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7201Y1 - 고기구이용 불판 - Google Patents

고기구이용 불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7201Y1
KR200337201Y1 KR20-2003-0029821U KR20030029821U KR200337201Y1 KR 200337201 Y1 KR200337201 Y1 KR 200337201Y1 KR 20030029821 U KR20030029821 U KR 20030029821U KR 200337201 Y1 KR200337201 Y1 KR 2003372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grill
wall
mea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98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산
Original Assignee
강성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산 filed Critical 강성산
Priority to KR20-2003-00298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72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72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72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기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물 순환이 자연적으로 이루어져 고기가 눌어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그릴 구조를 갖는 고기구이용 불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소정량의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부와, 상면에 고기가 놓여지며 상기 물저장부에 연통되어 상기 물저장부에 저장된 물이 내부의 유로를 따라 흐르다가 다시 물저장부로 자연스럽게 순환되도록 하여 상기 고기가 눌어 붙지 않도록 하기 위한 그릴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고기구이용 불판은 그릴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물 순환이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는 별도의 파이프가 내설되는 구조로 개선하여 고기가 눌어 붙지 않도록 함으로써 탄 맛이 나지 않게 하여 사용자가 고유한 맛을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기구이용 불판{FIRE PLATE FOR ROAST MEAT}
본 고안은 고기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기가 눌어 붙지 않는 물 순환방식의 구이용 불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숯불이나 기타 가열장치를 이용하여 고기(Meat) 등의 구이용 재료를 굽는 구이용 불판, 특히 석쇠 등은, 열전도율이 좋은 일체형 금속재질로 제작되어 불꽃에 의해 가열되면 온도가 급속하게 올라가고, 통상 섭씨 수백 내지 수 천도까지 고온으로 달구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고온의 구이용 불판에 구이용 재료가 접촉되면, 구이용 재료의 접촉부분이 먼저 급속하게 익는 동시에 빠르게 산화되어 타는 것을 막을 수 없기 때문에 불판에 눌어 붙어서 구이용 재료가 잘 떼어지지 않아 통상 한 테이블 당 수차례 새로운 불판으로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고, 급속한 산화로 인해 발생하는 발암물질이 인체에 악영향을 주며, 눌어붙은 재료의 탄 맛이 다른 재료에 영향을 주어 재료 고유의 맛을 상실하게 하고, 무엇보다도, 눌어붙은 재료가 타서 딱딱하게 경화되어 불판과 함께 경화되기 때문에 이를 세척하기가 매우 어렵고, 번거로웠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열전도율이 떨어지거나 비열이 높은 돌판이나 두꺼운 금속판 등을 이용하여 구이용 불판을 제작하였으나, 이 또한, 고기 등의 구이용 재료가 불판에 눌어 붙는 현상을 완전히 해결하기 어렵고, 이러한 재질로 불판을 제작하는 경우, 불꽃의 열이 구이용 재료에 직접 조사되기 위한 그릴 구조의 제작이 어려워서 직화구이가 어렵고, 고기 등의 구이용 재료의 맛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고기 음식점 등에서는 고기 등 각종 구이용 재료들이 눌어 붙어서 타버렸던 종래의 구이용 불판을 세척하기 위하여 고가의 세척장비를 구입하거나, 별도의 위탁업체를 이용하여 세척 비용이 발생하는 등 많은 추가 비용이 발생하였고, 이러한 종래의 구이용 불판의 세척을 쉽게 하기 위하여 강력한 산분해작용을 하는인체에 유해한 독성물질이 사용되거나, 대량의 세척수가 사용되는 등 건강을 위협하고, 환경을 오염시키는 등 각종 사회 문제를 야기시키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물 순환이 자연적으로 이루어져 고기가 눌어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그릴 구조를 갖는 고기구이용 불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고기구이용 불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Ⅳ"-"Ⅳ"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불판 12.. 손잡이
20.. 물저장부 30.. 케이스
40.. 함체 50.. 그릴
55.. 파이프 60.. 기름받이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소정량의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부와, 상면에 고기가 놓여지며 상기 물저장부에 연통되어 상기 물저장부에 저장된 물이 내부의 유로를 따라 흐르다가 다시 물저장부로 자연스럽게 순환되도록 하여 상기 고기가 눌어 붙지 않도록 하기 위한 그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저장부는 상기 물이 수용되도록 소정 면적을 가지되, 상기 개방된 상부의 소정부위를 덮도록 일측 벽체의 상단에 제1날개가 일측으로 형성되고 타측 벽체의 상단에 상기 제1날개와 동일 방향으로 제2날개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설치됨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물을 최초 공급받는 제1수용부를 형성시키며 상기 그릴의 내부를 순환하고 배출되는 고온의 물이 급속도로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함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함체는 상기 케이스의 대략 중앙 부위에 배치되며 그 하단에 형성된 제1절곡부를 통해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제5벽체와, 상기 제5벽체와 연장 형성되어 그 상부면을 이루는 상부벽체와, 소정길이를 가지고 상기 상부벽체의 하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케이스의 타측 벽체에 결합되는 제2절곡부와, 상기 케이스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한쌍의 양측벽체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스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5벽체의 유입홀로부터 상기 제1수용부에 공급된 물이 상기 그릴 내부로 직접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홀과 상기 그릴의 내부를 순환하고 배출되는 물이 상기 함체를 경유하면서 상기 제1수용부로 재차 순환되도록 하기 위한 순환홀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타측 벽체에는 상기 그릴이 연통되도록 하기 위한 연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함체의 제5벽체로부터 상기 그릴 내부의 소정부위 까지에는 상기 제1수용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그릴 내부에 직접 공급하기 위한 파이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고기구이용 불판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고기구이용 불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1의 "Ⅳ"-"Ⅳ"선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기구이용 불판(10)은 숯불이나 기타 가열수단 상부에 배치되어 그 상면에 올려진 고기 등이 눌러 붙지 않고 구워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물공급을 위한 주전자 또는 물통으로 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소정량의 물이 저장되도록 일정 공간이 형성된 물저장부(20)와, 상면에 고기가 놓여지며 일측 단부가 상기 물저장부(20)에 연통되어 상기 물이 내부의 유로를 따라 흐르다가 다시 상기 물저장부(20)로 순환되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그릴(50)과, 상기 그릴(50)의 타측 단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고기가 구워질 시 추출되는 기름을 수용받는 기름받이부(60)를 갖추고 있다.
상기 물저장부(20)는 외부로 부터 공급되는 물이 수용되도록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고 직사각형 형태의 소정 면적을 가지는 케이스(30)와, 상기 케이스(30)의 내부 일측에 일체로 마련되는 함체(4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케이스(30)는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제1벽체(32)와, 제2벽체(34) 그리고 이들 제1,제2벽체(32)(34)에 연장 형성되어 양면을 이루어 함 형상을 갖도록 좌ㆍ우측에 가로 방향으로 마련되는 제3벽체(36)와, 제4벽체(38)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벽체(32)에는 사용자가 고기구이용 불판을 운반시 잡기 위한 손잡이(12)가 구비되고 상기 제1벽체(32)의 상끝부에는 상기 개방된 상부를 소정부위 만큼 덮기 위해 소정 길이를 가지고 내측(그릴쪽으로) 방향으로 마련되는 제1날개(32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벽체(34)의 상끝부에는 상기 제1날개(32a)와 동일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제2날개(34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벽체(36)와 제4벽체(38)의 상단 중심부에는 상기 함체(40)에 마련된 증기토출용 엘보우(49)가 설치되기 위한 요홈(38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함체(40)는 상기 케이스(30)의 내부에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그릴(50) 내부를 경유하고 순환된 고온의 물이 끓어 넘치거나 급속도로 증기로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케이스(40)의 바닥면과 제2벽체(34)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케이스(30)의 일측에 수용하기 위한 제1수용부(31)를 형성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함체(40)는 상기 케이스(30)의 대략 중간부위에 배치되는 제5벽체(42)와 상기 제5벽체(42)의 양측면을 이루는 한쌍의 측면벽체(44) 및 상부를 밀폐시키기 위한 상부벽체(46)로 이루져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릴(50)의 상면에는 가열된 고기로부터 추출되는 "V" 형상의 오목한 기름 유도용 줄홈(52)이 형성되되, 상기 줄홈(52)은 상기 고기에 접촉하는 상기 그릴(50)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여 상기 고기가 달라 붙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기름받이부(60)에도 손잡이(12)가 구비되어 있다.
도 3과 도 4에 따르면, 함체(40)를 구성하는 제5벽체(42)는 그 하단에 절곡 형성된 제1절곡부(42a)가 상기 케이스(30)의 바닥면에 결합(용접을 하여)되고, 함체(40)의 상부벽체(46)의 일측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30)의 제2벽체(34)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2절곡부(48)를 갖는다. 한편, 상기 함체(40)의 한쌍의 측면벽체(44)(도2참조)는 상기 케이스(30)의 제3,제4벽체(36)(38)에 일체로 결합(용접하여)되되, 상기 측면벽체(44)의 상단에는 상술된 요홈(38a)에 끼워져 견실하게 고정되는 증기토출용 엘보우(49)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엘보우(49)는 그 토출부가 아랫쪽을 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함체(40)의 제5벽체(42)에는 상기 제1수용부(31)에 공급된 물이 상기 그릴(50) 내부로 직접 유입되도록 하는 다수의 유입홀(42b)과 상기 그릴(50)의 내부를 순환하고 배출되는 물이 상기 함체(40)를 경유하면서 상기 제1수용부(31)로 재차 순환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유입홀(42b)이 형성된 부위 보다 아래에 다수의 순환홀(42c)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30)의 제2벽체(34)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이 상기 그릴(50)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그릴(50)이 결합되는 위치에 연통부(34b)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5벽체(42)의 소정부위 즉, 유입홀(42b)로부터 상기 그릴(50)의 내부 소정부위(그릴의 타측 단부에 맞닿지 않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고 배치되면 된다.) 까지에는 상기 제1수용부(31)에 공급된 물이 상기 그릴(50) 내부로 직접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소정 직경을 갖는 파이브(55)가 설치(마련)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제1수용부(31)에 공급된 물은 상기 파이프(55)가 연결된 유입홀(42b)을 통해 상기 그릴(50) 내부로 유입되고(화살표 참조) 그런 다음에는 상기 순환홀(42c)을 통해 상기 제1수용부(31)로 반복 순환되며, 이러한 순환수는 상기 제1수용부(31)에서 또다시 윗물과 순환된다. 그 이유는 상기 그릴(50) 내부를 경유하고 배출되는 물의 온도가 상기 제1수용부(31)의 상부에 잔류하는 물의 온도보다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온도차에 따라 순환하게 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최초 상기 제1수용부(31)에 공급된 물은 별도의 가열수단(미도시)을 통해 가열되는 그릴(50) 내부에서 그 온도가 상승되고, 이때의 압력도 그릴(50) 내측으로 갈수록 유입측 보다 높아지게 되는데 결국, 이와 같은 온도차와압력차에 의해 물이 자연스럽게 순환하게 되며 이렇게 물이 순환됨으로써, 상기 가열수단(미도시)을 통해 가열되는 그릴(50) 내부에 물이 마르지 않으며 그 그릴(50)이 대체로 가열수단을 통해 가열된 일정 온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그 상부에 올려놓은 고기가 눌어 붙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고기구이용 불판에 대한 동작과 그에 따른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별도의 가열수단(미도시)을 통해 그릴(50)이 가열될 시 케이스(30)의 제1수용부(31)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은 파이프(55)를 통해 그릴(50) 내부로 직접 유입되며 이때, 상기 제1수용부(31)의 물의 온도와 압력에 비해 높은 온도와 압력을 갖는 그릴 내부의 물은 순환홀(42c)을 통해 상기 제1수용부(31)로 반복적으로 순환된다. 이와 같이 순환되는 물로 인해 발생되는 고온의 증기는 함체(40)의 상부에 마련된 증기토출용 엘보우(49)를 통해 배출된다. 이렇게 순환되는 물로 인해 상기 그릴(50) 내부의 물이 모두다 증발되지 않게 되고 상기 그릴(50)이 일정 온도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그 상면에 놓여진 고기는 눌어 붙거나 타지 않는 효과를 얻게 된다. 한편, 상기 고기로부터 발생되는 기름은 상기 그릴(50)의 상면에 대략 오목하게 "V" 형상을 갖는 줄홈(52)을 통해 기름받이부(60)로 이동하게 되어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고기를 요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일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기구이용 불판은 그릴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물 순환이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는 별도의 파이프가 내설되는 구조로 개선하여 고기가 눌어 붙지 않도록 함으로써 탄 맛이 나지 않게 하여 사용자가 고유한 맛을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술된 바와 같이 그릴에 고기가 눌어 붙지 않도록 함으로써 고기용 불판의 세척을 위해 고가의 세척장비나 별도의 세척비용이 발생하지 않아서 매우 경제적이며 대량의 세척수가 불필요하여 건강 및 환경을 보호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대체로 간단한 구조로도 물순환이 자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그릴 구조로 개선하여 취급 및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이점이 있고, 이로인해 동종업계의 고기구이용 도구 및 장비(치)에도 용이하게 적용 가능한 기대효과가 있다.

Claims (5)

  1.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소정량의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부와,
    상면에 고기가 놓여지며 상기 물저장부에 연통되어 상기 물저장부에 저장된 물이 내부의 유로를 따라 흐르다가 다시 물저장부로 자연적으로 순환되도록 하여 그 표면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고기가 눌어 붙지 않도록 하기 위한 그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용 불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저장부는 상기 물이 수용되도록 소정 면적을 가지되, 상기 개방된 상부의 소정부위를 덮도록 일측 벽체의 상단에 제1날개가 일측으로 형성되고 타측 벽체의 상단에 상기 제1날개와 동일 방향으로 제2날개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측에 설치됨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물을 최초 공급받는 제1수용부를 형성시키며 상기 그릴의 내부를 순환하고 배출되는 고온의 물이 급속도로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함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용 불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상기 케이스의 대략 중앙 부위에 배치되며 그 하단에 형성된제1절곡부를 통해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제5벽체와, 상기 제5벽체와 연장 형성되어 그 상부면을 이루는 상부벽체와, 소정길이를 가지고 상기 상부벽체의 하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케이스의 타측 벽체에 결합되는 제2절곡부와, 상기 케이스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한쌍의 양측벽체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스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용 불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의 제5벽체에는 상기 제1수용부에 공급된 물이 상기 그릴 내부로 직접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홀과 상기 그릴의 내부를 순환하고 배출되는 물이 상기 함체를 경유하면서 상기 제1수용부로 재차 순환되도록 하기 위한 순환홀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타측 벽체에는 상기 그릴이 연통되도록 하기 위한 연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용 불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5벽체의 유입홀로부터 상기 그릴 내부의 소정부위 까지에는 상기 제1수용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그릴 내부에 직접 공급하기 위한 파이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구이용 불판.
KR20-2003-0029821U 2003-09-20 2003-09-20 고기구이용 불판 KR2003372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821U KR200337201Y1 (ko) 2003-09-20 2003-09-20 고기구이용 불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821U KR200337201Y1 (ko) 2003-09-20 2003-09-20 고기구이용 불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7201Y1 true KR200337201Y1 (ko) 2003-12-31

Family

ID=49341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9821U KR200337201Y1 (ko) 2003-09-20 2003-09-20 고기구이용 불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720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617B1 (ko) 2011-10-14 2013-07-22 이욱우 열전도체가 구비된 수냉식 불판
KR101288618B1 (ko) * 2011-06-01 2013-07-22 이욱우 급속가열 및 소음이 제거되는 수냉식 불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618B1 (ko) * 2011-06-01 2013-07-22 이욱우 급속가열 및 소음이 제거되는 수냉식 불판
KR101288617B1 (ko) 2011-10-14 2013-07-22 이욱우 열전도체가 구비된 수냉식 불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7130B1 (en) Ducted smoker for barbecue grill
KR200337201Y1 (ko) 고기구이용 불판
JP4789996B2 (ja) 臭いを燃焼させるフライパン
US6848440B2 (en) Grill unit and cooking apparatus with the same
KR100642020B1 (ko) 구이장치
KR200472362Y1 (ko) 다용도 조리기
KR20110002669U (ko) 육류 구이기
KR200428739Y1 (ko) 직화구이 팬
KR200306125Y1 (ko) 구이용 불판
KR102432107B1 (ko) 구이용 불판
WO2004093567A2 (en) Multi-purpose steamer/smoker and grilling devices
KR102411433B1 (ko) 세척 기능이 구비된 에어 프라이어
KR101613633B1 (ko) 기름가이드를 구비한 숯불구이용 화로장치
AU2005100933A4 (en) Smokeless stove using infrared
KR101910953B1 (ko) 친환경 클린 로스트
KR20120008263U (ko) 세척이 용이한 다용도 구이장치
KR200189809Y1 (ko) 육류 구이판
KR200183505Y1 (ko) 음식물의 구이판
JP5977168B2 (ja) グリドル
JPH0213728A (ja) グリル調理器
KR200378543Y1 (ko) 구이용 그릴
KR20050031786A (ko) 그릴 및 이를 갖춘 조리장치
KR101666542B1 (ko) 샤브샤브 기능을 갖춘 수냉식 그릴
JP6411797B2 (ja) 加熱調理器
KR200344572Y1 (ko) 프라이팬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