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9146Y1 - 리프팅수단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 - Google Patents

리프팅수단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9146Y1
KR200349146Y1 KR20-2004-0003650U KR20040003650U KR200349146Y1 KR 200349146 Y1 KR200349146 Y1 KR 200349146Y1 KR 20040003650 U KR20040003650 U KR 20040003650U KR 200349146 Y1 KR200349146 Y1 KR 2003491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lifting
wire reel
support shaft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36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선
Original Assignee
강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선 filed Critical 강태선
Priority to KR20-2004-00036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91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91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91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로스터용 배기장치의 리프팅수단에 의하면; 흡기관(30)의 내벽 일측에 지지축(71)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후드관(40)이 매달려 설치된 리프팅 와이어(60)가 권선되는 와이어릴(72)과, 이 와이어릴(72)의 내부에 설치되어 리프팅 와이어(60)가 감기는 방향으로 와이어릴(72)을 탄성 지지하는 태엽스프링(73)과, 지지축(71)의 단부에서 와이어릴(72) 측면을 탄성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코일스프링(74)을 갖추고 있다.
이에 따라 후드관(40)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리프팅수단(70)이 흡기관(30)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배기장치의 외관이 보다 깨끗해짐은 물론이며 제품구매력 역시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후드관(40)을 잡고 끌어내리거나 올리는 동작만으로 와이어릴(72)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러한 작용에 의해 후드관(40)의 승하강 높이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배기장치의 사용 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와이어릴(72) 일측이 코일스프링(74)을 통해 항상 지지됨으로써, 후드관(40) 하중이 와이어릴(72)측에 걸리더라도 이것이 밀려 공회전하는 것이 방지되며 이로 인해 제품 신뢰성 역시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리프팅수단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HOOD FOR ROASTER}
본 고안은 로스터용 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프팅 와이어를 통해 후드관을 수동으로 승하강 작동시키기 위한 리프팅수단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점 등에서 식탁용 로스터를 통해 고기를 구울 때 상당한 냄새와 연기가 발생되는데, 최근 음식점에는 냄새와 연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기 위한 로스터용 배기장치가 식탁 상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 로스터용 배기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정의 배기덕트(6)와 연통되게 장착되며 내부에 배기팬(2)이 내장된 덕트하우징(1)과, 이 덕트하우징(1)에 리프팅 와이어(7b)를 통해 승하강 가능하게 장착된 후드관(4)과, 상단은 덕트하우징(1)에 연결되고 하단은 후드관(4) 상부에 연결되는 주름관(5)과, 후드관(5)을 수동으로 승하강 작동시키기 위한 리프팅수단(7)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리프팅수단(7)은 덕트하우징(1)의 내부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지지축(7a)과, 일단은 후드관(4) 상부에 고정되며 타단은 지지축(7a)을 돌아 덕트하우징(1)의 관통홀(3)을 통해 외부로 연장된 리프팅 와이어(7b)와, 이 리프팅 와이어(7b)의 타단에 장착된 무게추(7c)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무게추(7c)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 주름관(5)이 늘어나면서 후드관(4)이 하강하여 식탁과 근접하게 위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배기팬(2)이 작동하면, 냄새와 연기는 후드관(4)과 주름관(5)을 통해 강제 흡입되면서 배기덕트(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반면에, 무게추(7c)를 내리면 주름관(5)이 줄어들면서 리프팅 와이어(7b)를 통해 연결된 후드관(4)이 승강하여 식탁과 멀어진다. 즉, 무게추(7c)를 승하강시키는 높이만큼 1:1의 승하강비로 후드관(4) 역시 승하강된다.
그러나 종래 로스터용 배기장치의 리프팅수단(7)에서는 무게추(7c)가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됨으로써, 배기장치의 외관이 깔끔하지 못하며 음식점 내부의 미관을 해치는 원인이 된다. 또한, 배기작동 시 기름이 달라붙은 리프팅 와이어(7b)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식탁 위로 기름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후드관을 승하강 작동시키는 리프팅수단을 개선하여 외관을 보다 깨끗하게 할 수 있는 리프팅수단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배기장치의 사용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하며 제품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리프팅수단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로스터용 배기장치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로스터용 배기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리프팅수단의 측면 내부 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리프팅수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Ⅴ - Ⅴ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덕트하우징 30..흡기관
40..후드관 50..주름관
60..리프팅 와이어 70..리프팅수단
71..지지축 72..와이어릴
73..태엽스프링 74..탄성부재
75..브래킷 80..트랩부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는 배기팬이 설치되며 하부에 원통형의 흡기관(30)이 마련된 덕트하우징과, 이 흡기관의 하부에 리프팅 와이어를 통해 매달려 설치되는 후드관과, 상단은 흡기관에 결합되고 하단은 후드관에 연결되어 신축되는 주름관과, 후드관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리프팅수단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에 있어서,
리프팅수단은 흡기관의 내벽에 브래킷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고정되는 지지축과; 이 지지축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에 리프팅 와이어가 권선되는 와이어릴과; 와이어릴의 내부에 설치되되 일단은 지지축에 고정되고 타단은 링 형태로 감기면서 와이어릴의 내부 가장자리측에 고정되어 리프팅 와이어가 감기는 방향으로 와이어릴을 탄성 지지하는 태엽스프링과; 지지축의 단부에 배치되되 일단은 지지축에 지지되며 타단은 와이어릴의 일측에 탄성 지지되어 와이어릴의 공회전을 방지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와이어릴의 일측 중앙부에는 지지축의 단부가 여유있게 관통하여 배치되는 원통 가이드부가 일체로 마련되며; 원통 가이드부의 선단에는 코일스프링의 타단이 걸려 지지되도록 걸림턱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와이어릴은 지지축이 중심부를 관통하며 내부에는 일측이 개방되어 태엽스프링이 수용되도록 수용공간이 마련된 릴본체와; 이 릴본체의 개방부를 덮도록 결합되되 중앙부에는 원통 가이드부가 마련되고 가장자리에는 리프팅 와이어가 권선되는 통 형상의 권선부가 이루어진 릴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흡기관 내부에는 리프팅 와이어가 S자 트랩형태를 이루면서 지나가도록 관통공이 가로방향으로 천공된 트랩부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로스터용 배기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 천정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배기팬(20)이 설치된 덕트하우징(10)과, 이 덕트하우징(10)의 하부에 리프팅 와이어(60)를 통해 승하강(화살표 A 또는 B 방향 참조) 가능하게 매달려 설치되는 후드관(40)과, 이 후드관의(40) 승하강 시 신축되면서 후드관(40)과 덕트하우징(10)을 연통시키는 주름관(50)과, 리프팅 와이어(60)를 매개로 후드관(40)을 승하강 작동시키기 위한 리프팅수단(70)을 갖추고 있다.
덕트하우징(10)은 실내 천정에 마련된 배기덕트(미도시)에 연통되게 장착되는 것으로, 이의 내부에는 팬모터(21)와 배기팬(20)이 설치된다. 그리고 덕트하우징(10) 하부에는 원통형의 흡기관(30)이 마련되어 있어서, 후드관(40)과 주름관(50)을 통해 흡입되는 냄새 및 연기가 덕트하우징(10)내로 들어가며 계속하여 배기덕트(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그리고 주름관(50;일명'자바라'라고 칭함)은 후드관(40)의 승하강 시 신축되면서 후드관(40)과 덕트하우징(10)을 연결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주름관(50) 상단은 제1결합링(51)을 통해 덕트하우징(10)의 흡기관(30) 하부를 감싸도록 결합되고, 주름관(50) 하단은 제2결합링(52)을 통해 후드관(40) 상단을 감싸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주름관(50)의 연결을 위해 흡기관(30)의 하부에는 주름관(50) 상단이 직접 끼워져 결합되도록 직경이 축소된 연결부(31)가 마련된다.
한편, 리프팅수단(70)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후드관(40)을 들어올리거나 내린 상태에서 외력을 제거하면 승강 또는 하강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키는 것으로,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하여 배기장치 외관을 보다 깨끗하게 하였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이러한 리프팅수단(70)은 흡기관(30)의 내벽 일측에 고정되는 지지축(71)과, 이 지지축(7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에 리프팅 와이어(60)가 권선되는 와이어릴(72)과, 이 와이어릴(72)의 내부에 설치되어리프팅 와이어(60)가 감기는 방향(도 5의 화살표 D 방향)으로 와이어릴(72)을 탄성 지지하는 태엽스프링(73)과, 지지축(71)의 단부에 배치되어 와이어릴(72)의 공회전을 방지하는 코일스프링(74)을 갖추고 있는데, 각 구성요소들의 상세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지지축(71)은 흡기관(30) 내벽 일측에 브래킷(75)을 통해 고정되며, 흡기관(30) 중심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와이어릴(72)은 지지축(71)이 중심부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는 일측이 개방되어 태엽스프링(73)이 수용 배치되도록 수용공간(S)이 마련된 릴본체(72a)와, 이 릴본체(72a)의 개방부를 덮도록 스크루 결합되며 가장자리에는 리프팅 와이어(60)가 권선되는 통 형상의 권선부(72c)가 마련된 릴커버(72b)로 정의된다. 또한, 릴커버(72b)의 중앙부에는 지지축(71)의 단부가 여유있게 관통하여 배치되는 원통 가이드부(72d)가 일체로 이루어지며, 이의 선단에는 코일스프링(74)의 단부가 걸려 지지되도록 걸림턱(72e)이 마련된다. 이러한 원통 가이드부(72d)를 통한 코일스프링(74)의 배치구조는 뒤에서 상술한다.
한편, 태엽스프링(73)은 태엽형태로 감긴 판스프링의 일종으로, 일단은 지지축(71)에 고정되며 타단은 링 형태로 수차례 감긴 후 릴본체(72a)의 내부, 즉 수용공간(S)의 가장자리에 고정된다. 따라서 태엽스프링(73) 자체의 탄성 복원력으로 와이어릴(72)을 지지한다. 이 때, 와이어릴(72)은 리프팅 와이어(60)가 감기는 방향(도 5의 화살표 D 방향 참조)으로 탄성 지지된다. 이러한 태엽스프링(73)의 탄성 복원력은 리프팅 와이어(60)를 통해 매달려 설치된 후드관(40) 하중을 이겨낼수 있을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즉, 태엽스프링(73)이 탄성 복원력에 의해 풀리게 되면 와이어릴(72)에는 리프팅 와이어(60)가 감기게 되며, 와이어릴(72)로부터 리프팅 와이어(60)가 풀리면 태엽스프링(73)은 감겨 탄성 복원력이 보다 강해지게 된다.
이러한 와이어릴(72)에는 별도로 스톱퍼장치가 없기 때문에, 태엽스프링(73)의 탄성 복원력이 너무 강하면 후드관(40)이 항상 상승된 상태로 유지될 우려가 있으며, 반대로 태엽스프링(73)의 탄성 복원력이 너무 약하면 후드관(40) 하중에 의해 와이어릴(72)이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후드관(4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후드관(40)의 승하강이 중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정도로 태엽스프링(73)의 탄성계수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코일스프링(74)은 지지축(71)에 끼워져 설치되며, 이의 일단(74a)은 지지축(71)의 중앙부 걸림턱(71a)에 지지되며, 이의 타단(74b)은 원통 가이드부(72d)의 걸림턱(72e)에 탄성 지지된다. 이에 따라 후드관(40)을 수동으로 승강 또는 하강시킨 상태에서 외력을 제거하면, 태엽스프링(73)의 탄성 복원력 및 코일스프링(74)의 지지력에 의해 후드관(40)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즉, 와이어릴(72) 일측이 코일스프링(74)을 통해서도 지지되기 때문에, 리프팅 와이어(60)에 후드관(40) 하중이 걸리더라도 와이어릴(72)이 밀려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 때, 코일스프링(74)의 지지력은 와이어릴(72)의 탄성 복원력에 비해 작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후드관(40)을 들어 올려 와이어릴(72)에 하중이 거의 걸리지 않는 경우, 태엽스프링(73)은 코일스프링(74)의 지지력을 이기면서 탄성 복원되며 이것에 의해 리프팅 와이어(60)가 감기는 방향으로 와이어릴(72)이 회전하게 된다. 반면에 외력이 제거되어 후드관(40) 하중이 리프팅 와이어(60)에 그대로 전달되는 경우, 와이어릴(72)에는 코일스프링(74)의 지지력이 부가되어 공회전하지 않게 된다. 결국, 사용자가 강제로 후드관(40)을 잡아 내리거나 들어 올리지 않는 한 와이어릴(72)의 회전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흡기관(30) 저부에는 리프팅 와이어(60)가 "S"자 트랩형태를 이루면서 지나가도록 관통공(81)이 가로방향으로 천공된 트랩부재(80)가 배치된다. 이 트랩부재(80)는 와이어릴(72)의 직하부에 브래킷(82)을 매개로 배치되며, 여기에는 관통공(81)을 통해 리프팅 와이어(60)가 가로방향으로 지나가게 된다. 따라서 리프팅 와이어(60)는 트랩부재(80)를 관통하여 지나가면서 급작스럽게 풀리거나 감기는 현상이 방지되게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리프팅수단의 작동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로스터용 배기장치가 배기덕트와 연통되게 설치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드관(40)은 리프팅 와이어(60)를 통해 매달린 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후드관(40)은 태엽스프링(73)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후드관(40)을 잡고 내리면(도 2의 화살표 A 방향 참조) 와이어릴(72)로부터 리프팅 와이어(60)가 풀리면서 후드관(40)이 내려오는 것은 물론이며 주름관(50) 역시 늘어난다. 이로 인해, 식탁의 로스터 직상부에 후드관(40)이 근접되며, 배기팬(20)이 구동하면 로스터에서 발생되는 냄새 및 연기는 후드관(40), 주름관(50), 흡기관(30), 덕트하우징(10), 배기덕트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외부로 빠져나간다.
이 때, 와이어릴(72)에 권선된 리프팅 와이어(60)가 풀리면서 내부에 배치된 태엽스프링(73)은 탄성 복원력이 강해지는 방향(도 5의 화살표 C 방향 참조)으로 감긴다. 그러나 태엽스프링(73)의 탄성 복원력이 강해지더라도 자체의 탄성 복원력만으로는 후드관(40)을 끌어당길 수 없기 때문에, 후드관(40)은 하강된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또한, 리프팅 와이어(60)는 트랩부재(80)의 관통공(81)을 지나면서 풀리기 때문에 이것이 저항으로 작용하여 급작스럽게 후드관(40)이 하강하는 것을 방지한다.
반면에, 사용자가 후드관(40)을 잡고 들어올리면(도 2의 화살표 B 방향 참조) 와이어릴(72)에 리프팅 와이어(60)가 감기면서 주름관(50)이 줄어들며 후드관(40)이 올라간다. 즉, 식탁의 로스터로부터 후드관(40)이 멀어진다.
이 때, 감겨 있던 태엽스프링(73)은 탄성 복원력이 약해지는 방향(도 5의 화살표 D 방향)으로 풀리며, 이것에 의해 와이어릴(72)에는 리프팅 와이어(60)가 감긴다. 또한, 태엽스프링(73) 자체의 탄성 복원력으로 후드관(40)을 위치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외력이 제거되면 후드관(40)은 승강된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결국, 사용자가 후드관(40)을 잡고 끌어내리거나 들어올림에 따라 흡기관(30)내의 와이어릴(72)이 회전하면서 후드관(40)의 승하강 위치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후드관(40)의 승하강 높이를 유지시키는 리프팅수단(70)은 흡기관(30) 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배기장치의 외관이 깔끔하게 유지되며 음식점 등의 실내가 보다 깨끗하게 보인다. 또한, 와이어릴(72) 일측이 코일스프링(74)을 통해 항상 지지되기 때문에, 후드관(40) 하중이 와이어릴(72)에 걸리더라도 와이어릴(72)의 공회전이 방지된다. 따라서 인위적인 힘을 제거하면 후드관(40)의 승강 또는 하강된 위치가 그대로 유지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로스터용 배기장치의 리프팅수단에 의하면, 후드관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리프팅수단이 흡기관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배기장치의 외관이 보다 깨끗해짐은 물론이며 제품구매력 역시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후드관을 잡고 끌어내리거나 올리는 동작만으로 와이어릴이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러한 작용에 의해 후드관의 승하강 높이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배기장치의 사용 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와이어릴 일측이 코일스프링을 통해 항상 지지됨으로써, 후드관 하중이 와이어릴측에 걸리더라도 이것이 밀려 공회전하는 것이 방지되며 이로 인해 제품 신뢰성 역시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내부에는 배기팬(20)이 설치되며 하부에 원통형의 흡기관(30)이 마련된 덕트하우징(10)과, 상기 흡기관(30)의 하부에 리프팅 와이어(60)를 통해 매달려 설치되는 후드관(40)과, 상단은 상기 흡기관(30)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후드관(40)에 연결되어 신축되는 주름관(50)과, 상기 후드관(40)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리프팅수단(70)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수단(70)은;
    상기 흡기관(30)의 내벽에 브래킷(75)을 통해 수평방향으로 고정되는 지지축(71)과;
    상기 지지축(71)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에 상기 리프팅 와이어(60)가 권선되는 와이어릴(72)과;
    상기 와이어릴(72)의 내부에 설치되되 일단은 상기 지지축(71)에 고정되고 타단은 링 형태로 감기면서 상기 와이어릴(72)의 내부 가장자리측에 고정되어 상기 리프팅 와이어(60)가 감기는 방향으로 상기 와이어릴(72)을 탄성 지지하는 태엽스프링(73)과;
    상기 지지축(71)의 단부에 배치되되, 일단(74a)은 상기 지지축(71)에 지지되며 타단(74b)은 상기 와이어릴(72)의 일측에 탄성 지지되어 상기 와이어릴(72)의 공회전을 방지하는 코일스프링(7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수단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릴(72)의 일측 중앙부에는 상기 지지축(71)의 단부가 여유있게 관통하여 배치되는 원통 가이드부(72d)가 일체로 마련되며;
    상기 원통 가이드부(72d)의 선단에는 상기 코일스프링(74)의 타단(74b)이 걸려 지지되도록 걸림턱(72e)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수단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릴(72)은;
    상기 지지축(71)이 중심부를 관통하며, 내부에는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태엽스프링(73)이 수용되도록 수용공간(S)이 마련된 릴본체(72a)와;
    상기 릴본체(72a)의 개방부를 덮도록 결합되되, 중앙부에는 상기 원통 가이드부(72d)가 마련되고, 가장자리에는 상기 리프팅 와이어(60)가 권선되는 통 형상의 권선부(72c)가 이루어진 릴커버(7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수단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
  4. 제 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관(30) 내부에는 상기 리프팅 와이어(60)가 S자 트랩형태를 이루면서 지나가도록 관통공(81)이 가로방향으로 천공된 트랩부재(80)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팅수단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
KR20-2004-0003650U 2004-02-13 2004-02-13 리프팅수단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 KR2003491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3650U KR200349146Y1 (ko) 2004-02-13 2004-02-13 리프팅수단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3650U KR200349146Y1 (ko) 2004-02-13 2004-02-13 리프팅수단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9146Y1 true KR200349146Y1 (ko) 2004-04-30

Family

ID=49345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3650U KR200349146Y1 (ko) 2004-02-13 2004-02-13 리프팅수단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914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123092A (zh) 一种带安防功能的晾衣机
WO2012094910A1 (zh) 电动升降式吸油烟机壳体
JP3165335B2 (ja) 物干し装置
KR200341153Y1 (ko) 리프팅수단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
KR200349146Y1 (ko) 리프팅수단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
KR200341158Y1 (ko) 리프팅수단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
US6367757B1 (en) Hanging device
JP3475811B2 (ja) 昇降物干し装置
KR20090028280A (ko)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의 승강장치
JP3475813B2 (ja) 昇降物干し装置
KR100908695B1 (ko) 로스터 후드
CN110565342B (zh) 一种自动晾衣装置
KR200349498Y1 (ko) 기름받이를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
EP3976915A1 (en) A sliding door assembly
KR200293667Y1 (ko) 연기 배출용 후드의 높이 조절 장치
KR200208144Y1 (ko) 천장용 마이크 승강장치
KR200334095Y1 (ko) 로스터용 배기장치구조
CN218263153U (zh) 一种升降晾衣架
KR20070091090A (ko) 도어반자동 개폐장치
JP5001021B2 (ja) 幟旗掲揚装置
KR200468250Y1 (ko) 리프트 식기건조기
KR200354976Y1 (ko) 화장지 케이스
KR870003038Y1 (ko) 낚시줄 권취기능을 갖인 낚시대 하부 마개
KR200331821Y1 (ko) 로스터용 배기장치구조
CN220564918U (zh) 一种双杆晾衣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