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618B1 - 급속가열 및 소음이 제거되는 수냉식 불판 - Google Patents

급속가열 및 소음이 제거되는 수냉식 불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8618B1
KR101288618B1 KR1020110105251A KR20110105251A KR101288618B1 KR 101288618 B1 KR101288618 B1 KR 101288618B1 KR 1020110105251 A KR1020110105251 A KR 1020110105251A KR 20110105251 A KR20110105251 A KR 20110105251A KR 101288618 B1 KR101288618 B1 KR 101288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hamber
storage unit
noise
coo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5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4993A (ko
Inventor
이욱우
Original Assignee
이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욱우 filed Critical 이욱우
Publication of KR20120134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급속가열 및 소음이 제거되는 수냉식 불판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급속가열 및 소음이 제거되는 수냉식 불판은, 내부에 물을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물 저장부; 및 상기 물이 유동하도록 상기 물 저장부에 연결되는 다수의 물 순환관을 포함하되, 상기 물 저장부는, 상기 물이 미리 결정된 수위를 갖도록 적어도 두 개의 공간에 분리 저장되어 상호 유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저장 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기 등의 구이 시 물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열의 집중에 따라 급속 가열하면서도 물이 끊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분산시켜 소음 공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급속가열 및 소음이 제거되는 수냉식 불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급속가열 및 소음이 제거되는 수냉식 불판{A WATER-COOLING GRILL WITH CLEAR NOISE AND QUICK HEATING}
본 발명은 급속가열 및 소음이 제거되는 수냉식 불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기 등의 구이 시 적어도 두 개의 공간에 미리 결정된 수위의 물을 상호 유동하도록 분리 저장하는 물 저장부에 의해 물 순환관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최소화하면서도 열원의 열이 물 저장부의 전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급속 가열되고 소음을 줄일 수 있는 급속가열 및 소음이 제거되는 수냉식 불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판은 고기와 같은 육류를 굽기 위해 사용되는 요리도구로서 열정도율이 좋은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불판 위에 놓인 고기를 불판 하부에 설치된 숯불 등의 열원으로 가열하여 고기를 익힌다.
종래의 금속재로 이루어진 불판은, 불판에 놓인 고기가 과도한 열에 의해 가열될 때 불판에 눌어 붙거나 타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여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불판을 자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굽고자 하는 고기에 다량의 양념이 첨부된 경우에는 불판을 더 자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으로 그 사용이 기피 되고 있다.
근래에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온수순환장치를 구비하여 불판의 내부로 온수가 순환되도록 구성된 고기구이기가 제시되었다.
이와 같은 기술과 관련되어 등록특허 제800193호에 고기 구이기의 기술이 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기구이기는 불판(10), 본체(20), 연결소켓(30), 이탈방지부재(40) 및 공기조절부(5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불판(10)은 틀(12)의 내측에 온수가 순환되는 지그재그형의 순환유로관(14)이 고정되게 구비되면서 순환유로관(14)과 연통되도록 일정간격 떨어져 배치되는 유입구(16)와 배출구(18)가 각각 형성된다.
더하여, 상기 본체(20)는 상부가 개방되고, 개방된 가장자리에 플랜지부(21)가 내부에는 열원, 예컨대 숯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22)가 수용부(22)의 상부 양측에는 불판(10)이 안착되도록 단이진 안착부(2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소켓(30)은 불판(10)의 유입구(16) 및 배출구(18)와 대응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이탈방지부재(40)는 연결소켓(30)과 연결되어 안착된 불판(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작동레버(42), 한 쌍의 고정구(44) 및 탄성부재(46)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레버(42)는 대략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봉(42D)이 연장되는 수직봉(42A,42B)의 하단으로 브라켓(43)에 결합되는 수평봉(42C)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절부(50)는 본체(20)의 수용부(22)에 수용된 열원의 화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통풍구(52), 안내레일(54), 공기차단판(56) 및 개폐레버(58)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기차단판(56)은 중앙부에 통풍구(52)와 부합하는 관통공(57)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레버(58)는 플랜지부(21)를 관통하여 노출된 상태에서 본체(20)에 고정된 지지브라켓(59)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공기차단판(56)과 연결되며, 송풍팬(60)과 온도센서(62)는 외부전원과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온수순환장치가 구비된 고기구이기는, 불판에 형성되는 유입구(16)와 배출구(18)가 밀폐구조로서 연결소켓(30)과 연결되는 구성으로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비용을 상승시켜 상용화하는 문제가 있으며, 초기 순환수의 온도상승 시간 때문에 고기가 늦게 익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순환유로관(14)을 순환하는 물탱크의 물이 일정온도에 도달하는데 초기 시간이 많이 걸리고 순환유로관이 길어 고압의 펌프를 필요로 하게 되고, 순환수의 온도가 상승하여 필요 이상 상승시 냉각장치를 필요로 하며, 강제순환식이 아닌 경우에도 전체 운전에 필요로 하는 물의 양을 초기 가열해야 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국내등록특허 제10-0800193호(등록일자 2008.01.25)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고기 등의 구이 시 적어도 두 개의 공간에 미리 결정된 수위의 물을 상호 유동하도록 분리 저장하는 물 저장부에 의해 물 순환관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최소화하면서도 열원의 열이 물 저장부의 전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급속 가열되고 소음을 줄일 수 있는 급속가열 및 소음이 제거되는 수냉식 불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물을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물 저장부; 및 상기 물이 유동하도록 상기 물 저장부에 연결되는 다수의 물 순환관을 포함하되, 상기 물 저장부는, 상기 물이 미리 결정된 수위를 갖도록 적어도 두 개의 공간에 분리 저장되어 상호 유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저장 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가열 및 소음이 제거되는 수냉식 불판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저장 챔버는, 상기 물 순환관에 연결되는 제1 챔버; 및 상기 제1 챔버에 물을 공급하는 제2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 챔버는, 상기 물 저장부의 분리벽에 의해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로 분리 형성되며, 상기 분리벽은, 상기 제1 챔버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상기 제2 챔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벽은,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를 상호 일정간격 이격시켜 열전달을 방지하면서도 증기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물 저장부의 하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 저장부는, 상기 제2 챔버에 제1 연결관을 통해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용수공급조; 및 상기 제2 챔버 및 상기 제1 챔버를 상호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제2 연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수공급조는, 상기 물 저장부에 미리 결정된 수위의 물이 저장되는 경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배수하도록 마련되는 배수관을 포함하되, 상기 배수관은, 상기 물의 수위와 대응되는 높이를 갖도록 상기 용수공급조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 저장부는, 상기 물 순환관의 일측에 배치되는 하나의 물 저장부일 수 있다.
상기 물 순환관은, 상기 물 저장부 측을 향해 ‘U’자로 굴절 형성되되 상기 물 저장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연직 방향으로 하향 경사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챔버로부터 상기 제2 챔버로 이동되는 증기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물 순환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제2 챔버에 연결 형성되며 다수의 압력분사공을 갖는 압력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저장부는, 상기 물 순환관의 양측에 배치되는 두 개의 물 저장부일 수 있다.
상기 물 순환관은, 상기 물 저장부의 대향면에 연결되도록 ‘
Figure 112011080450935-pat00001
’형상으로 굴절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챔버로부터 상기 제2 챔버로 이동되는 증기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물 저장부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2 챔버에 연결 형성되며 다수의 압력분사공을 갖는 압력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저장부에 저장되는 물의 미리 결정된 수위(H)는, 상기 물 순환관에 물이 완전히 충진될 수 있을 정도의 수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챔버 및 제2 챔버를 상호 일정간격 이격 형성한 후 미리 결정된 수위의 물을 상호 유동하도록 분리 저장하는 물 저장부을 구비하는 수냉식 불판을 제공함으로써, 고기 등의 구이 시 물 저장부의 분리구조에 의해 물 순환관을 가열하는 열원의 열이 제2 챔버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1 챔버에 저장된 물을 열의 집중에 따라 급속 가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수냉식 불판은, 물 저장부의 제1 챔버 및 제2 챔버 사이에 이동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제1 챔버 내에 저장된 물이 끊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이동통로를 통해 제2 챔버로 이동된 후 분산되어 줄어들게 되므로 소음공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수냉식 불판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불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수냉식 불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수냉식 불판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수냉식 불판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불판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수냉식 불판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불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수냉식 불판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수냉식 불판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수냉식 불판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불판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수냉식 불판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불판(G)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물을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물 저장부(100)와, 물 저장부(100)에 연결되는 다수의 물 순환관(2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수냉식 불판(G)은, 물 저장부(100)의 일측에 물 순환관(200)이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물 저장부(100)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도록 내부에 저장 챔버(110)가 마련되는 구성이다. 즉, 물 저장부(100)는 직사각형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미리 결정된 수위(H)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여기서 물 저장부(100)에 저장되는 물의 미리 결정된 수위(H)는, 물 순환관(200)에 물이 완전히 충진될 수 있을 정도의 수위이다.
저장 챔버(110)는, 물 저장부(100)에 마련되는 구성으로, 물 순환관(200)에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제1 챔버(110A)와, 제1 챔버(110A)에 물을 공급하는 제2 챔버(110B)를 포함한다.
저장 챔버(110)는, 물 저장부(100)의 분리벽(112)에 의해 제1 챔버(110A) 및 제2 챔버(110B)로 분리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제1 챔버(110A) 및 제2 챔버(110B)에 물을 분리하여 저장하게 된다.
제1 챔버(110A) 및 제2 챔버(110B)는, 물 저장부(100)에 미리 결정된 수위(H)로 저장되는 물을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며, 상호 용적 차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제1 챔버(110A)는 물 순환관(200)의 전체에 물이 완전히 충진될 수 있을 정도의 물을 저장하도록 형성되며, 제2 챔버(110B)는 외부에서 물을 주입하거나 혹은 한 번의 주입으로 일정시간 동안 제1 챔버(110A)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양을 저장하도록 정형화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챔버(110A)는 제2 챔버(110B)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용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내부의 물은 열원에 의해 급속 가열되게 되고, 제2 챔버(110B)는 제1 챔버(110A)보다 상대적으로 큰 용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1 챔버(110A)로부터 후술하는 이동통로(114)를 통해 이동하는 소음을 분산시켜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물 순환관(200)의 가열에 따라 제1 챔버(110A) 내에서 발생하는 기포에 의한 소음은 제1 챔버(110A)보다 상대적으로 큰 용적을 갖는 제2 챔버(110B)로 이동되어 분산됨에 따라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분리벽(112)은, 물 저장부(100)에 마련된 저장 챔버(110)를 제1 챔버(110A) 및 제2 챔버(110B)로 분리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분리벽(112)은 저장 챔버(110)를 제1 챔버(110A) 및 제2 챔버(110B)로 분리하기 위하여 물 저장부(100)의 하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분리벽(112)은 물 저장부(100)의 하부로부터 상방으로 대략‘Π’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분리벽(112)은 저장 챔버(110)의 제1 챔버(110A) 및 제2 챔버(110B)를 상호 일정간격 이격시키면서도 제1 챔버(110A) 및 제2 챔버(110B) 사이에 증기의 이동통로(114)를 형성하도록 물 저장부(100)의 하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제1 챔버(110A)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열원의 열이 제2 챔버(110B)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제1 챔버(110A)의 물이 고온 고압으로 가열될 때 발생하는 고압의 증기가 이동통로(114)를 통해 제2 챔버(110B)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물 저장부(100)는, 제2 챔버(110B)에 제1 연결관(116)을 통해 물을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용수공급조(120)가 마련된다.
제1 연결관(116)은, 제2 챔버(110B) 및 용수공급조(120)를 상호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제1 연결관(116)은‘U’자 형상을 갖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챔버(110B) 및 용수공급조(120)의 하면을 상호 연결한다. 이에 따라 제2 챔버(110B)는 용수공급조(120) 및 제1 연결관(116)을 통해 미리 결정된 수위(H)의 물을 저장하게 된다.
아울러, 제2 챔버(110B) 및 제1 챔버(110A)는 제2 연결관(118)을 통해 상호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제2 연결관(118)은‘U’자 형상을 갖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챔버(110B) 및 제1 챔버(110A)의 하면을 상호 연결한다. 이에 따라 제1 챔버(110A)는 제2 연결관(118)을 통해 제2 챔버(110B)와 동일한 수위(H)의 물을 저장하게 된다.
용수공급조(120)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도록 형성되며 배수관(122)이 마련되는 구성이다. 용수공급조(120)는 상부가 개방되는 상자 형상의 형성되어 제2 챔버(110B)의 표면에 일체로 마련된다.
이러한 용수공급조(120)는 물 저장부(100)에 마련된 저장 챔버(110)의 제1 챔버(110A) 및 제2 챔버(110B)에 미리 결정된 수위(H)의 물이 저장되는 경우 배수관(122)을 통해 수위(H)를 벗어나는 물을 배수하도록 한다.
배수관(122)은, 일자형상을 갖는 중공 원통 형상의 구성이며, 용수공급조(120)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배수관(122)의 상단부는 물 저장부(100)에 저장된 물의 수위(H)와 대응되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배수관(122)의 상단부는 물 저장부(100)에 미리 결정된 수위(H)와 대응되는 높이를 갖도록 용수공급조(120)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용수공급조(120)에 물 저장부(100)의 미리 결정된 수위(H)를 초과하여 공급되는 물을 외부로 배수하며, 이에 따라 저장 챔버(110)의 제1 챔버(110A) 및 제2 챔버(110B)는 항상 미리 결정된 수위(H)의 물을 저장하게 된다.
물 저장부(100)는, 제1 챔버(110A)에서 이동통로(114)를 통해 제2 챔버(110B)에 저장되는 고압의 증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다수의 압력배출공(132)을 갖는 압력배출관(130)이 마련된다. 압력배출관(130)은 중공 원통 형상을 가지며 양단부가 물 저장부(100)의 저장 챔버(110)에 마련된 제2 챔버(110B)의 양측 저면을 관통하여 수용되도록 물 순환관(2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이때, 제2 챔버(110B)의 내부로 수용되는 압력배출관(130)의 양단부는 고압의 기체가 유입될 수 있는 입구를 제공하도록 제2 챔버(110B)의 저장된 물의 수위(H)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를 갖도록 한다.
이는 압력배출관(130)의 양단부를 제2 챔버(110B)의 수위(H)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마련함으로써 제2 챔버(110B)에 저장되는 고압의 기체를 압력배출관(130)의 양단부로 유입하여 압력배출공(132)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시키기 위함이다.
즉, 제1 챔버(110A)에 저장된 물은 열원의 직접 가열에 따라 물 순환관(200)을 열교환 순환하는 과정에서 고온의 증기를 발생하며, 이러한 고온의 증기는 제1 챔버(110A)에서 제2 챔버(110B)에 저장된 후 압력배출관(1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압력배출공(132)은, 압력배출관(130)으로 유입되는 고온의 증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압력배출공(132)은 압력배출관(130)의 저면을 따라 다수가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압력배출공(132)의 개수는 수냉식 불판(G)의 제조 시 증기의 발생량을 감안하여 가감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압력배출공(132)은 압력배출관(130)의 저면에 다수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물 저장부(100)에서 압력배출관(130)의 양단부로 유입되는 고온의 증기는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게 된다.
물 순환관(200)은, 물 저장부(100)에 저장되는 물의 열교환 순환 유로를 제공하도록 제1 챔버(110A)의 일측에 연결되는 구성이다. 즉, 물 순환관(200)은 물 저장부(100) 측을 향해 ‘U’자로 굴절되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가 제1 챔버(110A)의 일측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물 순환관(200)은 제1 챔버(110A)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열교환 순환 유로를 제공하면서도 물의 열교환 순환을 통해 고기를 태우지 않고 익힐 수 있을 정도의 온도로 가열되게 된다.
물 순환관(200)은, 물 저장부(100)로부터 멀어질수록 연직 방향으로 하향 경사각을 갖도록 마련되며, 이에 따라 제1 챔버(110A)에 저장된 물을 신속하게 유입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물 순환관(200)은, 물 저장부(100)의 일측에 연직 방향으로 하향 경사각을 갖도록 배치되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물 순환관(200)은 물 저장부(100)의 일측에 수평상태로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불판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불판(G)은 고기 등의 구이를 위하여 열원(310)이 제공되고 수조(320)에 물이 충진되도록 테이블(T)에 일체로 마련되는 장착부(300)에 장착된다.
즉, 수냉식 불판(G)은 압력배출관(130)이 장착부(300)의 지지돌기(301)에 지지되고 용수공급조(120)가 장착홈(302)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장착부(300)에 장착된다. 이때, 압력배출관(130)은 지지턱(303)에 지지되어 열원(310)과 일정높이로 유지된다.
수냉식 불판(G)이 장착부(300)에 장착되면, 용수공급조(120)가 장착홈(302)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스위치(304)를 동작시키게 되며, 스위치(304)는 수조(320)와 연결되는 펌프(330)를 동작시킴으로써 수조(320)와 연결된 공급관(305)을 통해 용수공급조(120)에 물(W)을 공급하게 된다.
용수공급조(120)에 물(W)이 공급되면, 용수공급조(120)는 제1 연결관(116)을 통해 제2 챔버(110B)에 물(W)을 공급하게 되고, 제2 챔버(110B)는 제2 연결관(118)을 통해 제1 챔버(110A)에 물(W)을 공급하게 되며, 제1 챔버(110A)로 공급되는 물(W)은 물 순환관(200)으로 유입되기 시작한다. 물 순환관(200)은 물 저장부(100)로부터 멀어질수록 연직 방향으로 하향 경사각을 갖도록 마련됨에 따라 물(W)이 신속하게 유입되게 된다.
이때, 용수공급조(120)에 마련된 배수관(122)은 물 저장부(100)의 미리 결정된 수위(H)를 초과하여 공급되는 물(W)을 외부로 배수하며, 이에 따라 제1 챔버(110A) 및 제2 챔버(110B)는 항상 미리 결정된 수위(H)의 물(W)을 저장하게 된다.
즉, 배수관(122)의 상단부는 물 저장부(100)의 미리 결정된 수위(H)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용수공급조(120)에 마련되어 수위(H)를 초과하여 공급되는 물(W)을 외부로 배수하게 되므로 물 저장부(100)에 마련된 저장 챔버(110)의 제1 챔버(110A) 및 제2 챔버(110B)에 상시 미리 결정된 수위(H)의 물(W)을 저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배수관(122)을 통해 배수되는 물(W)은 용수공급조(12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장착부(300)에 마련된 호퍼(306) 및 드레인관(307)에 의하여 수조(320)에 저장된다.
물 저장부(100)에 미리 결정된 수위(H)의 물(W)이 저장되면, 장착부(300)에 마련된 열원(310)은 물 순환관(200)을 가열하기 시작한다.
물 순환관(200)이 가열되면, 제1 챔버(110A)에 저장된 물(W)은 열교환 순환하여 고기를 태우지 않고 익힐 수 있을 정도의 온도로 급속 가열되게 된다.
즉, 제1 챔버(110A)는 물 순환관(200)에 물(W)을 완전히 충진시킬 수 있는 최소량의 물만을 저장하도록 제2 챔버(110B)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용적을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제1 챔버(110A)에 저장된 물(W)은 열원(310)의 열에 의해 물 순환관(200)을 열교환 순환하는 과정에서 고기를 태우지 않고 익힐 수 있을 정도의 온도로 급속 가열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제1 챔버(110A)는 물 저장부(100)에 마련된 분리벽(112)에 의해 제2 챔버(110B)와 분리 형성되며 분리벽(112)은 열원(310)의 열이 제1 챔버(110A)와 인접한 제2 챔버(110B)를 통해 수냉식 불판(G) 전체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물 순환관(200)에 대한 열의 집중을 통해 제1 챔버(110A)에 저장된 물(W)을 단시간 내에 일정이상의 온도로 급속 가열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분리벽(112)이 저장 챔버(110)의 제1 챔버(110A) 및 제2 챔버(110B)를 일정간격 이격시켜 상호 간의 열전달을 차단하도록 물 저장부(100)의 하부로부터 상방으로 ‘Π’형상을 갖도록 돌출 형성됨으로써 가능하다.
물 순환관(200)에 대한 열원(310)의 집중에 따라 제1 챔버(110A)에 저장된 물(W)이 급속 가열되면, 물(W)이 끊는 과정에서 다량의 기포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소음은 제1 챔버(110A)에서 제2 챔버(110B)로 이동된 후 분산되어 줄어들게 된다.
즉, 제1 챔버(110A)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물 저장부(100)에 마련된 이동통로(114)를 통해 제1 챔버(110A)보다 상대적으로 큰 용적을 갖는 제2 챔버(110B)로 이동되면서 자연스럽게 분산되어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수냉식 불판(G)의 사용시 발생하는 소음공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압력배출관(130)은 물 순환관(200)의 내부를 열교환 순환하는 물(W)에서 발생하는 고압의 기체인 증기를 압력배출공(132)을 통해 배출한다.
즉, 물 순환관(200)이 열원(310)에 의해 가열되는 경우 높은 온도와 압력에 의해 고온의 증기를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고온의 증기는 제1 챔버(110A)에 일시적으로 저장되면서 제2 챔버(110B)로 이동되어 압력배출관(130)의 양단부로 유입된 후 압력배출공(132)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분리벽(112)은 저장 챔버(110)의 제1 챔버(110A) 및 제2 챔버(110B)를 상호 일정간격 이격시키면서도 제1 챔버(110A) 및 제2 챔버(110B) 사이에 증기의 이동통로(114)를 형성하도록 물 저장부(100)의 하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됨에 따라 제1 챔버(110A) 내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제2 챔버(110B)로 원활한 흐름을 유지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수냉식 불판(G)은, 제1 챔버(110A) 및 제2 챔버(110B)를 상호 일정간격 이격 형성한 후 미리 결정된 수위(H)의 물(W)을 상호 유동하도록 분리 저장하는 물 저장부(100)에 의하여, 고기 등의 구이 시 물 저장부(100)의 분리구조에 의해 물 순환관(200)을 가열하는 열원(310)의 열이 제2 챔버(110B)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1 챔버(110A)에 저장된 물을 열원의 집중에 따라 고기를 태우지 않고 익힐 수 있을 정도의 온도로 급속 가열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수냉식 불판(G)은, 물 저장부(100)의 제1 챔버(110A) 및 제2 챔버(110B) 사이에 이동통로(114)를 형성함으로써, 제1 챔버(110A) 내에 저장된 물(W)이 끊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이동통로(114)를 통해 제2 챔버(110B)로 이동된 후 분산되면서 줄어들게 되므로 소음공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제1 챔버(110A) 내의 물(W)이 끊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량의 기포에 의한 소음은 물 저장부(100)에 마련된 이동통로(114)를 통해 제1 챔버(110A)보다 상대적으로 큰 용적을 갖는 제2 챔버(110B)로 이동되면서 자연스럽게 분산되어 줄어들게 되며, 이에 따라 수냉식 불판(G)의 사용 시 발생하는 소음공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불판(G)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물을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물 저장부(400)와, 물 저장부(400)에 연결되는 다수의 물 순환관(50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불판(G)은, 상호 일정간격 이격 형성되는 두 개의 물 저장부(400)가 마련되며 물 저장부(400) 사이를 물 순환관(500)으로 상호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즉, 수냉식 불판(G)은 상호 일정간격 이격 형성되는 물 저장부(400)를 상호 연결하도록 물 순환관(500)의 양단부를 물 저장부(400)에 마련된 저장 챔버(410)의 제1 챔버(410A)에 연결한다.
여기서 물 저장부(40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것이므로 이하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물 순환관(500)은, 물 저장부(400)에 저장되는 물의 열교환 순환 유로를 제공하도록 제1 챔버(410A)에 연결되는 구성이다. 즉, 물 순환관(500)은 ‘
Figure 112011080450935-pat00002
’형상으로 굴절 형성되어 그 양단부가 물 저장부(400)의 대향면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물 저장부(400) 사이에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물 순환관(500)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것이므로 이하에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물 순환관(500)은,‘
Figure 112011080450935-pat00003
’형상으로 굴절 형성되어 그 양단부가 물 저장부(400)의 대향면에 연결되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물 순환관(500)은 ‘ㅡ’자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양단부가 물 저장부(400)의 대향면에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용수공급조(420)는, 두 개의 물 저장부(400) 중에서 어느 하나의 물 저장부(400)에 마련되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용수공급조(420)는 두 개의 물 저장부(400)에 각각 마련될 수도 있다.
아울러, 압력배출관(430)은, 제2 챔버(410B)에 저장되는 고압의 증기를 배출하도록 ‘
Figure 112011080450935-pat00004
’형상으로 굴절 형성되어 그 양단부가 물 저장부(400)의 저면을 관통하여 제2 챔버(410B)에 수용되도록 마련된다.
이때, 압력배출관(430)은, 두 개의 물 저장부(400)에서 발생하는 고압의 증기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물 저장부(400)의 양단부에 배치된 뒤 제2 챔버(410B)에 연결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불판(G)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달리 상호 일정간격 이격 형성되는 두 개의 물 저장부(400)를 물 순환관(500)에 의해 상호 연결하여 물이 유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를 제외한 나머지 작용 및 효과는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물 저장부 110: 저장 챔버
110A: 제1 챔버 110B: 제2 챔버
112: 분리벽 114: 이동통로
116: 제1 연결관 118: 제2 연결관
120: 용수공급조 122: 배수관
130: 압력배출관 132: 압력배출공
200: 물 순환관

Claims (13)

  1. 내부에 물을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물 저장부; 및
    상기 물이 유동하도록 상기 물 저장부에 연결되는 다수의 물 순환관을 포함하되,
    상기 물 저장부는,
    상기 물이 미리 결정된 수위를 갖도록 적어도 두 개의 공간에 분리 저장되어 상호 유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저장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 챔버는,
    상기 물 순환관에 연결되는 제1 챔버; 및
    상기 물 저장부의 분리벽에 의해 상기 제1 챔버로부터 분리 형성되어 상기 제1 챔버에 물을 공급하는 제2 챔버를 포함하되,
    상기 분리벽은, 상기 제1 챔버에서 발생하는 증기가 상기 제2 챔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가열 및 소음이 제거되는 수냉식 불판.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벽은, 상기 제1 챔버 및 상기 제2 챔버를 상호 일정간격 이격시켜 열전달을 방지하면서도 증기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물 저장부의 하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가열 및 소음이 제거되는 수냉식 불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저장부는,
    상기 제2 챔버에 제1 연결관을 통해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용수공급조; 및
    상기 제2 챔버 및 상기 제1 챔버를 상호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제2 연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가열 및 소음이 제거되는 수냉식 불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공급조는,
    상기 물 저장부에 미리 결정된 수위의 물이 저장되는 경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배수하도록 마련되는 배수관을 포함하되,
    상기 배수관은, 상기 물의 수위와 대응되는 높이를 갖도록 상기 용수공급조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가열 및 소음이 제거되는 수냉식 불판.
  7. 제1항,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저장부는, 상기 물 순환관의 일측에 배치되는 하나의 물 저장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가열 및 소음이 제거되는 수냉식 불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물 순환관은,
    상기 물 저장부 측을 향해 ‘U’자로 굴절 형성되되 상기 물 저장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연직 방향으로 하향 경사각을 갖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가열 및 소음이 제거되는 수냉식 불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로부터 상기 제2 챔버로 이동되는 증기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물 순환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제2 챔버에 연결 형성되며 다수의 압력분사공을 갖는 압력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가열 및 소음이 제거되는 수냉식 불판.
  10. 제1항,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저장부는, 상기 물 순환관의 양측에 배치되는 두 개의 물 저장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가열 및 소음이 제거되는 수냉식 불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물 순환관은,
    상기 물 저장부의 대향면에 연결되도록 ‘
    Figure 112011080450935-pat00005
    ’형상으로 굴절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가열 및 소음이 제거되는 수냉식 불판.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챔버로부터 상기 제2 챔버로 이동되는 증기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물 저장부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2 챔버에 연결 형성되며 다수의 압력분사공을 갖는 압력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가열 및 소음이 제거되는 수냉식 불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저장부에 저장되는 물의 미리 결정된 수위는, 상기 물 순환관에 물이 완전히 충진될 수 있을 정도의 수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가열 및 소음이 제거되는 수냉식 불판.
KR1020110105251A 2011-06-01 2011-10-14 급속가열 및 소음이 제거되는 수냉식 불판 KR1012886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815 2011-06-01
KR20110052815 2011-06-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993A KR20120134993A (ko) 2012-12-12
KR101288618B1 true KR101288618B1 (ko) 2013-07-22

Family

ID=47903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251A KR101288618B1 (ko) 2011-06-01 2011-10-14 급속가열 및 소음이 제거되는 수냉식 불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86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36401A (zh) * 2016-12-23 2018-07-03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料理机的制浆方法
CN108236395A (zh) * 2016-12-23 2018-07-03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料理机的制浆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201Y1 (ko) * 2003-09-20 2003-12-31 강성산 고기구이용 불판
KR20040071025A (ko) * 2003-02-06 2004-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릴 및 이를 갖춘 조리장치
KR100496602B1 (ko) * 2003-03-28 2005-06-20 신태준 강제 물-순환식 로스터
KR100881911B1 (ko) * 2008-03-24 2009-02-06 이인재 수냉식 석쇠용 물 자동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1025A (ko) * 2003-02-06 2004-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릴 및 이를 갖춘 조리장치
KR100496602B1 (ko) * 2003-03-28 2005-06-20 신태준 강제 물-순환식 로스터
KR200337201Y1 (ko) * 2003-09-20 2003-12-31 강성산 고기구이용 불판
KR100881911B1 (ko) * 2008-03-24 2009-02-06 이인재 수냉식 석쇠용 물 자동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993A (ko)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9551B2 (en) Natural convection steam cooking device
EP0919173B1 (en) Liquid heating apparatus
KR101257483B1 (ko) 냉각기능이 개선된 수유식 튀김기
KR100878387B1 (ko) 액체 가열 조리기
JP4253036B1 (ja) 飲料ディスペンサ
KR101288618B1 (ko) 급속가열 및 소음이 제거되는 수냉식 불판
JP2018109485A (ja) 逆燃焼式燃焼装置
KR100881911B1 (ko) 수냉식 석쇠용 물 자동 공급장치
US7168425B2 (en) Cooking apparatus
KR101423187B1 (ko) 버너의 폐열회수장치
US7904974B2 (en) Device for active temperature equalization in a sauna room
KR20090082991A (ko) 전기 보일러
JP2004353970A (ja) 温水端末器
KR101288617B1 (ko) 열전도체가 구비된 수냉식 불판
US20060068068A1 (en) Accelerated steam generation method for convection steam cooking device
JP6598735B2 (ja) 暖房機器
KR101542240B1 (ko) 튀김장치
KR20160109316A (ko) 폐열 회수형 가스 조리 기구를 이용한 난방 및 급탕 시스템
JP2020094736A (ja) 加熱調理器
JP2016077425A (ja) フライヤー
JP3711093B2 (ja) 業務用スチーマー
JP2017020749A (ja) 浴室空調機
KR100766036B1 (ko) 식기세척기의 온수공급장치
JP2647459B2 (ja) 給湯装置
JP6584238B2 (ja) グリ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