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153Y1 - 리프팅수단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 - Google Patents

리프팅수단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153Y1
KR200341153Y1 KR20-2003-0034948U KR20030034948U KR200341153Y1 KR 200341153 Y1 KR200341153 Y1 KR 200341153Y1 KR 20030034948 U KR20030034948 U KR 20030034948U KR 200341153 Y1 KR200341153 Y1 KR 2003411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wire
hood tube
intake pipe
ro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9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선
Original Assignee
강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선 filed Critical 강태선
Priority to KR20-2003-00349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1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1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1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 F24C15/2085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adjustable in he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1Ventilation with exhausting ai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리프팅수단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후드관을 승하강 작동시키기 위한 리프팅수단을 개선하여 배기장치의 외관을 보다 깨끗하게 하며 사용 편리성을 높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로스터용 배기장치의 리프팅수단(70)에 의하면; 흡기관(30)의 내벽 일측에 지지축(71)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후드관(40)이 매달려 설치된 리프팅 와이어(60)가 권선되는 와이어릴(72)과, 이 와이어릴(72)의 내부에 설치되어 리프팅 와이어(60)가 감기는 방향으로 와이어릴(72)을 탄성 지지하는 태엽스프링(73)을 갖추고 있다. 이에 따라, 후드관(40)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리프팅수단(70)이 흡기관(30)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배기장치의 외관이 보다 깨끗해짐은 물론이며 제품구매력 역시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후드관(40)을 잡고 끌어내리거나 올리는 동작만으로 와이어릴(72)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러한 작용에 의해 후드관(40)의 승하강 높이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배기장치의 사용 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리프팅수단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HOOD FOR ROASTER}
본 고안은 로스터용 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프팅 와이어를 통해 후드관을 승하강 작동시키기 위한 리프팅수단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점 등에서 식탁용 로스터를 통해 고기를 구울 때 상당한 냄새와 연기가 발생되는데, 최근 음식점에는 냄새와 연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기 위한 로스터용 배기장치가 식탁 상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 로스터용 배기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정의 배기덕트(6)와 연통되게 장착되며 내부에 배기팬(2)이 내장된 덕트하우징(1)과, 이 덕트하우징(1)에 리프팅 와이어(7b)를 통해 승하강 가능하게 장착된 후드관(4)과, 상단은 덕트하우징(1)에 연결되고 하단은 후드관(4) 상부에 연결되는 주름관(5)과, 후드관(5)을 수동으로 승하강 작동시키기 위한 리프팅수단(7)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리프팅수단(7)은 덕트하우징(1)의 내부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지지축(7a)과, 일단은 후드관(4) 상부에 고정되며 타단은 지지축(7a)을 돌아 덕트하우징(1) 외부로 연장된 리프팅 와이어(7b)와, 이 리프팅 와이어(7b)의 타단에 장착된 무게추(7c)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무게추(7c)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 주름관(5)이 신장되면서 후드관(4)이 하강하여 식탁과 근접하게 위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배기팬(2)이 작동하면, 냄새와 연기는 후드관(4)과 주름관(5)을 통해 강제 흡입되면서 배기덕트(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반면에, 무게추(7c)를 내리면 주름관(5)이 줄어들면서 리프팅 와이어(7b)를 통해 연결된 후드관(4)이 승강하여 식탁과 멀어진다. 즉, 무게추(7c)를 승하강시키는 높이만큼 1:1의 승하강비로 후드관(4) 역시승하강된다.
그러나 종래 후드관(4)의 리프팅수단(7)에서는 무게추(7c)가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됨으로써, 배기장치의 외관이 깔끔하지 못하며 음식점 내부의 미관을 해치는 원인이 된다. 또한, 배기작동 시 기름이 달라붙는 리프팅 와이어(7b)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식탁 위로 기름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후드관을 승하강작동시키는 리프팅수단을 개선하여 외관을 깨끗하게 할 수 있는 리프팅수단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배기장치의 사용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리프팅수단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로스터용 배기장치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로스터용 배기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기장치의 리프팅수단을 발췌하여 보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팅수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Ⅴ - Ⅴ선에 따른 단면도로, 리프팅수단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덕트하우징 30..흡기관
40..후드관 50..주름관
60..리프팅 와이어 70..리프팅수단
71..지지축 72..와이어릴
73..태엽스프링 80..트랩부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는 배기팬이 설치되며 하부에 원통형의 흡기관이 마련된 덕트하우징과, 흡기관의 하부에 리프팅 와이어를 통해 매달려 설치되는 후드관과, 상단은 흡기관에 결합되고 하단은 후드관에 연결되어 신축되는 주름관과, 후드관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리프팅수단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에 있어서,
리프팅수단은 흡기관의 내벽 일측에 고정되는 지지축과, 이 지지축을 중심부가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에 리프팅 와이어가 권선되는 와이어릴과, 와이어릴의 내부에 설치되되 일단은 지지축에 고정되고 타단은 링형태로 감긴후 와이어릴의 내부 가장자리측에 고정되어 리프팅 와이어가 감기는 방향으로 와이어릴을 탄성 지지하는 태엽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흡기관 내부에는 리프팅 와이어가 S자 트랩형태를 이루면서 지나가도록 관통공이 가로방향으로 천공된 트랩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로스터용 배기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 천정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배기팬(20)이 설치된 덕트하우징(10)과, 이 덕트하우징(10)의 하부에 리프팅 와이어(60)를 통해 승하강 가능하게 매달려 설치되는 후드관(40)과, 이 후드관의(40) 승하강 시 신축되면서 후드관(40)과 덕트하우징(10)을 연통시키는 주름관(50)과, 리프팅 와이어(60)를 매개로 후드관(40)을 승하강 작동시키기 위한 리프팅수단(70)을 갖추고 있다.
덕트하우징(10)은 실내 천정에 마련된 배기덕트(미도시)에 연통되게 장착되는 것으로, 이의 내부에는 팬모터(21)와 배기팬(20)이 설치된다. 그리고 덕트하우징(10) 하부에는 원통형의 흡기관(30)이 마련되어 있어서, 후드관(40)과 주름관(50)을 통해 흡입되는 냄새 및 연기가 덕트하우징(10)내로 들어가며 계속하여 배기덕트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주름관(50;일명, '자바라'라 칭함)은 후드관(40)의 승하강 시 신축되면서 후드관(40)과 덕트하우징(10)을 연결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주름관(50) 상단은 제1결합링(51)을 통해 덕트하우징(10)의 흡기관(30) 하부를 감싸도록 결합되고, 주름관(50) 하단은 제2결합링(52)을 통해 후드관(40) 상단을 감싸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주름관(50)의 연결을 위해 흡기관(30)의 하부에는 주름관(50) 상단이 직접 끼워져 결합되도록 직경이 축소된 연결부(31)가 마련된다.
한편, 리프팅수단(70)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후드관(40)을 들어올리거나 내린 상태에서 외력을 제거하면 승강 또는 하강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키는 것으로,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하여 배기장치 외관을 보다 깨끗하게 하였다.
이를 위해, 리프팅수단(7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기관(30)의 내벽 일측에 고정되는 지지축(71)과, 이 지지축(7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에 리프팅 와이어(60)가 권선되는 와이어릴(72)과, 이 와이어릴(72)의 내부에 설치되어 리프팅 와이어(60)가 감기는 방향(도 5의 화살표 D 방향)으로 와이어릴(72)을 탄성 지지하는 태엽스프링(73)으로 구성된다.
지지축(71)은 흡기관(30)의 내벽에 브래킷(71a)을 통해 고정되며, 흡기관(30)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와이어릴(72)은 지지축(71)을 중심부가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태엽스프링(73)이 배치되도록 전면이 개방된 원형 몸체(72a)와, 이 원형몸체(72a)의 개방부를 덮도록 스크루 결합되며 외주에 링 형태의 권선부(72b)가 마련된 원판 덮개(72c)로 정의된다.
또한, 태엽스프링(73)은 태엽형태로 감긴 판스프링의 일종으로, 일단은 지지축(71)에 고정되며 타단은 링 형태로 수차례 감긴 후 원형 몸체(72a)의 내부 가장자리에 고정되어 있어서, 자체의 탄성 복원력으로 와이어릴(72)을 지지한다. 이때, 와이어릴(72)은 리프팅 와이어(60)가 감기는 방향(도 5의 화살표 D 방향 참조)으로 탄성 지지된다. 이러한 태엽스프링(73)의 탄성 복원력은 리프팅 와이어(60)를 통해 매달려 설치된 후드관(40) 하중을 이겨낼 수 있을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즉, 태엽스프링(73)이 자체 탄성력에 의해 풀리게 되면 리프팅 와이어(60)가 와이어릴(72)에 감기게 되며, 와이어릴(72)로부터 리프팅 와이어(60)가 풀리면 태엽스프링(73)은 감겨 탄성 복원력이 보다 강해지게 된다.
이러한 와이어릴(72)에는 별도의 스톱퍼장치가 부설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태엽스프링(73)의 탄성 복원력이 너무 강하면 후드관(40)이 항상 상승된 상태로 유지될 우려가 있으며, 반대로 태엽스프링(73)의 탄성 복원력이 너무 약하면 후드관(40)의 하중에 의해 와이어릴(72)이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후드관(4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후드관(40)의 승하강이 중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정도로 태엽스프링(73)의 탄성계수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기관(30) 저부에는 리프팅 와이어(60)가 "S"자 트랩형태를 이루면서 지나가도록 관통공(81)이 가로방향으로 천공된 트랩부재(80)가 배치된다. 이 트랩부재(80)는 와이어릴(72)의 직하부에 브래킷(82)을 매개로 배치되며, 여기에는 관통공(81)을 통해 리프팅 와이어(60)가 가로방향으로 지나가게 된다. 이에 따라 리프팅 와이어(60)는 트랩부재(80)를 관통하여 지나가면서 급작스럽게 풀리거나 감기는 현상이 방지되게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리프팅수단의 작동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로스터용 배기장치가 배기덕트와 연통되게 설치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드관(40)은 리프팅 와이어(60)를 통해 매달린 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후드관(40)은 태엽스프링(73)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후드관(40)을 잡고 내리면(도 2의 화살표 A 방향 참조) 와이어릴(72)로부터 리프팅 와이어(60)가 풀리면서 후드관(40)이 내려오는 것은 물론이며 주름관(50) 역시 늘어난다. 이로 인해, 식탁의 로스터 직상부에 후드관(40)이 근접되며, 배기팬(20)이 구동하면 로스터에서 발생되는 냄새 및 연기는 후드관(40) →주름관(50) →흡기관(30) →덕트하우징(10) →배기덕트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간다.
이 때, 와이어릴(72)에 권선된 리프팅 와이어(60)가 풀리면서 내부에 배치된 태엽스프링(73)은 탄성 복원력이 강해지는 방향(도 5의 화살표 C 방향 참조)으로 감긴다. 그러나 태엽스프링(73) 자체의 탄성 복원력만으로는 후드관(40)을 끌어당길 수 없기 때문에, 후드관(40)은 하강된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또한, 리프팅 와이어(60)는 트랩부재(80)의 관통공(81)을 지나면서 풀리기 때문에 이것이 저항으로 작용하여 급작스럽게 후드관(40)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한다.
반면에, 사용자가 후드관(40)을 잡고 들어올리면(도 2의 화살표 B 방향 참조) 와이어릴(72)에 리프팅 와이어(60)가 감기면서 주름관(50)이 줄어들며 후드관(40)이 올라간다. 즉, 식탁의 로스터로부터 후드관(40)이 멀어진다.
이 때, 감겨 있던 태엽스프링(73)은 탄성 복원력이 약해지는 방향(도 5의 화살표 D 방향)으로 풀리며, 이것에 의해 와이어릴(72)에는 리프팅 와이어(60)가 감긴다. 또한, 태엽스프링(73) 자체의 탄성 복원력으로 후드관(40)을 위치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외력이 제거되면 후드관(40)은 승강된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결국, 사용자가 후드관(40)을 잡고 끌어내리거나 들어올림에 따라 흡기관(30)내의 와이어릴(72)이 회전하면서 후드관(40)의 승하강 위치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후드관(40)의 승하강 높이를 유지시키는 리프팅수단(70)은 흡기관(30) 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배기장치의 외관이 깔끔하게 유지되며 음식점 등의 실내가 보다 깨끗하게 보인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로스터용 배기장치의 리프팅수단에 의하면, 흡기관의 내벽 일측에 지지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후드관이 매달려 설치된 리프팅 와이어가 권선되는 와이어릴과, 이 와이어릴의 내부에 설치되어 리프팅 와이어가 감기는 방향으로 와이어릴을 탄성 지지하는 태엽스프링을 갖추고 있다. 이에 따라 후드관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리프팅수단이 흡기관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배기장치의 외관이 보다 깨끗해짐은 물론이며 제품구매력 역시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후드관을 잡고 끌어내리거나 올리는 동작만으로 와이어릴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러한 작용에 의해 후드관의 승하강 높이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배기장치의 사용 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내부에는 배기팬(20)이 설치되며 하부에 원통형의 흡기관(30)이 마련된 덕트하우징(10)과, 상기 흡기관(30)의 하부에 리프팅 와이어(60)를 통해 매달려 설치되는 후드관(40)과, 상단은 상기 흡기관(30)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후드관(40)에 연결되어 신축되는 주름관(50)과, 상기 후드관(40)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리프팅수단(70)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수단(70)은,
    상기 흡기관(30)의 내벽 일측에 고정되는 지지축(71)과,
    상기 지지축(71)을 중심부가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에 상기 리프팅 와이어(60)가 권선되는 와이어릴(72)과,
    상기 와이어릴(72)의 내부에 설치되되 일단은 상기 지지축(71)에 고정되고 타단은 링형태로 감긴 후 상기 와이어릴(72)의 내부 가장자리측에 고정되어 상기 리프팅 와이어(60)가 감기는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릴(72)을 탄성 지지하는 태엽스프링(7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수단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관(30) 내부에는 상기 리프팅 와이어(60)가 S자 트랩형태를 이루면서 지나가도록 관통공(81)이 가로방향으로 천공된 트랩부재(8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수단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
KR20-2003-0034948U 2003-11-07 2003-11-07 리프팅수단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 KR2003411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948U KR200341153Y1 (ko) 2003-11-07 2003-11-07 리프팅수단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948U KR200341153Y1 (ko) 2003-11-07 2003-11-07 리프팅수단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153Y1 true KR200341153Y1 (ko) 2004-02-11

Family

ID=49424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948U KR200341153Y1 (ko) 2003-11-07 2003-11-07 리프팅수단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15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146B1 (ko) * 2006-06-19 2007-10-10 태영주식회사 주방용 승강식 레인지 후드
KR100835855B1 (ko) * 2007-02-16 2008-06-09 박진선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승강장치
KR100874481B1 (ko) * 2007-03-30 2008-12-18 박진선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승강장치
EP3842694A1 (en) * 2019-12-27 2021-06-30 Silverline Endüstri ve Ticaret A.S. Ceiling type range hood with improved hanging and installation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146B1 (ko) * 2006-06-19 2007-10-10 태영주식회사 주방용 승강식 레인지 후드
KR100835855B1 (ko) * 2007-02-16 2008-06-09 박진선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승강장치
KR100874481B1 (ko) * 2007-03-30 2008-12-18 박진선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승강장치
EP3842694A1 (en) * 2019-12-27 2021-06-30 Silverline Endüstri ve Ticaret A.S. Ceiling type range hood with improved hanging and install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2804B2 (en) Automated opening/clo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container having a hinged lid
WO2012094910A1 (zh) 电动升降式吸油烟机壳体
KR200341153Y1 (ko) 리프팅수단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
JPH08112495A (ja) 物干し装置
WO2013020326A1 (zh) 电动升降式吸油烟机外壳
KR200341158Y1 (ko) 리프팅수단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
KR200349146Y1 (ko) 리프팅수단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
JP3475811B2 (ja) 昇降物干し装置
KR20090028280A (ko)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의 승강장치
KR100908695B1 (ko) 로스터 후드
KR200293667Y1 (ko) 연기 배출용 후드의 높이 조절 장치
KR200334095Y1 (ko) 로스터용 배기장치구조
KR100904379B1 (ko)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KR101460511B1 (ko) 우산 장치
US6138288A (en) Portable toilet seat and cover lifting device
KR200208144Y1 (ko) 천장용 마이크 승강장치
KR200341168Y1 (ko) 로스터용 배기장치의 덕트하우징
CN218263153U (zh) 一种升降晾衣架
KR200320502Y1 (ko) 로스터용 배기장치
KR200391721Y1 (ko) 로스터용 배기장치구조
KR20020083997A (ko) 싱크대용 렌지후드
KR200377365Y1 (ko) 승강 및 회동이 가능한 가스렌지용 후드
KR200331821Y1 (ko) 로스터용 배기장치구조
KR200249699Y1 (ko) 주방용 기기의 승강장치
KR20090034230A (ko) 로스터 후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