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327Y1 - 로스터용 배기장치 - Google Patents

로스터용 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327Y1
KR200436327Y1 KR2020070006142U KR20070006142U KR200436327Y1 KR 200436327 Y1 KR200436327 Y1 KR 200436327Y1 KR 2020070006142 U KR2020070006142 U KR 2020070006142U KR 20070006142 U KR20070006142 U KR 20070006142U KR 200436327 Y1 KR200436327 Y1 KR 2004363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roaster
exhaust pipe
wir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61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구
Original Assignee
신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구 filed Critical 신현구
Priority to KR20200700061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3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3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3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 F24C15/2085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adjustable in h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로스터용 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로스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되는 연기나 그을음 등이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개시된 본 고안에 따른 로스터용 배기장치는, 서로 다른 직경으로 이루어져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며 로스터(1)의 상부에 배치되는 배기관(10)과; 로스터 상부와 대응되는 천정(2)에 설치되며 상기 배기관의 상단부가 연결되는 고정관(20)과; 상기 천정에 매립되며 상기 고정관과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배기관을 통해 유입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덕트(30)와; 상기 고정관의 둘레부에 분해 가능하게 고정되는 박스형 하우징(40)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배기관에 연결된 리프팅 와이어를 통해 상기 배기관을 신축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고정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리프팅 와이어가 상기 승강수단에 감기도록 방향을 유도하는 권취유도수단(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로스터, 배기관, 권취, 와이어

Description

로스터용 배기장치{AN AIR EXHAUSTER FOR ROASTER}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의한 로스터용 배기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의한 로스터용 배기장치에 적용된 권취수단과 권취유도수단의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의한 로스터용 배기장치에 적용된 하우징의 다른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의한 로스터용 배기장치에 적용된 권취수단의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의한 로스터용 배기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의한 로스터용 배기장치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배기관, 20 : 고정관
30 : 배출덕트, 40 : 하우징
41 : 본체, 42 : 커버
50 : 권취수단, 60 : 권취유도수단
본 고안은 로스터용 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배기관을 승강할 수 있으며 연기나 그을음 등이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한 로스터용 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 등에는 고기나 생선을 구울 때 발생하는 연기나 냄새 등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배기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일반 식당등에서 사용되는 배기장치로는 벽면 환풍기로서, 벽면을 뚫어 그곳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풍기를 설치하여 환풍기의 구동으로 오염된 실내공기를 지속적으로 바깥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벽면 환풍기는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배출되는 연기나 냄세를 완전히 외부로 배기시키는데 한계가 있어 이물질을 포함한 연기가 실내 대기중에 잔류하여 공기를 탁하게 하고 실내 벽면에 늘러붙어 실내 미관을 헤치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나 냄새를 국소적으로 배출하여 실내 대기중에 이물질을 포함한 연기나 냄세가 잔류하지 못하도록 한 로스터용 배기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이와 같은 로스터용 배기장치로는 등록실용 0329846호와 등록실용 0391741호를 비롯하여 수많은 공지된 문서들을 통해 다양한 구성들이 제안된 바 있으나, 그 전체적인 구성은, 식탁상에 놓인 로스터 상방에 높이가 조절되는 후드관을 인접배
치하고, 상기 후드관은 휀을 내설하며 천정에 고정되는 후드 본체에 연결하여, 후드 본체내의 휀 송풍력으로서 발생되는 연기나 냄세를 국소적으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기시킬 수 있게끔 한 것으로 대동소이하게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미사용시에는 간섭되지 않도록 로스터에서 떨어져 있으며, 사용시 로스터측으로 근접시켜 실내 공기를 빠른 시간 내에 배출함으로써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한 로스터용 배기장치로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유지결정된 실용신안등록 제405831호 로스터용 배기장치가 있다.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로스터용 배기장치는, 다수의 관이 절첩가능하게 다단으로 결합되고, 최하단에 위치한 관의 하부끝단에는 고기를 구울 때 발생하는 냄세 또는 연기의 용이한 포집을 위해 외확장 단면을 갖는 후드가 연결되며, 각 관의 이음부위에는 패킹이 개입되어 유격 및 이물질의 누출이 방지되는 후드관; 상기 후드관 중 최상측 관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후드관이 완전히 수축됐을 때 수축된 후드관이 완전히 삽입될 수 있게끔 후드관에 대응되는 수직방향 길이를 갖으며 그 내부가 공간부으로 이루어지고, 그 측부에는 휀을 구비한 배기관이 연통되게 설치되며, 그 상부 끝단에는 브라켓이 설치되어 이를 통해 천정에 고정되는 후드 본체; 상기 후드 본체의 브라켓 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리프팅 와이어가 권취되는 권취릴과 이 권취릴을 구동하는 모터로 이루어지되, 상기 귄취릴에 권취되는 리프팅 와이어의 타측 끝단은 상기 후드관 중 후드가 연결되는 최하단 관 상측에 연결되어, 권취릴의 회전으로 상기 후드관을 신장 또는 수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로스터용 배기장치에 의하면, 와이어가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권취드럼에 감기거나 풀리는 것으로,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에 의해 승강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리모트 컨트롤러, 구동모터 등의 비싼 자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비싸지고 전력의 소비에 따른 유지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로스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배기관이 청소 등의 작업시 간섭되지 않도록 로스터에서 먼 천정측으로 이동하고, 사용시에는 로스터측으로 근접시켜 연기, 그을음 등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며, 이때, 배기관 내부에 저항을 최소화하여 배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후드관을 이동(승강)하는 작업이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설치 및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로스터용 배기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로스터용 배기장치는, 로스터의 상부에 배치되며 신축 가능한 배기관과; 로스터 상부와 대응되는 천정에 설치되며 상기 배기관의 상단부가 연결되는 고정관과; 상기 천정에 매립되며 상기 고정관과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배기관을 통해 유입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 는 배출덕트와; 상기 고정관의 둘레부에 분해 가능하게 고정되는 박스형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배기관에 연결된 리프팅 와이어를 통해 상기 배기관을 신축시키는 승강수단과; 상기 고정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리프팅 와이어가 상기 승강수단에 감기도록 방향을 유도하는 권취유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실시예 1>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로스터용 배기장치는, 신축 가능하며 하단의 흡입구가 로스터(1)의 상부에 배치되는 배기관(10)과, 로스터(1) 상부와 대응되는 천정(2)에 설치되며 배기관(10)의 상단부가 고정되는 고정관(20)과, 천정(2) 내부에 매립되며 고정관(20)과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배기관(10)을 통해 유입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덕트(30)와, 고정관(20)의 둘레부에 형성(고정관(20) 내부 유로를 간섭하지 않도록 고정관(20)의 외부로 돌출됨)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박스형 하우징(40)과, 하우징(40) 내부에 장착되며 후술하는 리프팅 와이어(51)를 통해 배기관(10)을 신축시키는 승강수단(50)과, 고정관(20) 내부에 배치되어 리프팅 와이어(51)가 고정관(20)의 내부에서 하우징(40) 내부의 승강수단(50)으로 방향을 선회하도록 유도하는 권선유도수단(60)을 포함하 여 구성되며, 이하,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배기관(10)은 상단부가 고정관(20)에 플랜지 결합되고 하단의 흡입구(10a)가 로스터(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는 길이로 이루어지며 신축을 통해 로스터(1)의 사용시에는 흡입구(10a)가 로스터(10) 상부에 배치되고 로스터(1)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청소 등을 고려하여 로스터(1) 상부에서 먼 천정(2)에 근접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서로 직경이 다른 다수의 단위 관(11 내지 16)(도면에는 6개로 도시됨)으로 형성되거나 주름관일 수 있다. 다수의 단위 관(11 내지 16)으로 구성된 경우 각각의 단위 관(11 내지 16)은 최하단 단위 관(16)부터 차례로 그 상부의 단위 관(15)에 삽입되면서 상승하도록 구성되며, 이 구성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로스터용 배기장치에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고정관(20)은 천정(2)의 저부에 고정되며 승강수단(50)의 설치를 위한 베이스 구조물이며,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리프팅 와이어(51)가 관통되는 통공(21)이 형성되고 통공(21)에는 리프팅 와이어(51)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한 고무재질의 가이드(22)가 끼워진다.
배출덕트(30)는 천정(2) 내부에 매립되며 일단부가 고정관(2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외부와 연통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배출덕트(30)의 도중에는 로스터(1)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 등을 강제로 배출하기 위한 팬이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40)은 고정관(20)의 둘레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승강수단(50)이 장착된다. 즉, 승강수단(50)이 연기의 배출 유로인 고정관(20) 내부에 장착되지 않기 때문에 연기의 배출시 간섭이 방지되고 연기에 의한 승강수단(50)의 훼손을 막을 수 있다. 하우징(40)은 승강수단(50)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고정관(20)에 볼트 등을 통해 분해 가능하게 조립된다.
다르게는,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하우징(40)은 고정관(20)에 고정(용접 또는 볼트)되며 상부를 향해 개방된 본체(41), 본체(41)의 상측 개방부를 밀폐하는 커버(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41)의 양측벽에는 승강수단(50)의 고정축(52)이 안착 고정되는 안착홈(41a)이 형성되고, 커버(42)는 본체(41)와 상하 대칭 형상으로 하단 둘레부가 본체(41)에 볼트(43)로 고정될 수 있다. 더하여, 커버(42)의 하단부에는 본체(41)의 벽에 내접하는 삽입돌부(44)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승강수단(50)의 유지보수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커버(42)를 분해하여 본체(41)를 개방한 후 승강수단(50)을 유지보수 및 교체할 수 있다.
여기서는 커버(42)가 본체(41)에 볼트(43) 결합되는 것만으로 도시하였지만, 커버(42)는 본체(41)를 개폐할 수 있는 모든 방식, 회전식(커버(42)의 일측 힌지(미도시) 결합), 슬라이드식(본체(41)에 길이방향의 가이드레일(미도시) 형성 및 커버(42)에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 형성) 모두 적용 가능하다.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승강수단(50)은 일단부가 배기관(10)의 최하단에 고정되는 리프팅 와이어(51), 하우징(40)에 고정되는 고정축(52)과, 이 고정축(52)
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에 리프팅 와이어(51)가 감기는 와이어 드럼(53)과, 이 와이어 드럼(53)의 내부에 설치되어 리프팅 와이어(51)가 감기는 방향으로 와이어 드럼(53)을 탄성 지지하는 스파이럴 스프링(54)과, 고정축(52)의 단부에 배 치되어 와이어 드럼(53)의 공회전을 방지하는 코일스프링(55)으로 구성된다.
고정축(52)은 양단부가 하우징(40)의 양측 벽에 각각 고정된다. 하우징(40)을 관통한 고정축(52)의 일단부에는 스파이럴 스프링(54)의 강도를 조절하기 위한 탄력 조절기(56)가 설치될 수 있다. 탄력 조절기(56)는 스파이럴 스프링(54)을 감거나 풀 수 있도록 결합된 볼트식으로서, 회전에 의해 스파이럴 스프링(54)을 감거나 풀어 스파이럴 스프링(54)의 탄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공지된 것이다.
와이어 드럼(53)은 고정축(52)에 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스파이럴 스프링(54)이 장착된다.
스파이럴 스프링(54)은 태엽형태로 감긴 판스프링의 일종으로, 일단은 고정축(52)에 고정되며 타단은 링 형태로 수차례 감긴 후 와이어 드럼(53) 내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스파이럴 스프링(54) 자체의 탄성 복원력으로 와이어 드럼(53)을 지지한다. 이때, 와이어 드럼(53)은 리프팅 와이어(51)가 감기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이러한 스파이럴 스프링(54)의 탄성 복원력은 리프팅 와이어(51)를 통해 매달려 설치된 배기관(10) 하중을 이겨낼 수 있을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즉, 스파이럴 스프링(54)이 탄성 복원력에 의해 풀리게 되면 와이어 드럼(53)에는 리프팅 와이어(51)가 감기게 되며, 와이어 드럼(53)으로부터 리프팅 와이어(51)가 풀리면 스파이럴 스프링(54)은 감겨 탄성 복원력이 보다 강해지게 된다. 이러한 와이어 드럼(53)에는 별도로 스토퍼(stopper)가 없기 때문에, 스파이럴 스프링(54)의 탄성 복원력이 너무 강하면 배기관(10)이 항상 상승된 상태로 유지될 우려가 있으며, 반대로 스파이럴 스프링(54)의 탄성 복원력이 너무 약하면 배기관(40) 하중에 의해 와이어 드럼(53)이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배기관(10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배기관(10)의 승하강이 중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을 정도로 스파이럴 스프링(54)의 탄성계수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코일스프링(55)은 고정축(52)에 끼워져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은 고정축(52)의 중앙부 걸림턱에 지지되며 타단은 와이어 드럼(53)의 원통부(53a)에 탄성 지지된다. 따라서 배기관(10)을 수동으로 승강 또는 하강시킨 상태에서 외력을 제거하면, 스파이럴 스프링(54)의 탄성 복원력 및 코일스프링(55)의 지지력에 의해 배기관(10)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즉, 와이어 드럼(53) 일측이 코일스프링(55)을 통해서도 지지되기 때문에, 리프팅 와이어(51)에 배기관(510) 하중이 걸리더라도 와이어 드럼(53)이 밀려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코일스프링(55)의 지지력은 와이어 드럼(53)의 탄성 복원력에 비해 작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배기관(10)을 들어 올려 와이어 드럼(53)에 하중이 거의 걸리지 않는 경우, 스파이럴 스프링(54)은 코일스프링(55)의 지지력을 이기면서 탄성 복원되며 이것에 의해 리프팅 와이어(51)가 감기는 방향으로 와이어 드럼(53)이 회전하게 된다. 반면에 외력이 제거되어 배기관(10) 하중이 리프팅 와이어(51)에 그대로 전달되는 경우, 와이어 드럼(53)에는 코일스프링(55)의 지지력이 부가되어 공회전하지 않게 된다. 결국, 사용자가 강제로 배기관(10)을 잡아 내리거나 들어올리지 않는 한 와이어 드럼(53)의 회전이 방지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권선유도수단(60)은, 상하로 관통되는 박스형 롤러하 우징(61), 롤러하우징(6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단부가 고정관(20)에 고정되는 고정봉(62), 롤러하우징(61)의 내부에 회전축(62a,63b)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사이를 통해 리프팅 와이어(51)가 통과하는 한 쌍의 가이들롤러(62,63)를 포함하는 구성될 수 있다. 즉, 리프팅 와이어(51)가 배기관(10) 및 고정관(20) 내부를 통과하다가 가이드롤러(62,63) 사이를 통해 빠진 후 일측 롤러(62)를 타고 와이어 드럼(53)으로 유도되는 것이다. 롤러하우징(61), 고정봉(62)이 고정관(20) 내부에 설치되지만 그 크기가 승강수단(50) 보다 작기 때문에 연기의 배출시 저항이 크지 않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한 로스터용 배기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로스터(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배기관(10)이 간섭되지 않도록 배기관(10)을 천정(2)의 고정관(20)측에 밀착한다(도 5 참고).
한편 로스터(1)를 사용하는 경우, 로스터(1)로 고기를 굽는 등의 음식을 조리하여 냄새, 연기, 그을음 등이 발생되는 경우 배기관(10)의 흡입구(10a)가 로스터(1) 상부에 배치되도록 배기관(10)을 하부로 잡아당기면 리프팅 와이어(51)가 와이어 드럼(53)으로부터 풀려 권선유도수단(60)의 가이드롤러(62,63) 사이를 통해 하강함으로써 배기관(10)의 단위 관(11 내지 16)이 순차적으로 인출되어 배기관(10)의 길이가 길어지면서 흡입구(10a)가 로스터(1) 상부에 배치된다(도 1참고). 따라서, 로스터(1)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되는 배출가스(연기, 그을음 등)이 배기관(10)에 유입된 후 고정관(20)을 경유하여 덕트(30)로 배출된다. 이 때, 고정관(20) 내부에는 배출가스의 배출을 간섭하는 저항이 없기 때문에 배출가스는 정체현상없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물론 고정관(20) 내부에 권선유도수단(60)이 배치되긴 하지만 그 크기가 작기 때문에 배출가스의 배출을 막지 못함).
승강수단(50)의 노후 등으로 인하여 승강수단(50)의 보수나 교체가 필요할 경우 하우징(40)의 커버(42)를 본체(41)에서 분해하여 본체(41)를 개방한 후 승강수단(50)을 본체(41)에서 빼내어 보수 또는 교체한다.
<실시예 2>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의한 로스터용 배기장치는, 고정관(20)이 천정(2) 내부에 매입됨과 배기관(10)이 고정관(20)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관(20)과 함께 천정(2)에 매입될 수 있으며, 고정관(20)이 직접 배출덕트(30)에 연결되지 않고 배출팬(70)을 통해 배출덕트(30)와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정관(20)은 천정(2) 내부에 매입되면서 앵커(23)를 통해 고정되며, 배기관(10)은 고정관(20) 내부에 삽입되어 승강수단(50)을 통해 인출된다. 승강수단(50)은 고정관(20)의 외부에 돌출됨과 아울러 권취유도수단(60)은 배기관(10)의 삽입시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장착된다.
배출팬(70)의 고정관(20)의 둘레부(예를 들어 승강수단(50)의 반대측)에 유도관(71)을 통해 수직으로 설치되며 주름관(72)(또는 유공관)을 통해 배출덕트(30)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배기관(10)이 천정(2)에서 돌출되지 않으므로 실내 미 관을 수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로스터용 배기장치에 의하면, 전력을 이용하지 않고 배기관을 신축시켜 전력에 의해 구동하는 자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제조원가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배기관을 신축시키는 승강수단이 배기관의 외부로 돌출되어 배기관의 내부에는 배출가스(연기, 그을음 등)의 배출을 간섭하는 구조물이 없으므로 배출가스를 빨리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수단이 내장되는 하우징이 분리 구성되어 커버만 분해함으로써 승강수단의 유지보수 및 교체가 가능하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로스터의 상부에 배치되며 신축 가능한 배기관과;
    로스터 상부와 대응되는 천정에 설치되며 상기 배기관의 상부에 연결되는 중공의 고정관과;
    천정에 매립되며 상기 고정관과 유체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배기관을 통해 유입되는 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덕트와;
    상기 고정관의 둘레부에 분해 가능하게 고정되는 박스형 하우징과;
    일단부가 상기 배기관 중 최하단 배기관에 고정되는 리프팅 와이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축, 이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에 상기 리프팅 와이어가 감기는 와이어 드럼과, 상기 와이어 드럼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리프팅 와이어가 감기는 방향으로 와이어 드럼을 탄성 지지하는 스파이럴 스프링과, 상기 고정축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 드럼의 공회전을 방지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기계실 내부에 장착되는 승강수단과;
    상기 고정관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리프팅 와이어가 상기 승강수단의 권취드럼에 감기도록 방향을 유도하는 권선유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용 배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선유도수단은, 상하로 관통되는 박스형 롤러하우징, 상기 롤러하우징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단부가 상기 고정관에 고정되는 고정 봉, 상기 롤러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사이를 통해 상기 리프팅 와이어가 통과하는 한 쌍의 가이들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용 배기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고정관에 고정되며 양측벽에 각각 상기 승강수단의 고정축이 안착 고정되는 홈이 형성되고 상부를 향해 개방된 본체, 상기 본체의 상측 개구부에 상기 본체 내부를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용 배기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관은 상기 천정 내부에 매입되고, 상기 배기관은 상기 고정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천정 하부로 인출되도록 상기 천정 내부에 매입되며, 상기 고정관의 둘레부에는 상기 배기관 내의 배출가스를 상기 배출덕트로 강제 배출하는 배출팬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터용 배기장치.
KR2020070006142U 2007-04-13 2007-04-13 로스터용 배기장치 KR2004363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142U KR200436327Y1 (ko) 2007-04-13 2007-04-13 로스터용 배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142U KR200436327Y1 (ko) 2007-04-13 2007-04-13 로스터용 배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327Y1 true KR200436327Y1 (ko) 2007-08-01

Family

ID=45089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6142U KR200436327Y1 (ko) 2007-04-13 2007-04-13 로스터용 배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32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515B1 (ko) 2011-06-29 2011-10-11 주식회사 동아스트 막 구조물용 환풍 시스템
KR101469130B1 (ko) * 2013-06-21 2014-12-09 김선엽 배기후드
CN117419577A (zh) * 2023-12-18 2024-01-19 久精日坩(江苏)新材料科技有限公司 耐火材料窑炉的排气通道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2515B1 (ko) 2011-06-29 2011-10-11 주식회사 동아스트 막 구조물용 환풍 시스템
KR101469130B1 (ko) * 2013-06-21 2014-12-09 김선엽 배기후드
CN117419577A (zh) * 2023-12-18 2024-01-19 久精日坩(江苏)新材料科技有限公司 耐火材料窑炉的排气通道
CN117419577B (zh) * 2023-12-18 2024-03-15 久精日坩(江苏)新材料科技有限公司 耐火材料窑炉的排气通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5831Y1 (ko) 로스터용 배기장치
JP4985656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KR200436327Y1 (ko) 로스터용 배기장치
KR100819482B1 (ko) 주방용 후드장치
CN205612315U (zh) 无烟尘自旋转烧烤装置
WO2021020729A1 (ko) 주방용 후드 장치
JP2005055126A (ja) レンジフード
KR100874481B1 (ko) 로스터용 연기 흡입관 승강장치
JP3946350B2 (ja) 空気調和機
KR20100013472A (ko) 드럼 좌우측에 안내롤러를 갖는 그릴 승하강장치
KR200280902Y1 (ko) 후드팬의 배기덕트 구조
CN2296471Y (zh) 一种烹饪用的可伸缩的管状油烟机
CN111296609B (zh) 一种隔离式自动窨花机
KR200200073Y1 (ko) 비닐하우스의 천창비닐 개폐구조
JPH094901A (ja) 排煙装置
CN208583112U (zh) 空气净化器滤芯更换结构及空气净化器
KR200293635Y1 (ko) 다단 배기덕트구조
KR100936139B1 (ko) 새끼 가축용 사육실
JP3154696U (ja) 畜舎の換気装置
KR102268145B1 (ko) 연기 배출 장치
CN206514365U (zh) 楼房厨房烟道防反味装置
CN211052135U (zh) 一种升降式防止气味扩散装置
KR100557867B1 (ko) 이동이 가능한 로스터용 배기장치
KR200334095Y1 (ko) 로스터용 배기장치구조
CN210952068U (zh) 深冷气体处理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