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168Y1 - 로스터용 배기장치의 덕트하우징 - Google Patents

로스터용 배기장치의 덕트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168Y1
KR200341168Y1 KR20-2003-0035244U KR20030035244U KR200341168Y1 KR 200341168 Y1 KR200341168 Y1 KR 200341168Y1 KR 20030035244 U KR20030035244 U KR 20030035244U KR 200341168 Y1 KR200341168 Y1 KR 2003411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housing
fan
exhaust
fan moto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52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선
Original Assignee
강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선 filed Critical 강태선
Priority to KR20-2003-00352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1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1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1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 F24C15/2085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adjustable in he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1Ventilation with exhausting ai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로스터용 배기장치의 덕트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팬모터 및 배기팬이 설치되는 덕트하우징을 개선하여 팬모터의 손상을 방지하며 제품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로스터용 배기장치의 덕트하우징에 의하면; 팬모터(21)가 수용 설치되며 실내 천정부위에 직접 장착되는 모터케이스(11)와, 이 모터케이스(11)의 저부에 장착되되 내부에는 블로워 팬(20)이 수용 설치되며 측방향으로 배기구(12b)가 마련된 팬케이싱(12)과, 이 팬케이싱(12) 저부에 마련되어 주름관(30) 상단과 연결되는 통형상의 흡기 연결관(13)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블로워 팬(20)의 작동에 의해 기름냄새 및 연기 등과 같은 이물질성분이 혼입된 공기는 덕트하우징(10)을 통해 배기덕트로 빠져나가는데,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팬모터(21)와는 접촉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팬모터(21)의 고장원인이 제거되며 이것에 의해 팬모터(21)의 내구성 및 전반적인 제품 신뢰성이 높아지는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로스터용 배기장치의 덕트하우징{DUCT HOUSING OF HOOD FOR ROASTER}
본 고안은 로스터용 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팬모터 및 배기팬이 내장되어 로스터에서 발생되는 냄새 및 연기를 흡입 송풍하는 로스터용 배기장치의 덕트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탁용 로스터를 통해 고기를 구울 때 상당한 냄새와 연기가 발생되는데, 최근 음식점에는 냄새와 연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기 위한 로스터용 배기장치가 식탁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로스터용 배기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정의 배기덕트(6)와 연통되게 장착되며 내부에 팬모터(2a)와 배기팬(2b)이 내장된 덕트하우징(1)과, 이 덕트하우징(1)에 리프팅 와이어(7b)를 통해 승하강 가능하게 장착된 후드관(4)과, 상단은 덕트하우징(1)에 연결되고 하단은 후드관(4) 상부에 연결되는 주름관(5)과, 후드관(4)을 수동으로 승하강 작동시키기 위한 리프팅수단(7)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리프팅수단(7)은 덕트하우징(1)의 내부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지지축(7a)과, 일단은 후드관(4) 상부에 고정되며 타단은 지지축(7a)을 돌아 덕트하우징(1)의 관통홀(3)을 통해 외부로 연장된 리프팅 와이어(7b)와, 이 리프팅 와이어(7b)의 타단에 장착된 무게추(7c)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무게추(7c)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 주름관(5)이 신장되면서 후드관(4)이 하강하여 식탁과 근접하게 위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팬모터(2a)의구동으로 배기팬(2b)이 작동하면, 냄새와 연기는 후드관(4), 주름관(5), 덕트하우징(1)을 통해 강제 흡입되며 계속하여 배기덕트(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반면에, 무게추(7c)를 내리면 주름관(5)이 줄어들면서 리프팅 와이어(7b)를 통해 연결된 후드관(4)이 승강하여 식탁과 멀어진다.
그러나 종래 배기장치에서는 팬모터(2a)와 배기팬(2b)이 덕트하우징(1) 내부에 모두 설치되기 때문에, 팬모터(2a)가 빈번하게 고장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덕트하우징(1)에는 배기팬(2b)의 흡입 송풍력으로 기름성분이 혼입된 냄새 및 연기가 유입되는데, 이것이 팬모터(2a) 내부로도 들어가 팬모터(2a)의 고장 원인으로 작용하며, 내구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팬모터 및 배기팬이 설치되는 덕트하우징을 개선하여 팬모터의 손상을 방지하며 이로 인해 제품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로스터용 배기장치의 덕트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로스터용 배기장치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로스터용 배기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3은 도 2의 Ⅲ - Ⅲ선에 따른 단면도로, 리프팅수단을 내부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덕트하우징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 - Ⅴ선에 따른 단면도로, 덕트하우징의 내부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6은 도 4의 Ⅵ - Ⅵ선에 따른 단면도로, 팬케이싱의 내부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덕트하우징 11..모터케이스
12..팬케이싱 13..흡기 연결관
20..배기팬(블로워 팬) 21..팬모터
30..주름관 40..후드관
50..리프팅 와이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실내 천정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팬모터와 블로워 팬이 수용 설치되는 덕트하우징과; 이 덕트하우징의 하부에 리프팅 와이어를 통해 매달려 설치되는 후드관과; 상단은 덕트하우징 저부에 결합되고 하단은 후드관에 연결되어 후드관의 승하강에 따라 신축되는 주름관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에 있어서;
덕트하우징은; 팬모터가 수용 설치되되 저면 중심부에 팬모터의 회전축이 관통하도록 관통공이 천공된 모터케이스와; 이 모터케이스의 저부에 장착되되, 내부에는 블로워 팬이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면서 팬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볼류트공간과, 이 볼류트공간과 접선방향으로 연계되도록 배기구가 마련되며, 저면에는 흡입구가 천공된 팬케이싱과; 이 팬케이싱의 저부에 흡입구 주변을 감싸도록 마련되며 주름관 상단이 끼워져 연결되는 통형상의 흡기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모터케이스와 팬케이싱 및 흡기 연결관은 금속 통체로 제작되며, 상호 결합되어 덕트하우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모터케이스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실내 천정부위에 장착하기 위해 상단 개방부를 따라 스크루홀이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된 외향플랜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로스터용 배기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 천정부위에 장착되며 내부에 팬모터(21) 및 배기팬(20)이 설치된 덕트하우징(10)과, 이 덕트하우징(10)의 하부에 리프팅 와이어(50)를 통해 승하강 가능하게 매달려 설치되는 후드관(40)과, 이 후드관의(40) 승하강 시 신축되면서 후드관(40)과 덕트하우징(10)을 연통시키는 주름관(30)과, 리프팅 와이어(50)를 매개로 후드관(40)을 승하강 작동시키기 위한 리프팅수단(60)을 갖추고 있다.
주름관(30;일명'자바라'라 칭함)은 후드관(40)의 승하강 시(도 2의 화살표A, B 방향 참조) 신축되면서 후드관(40)과 덕트하우징(10)이 연결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주름관(30) 상단은 제1결합링(31)을 통해 덕트하우징(10) 하부에 감싸도록 결합되고, 주름관(30) 하단은 제2결합링(32)을 통해 후드관(40) 상단을 감싸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리프팅수단(60)은 사용자가 수동으로 후드관(40)을 들어올리거나 내린 상태에서 외력을 제거하면 승강 또는 하강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하여 배기장치 외관을 보다 깨끗하게 하였다.
이를 위해, 리프팅수단(60)은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흡기 연결관(13)의 내벽 일측에 고정되는 지지축(61)과, 이 지지축(6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에 리프팅 와이어(50)가 권선되는 와이어릴(62)과, 이 와이어릴(62)의 내부에 설치되어 리프팅 와이어(50)가 감기는 방향(도 3의 화살표 D 방향)으로 와이어릴(62)을 탄성 지지하는 태엽스프링(63)으로 구성된다.
지지축(61)은 흡기 연결관(13)의 내벽에 브래킷을 통해 고정되며, 흡기 연결관(13)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와이어릴(62)은 지지축(61)을 중심부가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에는 리프팅 와이어(50)가 권선된다. 또한, 태엽스프링(63)은 태엽형태로 감긴 판스프링의 일종으로, 일단은 지지축(61)에 고정되며 타단은 링 형태로 수차례 감긴 후 와이어릴(62)의 내부 가장자리에 고정됨으로써, 자체의 탄성 복원력으로 와이어릴(62)을 지지한다. 이 때, 와이어릴(62)은 리프팅 와이어(50)가 감기는 방향(도 3의 화살표 D 방향 참조)으로 탄성 지지된다.
이러한 태엽스프링(63)의 탄성 복원력은 리프팅 와이어(50)를 통해 매달려 설치된 후드관(40) 하중을 이겨낼 수 있을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즉, 태엽스프링(63)이 자체 탄성력에 의해 풀리면 리프팅 와이어(50)는 와이어릴(62)에 감기게 되며, 와이어릴(62)로부터 리프팅 와이어(50)가 인위적으로 풀리면 태엽스프링(63)은 감겨 탄성 복원력이 보다 강해지게 된다. 또한, 태엽스프링(63)의 탄성계수는 후드관(4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후드관(40) 승하강이 중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덕트하우징(10)은 실내 천정에 마련된 배기덕트(미도시)에 연통되게 장착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팬모터(21)가 수용 설치되고 실내 천정부위에 직접 설치되는 모터케이스(11)와, 이 모터케이스(11)의 저부에 장착되며 내부에 배기팬(20)이 수용 배치되는 팬케이싱(12)과, 이 팬케이싱(12) 저부에 마련되어 주름관(30)과 연결되는 흡기 연결관(13)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모터케이스(11)는 상부가 개방된 금속원통으로 제작되며, 실내 천정부위에 장착하기 위해 상단 개방부를 따라 외향플랜지(11c)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이 외향플랜지(11c)에는 스크루 체결을 위해 스크루홀(11d)이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되어 있다. 또한, 모터케이스(11)의 저면(11a) 중심부에는 팬모터(21)의 회전축(21a)이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공(11b)이 천공되며, 이를 통해 팬모터(21)의 회전축(21a)만이 후술하는 팬케이싱(12)의 볼류트공간(12a;volute)으로 돌출 연장되게 된다. 이러한 모터케이스(11)는 실내 천정부에 직접 장착할 수도 있고, 실내 천정부를 따라 배관 작업된 배기덕트(미도시)에 직접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4와 도 6을 참조하면, 팬케이싱(12)은 배기팬(20)이 수용되면서 모터케이스(11)의 저부에 스크루를 통해 장착되는 것으로, 이의 내부에는 팬모터(21)의 회전축(21a)에 결합되는 배기팬(20)이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볼류트공간(12a)과, 이 볼류트공간(12a)과 접선방향으로 연계되도록 배기구(12b)가 마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배기팬(20)은 소음이 적으며 배기성능이 우수한 블로워 팬(blower fan)으로 적용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블로워 팬이라 칭한다.) 볼류트공간(12a)은 블로워 팬(20)이 회전 가능하게 수용 설치되는 공간으로, 이의 내면은 배기구(12b)의 입구부위까지 블로워 팬(2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회전각에 비례하여 커지는 와선(渦線), 즉 아르키메데스의 와선(Spiral of Archmedes)으로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것은 블로워 팬(20)의 회전 시 회전반경 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배기구(12b)의 입구측으로 원활하게 안내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배기구(12b)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볼류트공간(12a)과 접선방향으로 연계되도록 이루어지며, 이의 출구측은 별도의 연결부재(미도시)를 통해 배기덕트와 연결된다. 또한, 팬케이싱(12)의 저면(12c) 중심부에는 공기 흡입을 위한 흡입구(12d)가 천공되어 있다. 이에 따라 블로워 팬(20)이 기동하게 되면, 외부 공기는 흡입구(12d)를 통해 흡입되며, 배기구(12b)를 통해 배기덕트 측으로 송풍되게 된다.
또한, 흡기 연결관(13)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흡입구(12d) 주변을 감싸도록 팬케이싱(12)의 저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흡기 연결관(13)에는 주름관(30)의 상단이 연결되어 있어서, 후드관(40), 주름관(30), 팬케이싱(12)이 순차적으로 연통되게 된다. 주름관(30) 상단과의 연결을 위해, 흡기 연결관(13)의 하부에는 직경이 축소된 연결부(13a)가 일체로 마련된다.
이러한 모터케이스(11)와 팬케이싱(12) 및 흡기 연결관(13)은 금속 통체로 별도 제작되며, 상호 결합되어 덕트하우징(10)을 이루게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배기장치의 작동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후드관(40)을 잡고 내리면(도 2의 화살표 A 방향 참조) 와이어릴(62)로부터 리프팅 와이어(50)가 풀리면서 후드관(40)이 내려오는 것은 물론이며 주름관(30) 역시 늘어난다. 이로 인해 식탁의 로스터 직상부에 후드관(40) 하단이 근접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팬모터(21)에 전원을 인가하여 블로워 팬(20)을 작동시키면, 이의 흡입 송풍력에 의해 로스터에서 발생되는 냄새 및 연기는 후드관(40), 주름관(30), 흡기 연결관(13), 흡입구(12d), 팬케이싱(12)의 볼류트공간(12a) 및 배기구(12b), 배기덕트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간다.
이 때, 블로워 팬(20)을 구동시키는 팬모터(21)는 볼류트공간(12a)과는 완전하게 구획된 모터케이스(11)내에 설치되기 때문에, 이물질이 혼입된 공기와 접하는 것이 방지되며 이것에 의해 팬모터(21)의 고장 원인이 제거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로스터용 배기장치의 덕트하우징에 의하면; 팬모터가 수용 설치되며 실내 천정부위에 직접 장착되는 모터케이스와, 이 모터케이스의 저부에 장착되되 내부에는 블로워 팬이 수용 설치되며 측방향으로 배기구가 마련된 팬케이싱과, 이 팬케이싱의 저부에 마련되어 주름관 상단과 연결되는 통형상의 흡기 연결관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따라 블로워 팬의 작동에 의해 기름냄새 및 연기 등과 같은 이물질성분이 혼입된 공기는 덕트하우징을 통해 배기덕트로 빠져나가는데,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팬모터와는 접촉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팬모터의 고장원인이 제거되며 이것에 의해 팬모터의 내구성 및 전반적인 제품 신뢰성이 높아지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3)

  1. 실내 천정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팬모터(21)와 블로워 팬(20)이 수용 설치되는 덕트하우징(10)과; 상기 덕트하우징(10)의 하부에 리프팅 와이어(50)를 통해 매달려 설치되는 후드관(40)과; 상단은 상기 덕트하우징(10) 저부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후드관(40)에 연결되어 상기 후드관(40)의 승하강에 따라 신축되는 주름관(30)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덕트하우징(10)은;
    상기 팬모터(21)가 수용 설치되되 저면(11a) 중심부에 상기 팬모터(21)의 회전축(21a)이 관통하도록 관통공(11b)이 천공된 모터케이스(11)와;
    상기 모터케이스(11)의 저부에 장착되되, 내부에는 상기 블로워 팬(20)이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면서 상기 팬모터(21)의 회전축(21a)에 결합되는 볼류트공간(12a)과, 상기 볼류트공간(12a)과 접선방향으로 연계되도록 배기구(12b)가 마련되며, 저면(12c)에는 흡입구(12d)가 천공된 팬케이싱(12)과;
    상기 팬케이싱(12)의 저부에 상기 흡입구(12d) 주변을 감싸도록 마련되며 상기 주름관(30) 상단이 끼워져 연결되는 통형상의 흡기 연결관(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용 배기장치의 덕트하우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케이스(11)와 팬케이싱(12) 및 흡기 연결관(13)은 금속 통체로 제작되며, 상호 결합되어 상기 덕트하우징(10)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용 배기장치의 덕트하우징.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케이스(11)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실내 천정부위에 장착하기 위해 상단 개방부를 따라 스크루홀(11d)이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된 외향플랜지(11c)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용 배기장치의 덕트하우징.
KR20-2003-0035244U 2003-11-11 2003-11-11 로스터용 배기장치의 덕트하우징 KR2003411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244U KR200341168Y1 (ko) 2003-11-11 2003-11-11 로스터용 배기장치의 덕트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244U KR200341168Y1 (ko) 2003-11-11 2003-11-11 로스터용 배기장치의 덕트하우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168Y1 true KR200341168Y1 (ko) 2004-02-11

Family

ID=49343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244U KR200341168Y1 (ko) 2003-11-11 2003-11-11 로스터용 배기장치의 덕트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1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567B1 (ko) * 2007-10-15 2009-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567B1 (ko) * 2007-10-15 2009-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68650A (ko) 송풍장치 및 송풍장치가 구비된 공기청정기
US11415331B2 (en) Cookware and exhaust device
JP5131093B2 (ja) 遠心式送風機
US11839344B2 (en) Sound reducing vacuum cleaner
KR102071392B1 (ko) 청소기
KR200341168Y1 (ko) 로스터용 배기장치의 덕트하우징
KR101515238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
JP4549720B2 (ja) 換気装置
KR200387754Y1 (ko) 배기장치용 시로코 팬 송풍기
CN110159558B (zh) 吸风装置及油烟机
JP4625722B2 (ja) 電動送風機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2002371996A (ja) 送風機及び送風機を有する換気扇
KR102268850B1 (ko) 360도 회전식 공기청정기
KR200341153Y1 (ko) 리프팅수단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
JP6735906B2 (ja) ダクト用換気扇
JP6634587B2 (ja) 屋上換気扇
JP7170581B2 (ja) ダクト送風装置
KR20240079850A (ko) 분리형 흡기장치
KR102071391B1 (ko) 청소기
KR102658788B1 (ko) 배기장치
JP2009236046A (ja) 電動送風機及び電気掃除機
EP4375581A2 (en) Cookware and exhaust device
KR200193964Y1 (ko) 벤틸레이터
KR200341158Y1 (ko) 리프팅수단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
KR19980071927A (ko) 풍량조절 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