060054730A 2006-06-19 2006-06-19 뚜껑 거치대 KR100763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730A KR100763273B1 (ko) 2006-06-19 2006-06-19 뚜껑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730A KR100763273B1 (ko) 2006-06-19 2006-06-19 뚜껑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3273B1 true KR100763273B1 (ko) 2007-10-10

Family

ID=39419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730A KR100763273B1 (ko) 2006-06-19 2006-06-19 뚜껑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32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382Y1 (ko) * 2013-06-19 2013-08-20 김신욱 집게 및 슬라이드 바가 구비된 고체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617Y1 (ko) 2003-07-02 2003-12-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튜브용기 거치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617Y1 (ko) 2003-07-02 2003-12-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품 튜브용기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382Y1 (ko) * 2013-06-19 2013-08-20 김신욱 집게 및 슬라이드 바가 구비된 고체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77227S1 (en) Combined cosmetic container and cap
USD477535S1 (en) Combined cosmetic powder container and cap
US8800573B2 (en) Combined article for personal hygiene
KR100489751B1 (ko) 화장용구의 수납 기능을 갖는 화장품케이스
CA2900186C (en) Non-roll stick product containers
EP2031389A1 (en) Vial
JP2006176177A (ja) 吐出容器
KR20110002813U (ko) 슬라이드 타입의 립스틱 용기
KR101288327B1 (ko) 팝업식 드로퍼
ES2773540T3 (es) Recipiente de tiras reactivas con retención de tiras y procedimientos de fabricación y utilización del mismo
KR100763273B1 (ko) 뚜껑 거치대
KR101636268B1 (ko) 이종 내용물 저장 용기
US8870484B2 (en) Lip color and applicator case
KR100789295B1 (ko) 파우더 토출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
KR200455996Y1 (ko) 고점도 내용물의 미세 정량토출이 가능한 화장품용기
US3162304A (en) Cosmetic stick container
KR20100006751U (ko) 파우더 용기를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KR200345869Y1 (ko) 원터치 방식의 막대형 풀
US20220063878A1 (en) Non-roll stick product containers
KR200493356Y1 (ko) 스포이드형 앰플용기
KR200477973Y1 (ko) 화장품 용기
KR20090008298U (ko) 샤프뚜껑에 샤프심통이 내장된 샤프펜슬
CN102765528A (zh) 一种瓶体组件
US1869860A (en) Adjustable container for safety razors
JP3996373B2 (ja) 棒状化粧料繰出し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