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9147Y1 - 이동대차 - Google Patents

이동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9147Y1
KR200339147Y1 KR20-2003-0034139U KR20030034139U KR200339147Y1 KR 200339147 Y1 KR200339147 Y1 KR 200339147Y1 KR 20030034139 U KR20030034139 U KR 20030034139U KR 200339147 Y1 KR200339147 Y1 KR 2003391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frame
mobile
be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1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철
Original Assignee
(주)태진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진이엔지 filed Critical (주)태진이엔지
Priority to KR20-2003-00341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91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91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91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04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대차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이동대차의 선반 구조를 개선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함은 물론이며 작업자가 보다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이동대차에 의하면; 프레임(10) 내측에 설치되는 선반(40)은 사각 금속판의 가장자리 부위를 상측으로 소정높이 절곡하여 상부가 개방되며 밑면(41)과 측면(42)을 갖는 함체로 이루어지되, 선반(40)에는 측면(42)의 상단을 따라 선반(40)의 내측을 향하도록 역 "U"자 형상으로 절곡한 밴딩 마감부(43)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선반(40)의 측면(42) 상단에 별도로 몰링처리를 하지 않아도 날카로운 부분이 제거됨으로써, 작업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이며 부품수가 줄어 제조비용 역시 절감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선반(40)의 측면(42) 상단을 따라 밴딩 마감부(43)가 일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품의 외관 역시 미려해지며 신뢰성 역시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대차{A MOVING PICK UP}
본 고안은 이동대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품이나 공구 등을 적재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다단의 선반 및 상판을 갖춘 이동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대차는 산업현장 등에서 사용되는 부품이나 공구 등을 간편하게 적재하여 이동시키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물건이 적재되는 받침대와, 이 받침대의 하단 모서리부위에 각각 장착된 캐스터들과, 받침대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게 마련된 손잡이를 갖추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물건을 받침대 위에 올려놓고 손잡이를 잡고 이동시키게 된다. 이 때, 캐스터가 굴러가기 때문에 이동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동대차에서는 받침대가 하나만 구성되기 때문에 작은 사이즈의 부품이나 공구 등은 효과적으로 적재 보관할 수 없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외형을 이루는 프레임에 다단의 수납선반이 마련된 이동대차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 수납선반을 갖춘 이동대차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골로 조립 제작되어 대차의 외형을 이루는 사각 프레임(1)과, 이 사각 프레임(1)의 하단 모서리부에 각각 설치된 캐스터(2)와, 사각 프레임(1)의 칸칸이 마련된 선반(3)들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선반(3)들은 상부가 개방된 직사각 함체로 이루어져 있다. 즉, 직사각 철판의 네 가장자리를 상측으로 90도 밴딩하여 측면(3b)을 형성시키면, 직사각형태의 밑면(3a)과 측면(3b)을 갖는 선반(3)이 제작된다. 그리고 제작된 선반(3)들을 사각 프레임(1)에 칸칸이 볼트 조립하면, 다단의 선반(3)을 갖춘 이동대차가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프레임(1)의 최상부에 배치되는 선반(3)의 경우에는 측면(3b)의 상측이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다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최상부에 위치된 선반(3)의 경우에는 측면(3b) 상부를 따라 합성수지 몰딩(4)이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종래 이동대차의 제조과정에서는 최상부에 위치되는 선반(3)에 일일이 합성수지 몰딩(4)을 견실하게 부착해야 함으로써 작업 생산성이 저하되며, 또한, 부품수 추가로 인해 제조비용 역시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철판을 밴딩하여 제작되는 선반의 가장자리 구조를 개선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함은 물론이며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이동대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이동대차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대차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 - Ⅲ 선에 따른 단면도로, 이동대차의 선반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반을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프레임 20..캐스터
30..손잡이 40..선반
41..밑면 42..측면
43..밴딩 마감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골격을 유지하도록 세워져 설치되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의 하부 모서리 부위에 각각 배치된 캐스터와, 프레임 내측에 칸칸이 배치되어 물건을 적재 수납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반을 갖춘 이동대차에 있어서,
선반은 사각 금속판의 가장자리 부위를 상측으로 소정높이 절곡하여 상부가 개방되며 밑면과 측면을 갖는 함체로 이루어지되,
선반에는 측면의 상단을 따라 선반 내측을 향하도록 역 "U" 자 형상으로 절곡한 밴딩 마감부가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대차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것이고,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선반 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이동대차는 각종 부품 및 공구 등을 다루는 산업현장에서 이들을 적재하여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형 몸체를 이루는 사각 프레임(10)과, 이 프레임(10)의 네 모서리 하부에 각각 설치된 캐스터(20)와, 프레임(10) 내측에 칸칸이 배치되어 물건을 적재 수납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반(40)을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10)은 철재 앵글바를 절단하여 이동대차의 골격을 유지하도록 사각 형태로 조립 제작한 것으로, 여기에는 선반(40)들이 적정한 간격으로 볼트 조립된다. 또한, 프레임(10)의 상부 일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손잡이(30)가 마련되어 있어서, 이 손잡이(30)를 잡고 이동대차를 밀거나 끌어당길 수 있다.
그리고 캐스터(20)는 프레임(10)의 네 모서리에 각각 설치된다. 이에 따라 프레임(10)은 작업장 바닥으로부터 이격 지지됨은 물론이며, 이동대차의 이동방향을 자유로이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선반(40)들은 사각 금속판의 가장자리를 상측으로 소정높이 절곡하여 상부가 개방되며 밑면(41)과 측면(42)을 갖는 함체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선반(40)들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10) 내측에 칸칸이 볼트 조립된다. 따라서 선반(40)들에 공구 또는 각종 부품과 같은 물건을 올려놓아도 선반(40)의 측면(42)에 의해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선반(40)의 측면(42)에는 내측을 향하도록 절곡한 밴딩 마감부(43)가일체로 마련되어 있어서, 작업자가 다칠 염려가 없다. 즉, 밴딩 마감부(43)는 선반(40) 측면(42)의 상단을 따라 역"U" 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선반(40)의 측면(42) 상단에 별도로 몰딩처리를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선반(40)의 제조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부품수 절감으로 제조비용 역시 줄일 수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이동대차의 사용상태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선반(40)에 각종 부품이나 공구 등을 적재한 상태에서 손잡이(30)를 잡고 밀면, 캐스터(20)에 의해 이동대차가 굴러가게 된다.
한편, 이동대차의 맨 상부에 위치한 선반(40), 즉 상판 선반(40)에서는 물건을 적재함은 물론이며 이 위에서 작업을 병행할 수도 있다.
이 때, 선반(40)의 측면(42) 상단에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절곡하여 일체로 구성된 밴딩 마감부(43)가 마련되어 있어서, 선반(40)의 측면(42)에 의해 다치거나 작업이 방해되는 일은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동대차에 의하면, 프레임 내측에 설치되는 선반은 사각 금속판의 가장자리 부위를 상측으로 소정높이 절곡하여 상부가 개방되며 밑면과 측면을 갖는 함체로 이루어지되, 선반에는 측면의 상단을 따라 선반의 내측을 향하도록 역 "U"자 형상으로 절곡한 밴딩 마감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선반의 측면 상단에 별도로 몰링처리를 하지 않아도 날카로운 부분이 제거됨으로써, 작업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이며 부품수가 줄어 제조비용 역시 절감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선반의 측면 상단을 따라 밴딩 마감부가 일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품의 외관 역시 미려해지며 신뢰성 역시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골격을 유지하도록 세워져 설치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하부 모서리 부위에 각각 배치된 캐스터(20)와, 상기 프레임(10) 내측에 칸칸이 배치되어 물건을 적재 수납할 수 있는 복수개의 선반(40)을 갖춘 이동대차에 있어서,
    상기 선반(40)은 사각 금속판의 가장자리 부위를 상측으로 소정높이 절곡하여 상부가 개방되며 밑면(41)과 측면(42)을 갖는 함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선반(40)에는 상기 측면(42)의 상단을 따라 상기 선반(40) 내측을 향하도록 역 "U" 자 형상으로 절곡한 밴딩 마감부(43)가 일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대차.
KR20-2003-0034139U 2003-10-31 2003-10-31 이동대차 KR2003391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139U KR200339147Y1 (ko) 2003-10-31 2003-10-31 이동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139U KR200339147Y1 (ko) 2003-10-31 2003-10-31 이동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9147Y1 true KR200339147Y1 (ko) 2004-01-16

Family

ID=49422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139U KR200339147Y1 (ko) 2003-10-31 2003-10-31 이동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914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41073A1 (en) Organizer tray for use on lifting equipment
GB2105307A (en) Portable tool-chest
US20140265440A1 (en) Cart having corner bumpers, side containers, and corner top holders
US3917026A (en) Aerial platform utility enclosure assembly
US8702110B2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stage equipment
KR200339147Y1 (ko) 이동대차
US3628672A (en) Captive pallet for load-stacking racks
US6315376B1 (en) Universal tool transport cart
CN212825324U (zh) 一种工具服务车
CN217943292U (zh) 一种折弯机专用的可移动多功能存储柜
JPH06115636A (ja) 物品仕分け用の台車
KR20100007498A (ko) 위치 변경과 다양한 보조 진열 수단을 갖는 조립식 진열대
JP6725810B2 (ja) 台車
JPH07148040A (ja) 組立式引出しボックス
JP3177081U (ja) 什器を移動する際に用いる補助具
CN212980233U (zh) 一种电动车转运箱
ITPN960003U1 (it) Apparecchio frigorifero dotato di ripiani e cassetti perfezionati
KR102112911B1 (ko) 적재 선반
CN220032779U (zh) 一种便于移动的物流周转箱
JP3119119U (ja) 遊技台専用カート
JP3513567B2 (ja) 入れ子式移動棚
JP3003923U (ja) 工具収納装置
KR200359634Y1 (ko) 부품 거치대
JP2002065422A (ja) ステージボックス
JP2518707B2 (ja) 物品搬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