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497Y1 - 직관의 흔들림을 흡수하는 흡수링 - Google Patents

직관의 흔들림을 흡수하는 흡수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497Y1
KR200344497Y1 KR20-2003-0034351U KR20030034351U KR200344497Y1 KR 200344497 Y1 KR200344497 Y1 KR 200344497Y1 KR 20030034351 U KR20030034351 U KR 20030034351U KR 200344497 Y1 KR200344497 Y1 KR 2003444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ght pipe
absorption ring
ring
shak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3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윤
Original Assignee
아시아리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시아리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시아리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343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4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4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4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직관의 흔들림을 흡수하는 흡수링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파트 베란다 또는 화장실 바닥면에서 발생된 폐수를 외부로 배수시키는 직관 하단에 흡수링을 설치한 후, 고층에 위치한 직관이 바람에 의해 흔들릴때 그 흔들림을 상기 흡수링이 흡수케 함으로써, 제품이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직관의 흔들림을 흡수하는 흡수링{Absorption ring}
본 고안은 직관의 흔들림을 흡수하는 흡수링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파트 베란다 또는 화장실 바닥면에서 발생된 폐수를 외부로 배수시키는 직관 하단에 흡수링을 설치한 후, 고층에 위치한 직관이 바람에 의해 흔들릴때 그 흔들림을 흡수케 함으로써, 제품이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직관의 흔들림을 흡수하는 흡수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베란다 또는 화장실 바닥면에는 사용하고난 폐수가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직관이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직관은 배수관에 수평 수직으로 연결되어 각층에 연결된 직관들과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수평 수직으로 연결된 직관중 수평으로 연결되는 직관은 별다른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나 고층 아파트에 수직으로 연결된 직관은 바람에 의해 약간의 흔들림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흔들림시 주철의 직관 경우 하단이 파손되거나 또는 강관의 직관 경우 휘어짐이 발생하여 제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지 못할 뿐 아니라 나아가서는 제품 수명이 단축되는 제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아파트 베란다 또는 화장실 바닥면에서 발생된 폐수를 외부로 배수시키는 직관 하단에 흡수링을 설치한 후, 고층에 위치한 직관이 바람에 의해 흔들릴때 그 흔들림을 흡수케 함으로써, 제품이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직관의 흔들림을 흡수하는 흡수링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흡수링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흡수링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수관 20 ; 흡수링
21 ; 돌기 22 ; 공간
30 ; 직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직관과 배수관 사이에 위치하고 직관이 흔들림시 그 흔들림을 흡수할 수 있도록 직관 하단에 결합되는 흡수링을 마련하되, 이 흡수링의 하단은 직관의 하중을 견딜수 있도록 측면 보다 두껍게 형성하고, 측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고 배수관 내벽과 흡수링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직관의 유동성을 확보하는 돌기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흡수링의 설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흡수링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도1과 도2에서와 같이 직관(30)과 배수관(10) 사이에 위치하고 직관이 흔들림시 그 흔들림을 흡수할 수 있도록 직관(30) 하단에 결합되는 흡수링(20)이 마련되고, 이러한 흡수링(20)은 고무 또는 연질의 P.V.C가 제작된다.
흡수링(20)의 하단은 직관(30)의 하중을 견딜수 있도록 측면 보다 두껍게 형성되면서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측면에는 돌기(21)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어 배수관(10) 내벽과 흡수링(20) 사이에 공간(22)을 형성하여 직관(10)의 유동성을 확보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여기서 흡수링(20) 측면에 형성되는 돌기(21)의 개수는 도2에서와 같이 8개소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간을 확보하여 직관이 흔들릴때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다면 많게 형성하거나 적게 형성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흡수링(20)을 형성시 측면보다 하단을 두껍게 형성하고, 측면에는 다수의 돌기(21)를 돌출 형성한 다음 직관(30) 하단에 상기한 흡수링(20)을 결합하고 배수관(10) 상단에 직관(30)을 결합하면 돌기(21)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어 배수관 내벽과 흡수링(20) 사이에 공간(22)이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고층에 위치한 직관(30)이 바람에 흔들리면흡수링(20)이 그 흔들림을 흡수함과 동시에 돌기(21)에 의해 형성된 공간(22)에 의해 약간의 유동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고층에 위치한 직관(30)이 바람에 의해 흔들거릴때 흡수링이 그 흔들림을 흡수하기 때문에 직관은 파손되거나 휘어지지 않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아파트 베란다 또는 화장실 바닥면에서 발생된 폐수를 외부로 배수시키는 직관 하단에 흡수링이 설치되어 있기때문에 고층에 위치한 직관이 바람에 흔들릴때 그 흔들림을 흡수링이 흡수하여 제품이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서는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임을 밝혀둔다.

Claims (1)

  1. 아파트 베란다 및 화장실 바닥면에서 발생된 폐수를 외부로 배수시킬수 있도록 배수관에 수직 방향으로 체결 고정되는 직관(30)에 있어서, 상기 직관(30)과 배수관(10) 사이에 위치하고 직관(30)이 흔들림시 그 흔들림을 흡수할 수 있도록 직관(30) 하단에 결합되는 흡수링(20)을 마련하되, 이 흡수링(20)의 하단은 직관(30)의 하중을 견딜수 있도록 측면 보다 두껍게 형성하고, 측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고 배수관(10) 내벽과 흡수링(20) 사이에 공간(22)을 형성하여 직관의 유동성을 확보하는 돌기(2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의 흔들림을 흡수하는 흡수링.
KR20-2003-0034351U 2003-11-03 2003-11-03 직관의 흔들림을 흡수하는 흡수링 KR2003444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351U KR200344497Y1 (ko) 2003-11-03 2003-11-03 직관의 흔들림을 흡수하는 흡수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351U KR200344497Y1 (ko) 2003-11-03 2003-11-03 직관의 흔들림을 흡수하는 흡수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497Y1 true KR200344497Y1 (ko) 2004-03-11

Family

ID=49344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351U KR200344497Y1 (ko) 2003-11-03 2003-11-03 직관의 흔들림을 흡수하는 흡수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4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742B1 (ko) * 2019-06-26 2020-09-24 박영수 파이프 접속이음 유니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742B1 (ko) * 2019-06-26 2020-09-24 박영수 파이프 접속이음 유니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44497Y1 (ko) 직관의 흔들림을 흡수하는 흡수링
JP2016180304A (ja) 設置物固定具
KR100603001B1 (ko) 벽체용 방습 패널 및 그 시공방법
JP2008267029A (ja) 通気材及びそれを用いた棟換気部材
JP2555206Y2 (ja) 排水ますの蓋取付構造
KR100487672B1 (ko) 지하철 외부 출입구 차수판
JP4229324B2 (ja) 通気蓋用キャップ装置
KR101006017B1 (ko) 배수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아파트의 베란다 배수구
JP3460056B2 (ja) 排水トラップ
JP4528102B2 (ja) 窓枠部構造
KR101212773B1 (ko) 우레탄 방수층용 탈기구
JP2011052502A (ja) 屋上用目地カバー装置
JP2018104961A (ja) 排水管カバー
KR920007353Y1 (ko) 악취 유입 방지겸용 배수 파이프 연결구
KR101192394B1 (ko) 마개를 이용한 통기관
KR0116099Y1 (ko) 배수관의 배수전
JP2006037391A (ja) ルーフドレン
KR960005416Y1 (ko) 배수관 연결구
JP2005016247A (ja) パラペット及び陸屋根構造
JP2001115614A (ja) 竪樋接続構造
JP5427091B2 (ja) 他物固定具
JP2567045Y2 (ja) 竪樋の取り付け構造
JP2006152684A (ja) 窓枠部構造
JPS61191739A (ja) 排水枡
KR200469498Y1 (ko) 눈 적설방지용 물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