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5855B1 -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승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35855B1 KR100835855B1 KR1020070016707A KR20070016707A KR100835855B1 KR 100835855 B1 KR100835855 B1 KR 100835855B1 KR 1020070016707 A KR1020070016707 A KR 1020070016707A KR 20070016707 A KR20070016707 A KR 20070016707A KR 100835855 B1 KR100835855 B1 KR 10083585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ction pipe
- wire
- upper fixed
- case body
- smok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 F24C15/2085—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adjustable in heigh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부측 승강 흡입관의 하중과 유사한 탄성력을 갖는 태엽스프링에 의해 하부측 승강 흡입관의 이동 상태가 고정 유지되도록 하는 승강구조를 통해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상하 승강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상부측 고정 흡입관의 외측에 고정나사를 통해 결합 고정되어지되 그 내부에 일정크기의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본체; 케이스 본체의 중심에 일단이 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타단은 상부측 고정 흡입관의 내측에 위치되는 회전축;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측단인 일단은 케이스 본체 내측에 고정되어지되 내측단인 타단은 케이스 본체의 내측에 삽입된 회전축의 일단에 고정되어 탄성력을 발하는 태엽스프링; 상부측 고정 흡입관의 내측에 위치된 회전축의 끝단부에 설치 고정되어지되 그 외주연 중심에는 와이어 감김홈이 형성된 와이어 풀리; 와이어 풀리에 일단이 결합되어 감긴 일정길이의 와이어; 와이어의 타단인 끝단에 결합된 일정크기의 연결고리; 하부측 승강 흡입관의 내경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연결고리에 의해 연결되는 연결바; 및 케이스 본체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타단은 상부측 고정 흡입관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지되 풀리의 하부측 중심 하부에 위치되어 와이어가 상부측 고정 흡입관의 중심에서 감김과 풀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위치 설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덕트, 연기 흡입관, 로스터, 구이판, 와이어, 태엽스프링
Description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승강장치의 설치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승강장치를 분리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승강장치를 보인 측단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승강장치의 작용을 보인 작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연기 흡입과 승강장치 110. 케이스 본체
120. 회전축 122. 베어링
130. 태엽스프링 140. 와이어 풀리
142. 와이어 감김홈 150. 와이어
160. 연결고리 170. 연결바
172. 고리공 180. 와이어 위치 설정부재
182. 와이어 관통공
본 발명은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용 구이판의 상부측으로 설치되어 구워지는 육류나 생선으로부터 발생되는 수분이나 기름을 포함한 연기와 냄새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을 사용자 임의대로 상하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나 생선 등의 고기류를 구울 때 사용하는 조리용 구이판의 상부측으로 설치되어 구워지는 육류나 생선으로부터 발생되는 수분이나 기름을 포함한 연기와 냄새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이 설치된다. 이러한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은 음식점 등의 실내 천장 부분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메인 덕트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은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부로 올려 식당 종업원들이 탁자를 닦거나 음식류를 세트시키는 작업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반면, 로스터에 육류나 생선 등의 고기류를 올려 구울 경우에는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을 하향으로 내려 구워지는 육류나 생선 등의 고기류로부터 발생되는 수분이나 기름을 포함한 연기와 냄새가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으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와 사용할 경 우에 따라 상하로 승강시킴으로써 식당의 종업원이나 손님 모두에게 탁자를 닦거나 음식류를 세트시키는 작업 및 로스터에 육류나 생선 등의 고기류를 올려 굽는 일들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와 사용할 경우에 따라 상하로 승강시키는 구조에 있어 가장 중요시되어야 하는 부분이 종원원이나 손님 등 사용자가 임으로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을 상하로 올리거나 내렸을 경우 그 상태가 유지되어야 하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와 사용할 경우에 따라 상하로 승강시키는 종래 기술에 따른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승장장치의 구조는 통상 상부측의 고정 흡입관에 대하여 상하로 승강하는 하부측의 승강 흡입관과 같은 하중의 무게추를 와이어로 연결하여 상부측의 승강 흡입관 외부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하부측의 승강 흡입관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경우 이동된 상태에서 하부측의 승강 흡입관의 멈춘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무게추 구조의 종래 기술에 따른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승장장치는 무게추와 하부측의 승강 흡입관의 하중이 동일한 것을 사용하기 때문에 무게추의 움직임에 따른 하부측의 승강 흡입관의 상하 이동이 즉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어 하부측 승강 흡입관의 멈춘 상태 유지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와 사용할 경우에 따라 상하로 승강시키는 종래 기술에 따른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승장장치의 구조는 상부 측의 고정 흡입관과 하부측의 승강 흡입관 사이에 자성체를 설치하여 자성체의 자성에 의해 하부측 승강 흡입관의 이동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품도 있으나 이러한 구조의 종래 기술에 따른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승장장치의 구조는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의 제조시 그 구조를 매우 복잡하게 하여 조립작업의 어려움으로 인한 작업능률의 저하와 제조원가가 비싸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창안된 것으로, 하부측 승강 흡입관의 하중과 유사한 탄성력을 갖는 태엽스프링에 의해 하부측 승강 흡입관의 이동 상태가 고정 유지되도록 하는 승강구조를 통해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상하 승강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승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하부측 승강 흡입관의 하중과 유사한 탄성력을 갖는 태엽스프링에 의해 하부측 승강 흡입관의 이동 상태가 고정 유지되도록 하는 승강구조를 통해 하부측 승강 흡입관의 이동시 그 이동된 상태의 유지가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하부측 승강 흡입관의 하중과 유사한 탄성력을 갖는 태엽스프링에 의해 하부측 승강 흡입관의 이동 상태가 고정 유지되도록 하는 승강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의 제조시 단순한 조립을 통한 작업능률의 향상이 있도록 함은 물론, 제조원가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승강장치는 상부측 고정 흡입관과 상부측 고정 흡입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측 승강 흡입관으로 이루어져 로스터를 통한 고기류의 구이시 발생되는 연기와 냄새를 흡입하는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구조에 있어서, 상부측 고정 흡입관의 외측에 고정나사를 통해 결합 고정되어지되 그 내부에 일정크기의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본체; 케이스 본체의 중심에 일단이 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타단은 상부측 고정 흡입관의 내측에 위치되는 회전축;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측단인 일단은 케이스 본체 내측에 고정되어지되 내측단인 타단은 케이스 본체의 내측에 삽입된 회전축의 일단에 고정되어 탄성력을 발하는 태엽스프링; 상부측 고정 흡입관의 내측에 위치된 회전축의 끝단부에 설치 고정되어지되 그 외주연 중심에는 와이어 감김홈이 형성된 와이어 풀리; 와이어 풀리에 일단이 결합되어 감긴 일정길이의 와이어; 와이어의 타단인 끝단에 결합된 일정크기의 연결고리; 하부측 승강 흡입관의 내경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연결고리에 의해 연결되는 연결바; 및 케이스 본체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타단은 상부측 고정 흡입관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지되 풀리의 하부측 중심 하부에 위치되어 와이어가 상부측 고정 흡입관의 중심에서 감김과 풀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위치 설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에서 상부측 고정 흡입관의 외주연에 대향하는 케이스 본체의 일면은 상부측 고정 흡입관의 외주연에 대 응하는 호형의 형태로 이루어짐이 보다 양호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기술 구성에서 태엽스프링의 탄성력은 하부측 승강 흡입관의 하중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 구성에서 와이어 풀리의 위치는 상부측 고정 흡입관의 내부 중심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승강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승강장치의 설치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승강장치를 분리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승강장치를 보인 측단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승강장치의 작용을 보인 작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승강장치(100)는 상부측 고정 흡입관(10)에 대하여 상부측 승강 흡입관(20)의 상하 이동시 그 이동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승강장치(100)는 크게 케이스 본체(110), 회전축(120), 태엽스프링(130), 와이어 풀리(140), 와이어(150), 연결고리(160), 연결바(170) 및 와이어 위치 설정부재(18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승강장치(100)에서 케이스 본체(110)는 그 내부에 후술하는 태엽스프링(130)을 장착하여 태엽스프링(130)의 탄성력이 발생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 케이스 본체(110)는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태엽스프링(130)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부(112)가 형성되어 상부측 고정 흡입관(10)의 외주면 일측에 고정나사(114)를 통해 고정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케이스 본체(110)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부(112)는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케이스 본체(110) 외측의 일면인 상부측 고정 흡입관(10) 외주면과 대향하는 일면은 상부측 고정 흡입관(10)의 외주연 형태에 대응하는 호형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10) 외측의 일면인 상부측 고정 흡입관(10)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일면의 형태를 상부측 고정 흡입관(10)의 외주연 형태에 대응하는 호형의 형태로 형성하는 이유는 케이스 본체(110)를 상부측 고정 흡입관(10)의 외측에 고정나사(114)를 통해 결합 고정시 상부측 고정 흡입관(10)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일면이 상부측 고정 흡입관(1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회전축(120)은 하부측 승강 흡입관(20)의 상하 승강시 작용하는 외부의 힘과 태엽스프링(130)의 탄성력을 통해 회전되어 일체로 연결된 와이어 풀리(14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이 회전축(120)은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10)의 중심에 일단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일정길이 돌출되어 상부측 고정 흡입관(10)의 내측에 위치되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10)의 중심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그 타단이 일정길이 돌출되어 상부측 고정 흡입관(10)의 내측에 위치되는 회전축(120)은 베어링(122)을 통해 케이스 본체(110)의 중심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부측 고정 흡입관(10)의 내측에 위치되는 회전축(120)의 타단인 끝단은 상부측 고정 흡입관(10)의 중심에 위치된다.
태엽스프링(130)은 그 탄성력을 통해 상하로 승강된 상태의 하부측 승강 흡입관(20)을 유지시켜 식당의 종업원이나 손님이 하부측 승강 흡입관(20)을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해 힘을 가하지 않는 한 하부측 승강 흡입관(20)의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 태엽스프링(130)은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10)의 공간부(112) 상에 둥그렇게 말린 상태로 삽입되어 외측단인 일단은 케이스 본체(110)의 내측에 고정되고, 내측단인 타단은 케이스 본체(110)의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120)의 일단에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10)의 공간부(112) 상에 삽입 설치되어 외측단인 일단은 케이스 본체(110)의 내측에 고정되고, 내측단인 타단은 케이스 본체(110)의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120)의 일단에 연결됨으로써 회전축(120)의 좌우 회전시 그 탄성력을 통해 와이어(150)를 감아 하부측 승강 흡입관(20)의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태엽스프링(130)의 탄성력은 하부측 승강 흡입관(20)의 하중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이루어진다. 즉, 태엽스프링(130)은 하부측 승강 흡입관(20)의 상하 승강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력으로 구성되어진다.
와이어 풀리(140)는 후술하는 와이어(150)가 감기고 풀리는 것으로, 이 와이어 풀리(140)는 도 2 내지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측 고정 흡입관(10)의 내측에 위치된 회전축(120)의 끝단부에 설치 고정된다. 이때, 와이어 풀리(140)의 외주연 중심에는 와이어(150)가 감기는 와이어 감김홈(142)이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와이어 풀리(140)의 위치는 상부측 고정 흡입관(10)의 내부 중심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이처럼 와이어 풀리(140)의 위치를 상부측 고정 흡입관(10)의 내부 중심에 위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은 와이어(150)가 상부측 고정 흡입관(10)과 하부측 승강 흡입관(20)의 중심에서 상하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상부측 고정 흡입관(10)에 대하여 하부측 승강 흡입관(20)의 틀어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와이어(150)는 하부측 승강 흡입관(20)과의 연결을 통해 하부측 승강 흡입관(2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 와이어(150)는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단이 와이어 풀리(140)에 고정된 상태로 일정길이 와이어 풀리(140)에 감겨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와이어(150)는 하부측 승강 흡입관(20)의 상하 승강시 태엽스프링(130)의 탄성력과 하부측 승강 흡입관(20)을 하부로 내리는 힘에 의해 와이어 풀리(140)에 감기거나 와이어 풀리(140)로부터 풀리게 된다.
연결고리(160)는 하부측 승강 흡입관(20)의 내부에 설치되는 후술하는 연결바(170)와 와이어(150)를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연결고리(160)는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50) 하단에 일정크기로 결합된다.
연결바(170)는 하부측 승강 흡입관(20)을 와이어(150)의 하단에 결합된 연결고리(160)와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연결바(170)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측 승강 흡입관(20)의 내경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측 승강 흡입관(20)의 내경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연결바(170)의 중심에는 와이어(150)의 하단에 결합된 연결고리(160)와의 결합을 위한 고리공(172)이 형성된다.
와이어 위치 설정부재(180)는 와이어(150)의 감김과 풀림이 상부측 고정 흡입관(10)의 중심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와이어(150)가 와이어 풀리(140)에 감길시 연결고리(160)의 멈춤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와이어 위치 설정부재(180)는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10)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타단은 상부측 고정 흡입관(1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10)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타단은 상부측 고정 흡입관(1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된 와이어 위치 설정부재(180)의 상부측 고정 흡입관(10)의 내부에 위치된 부분에는 와이어(150)가 관통되는 와이어 관통공(182)이 형성된다. 이때, 와이어 관통공(182)은 상부측 고정 흡입관(20)의 내부 중심에 위치되고, 그 크기는 와이어(150)의 끝단에 결합된 연결고리(160)가 통과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되어진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와이어 위치 설정부재(180)는 하부측 승강 흡입관(20)의 상하 승강시 와이어(150)의 감김과 풀림이 상부측 고정 흡입관(10)의 중심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와이어(150)의 끝단에 결합된 연결고리(160)가 통과되지 않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승강장치(100)는 케이스 본체(110), 회전축(120), 태엽스프링(130), 와이어 풀리(140), 와이어(150), 연결고리(160), 연결바(170) 및 와이어 위치 설정부재(180)의 구성을 통해 하부측 승강 흡입관(20)을 상하로 승강시 그 이동된 상태를 정확히 유지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측 승강 흡입관의 하중과 유사한 탄성력을 갖는 태엽스프링에 의해 하부측 승강 흡입관의 이동 상태가 고정 유지되도록 하는 승강구조를 통해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상하 승강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발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하부측 승강 흡입관의 하중과 유사한 탄성력을 갖는 태엽스프링에 의해 하부측 승강 흡입관의 이동 상태가 고정 유지되도록 하는 승강구조를 통해 하부측 승강 흡입관의 이동시 그 이동된 상태의 유지가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하부측 승강 흡입관의 하중과 유사한 탄성력을 갖는 태엽스프링에 의해 하부측 승강 흡입관의 이동 상태가 고정 유지되도록 하는 승강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의 제조시 단순한 조립을 통한 작업능률의 향상과 제조원가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 상부측 고정 흡입관과 상기 상부측 고정 흡입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측 승강 흡입관으로 이루어져 로스터를 통한 고기류의 구이시 발생되는 연기와 냄새를 흡입하는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구조에 있어서,일면이 상기 상부측 고정 흡입관의 외주연에 대응하는 호형의 형태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측 고정 흡입관의 외측에 고정나사를 통해 결합 고정되어지되 그 내부에 일정크기의 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본체;상기 케이스 본체의 중심에 일단이 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지되 타단은 상기 상부측 고정 흡입관의 내측에 위치되는 회전축;상기 케이스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측단인 일단은 케이스 본체 내측에 고정되어지되 내측단인 타단은 케이스 본체의 내측에 삽입된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고정되어 탄성력을 발하는 태엽스프링;상기 상부측 고정 흡입관의 내부 중심에 위치되도록 상기 회전축의 끝단부에 설치 고정되어지되 그 외주연 중심에는 와이어 감김홈이 형성된 와이어 풀리;상기 와이어 풀리에 일단이 결합되어 감긴 일정길이의 와이어;상기 와이어의 타단인 끝단에 결합된 일정크기의 연결고리;상기 하부측 승강 흡입관의 내경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연결고리에 의해 연결되는 연결바; 및상기 케이스 본체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타단은 상기 상부측 고정 흡입관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지되 상기 풀리의 하부측 중심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와이어가 상부측 고정 흡입관의 중심에서 감김과 풀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 위치 설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승강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16707A KR100835855B1 (ko) | 2007-02-16 | 2007-02-16 |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승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16707A KR100835855B1 (ko) | 2007-02-16 | 2007-02-16 |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승강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26766A KR20070026766A (ko) | 2007-03-08 |
KR100835855B1 true KR100835855B1 (ko) | 2008-06-09 |
Family
ID=38100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16707A KR100835855B1 (ko) | 2007-02-16 | 2007-02-16 |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승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35855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1153Y1 (ko) * | 2003-11-07 | 2004-02-11 | 강태선 | 리프팅수단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 |
-
2007
- 2007-02-16 KR KR1020070016707A patent/KR10083585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1153Y1 (ko) * | 2003-11-07 | 2004-02-11 | 강태선 | 리프팅수단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26766A (ko) | 2007-03-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00002B1 (ko) | 렌지후드의 흡입장치 | |
KR100835855B1 (ko) |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승강장치 | |
KR200422737Y1 (ko) | 이동이 가능한 조리용 냄새 및 연기 배출장치 | |
CN205612315U (zh) | 无烟尘自旋转烧烤装置 | |
KR100874481B1 (ko) |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승강장치 | |
CN108903624A (zh) | 一种三剑合璧多功能设备 | |
CN110584495B (zh) | 内锅组件和电饭煲 | |
KR20100114582A (ko) | 연기흡입관의 승강 조절장치 | |
KR200436327Y1 (ko) | 로스터용 배기장치 | |
CN205696527U (zh) | 一种橱柜 | |
KR101559819B1 (ko) | 연기흡입관 승강장치 | |
JP2005055126A (ja) | レンジフード | |
KR20130057060A (ko) | 와이어 끊김 방지용 연기흡입장치 | |
KR101469130B1 (ko) | 배기후드 | |
KR100904379B1 (ko) |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 |
KR200320502Y1 (ko) | 로스터용 배기장치 | |
KR200341153Y1 (ko) | 리프팅수단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 | |
KR20100052581A (ko) |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 |
CN205756874U (zh) | 一种用于固定烤缸装置 | |
KR200337400Y1 (ko) | 구이기의 연기 흡입 장치 | |
JP3071473U (ja) | 有煙焼き排煙フード | |
CN215175367U (zh) | 煲仔炉 | |
CN217792082U (zh) | 支撑脚及家具 | |
KR200341158Y1 (ko) | 리프팅수단을 갖춘 로스터용 배기장치 | |
KR200334095Y1 (ko) | 로스터용 배기장치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