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4379B1 -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 Google Patents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4379B1
KR100904379B1 KR1020070088630A KR20070088630A KR100904379B1 KR 100904379 B1 KR100904379 B1 KR 100904379B1 KR 1020070088630 A KR1020070088630 A KR 1020070088630A KR 20070088630 A KR20070088630 A KR 20070088630A KR 100904379 B1 KR100904379 B1 KR 100904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ster
smoke
coupled
fixing part
su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8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2930A (ko
Inventor
윤귀자
Original Assignee
윤귀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69272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0437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윤귀자 filed Critical 윤귀자
Priority to KR1020070088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4379B1/ko
Publication of KR20090022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2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4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4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스터로부터 발생한 연기(기름, 냄새를 포함)를 흡입한 후 천장에 설치된 덕트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한 흡입관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일정 직경을 갖는 둥근 구면의 형태로 오므라지는 지지면이 형성된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면 내측에 안착된 상태로 전후좌우 회전할 수 있도록 일정 직경을 갖는 둥근 구면의 형태로 벌어지는 회전면이 형성된 회전부재; 를 구성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연결부분이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부러짐을 방지함은 물론 사용 및 보수 등이 더욱 편리하도록 한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을 제공하게 된다.
석션 파이프, 공기 흡입관, 연기 배출관

Description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Suction pipe for roaster}
본 발명은 로스터로부터 발생한 연기(기름, 냄새를 포함)를 흡입한 후 천장에 설치된 덕트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한 흡입관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흡입관의 연결부분이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부러짐을 방지하면서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를 구워먹기 위한 음식점에서는 각 로스터의 상측 천장마다 하나씩의 흡입관을 설치하고, 상기 각 흡입관을 따라 덕트가 연결되어 로스터로부터 발생하는 연기를 실외로 배출시킴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와 같은 흡입관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천장의 덕트에 연결하여 고정하도록 형성된 고정부(10), 상기 고정부의 하측에 결합된 상태로 상하 작동하도록 형성된 승강부(20 및 상기 승강부의 하측에 결합되어 넓게 벌어진 구부를 통해 연기를 원활하게 흡입하도록 형성된 흡입부(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승강부(20)는 두 개의 파이프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승강부(20)의 상측이 고정부(10)의 하측에 연결 고정되기 때문에 좌우 또는 전후 유동 없이 오직 상하 승강만 이루어져 정위치에 대한 지지력이 강한 장점은 있으나, 강한 외압이 작용시 고정부(10)와 승강부(20)의 연결부분이 쉽게 부러질 뿐만 아니라, 유동성이 적어 보수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흡입관으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10)와 승강부(20) 사이에 주름관(40)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10)의 하단과 승강부(20)의 상단을 와이어(W)로 연결한 것이 제공된다. 이 경우 승강부(20)의 상측이 고정부(10)의 하측에 연결된 상태에서 주름관(40)에 의해 좌우 또는 전후 유동이 자유로우면서 동시에 상하 승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압에 의해 쉽게 부러지지 않고 간편하게 움직일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주름관 사이에 이물질이 달라붙어 청결하지 못하고 편심이 발생하여 흡입관이 로스터의 정심에 위치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작은 힘에도 주름이 쉽게 찌그러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은 종래 연기 흡입관에 대하여 두 개의 파이프 형태를 갖는 승강부가 외압에 의해 쉽게 부러지고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과, 주름관을 결합한 경우 이물질이 끼이고 편심에 의한 정위치가 어려운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하려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천장의 덕트와 연결하여 고정하도록 형성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하측에 결합된 상태로 상하 작동하도록 형성된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의 하측에 결합되어 넓게 벌어진 구부를 통해 연기를 원활하게 흡입하도록 형성된 흡입부로 이루어진 연기 흡입관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하측에 결합되도록 관 형태로 형성하되, 그 하측에는 일정 직경을 갖는 둥근 구면의 형태로 오므라지는 지지면이 형성된 지지부재; 및
상기 승강부의 상측에 결합되도록 관 형태로 형성하되, 그 상측에는 상기 지지면 내측에 안착된 상태로 전후좌우 회전할 수 있도록 일정 직경을 갖는 둥근 구면의 형태로 벌어지는 회전면이 형성된 회전부재; 를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지지면의 하단에는 그 주연을 따라 하측으로 말린 환형의 가이드립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면의 상단에는 그 주연을 따라 내측으로 말린 환형의 슬라이드립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부의 하단에는 그 끝에 응결된 기름이 항상 회전부재의 내측 에 떨어져 흘러내리도록 상기 회전부재의 직경과 같거나 작은 직경으로 돌출된 낙하유도구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에 의하면 고정부의 하측과 승강부의 상측에 각각 결합된 상태로 상호 밀착되는 둥근 곡면에 의해 전후좌우 일정각도 회전하면서 기밀을 유지하는 지지부재와 회전부재를 구성함으로써, 항상 정위치된 상태에서 외압에 의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 및 보수가 용이하며 미려감과 위생이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을 도시한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을 도시한 결합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을 도시한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이 적용된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을 도시한 작용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에 의하면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천장에 설치 고정되는 고정부(100), 상기 고정부의 하측에 결합되는 지지부재(200),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을 통해 회전하도록 형성된 회전부재(300), 상기 회전부재의 하측에 결합되는 승강부(400) 및 상기 승강부의 하측에 결합되는 흡입 부(500)로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고정부(100)는 천장에 설치 고정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일측을 통해 덕트(40)와 연결된다. 물론, 상기 고정부(100)를 덕트(40)의 저면에 직접 관통하여 설치 고정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고정부(1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일측에 상기 승강부(400)를 상하 작동시키기 위한 모터를 결합하고 상기 모터의 정역 회전을 제어하여 승강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승강부(400)를 상하 작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는 승강부(400)와 연결된 로프를 감거나 풀기 위한 풀리 등을 구성함은 당연하다.
아울러, 상기 고정부(100)의 하단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끝에 응결된 기름이 흘러내려 떨어지도록 좁아지는 형태로 돌출된 낙하유도구(120)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낙하유도구(120)의 직경(d)은 기름이 항상 회전부재(300)의 내측에 떨어지도록 후술되는 회전부재(300)의 직경(D)과 같거나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회전부재(300)가 일방향으로 최대 회전된 상태에서 항상 그 내측에 떨어져 흘러내리는 정도로 형성해도 무방하다.
상기 지지부재(200)는 상기 고정부(100)의 하측에 결합되도록 관 형태로 형성하되, 그 하측에는 일정 직경을 갖는 둥근 구면의 형태로 오므라지는 지지면(220)을 형성한다. 즉, 상기 지지면(220)은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200)를 상하로 나눌 때 그 하측에 둥근 구면의 형태로 오므라지도록 형성한 것으로써, 후술되는 회전부재(300)의 회전면(320)이 걸린 상태로 전후좌우 어느 방 향으로든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한다. 이때, 상기 지지면(220)의 하단에는 그 주연을 따라 하측으로 말린 환형의 가이드립(240)을 형성함으로써, 회전부재(300)의 외면을 긁지 않고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회전부재(300)는 상기 승강부(400)의 상측에 결합되도록 관 형태로 형성하되, 그 상측에는 상기 지지면(220) 내측에 안착된 상태로 전후좌우 회전할 수 있도록 일정 직경을 갖는 둥근 구면의 형태로 벌어지는 회전면(320)을 형성한다. 즉, 상기 회전면(320)은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부재(300)를 상하로 나눌 때 그 상측에 둥근 구면의 형태로 벌어지도록 형성한 것으로써, 상기 지지부재(200)의 지지면(220)에 걸린 상태로 전후좌우 어느 방향으로든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한다. 이때, 상기 회전면(320)의 상단에는 그 주연을 따라 내측으로 말린 환형의 슬라이드립(340)을 형성함으로써, 지지부재(200)의 내면을 긁지 않으면서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200)의 가이드립(240) 내경은 회전부재(300)의 하측 직경 보다 크게 형성한 것으로써, 그 편차에 따라 승강부(400)의 회전 각도가 결정된다.
상기 승강부(400)는 상기 회전부재(300)의 하측에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서, 두 개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승강부(400) 중 하측에 결합된 파이프는 상기 고정부(100) 내부의 풀리에 감긴 로프가 연결된 상태로 모터의 정역 회전에 따라 올라가고 내려가는 작동이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은 구성은 통상의 승강 방법이므로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상기 흡입부(500)는 상기 승강부(400)의 하측에 결합되어 넓게 벌어진 구부를 통해 연기를 원활하게 흡입하도록 형성한다. 이때, 상기 흡입부(500)의 내부에는 흡입한 연기 중에 함유된 기름이 응결되어 음식에 직접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그릴이나 갓 등의 구성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고정부(100)와 승강부(400) 사이에 상호 맞물려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지지부재(200)와 회전부재(300)의 구성을 통해 고정부(100)로부터 승강부(400)가 일정각도 회전이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재(200)와 회전부재(300) 사이의 지지면(220)과 회전면(320) 사이에는 승강부(400) 등의 하중에 의해 항상 긴밀한 접촉이 유지되므로 연기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평소에는 상기 승강부(400)와 흡입부(500)의 하중에 의해 항상 로스터의 중심에 정위치될 뿐만 아니라, 외형의 미려감과 위생이 더욱 향상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의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을 도시한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을 도시한 결합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을 도시한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이 적용된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을 도시한 작용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고정부 120: 낙하유도구
200: 지지부재 220: 지지면
240: 가이드립
300: 회전부재 320: 회전면
340: 슬라이드립
400: 승강부
500: 흡입부

Claims (3)

  1. 천장의 덕트와 연결하여 고정하도록 형성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하측에 결합된 상태로 상하 작동하도록 형성된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의 하측에 결합되어 넓게 벌어진 구부를 통해 연기를 원활하게 흡입하도록 형성된 흡입부로 이루어진 연기 흡입관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하측에 결합되도록 관 형태로 형성하되 그 하측에는 일정 직경을 갖는 둥근 구면의 형태로 오므라지는 지지면이 형성된 지지부재;
    상기 승강부의 상측에 결합되도록 관 형태로 형성하되 그 상측에는 상기 지지면 내측에 안착된 상태로 전후좌우 회전할 수 있도록 일정 직경을 갖는 둥근 구면의 형태로 벌어지는 회전면이 형성된 회전부재; 및
    상기 고정부의 하단부에 응결된 기름이 항상 상기 회전부재의 내측에 떨어져 흘러내리도록 상기 회전부재의 직경과 같거나 작은 직경으로 상기 고정부의 하단에 돌출 형성된 낙하유도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의 하단에는 그 주연을 따라 하측으로 말린 환형의 가이드립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면의 상단에는 그 주연을 따라 내측으로 말린 환형의 슬라이드립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3. 삭제
KR1020070088630A 2007-08-31 2007-08-31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KR100904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630A KR100904379B1 (ko) 2007-08-31 2007-08-31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630A KR100904379B1 (ko) 2007-08-31 2007-08-31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930A KR20090022930A (ko) 2009-03-04
KR100904379B1 true KR100904379B1 (ko) 2009-06-25

Family

ID=40692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8630A KR100904379B1 (ko) 2007-08-31 2007-08-31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43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233Y1 (ko) * 2017-07-06 2019-10-15 최석근 덕트
KR102663716B1 (ko) * 2023-07-25 2024-05-03 주식회사 비엠지코리아 가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로스트 후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4290A (ko) * 2000-10-31 2002-05-09 김영덕 렌지후드용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4290A (ko) * 2000-10-31 2002-05-09 김영덕 렌지후드용 환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2930A (ko)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27409U (ja) ロースター用排気装置
AU2011257733B2 (en) Device for blowing air by means of narrow slit nozzle assembly
US8182218B2 (en) Vent and grilles
KR100904379B1 (ko)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EP1418386B1 (en) Fume and/or steam exhausting device for kitchen hoods
KR101133703B1 (ko) 로스터용 배기후드
CN208566867U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KR100874481B1 (ko)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승강장치
KR200329846Y1 (ko) 로스터용 후드
CN109826812A (zh) 一种展翅扇
KR100908695B1 (ko) 로스터 후드
JP2008161503A (ja) 縦型電気掃除機
JP2005055126A (ja) レンジフード
US20110131757A1 (en) Vacuum cleaner nozzle
EP2592986B1 (en) A discharge valve for vacuum cleaners
KR200341153Y1 (ko) 리프팅수단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
KR200353956Y1 (ko) 천정 매입형 후드 구조
KR20090034230A (ko) 로스터 후드
KR200466258Y1 (ko) 각도변화가 용이한 암 타입 국소배기장치
CN214208230U (zh) 一种吸尘器柔性吸头及其吸尘器
KR20090028280A (ko)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의 승강장치
EP0180587A1 (en) Means for extraction installations
KR200293635Y1 (ko) 다단 배기덕트구조
KR100695549B1 (ko) 연기 배출용 후드
CN205560915U (zh) 一种可拆卸导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11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1931;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20708

Effective date: 20221227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200010538;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30215

Effective date: 20230714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300010842;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30809

Effective date: 2023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