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9634Y1 - 부품 거치대 - Google Patents

부품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9634Y1
KR200359634Y1 KR20-2004-0015353U KR20040015353U KR200359634Y1 KR 200359634 Y1 KR200359634 Y1 KR 200359634Y1 KR 20040015353 U KR20040015353 U KR 20040015353U KR 200359634 Y1 KR200359634 Y1 KR 2003596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component
cradle
presen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53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국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로스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로스아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로스아이엔씨
Priority to KR20-2004-00153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96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96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96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25H3/04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25H3/06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품 및 공구를 보관하는 부품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통이 용이하게 거치대에 착탈 가능하고, 결합되는 거치대의 수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증결 가능하고, 거치대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며, 거치대에 공구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한 부품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수직 상방 결합되는 2 이상의 기둥 및 상기 기둥에 체결부재에 의해 수평하게 결합되는 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부품 거치대는 작업자가 사용하는 부품 및 공구의 종류, 보관 위치, 수량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거치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위치, 자세에 맞춰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부품통이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도록 하고, 거치구 및 지지구만 대응된다면 다양한 형상, 크기의 부품통을 호환 가능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부품 거치대 {Tool Box Keeper}
본 고안은 부품 및 공구를 보관하는 부품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통이 용이하게 거치대에 착탈 가능하고, 결합되는 거치대의 수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증결 가능하고, 거치대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며, 거치대에 공구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한 부품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품 거치대 또는 공구함은 산업현장에서 각종 부품이나 공구를 수납 보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보통 캐비닛에 다단의 선반이 칸칸으로 마련된 선반형과, 복수개의 수납상자가 캐비닛에 서랍식으로 출입될 수 있게 구성된 서랍형으로 구별된다.
이러한 종래 부품 거치대 또는 공구함은 내부에 수납실이 형성된 캐비닛과, 이 캐비닛의 수납실에 수용 배치되며 각종 부품 및 공구들이 수납되는 함체형태의 수납상자를 갖추고 있다. 이 수납상자는 전면에 손잡이가 마련되며 서랍식으로 출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부품 거치대는 작업자가 원하는대로 수납상자의 위치를 바꾸거나, 설치 위치, 높이를 조절할 수 없었으며 수납상자의 크기를 바꾸어 설치할 수 없었으며, 거치대의 수를 마음대로 증감하여 결합시킬 수 없었다. 또한 부품이나 공구가 수납상자 안에 수용되어 서랍식으로 본체 내부로 삽입되거나, 원래부터 본체 내부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작업자의 작업시 신속한 선택, 접근이 불편한 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부품을 수용하는 부품통이 거치대에 용이하게 착탈 가능한 부품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부품통이 결합되는 거치대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부품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거치대가 기둥에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도록 하여, 거치대의 단 수를 자유롭게 증감시킬 수 있는 부품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거치대 자체에 부품통 이외에도 공구가 간편히 수용될 수 있도록 한 부품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 부품 거치대의 부품통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부품 거치대의 거치대가 상하방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 부품 거치대의 거치대를 여러단으로 증결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 부품 거치대의 기둥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부품 거치대의 부품통의 결합방법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및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부품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 부품 거치대의 사용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받침대 12 : 바퀴
20 : 기둥 22 : 수직홈
30 : 체결클립 32 : 삽입공
34 : 삽입부재 40 : 거치대
42 : 홀 44 : 거치구
50 : 부품통 54 : 지지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수직 상방 결합되는 2 이상의 기둥 및 상기 기둥에 체결부재에 의해 수평하게 결합되는 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기둥이 관통되며 삽입되는 체결클립인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둥에는 수직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홈에는 상기 체결부재에 결합되는 삽입부재가 삽입, 접촉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대에는 일정 크기의 홀이 형성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대의 측방에는 부품통이 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품통의 측면에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하방으로 연결된 수직부로 구성된 지지구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대의 측면에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상방으로 연결된 수직부로 구성된 거치구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구가 상기 거치구에 상방으로부터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 구성의 구체적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 부품 거치대의 부품통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하측의 받침대(10)에는 상측에 수직으로 2개의 기둥(20)이 결합되어 있고, 2개의 기둥(20) 사이에는 2단의 거치대(40)가 나란히 수평 결합되어 있다. 받침대(10)의 하측에는 바퀴(12)가 결합되어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치대(40)는 양 단부에 체결클립(30)이 결합되어 있으며, 체결클립(30)은 거치대(40)가 기둥(20)에 의해 지지되도록 기둥(20)에 삽입 결합된다. 통상의 기둥(20)은 원통형이므로, 체결클립(30)은 기둥(20)의 지름보다 큰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기둥(20)의 상측으로부터 끼워진다. 기둥(20)에 삽입된 체결클립(30)은 기둥(20)에 구비된 수직홈(22)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며 고정 가능하도록 하여, 거치대(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거치대(40)는 장형의 직육면체 형상으로서 내부가 비어 있는 박스형 구조이며, 상방에는 일정 간격으로 원형의 홀(42)이 형성된다. 홀(42)은 거치대(40)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 형성되며, 다양한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홀(42)은 거치대(40)를 관통하도록 상측 및 하측의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치대(40)의 측면에는 거치구(44)가 형성된다. 거치구(44)는 단면상 'ㄴ' 형상으로 돌출되어 부품통(50; 도 5)을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거치구(44)는 거치대(40)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구비된다.
도 2는 본 고안 부품 거치대의 거치대가 상하방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거치대(40)는 기둥(20)을 따라 상하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거치대(40)는 단부에 결합된 체결클립(30)에 기둥(20)이 삽입된 상태로 이동하므로써 상하로 이동된다.
체결클립(30)은 양 측에 삽입공(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공(32)에는 삽입부재(34)가 삽입된다. 삽입부재(34)는 체결클립(30)의 삽입공(32)으로 삽입되어, 기둥(20)에 접촉된다. 삽입부재(34)로는 통상의 나사부재 또는 볼트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삽입부재(34)는 기둥(20)에 형성된 수직홀(22)에 삽입되어 체결클립(30)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 부품 거치대의 거치대를 여러단으로 증결한 모습을 나타내는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둥(20)에는 거치대(40)에 결합되는 체결클립(30)이 상측에서 삽입되므로, 거치대(40)에 결합된 체결클립(30)만 기둥(20)하면 자유롭게 착탈이 가능하다.
따라서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거치대(40)의 체결클립(30)을 기둥(20)에 상방 삽입하는 과정을 통해 용이하게 거치대(40)를 추가 결합시킬 수 있으며, 제거할 수도 있게 된다. 거치대(40)는 1단으로 할 수도 있으며, 2단, 3단 또는 그 이상의 단으로도 기둥(20)의 길이를 늘림에 따라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 부품 거치대의 기둥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기둥(20)은 중량을 줄이기 위해 알루미늄 재질의 중공형으로 형성하며, 양 측에는 오목하게 삽입된 수직홈(22)을 형성한다.
수직홈(22)에는 체결클립(30)의 삽입공(32)을 관통하는 삽입부재(34)의 단부가 위치하게 되며, 삽입부재(34)를 계속하여 삽입하는 경우에는 단부가 수직홈(22)의 안쪽면에 접촉하여 가압하게 된다. 삽입부재(34)가 수직홈(22)의 안쪽면을 수직가압하면, 체결클립(30)은 이동할 수 없게 되며, 일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도 5는 본 고안 부품 거치대의 부품통의 결합방법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및 확대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거치대(40)의 측면에는 거치구(44)에 의해 다수의 부품통(50)이 결합되게 된다. 부품통(50)의 일측에는 지지구(54)가 구비되며, 거치구(44)는 지지구(54)와 맞물려 결합된다.
부품통(50)은 전방 상측 및 상방이 개방된 박스형으로서, 지지구(54)만 구비된다면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변형하여 구성할 수 있다. 부품통(50)은 거치대(40)의 양쪽에 나란히 결합된다.
부품통(50)이 거치대(40)에 결합되는 것은 부품통(50)의 지지구(54)가 거치대(40)의 거치구(44) 상방으로 끼워지는 방식을 사용한다. 부품통(50)의 지지구(54)는 단면상 'ㄱ'의 형상을 갖는다.
거치대(40)의 거치구(44)는 수평부(44a)와 그 단부에 상방으로 연장된 수직부(44b)로 구성되며, 부품통(50)의 지지구(54)는 수평부(54a)와 그 단부에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부(54b)로 구성된다. 각각의 수평부(44a, 54a)는 상대적으로 짧게하고, 각각의 수직부(44b, 54b)는 길게하면, 거치구(44)와 지지구(54)는 상호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결합된다. 부품통(50)을 거치대(4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는, 부품통(50)을 상측으로 들어 올리므로써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 부품 거치대 및 그 사용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하나의 거치대(40)에는 양쪽으로 다수의 부품통(50)이 결합될 수 있으며, 부품통(50)이 결합된 상태에서도 거치대(40)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중앙의 거치대(40)에는 상측의 홀(42)을 통해 드라이버 등의 공구(A)를 삽입시켜 거치할 수 있으며, 부품통(50)에는 작업시 필요한 각종 부품(B) 또는 공구를 보관할 수 있다.
이로써 작업자는 한 눈에 부품 또는 공구의 종류, 보관 위치, 수량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거치대 및 부품통을 통해 각각의 특성에 맞는 수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작업자의 위치, 자세에 맞춰 거치대 및 부품통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받침대에 설치된 바퀴를 사용에 손쉽게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손쉽게 부품통을 착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 크기의 부품통을 결합할 수 있어 해당 작업에 적합한 부품통을 취사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도 갖추게 된다.
본 고안의 부품 거치대는 작업자가 사용하는 부품 및 공구의 종류, 보관 위치, 수량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거치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위치, 자세에 맞춰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거치대가 기둥에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도록 하여, 거치대의 단 수를 자유롭게 증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부품통이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도록 하고, 거치구 및 지지구만 대응된다면 다양한 형상, 크기의 부품통을 호환 가능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6)

  1. 받침대;
    상기 받침대에 수직 상방 결합되는 2 이상의 기둥; 및
    상기 기둥에 체결부재에 의해 수평하게 결합되는 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기둥이 관통되며 삽입되는 체결클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거치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에는 수직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홈에는 상기 체결부재에 결합되는 삽입부재가 삽입,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거치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에는 일정 크기의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거치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의 측방에는 부품통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거치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통의 측면에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하방으로 연결된 수직부로 구성된 지지구가 구비되고,
    상기 거치대의 측면에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상방으로 연결된 수직부로 구성된 거치구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구가 상기 거치구에 상방으로부터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거치대.
KR20-2004-0015353U 2004-06-02 2004-06-02 부품 거치대 KR2003596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353U KR200359634Y1 (ko) 2004-06-02 2004-06-02 부품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353U KR200359634Y1 (ko) 2004-06-02 2004-06-02 부품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9634Y1 true KR200359634Y1 (ko) 2004-08-18

Family

ID=49349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5353U KR200359634Y1 (ko) 2004-06-02 2004-06-02 부품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963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097B1 (ko) * 2012-09-19 2014-04-30 유용 생활정보지용 거치대
CN108818479A (zh) * 2018-07-04 2018-11-16 江苏金牡蛎金属有限公司 模块化货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097B1 (ko) * 2012-09-19 2014-04-30 유용 생활정보지용 거치대
CN108818479A (zh) * 2018-07-04 2018-11-16 江苏金牡蛎金属有限公司 模块化货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95430A1 (en) Tool organizing device
EP1874166B1 (en) Tool rack set fastener
US7757867B2 (en) Tool Storage Rack
EP2428327B1 (de) Werkstattwagen
US8083194B2 (en) Latching mechanism and repositionable part support device employing said latching mechanism
US5497878A (en) Work surface extensions for tool storage units
WO2007124287A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holding an item in storage
US6186608B1 (en) Adjustable height package retainer for a refrigerator door
KR200359634Y1 (ko) 부품 거치대
EP0294608A1 (en) Tool cabinet
CA2570067A1 (en) Ladder cart
KR20100001317U (ko) 선반 고정장치
CA2694846A1 (en) Multifunctional support, system and accessories
CN214903393U (zh) 干细胞冻存架
CN218657995U (zh) 一种斜面柱形定位料仓
KR20210103358A (ko) 부품대 겸용 공구대
KR200376209Y1 (ko) 서랍 구획판
KR102458004B1 (ko) 휨 방지 및 이탈방지 안전기능의 이동선반을 구비한 수납가구
CN204591304U (zh) 一种机械卸压装置
CN214352383U (zh) 一种建筑工程专用置物架
KR850001576Y1 (ko) 다단식 공구 및 부품보관용 이동재치대
CN216030639U (zh) 一种异形移动式工作台柜
KR102458003B1 (ko) 휨 방지 및 이탈방지 안전기능의 이동선반을 구비한 수납가구
CN212372144U (zh) 一种工具型存储柜
JP2010154991A (ja) キッチンキャビネット用引き出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