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6602B1 - 강제 물-순환식 로스터 - Google Patents

강제 물-순환식 로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6602B1
KR100496602B1 KR10-2003-0019648A KR20030019648A KR100496602B1 KR 100496602 B1 KR100496602 B1 KR 100496602B1 KR 20030019648 A KR20030019648 A KR 20030019648A KR 100496602 B1 KR100496602 B1 KR 100496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laten
bucket
roast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9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4514A (ko
Inventor
신태준
Original Assignee
신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태준 filed Critical 신태준
Priority to KR10-2003-0019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6602B1/ko
Publication of KR20040084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4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6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66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4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0Symmetrical or sandwich layers, e.g. ABA, ABCBA, ABCCB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85Condensation resins of aldehydes, e.g. with phenols, ureas, melam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Landscapes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판에 물을 강제 순환시켜 냉각시킴으로써 가열된 불판으로 인해 음식물이 눌어붙고 타거나 연기가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강제 물-순환식 로스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로스터(1)는, 화력을 제공하는 수단이 장착되는 본체(10), 물이 담겨지는 물통(20), 상기 물통(20)에 저장된 물을 양수하는 펌프(30), 및 불판(40)을 포함하여, 상기 물통(20)의 물이 상기 펌프(30)에 의해 상기 불판(40)의 내부로 강제 순환하여 상기 불판(40)을 냉각시키는 강제 물-순환식 로스터로서, 상기 불판(40)은, 상기 펌프(30)에 의해 공급된 물이 유입되는 물유입공간(42)과 모여진 물이 상기 물통(20)으로 보내어지는 물배출공간(43)으로 분리 구획된 테두리(41), 및 상기 테두리(41)의 물유입공간(42)과 상기 물배출공간(43) 사이에 물이 흐르도록 연결된 관상의 그릴들(44)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물통(20)과 상기 불판(40)의 물순환라인(31)의 일측에는, 순환하는 물속으로 공기를 유입시켜 가열된 물을 냉각시키기 위한 흡기관(90)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강제 물-순환식 로스터{Forced Water Circulation-Type Roaster}
(기술분야)
본 발명은 로스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불판에 물을 강제 순환시켜 냉각시킴으로써 가열된 불판으로 인해 음식물이 눌어붙고 타거나 연기가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강제 물-순환식 로스터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육류 등 각종 요리를 조리하기 위한 조리기구로서 숯불구이 등이 가능하도록 제작된 다양한 종류의 로스터가 음식점을 중심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들 로스터를 사용함에 있어서 겪게 되는 불편함 중에 하나는 음식물이 불판에 눌어붙어 타고 연기가 나는 것이다.
이런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대책으로, 불판에 특수한 물질을 코팅시키는 방안이 가장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90897호(2002년 10월 4일 공고) 등 일부 로스터의 경우 불판 속에 물을 충전시켜 물이 자연 대류 되도록 유도함으로써 불판을 냉각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불편을 해소하고자 의도하였으나, 기존의 물 순환식 로스터(또는 불판)의 경우 물순환이 순조롭지 못하여 실질적인 물순환에 의한 냉각효과를 달성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로스터에 관련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식물이 불판에 눌어붙거나 타고 연기가 나는 것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강제 물-순환식 로스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로스터는, 화력을 제공하는 수단이 장착되는 본체; 물이 담겨지는 물통; 상기 물통에 저장된 물을 양수하는 펌프; 및 상기 펌프에 의해 공급된 물이 유입되는 물유입공간과 모여진 물이 상기 물통으로 보내어지는 물배출공간으로 분리 구획된 테두리와, 상기 테두리의 물유입공간과 상기 물배출공간 사이에 물이 흐르도록 연결된 관상의 그릴들을 구비하는 불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로스터는 상기 물통의 물이 상기 펌프에 의해 상기 불판의 내부로 강제 순환되어 상기 불판을 냉각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불판의 상기 그릴들은 상기 테두리로부터 멀어질수록 낮아지게 경사져서 그 중심부가 최저점을 이룬다.
바람직하게 상기 그릴들의 저면에는 조리되는 음식물로부터 묻은 기름을 상기 최저점으로 유도하는 유도판이 부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물통과 상기 불판 사이의 물순환라인을 선택적으로 연결 및 분리하는 불판탈착장치가 포함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불판탈착장치는, 지지판, 지지판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물유입공간의 입구와 연결되는 유입관과 상기 물배출공간의 출구와 연결되는 배출관, 상기 유입관과 상기 배출관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상기 유입관과 상기 배출관이 상기 불판의 입구와 출구에 밀착 지지되도록 받쳐주는 지지대, 및 상기 유입관과 상기 배출관을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에 밀착시키는 쪽으로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작동하는 캠을 구비한 핸들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불판탈착장치는 상기 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물통과 상기 불판의 물순환라인의 일측에는, 흡기관(90)을 형성하여 순환하는 물속으로 공기를 유입시켜 공기에 의해 가열된 물이 냉각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로스터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에 따른 로스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로스터의 외관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로스터의 단면도, 도3은 불판과 불판탈착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개략도, 도4는 불판의 그릴의 개략측면도, 도5는 불판의 그릴의 개략 단면도, 도6은 예시적인 불판탈착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7은 불판탈착장치를 본체에 대해 회동 개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1과 도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스터(1)는, 기본적으로 본체(10), 물통(20), 펌프(30) 및 불판(4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물통(20)의 물을 상기 펌프(30)로 펌핑하여 상기 불판(40)에 순환시켜 불판(40)을 냉각시킴으로써 음식물의 눌어붙음과 탐, 그리고 연기발생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본체(10)는 원형, 사각형 등 음식점의 식탁에 장착될 수 있는 일반적인 형성으로 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숯불(2: 또는 가스불)과 같은 화력을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 장착된다.
상기 본체(10)에는 불판(40)을 순환하는 물이 저장되는 물통(2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물통(20)은 불판(40)에 물을 원활하게 순환 공급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그 형상, 재질 및 장착 위치가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물통(20)이 본체(10)의 측면 쪽에 설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본체(10)의 저면에 설치하거나 사공간을 이용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작은 물통을 2개 이상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본체(10)에는 물통(20)의 물을 양수하는 펌프(30)가 설치되어 있다. 펌프(30)는 물통(20)의 물을 양수하여 불판(40)으로 보내고 불판(40)을 순환한 물이 다시 물통(20)으로 회수되는 물순환의 동력을 제공한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물통(20)과 불판(40) 사이의 물순환라인(31)에 펌프(30)가 설치된 것을 예시한 것이며, 펌프(30)의 설치 위치 등에도 제한이 없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도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불판(40)은 그 내부로 물이 순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불판(40)의 테두리(41)는 내부가 중공된 관부재가 사용되어 그 내부로 물이 통과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간은 펌프(30)에 의해 공급된 물이 유입되는 물유입공간(42)과 모여진 물이 상기 물통(20)으로 보내어지는 물배출공간(43)으로 예를 들어 격벽(41A)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도3은 불판(40)의 테두리(41)의 내부가 보이도록 하기 위해 테두리(41)의 상면을 제거한 상태를 상정하여 도시한 것이다.
상기 테두리(41)의 물유입공간(42)과 물배출공간(43) 사이는 음식물이 올려지는 그릴들(44)이 연결된다. 이들 그릴들(44)은 물이 통과되도록 내부가 중공(44A)된 관부재로 되어 있으며, 따라서 물유입공간(42)으로 온 물은 그릴들(44)을 통해 물배출공간(43)으로 흘러간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불판(40)이 원형인 예를 도시하였지만 사각형 등 다른 형상으로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은, 물통(20), 펌프(30) 및 불판(40)의 특징적 구조에 따라, 펌프(30)의 작동으로 물통(20)의 물이 계속적으로 불판(40)을 고속으로 순환하면서 음식물이 올려지는 그릴들(44)은 그 내부를 순환하는 물에 의해 지속적으로 냉각되고, 따라서 음식물은 아래로부터 올라오는 직화에 의해서만 익혀질 뿐 달구어진 그릴들(44)에 의해 익혀지지 않고 더불어 음식물이 불판(40)의 그릴들(44)에 눌어붙지 않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불판(40)의 그릴들(44)은, 도3이나 도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두리(41)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갈수록 낮아지게 경사져 있어서 그 한가운데가 최저점(LP)을 이루는 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이 불판의 그릴(44)을 가운데 쪽으로 낮게 형성한 것은 음식물로부터 흘러 내려 그릴(44)에 떨어진 기름(유체: DR)이 그릴(44)을 따고 중심 쪽으로 모여 중심부에서 아래로 낙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릴(44)의 중심부 쪽에서 기름이 낙하되도록 하는 구조에 부합하도록 본 발명의 로스터(1)에 투입되는 숯불(2) 등의 화력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를 비워두고 양쪽으로 투입하는 방식이 바람직하고, 상기 중심부에는 낙하된 기름을 받기 위한 기름받이통(3)을 장착할 수 있다.
그릴(44)로 흘러내린 기름이 중간에 낙하됨에 없이 그 최저점(LP)까지 잘 흘러 내려가서 상기 기름받이통(3)으로 잘 낙하되도록 하기 위해 그릴(44)의 저면에는 유도판(50)을 부착할 수 있다.
유도판(50)은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릴(44)의 저면에 부착된 판상의 부재로서 본 유도판(50)의 작용에 따라 그릴(44)을 따라 흘러 내려가는 기름은 그릴(44)과 유도판(50)의 보다 넓은 면적에 접하여 흘러가므로 그 표면장력에 의해 중간에서 낙하되지 않고 기름받이통(3)에 낙하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로스터(1)에는 상기 물통(20)과 상기 불판(40)의 물순환라인(31)을 선택적으로 연결 및 분리하는 불판탈착장치(60)가 포함된다.
불판(40)은 사용 후 세척을 해야 하고, 이런 세척을 위해서는 불판(40)을 본체(10)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판탈착장치(60)는 불판(40)을 로스터(1)의 본체(10)로부터 탈착식으로 장착 및 분리하기 위한 장치이다.
불판탈착장치(60)는 상기 불판(40)을 물순환라인에 수밀하게 결합시키고 분리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바람직하게 도3과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불판탈착장치(60)를 사용할 수 있다.
도시된 불판탈착장치(60)는, 지지판(61), 지지판(61)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물유입공간(42)의 입구(42A)와 연결되는 유입관(62)과 역시 지지판(61)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물배출공간(43)의 출구(43A)와 연결되는 배출관(63), 유입관(62)과 배출관(63)의 좌우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64), 유입관(62)과 배출관(63)이 불판(40)의 입구(42A)와 출구(43A)에 밀착 지지되도록 받쳐주는 지지대(65), 및 유입관(62)과 배출관(63)을 입구(42A)와 출구(43A)에 밀착시키는 쪽으로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작동하는 캠(66A)을 구비한 핸들(66)을 포함한다.
또한, 도6에 도시된 구체예서는 상기 유입관(62)과 배출관(63)의 좌우 이동에 정확성과 탄성적인 부드러움을 부여하기 위해, 유입관(62)과 배출관(63)을 지지대(64)로부터 이격되는 쪽으로 힘을 가하는 복원스프링(67), 유입관(62)과 배출관(63)의 좌우이동의 폭을 제한하는 스토퍼(68), 상기 캠(66A)의 작동을 유입관(62)과 배출관(63)에 전달하는 작용판(69), 및 상기 작용판(69)의 힘을 상기 유입관(62)과 배출관(63)에 부드럽게 전달하기 위한 완충스프링(7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6에서 도면부호 71은 물의 수밀을 보장하기 위한 패킹이고, 도면부호 72는 작용판(69)과 함께 이동하여 불판(40)의 격벽(41A)에 형성된 구멍(도면에서는 가려져 보이지 않음)에 삽입됨으로서 불판의 고정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하는 결합핀이다.
상기와 같은 불판탈착장치(60)의 구성에 따라, 유입관(62)과 배출관(63)의 단부와 지지대(65) 사이에 입구(42A)와 출구(43A)가 위치하도록 불판(40)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핸들(66)을 회전시키면, 상기 캠(66A)의 작용으로 작용판(69)이 불판(40)쪽으로 이동하면서 완충스프링(70)을 가압하고, 완충스프링(70)은 유입관(62)과 배출관(63)을 불판(40) 쪽으로 밀어서 유입관(62)과 배출관(63)의 단부가 입구(42A)와 출구(43A)에 수밀하게 결합되고, 결합핀(72)이 불판(40)의 구멍(보이지 않음)에 삽입된 상태로 견고하게 불판(40)이 불판탈착장치(6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도6A).
이런 수밀한 상태의 결합이 완성되면 도시되지 않은 예를 들어 리미트 스위치가 펌프(30)의 회로를 연결하여, 임의의 다른 스위치가 오프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면 펌프(30)가 작동되도록 한다.
역으로 상기 핸들(66)을 반대로 또는 계속 회전시키면, 상기 캠(66A)의 작용으로 작용판(69)이 불판(40)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완충스프링(70)이 이완되고, 복원스프링(67)이 작동하면서 유입관(62)과 배출관(63)을 불판(40)으로부터 이격시켜 수밀한 결합관계를 해제시킨다(도6B).
이때 상기 핸들(66)을 회전시키는 순간 상기 수밀한 상태의 결합이 해제되기 전에 상기 리미트 스위치가 펌프(30)의 회로를 열어서, 다른 스위치들이 온되어 있어도 펌프(30)가 작동되지 않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불판(40)과 상기 불판탈착장치(60)의 결합체는 상기 본체(1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시킬 수 있다. 즉,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판탈착장치(60)와 본체(10)를 힌지(80)로 연결하여 불판(40)이 결합된 상태의 불판탈착장치(60)를 본체(10)에 대해 회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힌지결합에 따라 숯불(2)을 갈 때 불판(40)을 불판탈착장치(60)에서 분리시킬 필요 없이 불판(40)과 불판탈착장치(60)를 들러 올려 숯불을 갈 수 있다.
바람직하게 물통(20)과 불판(40)을 연결하는 물순환라인(31)의 일측, 바람직하게 불판(40)에서 가열된 물이 물통(20)으로 돌아가는 부분의 물순환라인(31)에는 공기가 물속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흡기관(90)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순환라인(31)에 흡기관(90)을 형성함에 따라, 물이 순환라인(31)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부압에 의해 공기가 흡기관(90)을 통해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물과 함께 물통(20)으로 들어가서 기포로 방출된다. 본 구체예에서 흡기관(90)으로의 공기 흡입은 벤추리 원리에 의한 것이며, 흡기관(90)으로의 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흡기관(90)의 선단 높이는 물순환라인(31)보다 높게 설치한다. 선택적으로 흡기관(90)으로의 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흡기관(90)에 공기는 흡입시키고 물의 역류는 방지하는 밸브를 장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공기의 흡입에 따라 불판(40)을 통과하면서 가열된 물은 공기와의 접촉을 통해 냉각되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 불판(40)의 냉각에 수냉과 공냉이 모두 적용되게 되며, 따라서 냉각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고 불판 냉각에 필요한 물통(20)의 용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로스터에 의하면, 불판에 물이 강제 순환되어 불판을 냉각시킴에 따라, 불판에 음식물이 눌어붙고 타거나 연기가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불판의 냉각 과정에서 가열된 물을 공기의 흡기에 의해 냉각시킴에 따라 냉각효과를 더욱 상승시킬 수 있고, 따라서 불판 냉각에 필요한 물통의 용량을 줄일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로스터의 외관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로스터의 단면도,
도3은 불판과 불판탈착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개략도,
도4는 불판의 그릴의 개략측면도,
도5는 불판의 그릴의 개략 단면도,
도6은 예시적인 불판탈착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7은 불판탈착장치를 본체에 대해 회동 개방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발명의 로스터 10: 본체 20: 물통
30: 펌프 31: 물순환라인 40: 불판
41: 테두리 42: 물유입공간 42A: 입구
43: 물배출공간 43A: 출구 44: 그릴
45: 손잡이 50: 유도판 60: 불판탈착장치
61: 지지판 62: 유입관 63: 배출관
64: 가이드 65: 지지대 66: 핸들
66A: 캠 67: 복원스프링 68: 스토퍼
69: 작용판 70: 완충스프링 71: 패킹
72: 결합핀 80: 힌지 90: 흡기관

Claims (6)

  1. 화력을 제공하는 수단이 장착되는 본체(10), 물이 담겨지는 물통(20), 상기 물통(20)에 저장된 물을 양수하는 펌프(30), 및 불판(40)을 포함하여, 상기 물통(20)의 물이 상기 펌프(30)에 의해 상기 불판(40)의 내부로 강제 순환하여 상기 불판(40)을 냉각시키는 강제 물-순환식 로스터에 있어서,
    상기 불판(40)은, 상기 펌프(30)에 의해 공급된 물이 유입되는 물유입공간(42)과 모여진 물이 상기 물통(20)으로 보내어지는 물배출공간(43)으로 분리 구획된 테두리(41), 및 상기 테두리(41)의 물유입공간(42)과 상기 물배출공간(43) 사이에 물이 흐르도록 연결된 관상의 그릴들(4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 물-순환식 로스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20)과 상기 불판(40)의 물순환라인(31)의 일측에는, 순환하는 물속으로 공기를 유입시켜 가열된 물을 냉각시키기 위한 흡기관(9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 물-순환식 로스터.
KR10-2003-0019648A 2003-03-28 2003-03-28 강제 물-순환식 로스터 KR100496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9648A KR100496602B1 (ko) 2003-03-28 2003-03-28 강제 물-순환식 로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9648A KR100496602B1 (ko) 2003-03-28 2003-03-28 강제 물-순환식 로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4514A KR20040084514A (ko) 2004-10-06
KR100496602B1 true KR100496602B1 (ko) 2005-06-20

Family

ID=37368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9648A KR100496602B1 (ko) 2003-03-28 2003-03-28 강제 물-순환식 로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66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618B1 (ko) * 2011-06-01 2013-07-22 이욱우 급속가열 및 소음이 제거되는 수냉식 불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006B1 (ko) * 2005-02-18 2006-11-13 주식회사 웰바스 냉각 시스템을 갖춘 바비큐 그릴
KR100881911B1 (ko) * 2008-03-24 2009-02-06 이인재 수냉식 석쇠용 물 자동 공급장치
KR102014727B1 (ko) * 2018-01-08 2019-08-27 김길호 고기구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618B1 (ko) * 2011-06-01 2013-07-22 이욱우 급속가열 및 소음이 제거되는 수냉식 불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4514A (ko) 2004-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22915B1 (en) Air-based fryer
KR100642006B1 (ko) 냉각 시스템을 갖춘 바비큐 그릴
KR100743347B1 (ko) 로스터의 공기 순환시스템
RU2345695C1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ая сковорода
KR200493211Y1 (ko) 전기 그릴 팬
KR100496602B1 (ko) 강제 물-순환식 로스터
US3894482A (en) Cooking oil filtering
US6389961B1 (en) Grill plate
JP3499820B2 (ja) 排煙装置
US10143337B1 (en) Deep fryer filter
KR101414675B1 (ko) 기름과 연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는 구이장치의 하향식 배기 시스템
CN214963483U (zh) 一种便于清理的烧烤桌
KR200175602Y1 (ko) 불판 냉각장치를 구비한 육류구이기
CN217937935U (zh) 一种电水壶
KR200353487Y1 (ko) 두개의 보조판을 갖는 고기구이판
KR101331526B1 (ko) 숯불구이용 구이기
KR102639474B1 (ko) 수조 테이블
KR200335317Y1 (ko) 무연로스터
KR200169924Y1 (ko) 고기 구이기
CN201101441Y (zh) 具有漏水孔结构的煎烤器
KR200334096Y1 (ko) 육류구이용 로스터의 연기배출장치의 기름받이부
CN208237925U (zh) 一种多功能燃气炉
KR20090008382U (ko) 구이판 및 이 구이판을 이용한 연기배출장치
CN117502902A (zh) 一种电水壶
KR200297828Y1 (ko) 기름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유도관을 구비한 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