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3667Y1 - 연기 배출용 후드의 높이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연기 배출용 후드의 높이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3667Y1
KR200293667Y1 KR2020020022984U KR20020022984U KR200293667Y1 KR 200293667 Y1 KR200293667 Y1 KR 200293667Y1 KR 2020020022984 U KR2020020022984 U KR 2020020022984U KR 20020022984 U KR20020022984 U KR 20020022984U KR 200293667 Y1 KR200293667 Y1 KR 2002936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moke
hood
adjusting devic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29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세연
Original Assignee
황세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세연 filed Critical 황세연
Priority to KR20200200229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36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36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3667Y1/ko

Links

Landscapes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기 배출용 후드의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축 및 신장 가능한 벨로우즈관과, 이 벨로우즈관의 하단과 체결되어 실질적으로 불판과 인접되게 위치되는 중공의 연기 흡입통과, 벨로우즈관의 상단에 체결되는 연기 배출용 덕트로 구성된 연기 배출용 후드에 있어서, 상기 연기 배출용 덕트내에 높이 조절 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설치하여 이루어진 연기 배출용 후드의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높이 조절 장치가 기존의 장치와 달리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관상 깔끔하고, 연기 흡입통을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만으로 연기흡입통이 원하는 위치에서 용이하게 고정되어 매우 편리하게 높이 조절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기 배출용 후드의 높이 조절 장치{Hight adjusting device of food for exhausting smoke}
본 고안은 연기 배출용 후드의 높이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을 익힐 때 발생하는 연기를 빨아들이는 후드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하며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연기 배출용 후드의 위치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연기 배출용 후드란, 소위 직하기라고도 명명하고 있으며, 음식점의 각 테이블에 배치된 불판의 바로 위쪽에 설치되어, 음식(갈비, 삼겹살등의 육류)등을 구울 때 발생하는 연기나 냄새를 빨아들이는 관을 말한다.
이러한 연기 배출용 후드의 구성은 첨부한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축 및 신장 가능한 벨로우즈관(bellows)(12)과, 이 벨로우즈관(12)의 하단과 체결되어 실질적으로 불판과 인접되게 위치되는 중공의 연기 흡입통(14)과, 벨로우즈관(12)의 상단에 체결되는 연기 배출용 덕트(16)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기 배출용 덕트(16)는 각 테이블마다 서로 연결되어 있는 바, 각 연기 배출덕트내에는 연기를 빨아들이는 흡입모터(18)가 설치된다.
물론, 각 연기 배출용 덕트내에 흡입모터를 개별적으로 설치되지만, 중앙 집중식인 경우에는 서로 연결된 연기 배출덕트의 최종 배출구쪽에 대용량의 흡입모터하나만이 설치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연기 배출용 후드는 음식점의 테이블 상에 위치되어, 연기 및 냄새를 빨아드리는 역할을 하는 바, 테이블과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상하 높이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기존의 연기 배출용 후드의 상하 높이 조절 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 6a,6b,6c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에 나타낸 기존의 높이 조절 장치는 연기 배출용 덕트(16)의 일측에 전동수단(100)을 별도로 설치하여, 벨로우즈관(12)의 수축 및 신장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치이다.
상기 전동수단(100)은 연기 배출용 덕트(16) 일측에 설치한 감속기(101)와, 이 감속기(101)와 연기 흡입통(14)의 상단부 사이에 연결되어 벨로우즈관(12)의 수축 및 신장을 가능하게 하는 와이어(미도시됨)와, 상기 감속기(101)를 구동시키는스위치 몸체(102)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스위치 몸체(102)는 배선(103)에 의하여 감속기로부터 밑으로 길게 늘어뜨린 상태로 위치되는 바, 사용자의 손이 닿도록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위치 몸체(102)의 온오프 스위치를 조작함에 따라, 와이어가 풀리거나 감기는 작동을 하게 되고, 그에따라 벨로우즈관(12)이 수축 또는 신장하게 되어, 결국 테이블의 불판 바로 위쪽에 있던 연기 흡입통(16)의 위치가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서 고정되어진다.
도 6b에 나타낸 기존의 다른 높이 조절 장치는 연기 배출용 덕트(16)에 홀을 형성하고, 이 홀을 통하여 강성을 갖는 와이어(104)를 연통시킨 다음, 와이어(104)의 일측단은 연기 흡입통(14)의 상단부에 고정시키고 외부로 노출된 와이어(104)의 타단에는 손잡이 형상의 추(105)를 매달은 형태이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 형태의 추(105)를 당기기나 밀면 와이어(104)가 이동을 하게 되면서 상기 연기 흡입통(14)을 위쪽으로 당기거나 아래쪽으로 밀게 되는 동작이 이루어지고, 그에따라 벨로우즈관(12)의 수축 또는 신장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의하여 연기 흡입통(12)의 상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용이하게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도 6c에 나타낸 기존의 또 다른 높이 조절 장치는 벨로우즈관(12)을 대신하여 서로 겹쳐지는 두 개의 관을 이용한 장치로서, 하나는 고정관(106)으로 다른 하나는 고정관(106)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한 이동관(107)으로 적용한 장치이다.
특히, 상기 고정관(106)의 일표면에는 하나의 고정홀(108)이 형성되고, 이동관에는 여러개의 체결홀(109)이 상하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기 배출용 덕트(16)에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핀(110)이 매달려 있게 된다.
도 6c에 나타낸 장치의 높이 조절 작동 방법은 상기 고정관(106)에 대하여 이동관(107)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면서 원하는 위치를 선택한 후, 고정관(106)의 고정홀(108)과 이동관(107)의 체결홀(109)을 일치시킨 다음, 연기 배출용 덕트(16)에 와이어로 매달린 핀(110)을 상기와 같이 일치된 고정홀(108)과 체결홀(109)을 통하여 삽입시킴에 따라 이동관(107)이 원하는 높이에서 고정되어진다.
결국, 상기 이동관(107)의 하단에 체결된 연기 흡입통(14)의 위치가 상하로조절되면서 원하는 높이로 조절되어진다.
이와 같은 기존의 연기 배출용 후드의 상하 높이 조절 장치는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갖는다.
도 6a,6b,6c에 나타낸 기존의 높이 조절 장치는 모두 조절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서 매우 거치장스럽고 미관상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특히, 도 6a에 나타낸 높이 조절 장치는 감속기 및 스위치 몸체로 이루어진 전동수단의 고장이 빈번하고, 설치비용이 비싼 단점이 있다.
또한, 도 6b에 나타낸 높이 조절 장치는 손잡이 형태의 추를 당기고 미는 동작이 불편하고, 추의 무게 중심을 맞추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도 6c에 나타낸 높이 조절 장치는 사용자가 이동관을 손으로 잡고 상하로 슬라이드시키는 동작, 고정홀과 체결홀을 서로 일치시키는 동작, 일치된 홀을통하여 핀을 삽입시키는 동작등이 필요로 하여, 위치 조절 동작이 매우 불편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위치 조절 장치가 갖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높이 조절 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관상 깔끔하고, 연기 흡입통을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만으로 연기흡입통이 원하는 위치에서 용이하게 고정되어 매우 편리하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연기 배출용 후드의 높이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수축 및 신장 가능한 벨로우즈관과, 이 벨로우즈관의 하단과 체결되어 불판과 인접되게 위치되는 중공의 연기 흡입통과, 벨로우즈관의 상단에 체결되는 연기 배출용 덕트를 포함하는 연기 배출용 후드의 높이 조절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와이어가 감겨져 있고, 일측면에는 코일스프링의 안착단이 형성된 롤러와; 상기 롤러의 안착단에 안착되어 상기 롤러 및 와이어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과; 와이어와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상기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내재되고, 하단 일측에는 와이어 인출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몸체부와; 인출되는 와이어를 잡아줄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와이어 인출부 입구에 일체로 부착된 고리쇠와;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탄성조절수단으로 구성된 위치조절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연기 배출용 덕트의 내부에 브라켓을 이용하여 설치하고, 상기 와이어의 외끝단을 상기 연기흡입통 상단에 고정시켜서 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고리쇠는 하방향으로 수직 인출되는 와이어가 걸쳐지는 부분으로서, 와이어의 수직 인출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각도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와이어의 외끝단에는 고리쇠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고리가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와이어의 걸림고리와 상기 연기흡입통의 상단간을 별도의 와이어로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몸체부 일측면에 설치된 탄성조절수단은 코일스프링의 내끝단이 삽입되도록 슬롯이 형성된 로드와, 다단의 걸림홈이 형성된 머리가 서로 일체로 형성된 축과; 상기 축의 머리에 형성된 걸림홈에 끼워져 축이 회전되지 않게 잡아주도록 상기 몸체부 일측면에 체결되는 고정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연기 배출용 후드의 높이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기 배출용 후드의 높이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조립사시도,
도 3a,3b는 본 고안에 따른 연기 배출용 후드의 높이 조절 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연기 배출용 후드의 높이 조절 장치 및 벨로우즈관에 체결되는 덕트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높이 조절 장치가 내부에 장착된 연기 배출용 후드와 덕트가 서로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a,6b,6c는 종래의 연기 배출용 후드의 높이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기 배출용 후드 12 : 벨로우즈관
14 : 연기 흡입통 16 : 연기 배출용 덕트
18 : 흡입 모터 20 : 와이어
22 : 롤러 24 : 코일스프링
26 : 안착단 28 : 몸체부
30 : 와이어 인출부 32 : 덮개
34 : 고리쇠 36 : 축
38 : 고정핀 40 : 로드
42 : 걸림홈 44 : 슬롯
46 : 걸림고리 48 : 브라켓
50 : 끈이나 와이어 52 : 필터
54 : 빠짐방지용 절개턱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연기 배출용 후드의 높이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높이 조절 장치는 연기 배출용 후드(10)의 내부에 설치하여, 기존의 장치와는 달리 외부로 높이 조절 장치가 보이지 않게 함으로써, 깔금한 미관과 용이한 높이 조절을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높이 조절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와이어(20)가 롤러(22)의 외주면에 형성된 둘레홈에 감겨지되, 와이어(20)의 내끝단이 롤러(22)의 둘레홈에 고정되어 감겨지게 되고, 상기 롤러(22)의 일측면에는 코일스프링(24)이 삽입 안착되는 안착단(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롤러(22)의 안착단(26) 일부분은 절개되어 있는 바, 이 절개된 끝단부에 상기 코일스프링(24)의 외끝단을 걸어서 고정시키는 동시에 코일스프링(24)을 안착단(26)에 삽입 안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코일스프링(24)과 와이어(20)를 포함하는 롤러(22)는 몸체부(28)의 내부에 내재되어 보호를 받게 되는 바, 상기 몸체부(28)는 일정한 두께를 갖으면서 일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서, 둘레면의 일부분은 절개되어 와이어 인출부(30)로 형성된다.
이렇게 내부에 코일스프링(24)과 와이어(20)를 포함하는 롤러(22)를 내재시킨 후, 몸체부(28)의 개방면에 대하여 덮개(32)를 체결하게 된다.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로서, 상기 몸체부(28)의 와이어 인출부(30)의 입구에는 사각고리 형상의 고리쇠(34)가 일체로 부착되는 바, 인출되는 와이어가 상기 고리쇠(34)의 안쪽으로 한 번 걸쳐지며 끼워져 마찰되며 지나게 된다.
이때, 상기 롤러(22)로부터 최초 수직으로 인출되는 와이어(20)는 상기 고리쇠(34)를 지나면서 그 수직 인출 각도가 한 번 변경되는 동시에 와이어(20)가 고리쇠(34)에 걸쳐지면서 고정되어진다.
이러한 와이어의 동작은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몸체부(28)의 개방되지 않은 일면에는 코일스프링(24)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조절수단이 설치되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탄성조절수단은 축(36)과 고정핀(38)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축(36)은 소정 길이의 로드(40)와 이 로드(40)의 일끝에 일체로 형성되는 머리로 이루어지고, 축(36)의 머리에는 다단의 걸림홈(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핀(38)은 몸체부(28)의 일면에 축(36)의 머리와 인접되게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축(36)의 머리에 형성된 걸림홈(42)에 끼워져 축(36)이 회전되지 않게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탄성조절수단의 장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축(36)의 로드(40)를 몸체부(28)와 롤러(22)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삽입시키면, 로드(40)에 형성된 슬롯(44)으로 상기 코일스프링(24)의 내측단이 끼워지게 되고, 이때 축(36)을 회전시켜 코일스프링(24)의 탄성력을 팽팽하게 또는 느슨하게 조절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코일스프링(24)의 탄성력을 원하는 수준으로 조절한 후, 상기 고정핀(38)을 축(36)의 머리에 형성된 다단의 걸림홈(42)중 하나에 끼워지게 한후, 스크류로 조여줌에 따라 고정핀(38)이 몸체부(28)에 고정된다.
이에, 상기 고정핀(38)에 의하여 축(36)이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됨에 따라, 코일스프링(24)의 탄성력은 계속 원하는 수준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20)를 잡고 당기면 와이어(20)가 롤러(22)로부터 인출되고, 그대로 놓으면 코일스프링(24)의 복원력에 의하여 롤러(22)로 빨려들어가며 감기게 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20)의 외끝단에는 고리쇠(34)에 끼워져 이탈되지 않도록고리쇠의 홀보다 더 큰 크기의 걸림고리(46)가 더 부착되어, 항상 와이어(20)의 일끝단은 걸림고리(46)와 함께 고리쇠(34)를 통과한 위치에 놓여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높이 조절 장치를 연기배출용 후드에 설치하는 상태를 첨부한 도 4 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기 배출용 후드(1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수축 및 신장 가능한 벨로우즈관(12)과, 이 벨로우즈관(12)의 하단과 체결되어 실질적으로 불판과 인접되게 위치되는 중공의 연기 흡입통(14)과, 벨로우즈관(12)의 상단에 체결되는 연기 배출용 덕트(16)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높이 조절 장치는 길다란 판형의 브라켓(48)을 이용하여 상기 연기 배출용 덕트(16)의 내부에 장착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높이 조절 장치를 장착한 후의 상태를 보면 도 3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인출부(30)는 일측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와이어(20)가 걸쳐지며 통과하는 고리쇠(34)는 와이어(20)의 최초 수직 인출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각도를 가지면서 와이어 인출부(30) 아래쪽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고리쇠(34)는 하방향으로 수직 인출되는 와이어(20)가 마찰이 되면서 한 번 걸쳐지는 부분으로서, 와이어(20)의 수직 인출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각도로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20)의 외끝단에 부착된 걸림고리(46)와 상기 연기 흡입통(14) 상단의 판에 형성된 고리간을 별도의 끈 이나 와이어(50)로 연결시킨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으로서, 상기 코일스프링(24)의 탄성력과 상기 연기흡입통(14)의 자중은 서로 균형이 맞아야 하는 바, 서로 다른 형태와 자중을 갖는 연기 흡입통(14)을 고려하여 그때마다 상기 코일스프링(24)의 탄성력을 조절해주면 된다.
이와 같이 연기 배출용 후드에 설치된 본 고안의 높이 조절 장치의 작동 상태를 첨부한 도 3a,3b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연기 흡입통(14)을 잡고 원하는 높이(테이블의 불판으로부터의 높이)까지 들어 올리거나 내리게 되면, 벨로우즈관(12)이 수축 또는 신장되면서 연기 흡입통(14)은 원하는 높이에서 고정되어진다.
즉, 상기 연기 흡입통(14)을 잡고 들어 올리면, 벨로우즈관(12)이 수축하는 동시에 와이어(20)가 고리쇠(34)를 통과하면서 코일스프링(24)의 복원력에 의하여 롤러(22)에 감겨지게 되고, 원하는 높이에서 연기 흡입통(14)을 그대로 놓게 되면, 고리쇠(34)에 걸쳐진 와이어(20)는 제자리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상기 고리쇠(34)에 의하여 와이어(20)가 고정되는 가장 큰 이유는 상기 코일스프링(24)의 탄성복원력과 연기 흡입통(14)의 자중이 서로 균형을 이루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이고, 그 연결 역할을 하는 와이어의 중간부분을 고리쇠(34)가 잡아주기 때문이다.
이에,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서 연기 흡입통(14)을 놓게 되면 와이어(20)는 고리쇠(34)에 걸쳐지면서 멈추게 되어, 와이어는 더 이상 움직이지 않게 되는 것이고, 결국 원하는 높이에서 연기 흡입통(14)이 고정되어진다.
반대로, 상기 연기 흡입통(14)을 잡고 아래로 내리게 되면, 벨로우즈관(12)이 신장하는 동시에 와이어(20)가 롤러(22)로부터 더 인출되며 고리쇠(34)를 통과하고, 원하는 높이에서 연기 흡입통(14)을 그대로 놓게 되면, 위에서 설명한 작용에 의거 원하는 높이에서 용이하게 고정되어진다.
따라서, 테이블의 불판에서 고기등을 구울 때 발생하는 연기 또는 냄새등은 흡입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연기흡입통과 벨로우즈관을 따라 흡입되어, 연기 배출용 덕트로 용이하게 빠져나가게 된다.
한편, 상기 연기 흡입통(14)의 하단 내부에 가는 철실로 따여진 철망과 같은 필터(52)를 설치하여, 불판으로부터 흡입되는 연기 또는 냄새를 한 번 여과시켜 흡입되게 함으로써, 연기 배출용 덕트의 내표면에 연기 및 냄새 찌꺼기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여, 전체적인 덕트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연기 흡입통(14)의 하단에는 상기 필터(52)을 받치면서 뚜껑(56)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바, 상기 뚜껑(56)이 밑으로 빠지지 않게 하는 수단이 상기 연기 흡입통(14)의 하단 둘레면에 형성되어진다.
즉, 상기 연기 흡입통(14)의 하단 둘레면을 따라 세곳 내지 네곳에 걸쳐 빠짐방지용 절개턱(54)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뚜껑(56)이 연기 흡입통(14)의 하단에 체결되었을 때, 빠짐방지용 절개턱이 뚜껑(56)의 내경면과 밀착되며 텐션력을 줌에 따라, 뚜껑이 밑으로 쉽게 빠지지 않게 잡아주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기 배출용 후드의 높이 조절 장치에 의하면 기존의 높이 조절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두 외부로 노출되면서 길게 늘어뜨린 수단(전동수단, 배선을 갖는 스위치 몸체, 와이어를 갖는 추등)이 갖추어져, 미관상 거치장스럽고, 높이 조절 동작이 불편하며, 전동식인 경우 고장이 빈번하고 설치비용이 고가이었지만, 이러한 단점은 하기의 장점을 갖는 본 고안의 높이 조절 장치에 의하여 모두 해소될 수 있다.
첫째, 높이 조절 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관이 깔끔하고 테이블의 조리공간을 더욱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연기 흡입통을 잡고 위 또는 아래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그대로 놓기만하면 이루어지는 편리하고 간편한 조절 동작을 제공한다.
셋째, 연기 흡입통을 잡고 위 또는 아래로 이동시키는 간편한 동작으로 높이조절이 매우 쉽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수축 및 신장 가능한 벨로우즈관(12)과, 이 벨로우즈관(12)의 하단과 체결되어 불판과 인접되게 위치되는 중공의 연기 흡입통(14)과, 벨로우즈관(12)의 상단에 체결되는 연기 배출용 덕트(16)를 포함하는 연기 배출용 후드의 높이 조절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와이어(20)가 감겨져 있고, 일측면에는 코일스프링(24)의 안착단(26)이 형성된 롤러(22)와; 상기 롤러(22)의 안착단(26)에 안착되어 상기 롤러(22) 및 와이어(2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24)과; 상기 와이어(20)와 코일스프링(24)을 포함하는 롤러(22)가 회전 가능하게 내재되고, 하단 일측에는 와이어 인출부(30)가 절개되어 형성된 몸체부(28)와; 롤러(22)로부터 인출되는 와이어(20)를 잡아줄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28)의 와이어 인출부(30) 입구에 일체로 부착된 고리쇠(34)와; 상기 코일스프링(24)의 탄성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몸체부(28)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탄성조절수단으로 구성된 위치조절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연기 배출용 덕트(16)의 내부에 브라켓(48)을 이용하여 장착하고, 상기 와이어(20)의 외끝단을 상기 연기 흡입통(14)의 상단에 연결 고정시켜서 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배출용 후드의 높이 조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쇠(34)는 하방향으로 수직 인출되는 와이어(20)가 걸쳐지는 부분으로서, 와이어(20)의 수직 인출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각도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배출용 후드의 높이 조절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20)의 외끝단에는 고리쇠(34)에 끼워져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고리(46)가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배출용 후드의 높이 조절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20)의 걸림고리(46)와 상기 연기 흡입통(14)의 상단간을 별도의 와이어(50)로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배출용 후드의 높이 조절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조절수단은 코일스프링(24)의 내끝단이 삽입되도록 슬롯(44)이 형성된 로드(40)와 다단의 걸림홈(42)이 형성된 머리가 서로 일체로 형성된 축(36)과; 상기 축(36)의 머리에 형성된 다단의 걸림홈(42)중 하나에 에 끼워져 축(36)이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잡아주도록 상기 몸체부(28) 일측면에 체결되는 고정핀(38)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 배출용 후드의 높이 조절 장치.
KR2020020022984U 2002-07-31 2002-07-31 연기 배출용 후드의 높이 조절 장치 KR2002936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984U KR200293667Y1 (ko) 2002-07-31 2002-07-31 연기 배출용 후드의 높이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2984U KR200293667Y1 (ko) 2002-07-31 2002-07-31 연기 배출용 후드의 높이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3667Y1 true KR200293667Y1 (ko) 2002-10-31

Family

ID=73078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2984U KR200293667Y1 (ko) 2002-07-31 2002-07-31 연기 배출용 후드의 높이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366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549B1 (ko) 2006-09-25 2007-03-16 박영인 연기 배출용 후드
KR101246148B1 (ko) 2011-10-13 2013-03-25 박미옥 로스터용 배기시설의 후드관 지지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20200013496A (ko) * 2018-07-30 2020-02-07 정종현 대기오염물질 포집형 후드집진장치
KR102486654B1 (ko) * 2021-12-17 2023-01-10 김용민 상하 신축조절이 가능한 레인지 후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549B1 (ko) 2006-09-25 2007-03-16 박영인 연기 배출용 후드
KR101246148B1 (ko) 2011-10-13 2013-03-25 박미옥 로스터용 배기시설의 후드관 지지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20200013496A (ko) * 2018-07-30 2020-02-07 정종현 대기오염물질 포집형 후드집진장치
KR102127414B1 (ko) * 2018-07-30 2020-07-07 정종현 대기오염물질 포집형 후드집진장치
KR102486654B1 (ko) * 2021-12-17 2023-01-10 김용민 상하 신축조절이 가능한 레인지 후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5831Y1 (ko) 로스터용 배기장치
KR100600002B1 (ko) 렌지후드의 흡입장치
KR200293667Y1 (ko) 연기 배출용 후드의 높이 조절 장치
KR20190000750U (ko) 레인지 후드
JP2019138564A (ja) 空気浄化装置
KR200483874Y1 (ko) 슬라이드 방식을 가지며 높이조절이 가능한 음식점 천장용 후드 커버 및 그 후드 커버가 구비된 후드
JP2001074289A (ja) 有煙焼き排煙装置
KR100874481B1 (ko)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승강장치
KR100908695B1 (ko) 로스터 후드
KR200353956Y1 (ko) 천정 매입형 후드 구조
KR200341153Y1 (ko) 리프팅수단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
JP3144942U (ja) 調理用排気装置
KR100695549B1 (ko) 연기 배출용 후드
KR200427547Y1 (ko) 로스터용 배기장치의 후드관 높이조절구조
KR102152770B1 (ko) 이동식 연기 포집기
KR200317599Y1 (ko) 음식점 설비용 배기 후드장치
KR200349498Y1 (ko) 기름받이를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
KR200280902Y1 (ko) 후드팬의 배기덕트 구조
KR20020083997A (ko) 싱크대용 렌지후드
KR200334095Y1 (ko) 로스터용 배기장치구조
KR200265732Y1 (ko) 음식점 설비용 배기 후드장치
KR100789114B1 (ko) 구이기용 연기 배출 유도장치
KR200377365Y1 (ko) 승강 및 회동이 가능한 가스렌지용 후드
KR200391721Y1 (ko) 로스터용 배기장치구조
KR100961269B1 (ko) 연기배출용 후드의 높이조절구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