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233Y1 - 덕트 - Google Patents

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233Y1
KR200490233Y1 KR2020170003507U KR20170003507U KR200490233Y1 KR 200490233 Y1 KR200490233 Y1 KR 200490233Y1 KR 2020170003507 U KR2020170003507 U KR 2020170003507U KR 20170003507 U KR20170003507 U KR 20170003507U KR 200490233 Y1 KR200490233 Y1 KR 2004902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pipe
nut
duct
oil
sm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5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136U (ko
Inventor
최석근
Original Assignee
최석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석근 filed Critical 최석근
Priority to KR20201700035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233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1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1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2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2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4Spillage trays or gro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 F24C15/2085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adjustable in he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2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having one or more bowls or cones diverging in the flow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덕트에 있어서, 음식물의 수분 또는 유분이 함유된 연기를 빨아들일 시, 연기 중에 함유된 유분이 함축되어 테이블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덕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는, 기름받이를 구비하되, 기름받이에 볼트가 형성되어 있고, 연기를 흡입하는 흡입관에 너트가 형성되어 있다. 즉, 기름받이와 흡입관이 볼트-너트 결합을 함으로써,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여, 기름받이가 테이블 또는 음식으로 떨어질 위험이 없도록 하며, 함축된 기름 또는 수증기를 기름받이에 모이도록 하여 음식 또는 테이블로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덕트{Duct}
본 고안은 테이블의 중앙 또는 천장에 연기를 흡입하기 위해 설치하는 덕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기 등을 구울시 발생하는 기름이 포함된 연기를 흡입, 배출하기에 적합한 덕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음식물의 수분 또는 유분을 빨아들임과 동시에, 유분을 함유한 연기가 함축되어 발생하는 기름이 테이블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덕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덕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테이블의 중앙 또는 천장에 설치되는 덕트에 관한 것이다. 덕트란, 공기나 기타 유체가 흐르는 통로 및 구조물로서, 고기 등을 구울 시 발생하는 연기를 건물 밖으로 자연배기하거나 강제 송풍 시키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음식점 등에서 많이 사용되는 테이블의 상부에 구비된 덕트는, 냄새와 연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구조로서, 이때 덕트의 입구가 직열로 연통되어, 연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음식의 기름, 수분, 유분 및 양념을 그대로 빨아들여, 음식이 조리됨에 따라 덕트의 내통에 수분과 유분을 포함한 연기가 함축되면서, 덕트의 개방부를 통해 덩어리 또는 기름이 음식에 떨어져 위생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12206호 "로스터용 배기덕트의 흡기구 구조"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의 덕트는 수분과 유분이 함축되어 개방부를 통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름받이를 구비하고 있다. 하지만, 하부의 흡기구 외통에 직접적으로 체결된 기름받이는, 기름받이가 무거워짐에 따라 자연적으로 떨어져버릴 가능성이 있으며,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부위가 수분 또는 유분으로 인해 체결에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12206호 (로스터용 배기덕트의 흡기구 구조)
본 고안은 연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덕트에 있어서, 음식물의 수분 또는 유분이 함유된 연기를 빨아들일 시, 연기 중에 함유된 유분이 함축되어 테이블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해 기름받이를 구비하는 덕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연기중의 유분이 덕트 내부에서 함축되어, 상기 덕트를 따라 하부로 떨어져, 테이블에 직접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연기를 흡입, 배출하기 위해 설치되는 덕트(1000)는, 연기를 흡입, 배출하기 위해 설치되는 덕트(1000)에 있어서, 천장에 설치되며, 하부에 흡입관외통(200)이 형성된 흡입관(100); 상기 흡입관(100) 내에 형성된 너트부(300); 상기 너트부(300)와 결합하는 볼트(400)가 형성된 기름받이(500); 및 상기 기름받이(500)의 하부에 결합되는 받침부재(600);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관(100)은, 상기 흡입관외통(200)의 하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기름받이(500)의 상측에 배치되며, 외경이 상기 기름받이(500)의 상단부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흡입관돌출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재(600)는, 상기 기름받이(500)에 수집된 기름이 음식이 조리됨에 따라 발생하는 열에 의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부재(600)의 외경은 상기 기름받이(500)의 외경보다 크되 상기 흡입관외통(200)의 하단부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연기가 상기 받침부재(600)와 흡입관외통(200)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너트부(300)는 상기 흡입관(100)의 내주면과 결합된 너트부지지대(310) 및 상기 너트부지지대(310)에 결합 형성된 너트부보강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름받이(500)는 상측이 개방된 상광하협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기름받이(500)의 상단 직경이 상기 흡입관돌출부(150)의 외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는, 기름받이를 구비하되, 기름받이에 볼트가 형성되어 있고, 연기를 흡입하는 흡입관에 너트가 형성되어, 기름받이와 흡입관이 볼트-너트 결합을 함으로써,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여, 기름받이가 떨어질 위험이 없도록 하며, 기름받이를 통해 수분 또는 유분을 함유한 연기로 인해 함축된 기름 또는 수증기가 하부로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에서 바라본 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기 및 기름의 흐름을 나타낸 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름받이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은 기름받이(500)가 형성된 덕트에 관한 것으로, 고기 등 음식이 구비된 테이블의 상단에 연기를 흡입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덕트란, 공기나 기타 유체가 흐르는 통로 및 구조물로서, 고기 등을 구울 시 발생하는 연기를 건물 밖으로 자연배기하거나 강제 송풍시키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음식점 등에서 많이 사용되는 테이블의 상부에 구비된 덕트는, 냄새와 연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게 되고, 이때 덕트의 입구가 직열로 연통되어, 연기 속에 포함되어 있는 음식의 기름, 수분, 유분 및 양념을 그대로 빨아들이게 된다. 음식이 조리됨에 따라 덕트를 통해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되고, 덕트의 내통에 수분과 유분을 포함한 연기가 함축되면서, 덕트의 개방부를 통해 덩어리 또는 기름이 하부에 구비된 음식에 떨어져 위생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기름받이(500)를 구비하여 하부의 음식으로 기름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의 전체 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는 크게 흡입관(100), 흡입관외통(200) 및 기름받이(500)로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에서 바라본 투시도이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흡입관(100)은 연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연기가 이동하는 공간으로, 파이프 형상으로 천장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입관(100)은 길이를 길게 하여, 테이블 가까이에서 직접 연기를 빨아 들일수도 있으며, 길이를 짧게 하거나 천장에 매몰시켜 상부 연기를 흡입하는 형식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흡입관(100)을 플랙시블(Flexible) 알루미늄 등과 같이 잘 구부려지고 유연성있는 재질로 제작하여, 필요에 따라 길게 또는 짧게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흡입관(100)은 내부에 연기를 좀 더 잘 빨아들이기 위해 팬(미도시)과 같은 부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흡입관외통(200)은 흡입관(1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입관외통(200)은 흡입관(100)을 통해 연기가 흡입될 시, 좀 더 흡입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흡입관(100)보다 더 넓은 직경을 가지고 구비되어 있다. 즉, 흡입관외통(200)으로 연기가 모임으로써, 흡입관(100)으로 연기가 더 효율적으로 흡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관외통(200)은, 끝단이 갓 부분의 곡률진 형상을 하고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연기를 모집하는데에 효율적인 형상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상기 흡입관(100) 내부에는 너트부(30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너트부(300)는 상기 흡입관(100) 내경과 접촉되어 견고히 결합되기 위하여 너트부지지대(31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너트부지지대(310)는 흡입관(100) 내부의 내경과 접촉함에 있어, 연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단단하게 고정될 정도의 최소한의 너비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너트부지지대(310)는 하부너트(311)가 형성된 상태로 구비된다. 상기 하부너트(311)는, 후술하는 볼트(400)와 결합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견고히 결합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를 가지고 형성된다.
상기 하부너트(311)와 볼트(400)가 결합함에 있어, 상기 너트부(300)는 상기 볼트(400)와 연결된 기름받이(500) 및 받침부재(600)의 무게를 모두 견뎌야하므로 좀 더 견고히 결합되기 위해 상부너트(321)를 더 구비하여 형성된다.
상기 상부너트(321)는 후술하는 볼트(400)와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추가적으로 더 구비된 부재로서, 상기 상부너트(321)가 형성되기 위하여 너트부보강대(32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즉, 너트부(300)는, 하부너트(311)를 포함하는 너트부지지대(310)와 상부너트(321)를 포함하는 너트부보강대(320)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너트부보강대(3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돌출된 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견고한 결합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형상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또한, 상기 너트부(300)는, 상기 너트부(300)로 인해 연기의 이동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최소한의 너비로 형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너트부(300)는 연기의 흐름을 좀 더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관통홀(미도시) 등을 더 형성하여 구비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도이며, 도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름받이(500)의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너트부(300)는 볼트(400)가 형성된 기름받이(500)와 볼트-너트 결합을 한다. 즉, 상기 너트부(300)의 상부너트(321) 및 하부너트(311)는 상기 기름받이(500)의 볼트(400)와 동시에 결합한다. 상기 기름받이(500)는 그릇의 형상을 하고 형성되어, 내부에 유체 등을 담을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실시예 2>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너트부(300)의 상부너트(321)와 하부너트(311)가 볼트(400)와 볼트-너트 결합을 함에 있어 좀 더 견고히 결합되어, 상기 기름받이(500)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추가너트부재(8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추가너트부재(800) 또한, 상기 상부너트(321) 및 하부너트(311)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추가너트부재(800)은 제작과정에서 상기 너트부보강대(32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기름받이(500)의 중앙에 형성된 볼트(400)는, 상기 기름받이(500)의 무게를 견딜 수 있을 정도로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 볼트(400)는 상기 너트부(300)의 상부너트(321)와 하부너트(311)와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필요시 볼트-너트 결합을 하여 사용한 후, 불필요시 볼트-너트 결합을 해체할 수 있다. 상기 너트부(300)와 상기 볼트(400)가 볼트-너트 결합을 함으로써, 분리될 위험 없이 좀 더 단단하게 결합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덕트(1000)의 기능을 그대로 활용하면서, 덕트(1000)에 기름받이(500)를 구비하여, 기름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기 및 기름의 흐름을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기의 흐름과 기름방울의 흐름을 자세히 알아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서 음식 조리시 발생한 연기는 흡입관외통(200)을 통해 흡입되게 된다. 흡입된 연기는 흡입관(100)을 통해 이동하게 된다. 이때 흡입된 연기에 포함된 유분 또는 수분이 흡입관(100)의 내경면에 붙은후, 기름방울의 형태로 함축되어 흡입관(100)의 내경면을 따라 흐른다. 상기 흡입관(100)의 내경면을 따라 흐르는 기름방울은, 흡입관돌출부(150)를 통해 기름받이(500)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 흡입관돌출부(150)는, 내경면을 따라 흐른 기름방울이 흡입관외통(200)을 따라 이동하여 테이블 또는 음식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너트부(300)의 너트와 기름받이(500)의 볼트(400)가 볼트-너트 결합을 함으로써, 흡입관(100)의 내경면을 따라 흐르는 기름방울은, 흡입관돌출부(150)를 따라 흘러, 상기 흡입관외통(200)으로 흐르지 않고 수직으로 떨어져 모두 상기 기름받이(500)에 떨어져 모이게 된다.
또한, 상기 기름받이(500)는 열을 포함한 기름방울이 모집되기 때문에, 열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고안은, 세척시에도 용이하다. 상기 기름받이(500)에 기름방울이 과도하게 모이게 되면, 넘쳐흐를 위험이 있다. 넘쳐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볼트-너트 결합을 해제한 후, 세척하게 되면 좀 더 세척이 용이하고 더 깨끗하게 세척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름받이(500)의 하부에는 받침부재(6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600)는 기름받이(500)에 수집된 기름방울이 상기 덕트(1000)의 하부에서 음식이 조리됨에 따라 발생하는 열을 포함하는 연기에 의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600)는 상기 기름받이(500) 하부에 부착된 상태로 형성되며,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부재(600)는 타원형태로 형성되었지만, 미관상 아름다움을 위하여 타원형상이 아닌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덕트
100 : 흡입관
150 : 흡입관돌출부
200 : 흡입관외통
300 : 너트부
310 : 너트부지지대
311 : 하부너트
320 : 너트부보강대
321 : 상부너트
400 : 볼트
500 : 기름받이
600 : 받침부재
800 : 추가너트부재

Claims (6)

  1. 연기를 흡입, 배출하기 위해 설치되는 덕트(1000)에 있어서,
    천장에 설치되며, 하부에 흡입관외통(200)이 형성된 흡입관(100);
    상기 흡입관(100) 내에 형성된 너트부(300);
    상기 너트부(300)와 결합하는 볼트(400)가 형성된 기름받이(500); 및
    상기 기름받이(500)의 하부에 결합되는 받침부재(600);
    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관(100)은, 상기 흡입관외통(200)의 하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기름받이(500)의 상측에 배치되며, 외경이 상기 기름받이(500)의 상단부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흡입관돌출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재(600)는, 상기 기름받이(500)에 수집된 기름이 음식이 조리됨에 따라 발생하는 열에 의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부재(600)의 외경은 상기 기름받이(500)의 외경보다 크되 상기 흡입관외통(200)의 하단부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연기가 상기 받침부재(600)와 흡입관외통(200)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300)는
    상기 흡입관(100)의 내주면과 결합된 너트부지지대(310) 및 상기 너트부지지대(310)에 결합 형성된 너트부보강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보강대(320)는
    상기 너트부지지대(310)의 상부에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받이(500)는 상측이 개방된 상광하협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기름받이(500)의 상단 직경이 상기 흡입관돌출부(150)의 외부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부(300)는
    추가너트부재(8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KR2020170003507U 2017-07-06 2017-07-06 덕트 KR2004902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507U KR200490233Y1 (ko) 2017-07-06 2017-07-06 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507U KR200490233Y1 (ko) 2017-07-06 2017-07-06 덕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136U KR20190000136U (ko) 2019-01-16
KR200490233Y1 true KR200490233Y1 (ko) 2019-10-15

Family

ID=65266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507U KR200490233Y1 (ko) 2017-07-06 2017-07-06 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233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3141A (ja) * 2000-06-06 2001-12-14 Tatsuro Sha 伸縮排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2206B1 (ko) 1999-10-20 2001-11-03 윤 근 양 유동변위 감지센서가 설치된 실린더 로드
KR20070000051U (ko) * 2006-12-19 2007-01-09 박진선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의 기름받이 가이드 장치
KR100904379B1 (ko) * 2007-08-31 2009-06-25 윤귀자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KR20110013628A (ko) * 2009-08-03 2011-02-10 주식회사 비엠지코리아 연기 배출관용 기름 받이 및 이를 포함하는 연기 배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3141A (ja) * 2000-06-06 2001-12-14 Tatsuro Sha 伸縮排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136U (ko) 2019-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0233Y1 (ko) 덕트
JP5577059B2 (ja) 整流板および整流板を備えたレンジフード
KR101745542B1 (ko) 연기 필터링 장치
JP7399115B2 (ja) 調理器具
KR20110075783A (ko) 배기 후드
KR20090113472A (ko) 로스터 후드 기름받이
CN206371934U (zh) 一种便于清洗的煎烤机
KR20110093492A (ko) 조리용구에 탈부착하는 휴대용 연기 흡입기
KR200312206Y1 (ko) 로스터용 배기덕트의 흡기구 구조
KR101414675B1 (ko) 기름과 연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는 구이장치의 하향식 배기 시스템
KR200326250Y1 (ko) 로스터용 배기덕트의 흡기구 구조
KR20070000050U (ko)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의 기름받이 캡
KR200426034Y1 (ko) 구이용 식탁의 연기배출구
CN109602263A (zh) 一种无油烟火锅锅具
CN214746255U (zh) 一种除味系统
JPS5931142Y2 (ja) テ−ブル焼肉器の構造
KR200314449Y1 (ko) 로스터용 배기덕트의 흡기구 구조
CN208503051U (zh) 一种用于火锅的多功能电风扇
KR20070000051U (ko)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의 기름받이 가이드 장치
KR200341089Y1 (ko) 연기배출용 후황의 차단판 상하 작동장치
KR200263210Y1 (ko) 주방용 배기장치
KR200275281Y1 (ko) 후드의 배기덕트 구조
KR200334096Y1 (ko) 육류구이용 로스터의 연기배출장치의 기름받이부
KR102408819B1 (ko) 전기구이기의 보조 보온판.
CN112378015A (zh) 一种除味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