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6793Y1 - 케이스가 없는 차동기구를 구비한 트랜스미션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스가 없는 차동기구를 구비한 트랜스미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793Y1
KR200336793Y1 KR20-2003-0028901U KR20030028901U KR200336793Y1 KR 200336793 Y1 KR200336793 Y1 KR 200336793Y1 KR 20030028901 U KR20030028901 U KR 20030028901U KR 200336793 Y1 KR200336793 Y1 KR 2003367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haft
coupled
double tandem
bear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89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웨이진
양밍쑤
왕유지앙
왕윙푸
리앙빈
판용게
판웬빈
자오펭
Original Assignee
신지앙 셍셍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지앙 셍셍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신지앙 셍셍 컴퍼니 리미티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7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7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F16H48/06Differential gearings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16H3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 F16H37/06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 F16H37/08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with differential gearing
    • F16H37/0806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with differential gearing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 F16H37/0813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arrangements for dividing torque between two or more intermediate shafts with differential gearing with a plurality of driving or driven shafts with only one input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1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differential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3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for driving both front and rear wheels, e.g. four wheel drive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hanging number of driven wheels, for switching from driving one axle to driving two or more axles
    • B60K23/08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hanging number of driven wheels, for switching from driving one axle to driving two or more axles for varying torque distribution between driven axles, e.g. by transfer clut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233Plurality of counter shaf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293Longitudinally slidable
    • Y10T74/19298Multiple spur gears
    • Y10T74/19316Progres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네 바퀴를 구동시키기 위해 종래에 전방축과 후방축에 설치된 두 개의 차동기구 대신에 케이스가 없는 차동기구를 구비한 자동차용 트랜스미션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트랜스미션 장치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자동차의 섀시와 지면 간의 유격을 증대시키도록 한다. 본 고안의 트랜스미션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의 성능은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스가 없는 차동기구를 구비한 트랜스미션 장치 {Transmission mechanism with a caseless differential mechanism}
본 고안은 자동차의 트랜스미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가 없는 차동기구를 구비한 트랜스미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동기어 잠금 제한기구(differential gear lock limiting mechanism}를 구비한 많은 트랜스미션 장치가 자동차에 사용되어 왔는데, 이것은 자동차가 푸석푸석한 토양이나 구릉지대와 같은 연약한 도로 위를 주행할 때, 차량의 두 바퀴가 동시에 지면과 마찰력을 잃어 미끄러지는 경우를 대비한 것이다. 상기 차동기어 잠금 제한기구는 서로 다른 회전속도의 두 바퀴를 제한함으로써 차량의 차동기어를 잠글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두 축 중에서 구동측의 축이 일체로되고, 자동차는 일렬로 구동될 수 있다. 더욱이, 종래의 차동기어 잠금 제한기구는 매우 복잡하고, 고가이며 유지 또한 용이하지 않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트랜스미션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트랜스미션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1에 도시된 트랜스미션 장치의 축의 위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트랜스미션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트랜스미션 장치는, 그 상부에 설치된 제1 베어링 브라켓과, 그 하부에 설치된 제2 베어링 브라켓과, 그 좌측에 설치된 제3 베어링 브라켓과, 제 우측에 설치된 제4 베어링 브라켓을 포함하는 구동 하우징; 우측 베벨기어와, 좌측 베벨기어와, 링기어를 가지는 케이스가 없는 차동기구; 상기 구동 하우징의 제1 베어링 브라켓 내에 장착된 구동력 입력축; 상기 구동력 입력축 상에 장착된 제1 이중 탠덤 기어; 상기 구동력 입력축의 중간 부분에 장착된 제2 이중 탠덤 기어; 상기 구동력 입력축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슬라이딩기어; 상기 제3 베어링 내에 장착된 후방 우바퀴 출력축; 상기 후방 우바퀴 출력축 상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이중 탠덤 기어와 치합되는 제4 기어; 상기 후방 우바퀴 출력축 상에 장착되어 상기 제2 이중 탠덤 기어 및 상기 제1 기어와 치합하는 제3 이중 탠덤 기어; 상기 제4 베어링 브라켓 내에 장착되며, 그 위에 상기 케이스가 없는 차동기구가 장착되는 주축; 상기 좌측 베벨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이중 탠덤 기어와 치합되는 제5 기어; 상기 우측 베벨기어와 결합된 제6 기어; 상기 제2 베어링 브라켓 내에 장착된 추진축; 상기 추진축의 축슬리이브 상에 장착된 제2 슬라이딩기어; 상기 추진축에 고정된 제3 슬라이딩기어; 상기 추진축에 결합된 슬라이딩가능한 연결부재; 상기 슬라이딩가능한 연결부재에 결합된 전방 좌바퀴 출력축; 및 상기 슬라이딩가능한 연결부재에 결합된 전방 우바퀴 출력축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력 입력축이 구동될 때, 상기 제1 슬라이딩기어가 상기 제3 이중 탠덤 기어 또는 제2 이중 탠덤 기어 중 어느 하나와 치합하도록 조정되고, 그에 따라 자동차가 서로 다른 속도를 얻으며, 자동차의 동일 측면에 위치한 바퀴들은 동시에 구동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5 기어는 상기 좌측 베벨기어로부터 연장된 좌축 슬리이브 상에 장착되고, 상기 우측 베벨기어로부터 연장된 우축 슬리이브 상에는 제6 기어가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이중 탠덤 기어는, 상기 제1 슬라이딩기어의 반대측에 위치하며 상호 치합된 제2 대경기어 및 내부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이중 탠덤 기어는, 상기 제1 슬라이딩기어 및 상기 제2 이중 탠덤 기어의 제2 대경기어와 각각 치합하는 제3 대경기어 및 제3 소경기어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이중 탠덤 기어는, 상기 제5 기어 및 제4 기어에 각각 치합되는 제1 대경기어 및 제1 소경기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슬라이딩기어와 상기 슬라이딩가능한 연결부재 각각은 그 외주면에 포크와 결합되는 홈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슬라이딩기어는 상기 구동력 입력축에 키홈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방 좌바퀴 출력축은 상기 전방 우바퀴 출력축 내에 장착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과 특징 및 효과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트랜스미션 장치(100)는 구동 하우징(21), 후방 우바퀴 출력축(3), 구동력 입력축(1), 주축(10), 전방 좌바퀴 출력축(14), 전방 우바퀴 출력축(15), 추진축(12), 상기 구동 하우징(21)의 우측에 장착되며 우측 베벨기어(9), 좌측 베벨기어(18) 및 링기어(17)를 구비하는 케이스가 없는 차동기구(19)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하우징(21)은 그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베어링 브라켓(211)과, 그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베어링 브라켓(212)과, 그 좌측에 위치하는 제3 베어링 브라켓(213)과, 그 우측에 위치하는 제4 베어링 브라켓(216)을 가진다.
상기 구동력 입력축(1)은 제1 커넥팅부재(214)에 의해 자동차의 엔진(미도시)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베어링 브라켓(211) 내에 장착되어 있다. 제1 대경기어(203)와 제1 소경기어(201)를 가지는 제1 이중 탠덤 기어(2)는 상기 입력축(1)에 볼 베어링(207)(209)을 통해 결합된다. 제1 슬라이딩기어(7)는 제1 스프라인(72)에 의해 상기 구동력 입력축(1)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입력축(1)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제2 대경기어(503)와 제2 소경기어(501)를 가지는 제2 이중 탠덤 기어(5)는 두 개의 볼 베어링(507)(509)를 통해 상기 입력축(1)에 결합되며, 상기 제1 기어(7)와 제1 이중 탠덤 기어(2)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2 이중 탠덤 기어(5)는 상기 제2 대경기어(503)의 측면으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기어(7)와 결합하기 위한 내부기어(502)를 포함한다.
상기 후방 우바퀴 출력축(3)은 제1 커넥팅부재(215)에 의해 자동차의 후방 우측 바퀴(미도시)에 결합되며, 상기 제3 베어링 브라켓(213) 내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4 기어(4)는 제2 스프라인(407)을 통해 상기 후방 우바퀴 출력축(3)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이중 탠덤 기어(2)의 제1 소경기어(201)와 맞물린다. 또한, 상기 제1 슬라이딩기어(7)와 제2 이중 탠던 기어(5)의 제2 대경기어(503)와 각각 치합되는 제3 대경기어(603)와 제3 소경기어(601)를 포함하는 제3 이중 탠덤 기어(6)는 롤러 베어링(607)과 볼 베어링(609)에 의해 상기 후방 우바퀴 출력축(3)에 장착된다.
본 고안에 따른 케이스가 없는 차동기구(19)의 구성요소는 이하에 설명된 것을 제외하고는 종래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다. 주축(10)은 상기 제4 베어링 브라켓(216)내에 장착된다. 상기 우측 베벨기어(9)와 좌측 베벨기어(18)는 상기 주축(10) 상에 결합된다. 좌축 슬리이브(181)가 상기 좌측 베벨기어(18)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주축(10) 상에 결합된다. 상기 제1 이중 탠덤 기어(2)의 제1 대경기어(203)와 치합하기 위한 제5 기어(20)가 제3 스프라인(201)에 의해 상기 축 슬리이브(181)에 장착되어 있다. 제6 기어(8)는 상기 우측 베벨기어(9)의 우축 슬리이브(19)상에 제4 스프라인(81)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제2 이중 탠덤 기어(5)의 제2 소경기어(501)와 결합하는 상기 차동기구(19)의 링기어(17)는 케이스가 없는 차동기구(19)의 유성기어(171) 외주부에 고정된다.
상기 추진축(12)은 상기 제2 베어링 브라켓(212) 내에 장착되어, 제7 베어링브라켓(22)에 의해 지지된 채로 슬라이딩가능한 연결부재(13)와 동심으로 결합된다. 상기 제5 기어(20)와 치합되는 제2 슬라이딩기어(16)는 제5 스프라인(161)에 의해 상기 추진축(12)의 축 슬리이브(121)에 장착된다. 상기 제6 기어(8)와 치합되는 제3 슬라이딩 기어(11)는 제6 스프라인(111)에 의해 상기 추진축(12)의 우측부에 장착된다. 상기 슬라이딩가능한 연결부재(13)는 상기 전방 좌바퀴 출력축(14)을 전방 우바퀴 출력축(15)에 결합시키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전방 좌바퀴 출력축(14)은 상기 전방 우바퀴 출력축(15) 내에 장착된다.
상기 제1 슬라이딩기어(7)와 상기 슬라이딩가능한 연결부재(13)의 외주면에는 홈(71)과 (131)이 각각 마련되어, 구동 하우징(21) 외부로 연장된 포크(fork)(미도시)와 결합한다.
그러면, 본 고안에 따른 트랜스미션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구동력은 구동력 입력축(1)을 통해 상기 제1 슬라이딩기어(7)로 전달된다. 상기 제1 슬라이딩기어(7)가 슬라이딩하면, 그것은 상기 제3 이중 탠덤 기어(6)의 제3 대경기어(603) 또는 상기 제2 이중 탠덤 기어(5)의 내부기어(502) 중 어느 하나와 치합하도록 규제되어 차량이 서로 다른 속도를 얻도록 한다. 상기 제2 이중 탠덤 기어(5)의 제2 소경기어(501)를 통해 상기 구동력은 케이스가 없는 차동기구(19)의 링기어(17)로 전달되어 상기 케이스가 없는 차동기구(19)를 회전시킨다.
상기 케이스가 없는 차동기구(19)를 통한 구동력은 상기 우측 베벨기어(9)와 좌측 베벨기어(18)에 의해 두 부분으로 나뉘어진다. 상기 우측 베벨기어(9)를 통한 구동력은 우측 바퀴에 결합된 후방 우측 출력축(미도시)에 직접적으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 우측 베벨기어(9)는 상기 제6 기어(8)와 제3 슬라이딩기어(11)를 통해 추진축(12)을 구동하여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회전하는 추진축(12)이 상기 추진축(12) 및 축(14)과 결합된 슬라이딩가능한 연결부재(13)를 통해 상기 전방 좌바퀴 출력축(14)을 구동 회전시킨다.
상기 좌측 베벨기어(18)를 통한 구동력은 다시 하위의 두 부분으로 나뉜다. 상기 좌측 베벨기어(18)에 키홈 결합된 제5 기어(20)는 상기 제2 슬라이딩기어(16) 및 상기 제1 이중 탠덤 기어(2)와 치합한다. 상기 하위로 나뉘어진 구동력은 상기 축 슬리이브(121)로 전달되어, 상기 슬라이딩가능한 연결부재(13)를 통해 상기 전방 우바퀴 출력축(15)을 구동시킨다. 또한, 하위로 나뉘어진 또 다른 부분의 구동력은 상기 제2 이중 탠덤 기어(4)를 통해 상기 후방 우바퀴 출력축(3)으로 전달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두 개의 전방 출력축(14)(15)은 상기 슬라이딩가능한 연결부재(13)를 규제함으로써 구동하도록 조정되고, 상기 두 개의 후방 출력축은 동일한 방식으로 구동된다. 본 고안에 따른 차동기구(19)에 따르면, 같은 측에 있는 바퀴들은 동시에 구동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트랜스미션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가 연약한 도로 위를 주행할 때, 바퀴가 미끄러지거나 지면에 대한 마찰력을 상실한다고 하더라도, 미끄러지는 바퀴가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엔진의 출력이 감소하지 않을 것이다. 반면에, 같은 측에 위치한 미끄러짐이 없는 바퀴들은 동일한 측면 베벨기어에 의해 제어되므로 계속 구동될 수 있다. 또 다른 측에 있는 다른 두 개의 바퀴는 또 다른 측면베벨기어에 의해 제어되므로 차량은 정상적으로 주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동일한 측면에 위치한 두 개의 바퀴가 동시에 미끄러질 때, 자동차는 동일 측면에 위치한 다른 두 개의 미끄러짐이 없는 바퀴에 의해 주행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측면에 위치한 두 개의 바퀴가 미끄러질 경우에는 서로 측면에 위치한 미끄럼이 없는 다른 두 개의 바퀴에 의해 주행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트랜스미션 장치는 네 바퀴를 구동하기 위해 종래 앞축과 뒤축에 설치된 두 개의 차동기구를 사용하는 대신에 케이스가 없는 차동기구를 사용한다. 따라서, 트랜스미션 장치의 구조가 간편하여 차량의 섀시(chassis)와 지면 사이의 유격을 증가시킬 수 있다. 나아가, 케이스가 없는 차동기구는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의 속도를 서로 다르도록 한다. 따라서, 차량의 성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운전 또한 부드럽게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상기 명세서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사상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7)

  1. 그 상부에 설치된 제1 베어링 브라켓(211)과, 그 하부에 설치된 제2 베어링 브라켓(212)과, 그 좌측에 설치된 제3 베어링 브라켓(213)과, 그 우측에 설치된 제4 베어링 브라켓(216)을 포함하는 구동 하우징(21);
    우측 베벨기어(9)와, 좌측 베벨기어(18)와, 링기어(17)를 가지는 케이스가 없는 차동기구(19);
    상기 구동 하우징(21)의 제1 베어링 브라켓(211) 내에 장착된 구동력 입력축(1);
    상기 구동력 입력축(1) 상에 장착된 제1 이중 탠덤 기어(2);
    상기 구동력 입력축(1)의 중간 부분에 장착된 제2 이중 탠덤 기어(5);
    상기 구동력 입력축(1)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슬라이딩기어(7);
    상기 제3 베어링(213) 내에 장착된 후방 우바퀴 출력축(3);
    상기 후방 우바퀴 출력축(3) 상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이중 탠덤 기어(2)와 치합되는 제4 기어(4);
    상기 후방 우바퀴 출력축(3) 상에 장착되어 상기 제2 이중 탠덤 기어(5) 및 상기 제1 기어(7)와 치합하는 제3 이중 탠덤 기어(6);
    상기 제4 베어링 브라켓(216) 내에 장착되며, 그 위에 상기 케이스가 없는 차동기구(19)가 장착되는 주축(10);
    상기 좌측 베벨기어(18)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이중 탠덤 기어(2)와 치합되는 제5 기어(20);
    상기 우측 베벨기어(9)와 결합된 제6 기어(8);
    상기 제2 베어링 브라켓(212) 내에 장착된 추진축(12);
    상기 추진축(12)의 축 슬리이브(121) 상에 장착된 제2 슬라이딩기어(16);
    상기 추진축(12)에 고정된 제3 슬라이딩기어(11);
    상기 추진축(12)에 결합된 슬라이딩가능한 연결부재(13);
    상기 슬라이딩가능한 연결부재(13)에 결합된 전방 좌바퀴 출력축(14); 및
    상기 슬라이딩가능한 연결부재(13)에 결합된 전방 우바퀴 출력축(15)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력 입력축(1)이 구동될 때, 상기 제1 슬라이딩기어(7)가 상기 제3 이중 탠덤 기어(6) 또는 제2 이중 탠덤 기어(5) 중 어느 하나와 치합하도록 조정되고, 그에 따라 자동차가 서로 다른 속도를 얻으며, 자동차의 동일 측면에 위치한 바퀴들은 동시에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랜스미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기어는 상기 좌측 베벨기어(18)로부터 연장된 좌축 슬리이브(181) 상에 장착되고, 상기 우측 베벨기어(9)로부터 연장된 우축 슬리이브 상에는 제6 기어(8)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랜스미션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중 탠덤 기어(5)는, 상기 제1 슬라이딩기어(7)의 반대측에 위치하며 상호 치합된 제2 대경기어(503) 및 내부기어(502)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이중 탠덤 기어(6)는, 상기 제1 슬라이딩기어(7) 및 상기 제2 이중 탠덤 기어(5)의 제2 대경기어(503)와 각각 치합하는 제3 대경기어(603) 및 제3 소경기어(60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랜스미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중 탠덤 기어(2)는, 상기 제5 기어(20) 및 제4 기어(4)에 각각 치합되는 제1 대경기어(203) 및 제1 소경기어(20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랜스미션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딩기어(7)와 상기 슬라이딩가능한 연결부재(13) 각각은 그 외주면에 포크와 결합되는 홈(71) 및 (13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랜스미션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딩기어(7)는 상기 구동력 입력축(1)에 키홈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랜스미션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좌바퀴 출력축(14)은 상기 전방 우바퀴 출력축(15) 내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랜스미션 장치.
KR20-2003-0028901U 2002-09-12 2003-09-08 케이스가 없는 차동기구를 구비한 트랜스미션 장치 KR20033679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02253903.4 2002-09-12
CN02253903U CN2570085Y (zh) 2002-09-12 2002-09-12 无壳式差速器的差速分动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6793Y1 true KR200336793Y1 (ko) 2004-01-03

Family

ID=27794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8901U KR200336793Y1 (ko) 2002-09-12 2003-09-08 케이스가 없는 차동기구를 구비한 트랜스미션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840881B2 (ko)
JP (1) JP3100402U (ko)
KR (1) KR200336793Y1 (ko)
CN (1) CN2570085Y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93737A (zh) * 2020-11-11 2021-01-08 山东光普太阳能工程有限公司 一种流水线快慢速调节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570543Y (zh) * 2002-09-12 2003-09-03 新疆升晟股份有限公司 四轮差速分动装置
CN2570086Y (zh) * 2002-09-12 2003-09-03 新疆升晟股份有限公司 单个差速器的差速分动装置
US7828930B2 (en) * 2007-11-20 2010-11-09 International Paper Company Use of polysulfide in modified cooking
DE102008021134A1 (de) * 2008-04-28 2009-10-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Schaltgetriebe für ein Kraftfahrzeug
CN102189928A (zh) * 2010-03-14 2011-09-21 贾新成 一种节油的汽车四驱系统
DE102010040883A1 (de) * 2010-09-16 2012-03-22 Zf Friedrichshafen Ag Verteilergetriebe
CN102619938A (zh) * 2012-04-10 2012-08-01 张柱芬 一种拖拉机的前后驱动分动箱
CN103089962B (zh) * 2013-01-07 2017-02-08 薛江涛 一种行星差变速机构
CN103464980B (zh) * 2013-09-13 2016-04-13 郑州机械研究所 多框架面板组合式平行轴齿轮箱箱体的加工工艺
CN108353634B (zh) * 2018-05-18 2023-10-20 青岛理工大学 单电机多关节行走式柔性水果采摘设备
CN109050943A (zh) * 2018-09-14 2018-12-21 汉中天行智能飞行器有限责任公司 一种机械式同步器
CN112032275B (zh) * 2019-06-03 2021-07-20 哈尔滨工业大学 一种机械式四轴差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05586A (en) * 1952-05-14 1957-09-10 Harry G Lucas Transfer case application
US3753376A (en) * 1971-02-09 1973-08-21 Engesa Engenheiros Especializa Transfer and differential reduction box for motor vehicles
US4055091A (en) * 1972-08-31 1977-10-25 Ker-Train Systems N.V. Variable output transmission
US5381766A (en) * 1993-11-05 1995-01-17 Sakita; Masami Rotary piston eng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93737A (zh) * 2020-11-11 2021-01-08 山东光普太阳能工程有限公司 一种流水线快慢速调节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40881B2 (en) 2005-01-11
CN2570085Y (zh) 2003-09-03
JP3100402U (ja) 2004-05-20
US20040050196A1 (en) 2004-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8463A (en) Torque distributing mechanism for differential
KR200336793Y1 (ko) 케이스가 없는 차동기구를 구비한 트랜스미션 장치
JPS5932329B2 (ja) 自動車用動力分配装置
US6843748B2 (en) Transmission mechanism with a single differential mechanism for driving four wheels
JPS5823254B2 (ja) 車両用動力分割装置
KR200342145Y1 (ko) 4륜 구동을 위한 동력전달 기구
JP3100403U (ja) 単一の差動機構を有する変速機構
JP2615086B2 (ja) センターデフ付4輪駆動車
JP3100404U (ja) 4輪駆動の変速機構
JP2599271B2 (ja) 差動制限装置
CN108071768A (zh) 集成有传动齿轮的差速器座架及其制造方法
US6935979B2 (en) Transmission mechanism with a differential mechanism
JPH07167257A (ja) 4輪駆動車のデフロック切換装置
JP2003130182A (ja) 常時インターロック式万能差動伝動装置
JPS6231296Y2 (ko)
US6854359B1 (en) Transmission mechanism for driving four wheels
JPH0640998Y2 (ja) 車輌等の変速伝動装置
JPS6313937Y2 (ko)
JPS6242824Y2 (ko)
JPH0716920Y2 (ja) 4輪駆動車のセンターデフ装置
US5906558A (en) Limited slip differential for a vehicle
JP2599305B2 (ja) 4輪駆動車の動力配分制御装置
JPH0692153A (ja) 車両の駆動力伝達装置
JPH0633999A (ja) デファレンシャル装置
JPH02310129A (ja) 作業車のpto系伝動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