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6603Y1 - 자동차용 조립식 범퍼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조립식 범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603Y1
KR200336603Y1 KR20-2003-0029514U KR20030029514U KR200336603Y1 KR 200336603 Y1 KR200336603 Y1 KR 200336603Y1 KR 20030029514 U KR20030029514 U KR 20030029514U KR 200336603 Y1 KR200336603 Y1 KR 2003366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er
impact
vehicle
outside
sh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95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2003-00295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66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6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6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60R19/30Elastomer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방에 장착되는 범퍼를 복수개로 분할형성하되 각각의 연결부위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볼을 내설하여 외부로 부터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단계별로 흡수 상쇄시키도록 하여 운전자를 충돌사고로 부터 보호하고, 각종 접촉사고 등으로 인해 파손되는 일부 범퍼만 교체하여 관리유지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자동차의 전방 샤시에 장착되어 외부로 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감소시키는 자동차용 범퍼에 있어서,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할형성되어 교체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부로 부터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1차로 흡수하는 외부 범퍼와, 자동차의 내부 샤시에 고정되도록 외부 범퍼와 대향되게 장착되고 외부로 부터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3차로 흡수하는 내부 범퍼와, 내부 범퍼와 외부 범퍼사이에 설치되고 외부로 부터 차체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탄성변형되어 충격을 2차로 흡수하는 완충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조립식 범퍼{assembly type bumper of motorcar}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방에 장착되는 범퍼를 복수개로 분할형성하되 연결부이에 완충수단을 내설하여 자동차의 충돌 방향 또는 외부로 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대응하여 충격을 흡수하고, 파손된 일부 범퍼만 교체가능하여 폐기되는 범퍼를 줄여 친환경적인 자동차용 조립식 범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펌퍼를 복수개로 분할형성하되 각각의 연결부위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볼을 내설하여 외부로 부터 차체(내부 샤시를 말함)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여 운전자를 충돌사고로 부터 보호하고, 각종 접촉사고 등으로 인해 파손되는 일부 범퍼만 교체하여 관리유지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조립식 범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범퍼는, 차량의 앞뒤에서 충돌 등으로 인해 외부로 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여 차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장착되는 구조물로서, 강철재의 범퍼를 차체로 부터 약간 돌출되도록 장착하였으나, 미국에서 대형 범퍼가 사용된 이후 에너지 흡수 범퍼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강성 유지 및 충격 흡수의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백비임(back beam)이 장착된 범퍼를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범퍼가 백빔과 범퍼 커버로서 이루어지고, 백빔과 범퍼 커버사이에 에너지 옵서버가 내설되며, 범퍼 커버는 리테이너에 의해 백빔에 고정되며, 백빔의 내부에는 강성 유지를 위하여 리브가 구비되며, 범퍼 커버 하부에는 외부의 공기가 엔진룸의 내부로 순환되도록 공기 유입구가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범퍼는, 자동차의 내부 샤시(1)의 전방에 형성되는 임펙트 바(2)와, 임펙트 바(2) 외측으로 열융착, 접착제 또는 체결수단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며 우레탄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범퍼 커버(3)와, 임펙트 바(2)와 범퍼 커버(3)사이에 개재되어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완화시키는 충격흡수체(4)를 구비한다.
종래 기술의 범퍼는, 전술한 범퍼 커버(3)가 자동차의 전방 및 측면에서 가해지는 충격으로 부터 차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양단부가 절곡되어 단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접촉사고 등으로 인해 범퍼 커버(3)의 좌측 또는 우측 일부가 함몰되거나 파손되는 경우 범퍼 커버(3)의 구조물 전체를 새것으로 교체하게 되므로 차량의 유지관리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충돌사고시 파손된 전술한 범퍼 커버(3)를 야적장 등에 장기간 동안 방치하여 폐기처분하게 되므로 폐기된 범퍼량 증가로 인해 환경오염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전술한 임펙트 바(2)와 범퍼 커버(3)사이에 장착되는 충격흡수체(4)가차량의 전방에 가해지는 충격만을 흡수할 수 있도록 사용되므로, 차량의 전방 측면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기능을 완전하게 수행하지 못해, 측면에서의 접촉사고시 차체의 파손 및 운전자의 상해를 초래하여 안전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주행중 접촉사고 등으로 인해 차량으로 부터 분리되는 전술한 범퍼 커버(3) 등이 통째로 도로상에 이탈되는 경우, 뒤따라오는 차량의 운전자 시야 간섭으로 인해 연쇄적인 교통사고를 유발함에 따라 인적 및 물적 손실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복수개로 분할형성되는 자동차용 범퍼의 연결부위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수단을 내설하여 외부로 부터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단계별로 흡수 및 상쇄시킴에 따라 운전자를 충돌사고로 부터 보호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조립식 범퍼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충격흡수용 범퍼를 복수개로 분할형성하여 각종 접촉사고로 인해 일정하중을 초과하는 충격이 가해져 파손되는 해당 범퍼만을 교체하여 차량 관리유지비용을 절감하고, 폐기되는 범퍼를 줄여 친환경분위기 조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조립식 범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충돌사고시 파괴물의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충돌에너지를 흡수함에 따라 해당부품의 비산으로 인해 주행중 뒤따라오는 차량의운전자 시야 간섭으로 인한 연쇄적인 교통사고 발생을 방지하여 물적 및 인적 손실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조립식 범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범퍼가 장착된 자동차의 요부발췌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조립식 범퍼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조립식 범퍼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조립식 범퍼가 장착된 상태의 정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조립식 범퍼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외부 범퍼
11; 전면 범퍼
12; 측면 범퍼
13,14; 외측 충격지지대
13a,14a,21a; 안착면
20; 내부 범퍼
20a; 리브
21; 내측 충격지지대
30; 충격흡수용 볼
a; 내부 샤시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전방 샤시에 장착되어 외부로 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감소시키는 자동차용 범퍼에 있어서,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할형성되어 교체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부로 부터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1차로 흡수하는 외부 범퍼와,
자동차의 내부 샤시에 고정되도록 외부 범퍼와 대향되게 장착되고, 외부로 부터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3차로 흡수하는 내부 범퍼와,
내부 범퍼와 외부 범퍼사이에 설치되고, 외부로 부터 차체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탄성변형되어 충격을 2차로 흡수하는 완충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립식 범퍼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외부 범퍼는 내부 범퍼와 대향되게 장착되는 전면 범퍼와, 전면 범퍼 좌우측에 각각 교체가능하게 결합되고 자동차의 전방 및 측면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전술한 완충수단에 의해 흡수하는 측면 범퍼로서 이루어진다.
또한, 전술한 완충수단은 내부 범퍼 내측면에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내측 충격지지대와, 내부 범퍼의 충격지지대와 대향되게 전면 범퍼와 측면 범퍼의 내측면에 각각 돌출형성되는 외측 충격지지대와, 내측 충격지지대와 외측 충격지지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호형상의 안착면에 각각 탄설지지되는 구형상의 충격흡수용 볼을 구비한다.
또한, 전술한 내부 범퍼는 외부로 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리브가 적층형성되고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충격흡수용 볼은 실리콘재로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의 샤시에 장착되어 외부로 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감소시키는 자동차용 범퍼에 적용되며, 이때 범퍼를 내부 샤시에 고정하는 기술 내용은 당해분야에서 이용하는 것이고, 자동차는 승용차, 화물차, 승합차, 트럭 등의 차량에 적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조립식 범퍼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할형성(일예로서, 3개소로 분리됨)되어 교체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부로 부터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1차로 흡수하는 외부 범퍼(10)와, 자동차의 내부 샤시(a)에 열융착, 접착제 또는 체결수단(미도시됨)에 의해 고정되도록 외부 범퍼(10)와 대향되게 장착되고 외부로 부터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3차로 흡수하며 리브(20a)가 적층형성되는 합성수지재(플라스틱재, ABS재 등을 말함)의 내부 범퍼(20)와, 내부 범퍼(20)와 외부 범퍼(10)사이에 설치되고, 외부로 부터 차체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탄성변형되어 충격을 2차로 흡수하는 완충수단을 구비한다.
이때, 전술한 외부 범퍼(10)는 내부 범퍼(20)와 대향되게 장착되는 전면 범퍼(11)와, 전면 범퍼(11) 좌우측에 각각 교체가능하게 슬라이딩결합되고 자동차의 전방 및 측면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내부에 설치되는 전술한 완충수단에 의해 흡수하는 측면 범퍼(12)로서 이루어진다.
또한, 전술한 완충수단은 내부 범퍼(20) 내측면에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내측 충격지지대(21)와, 내부 범퍼(20)의 내측 충격지지대(21)와 대향되게 전면 범퍼(11)와 측면 범퍼(12)의 내측면에 각각 돌출형성되는 외측 충격지지대(13,14)와, 내측 충격지지대(21)와 외측 충격지지대(13,14)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호 형상의 안착면(21a,13a,14a)에 각각 탄설지지되며 외부로 부터 외부 범퍼(1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탄성변형되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실리콘재로 모듈화형성되는 구형상의 충격흡수용 볼(30)을 구비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조립식 범퍼의 작동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중, 주차중 또는 정차중 외부로 부터 충격이 자동차의 정면으로 가해지는 경우 전술한 외부 범퍼(10)의 전면 범퍼(11)에서 1차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한편 외부로 부터 충격이 자동차의 측면에 가해지는 경우 전술한 전면 범퍼(11) 좌우측에 교체가능하게 슬라이딩결합되는 측면 범퍼(12)에서 1차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외부 범퍼(10)에서 완전하게 흡수되지않은 충격은 전술한 내부 범퍼(20)와 외부 범퍼(10)사이에 설치된 완충수단에 의해 2차로 흡수하게 된다. 즉 내부 범퍼(20)의 외측면에 돌출형성된 내측 충격지지대(21)와, 전면 범퍼(11)와 측면 범퍼(12)의 내측면에 각각 돌출형성된 외측 충격지지대(13,14)의 안착면(21a,13a,14a)에 각각 안착지지되는 충격흡수용 볼(30)의 탄성변형 또는 파손됨에 의해 충격을 2차로 흡수하게 된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충격흡수용 볼(30)에서 흡수되지않은 충격은 전술한 리브(20a)가 적층형성되며 내부 샤시(a)에 고정되는 합성수지재의 내부 범퍼(20)에서 3차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부터 외부 범퍼(10)에 가해지는 충격이 설정된 하중치를 초과하는 경우 전술한 외부 범퍼(10)가 충격으로 인해 파손되어진다. 이때 충격흡수용 범퍼가 자동차의 내부 샤시(a)에 고정되는 내부 범퍼(20)에 대해 고정지지되는 외부 범퍼(10)가 전면 범퍼(11)와 측면 범퍼(12)로서 분리형성되어 결합되고, 전술한 충격흡수용 볼(30)의 완충역할로 인해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게 되므로 충격으로 인해 파손되는 범퍼의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내부 범퍼(20)와 외부 범퍼(10)사이에 설치된 충격흡수용 볼(30)이 충격으로 인해 탄성변형되거나 일부 파손된 경우, 외부 충격에 대해 완충기능이 저하되므로 새것으로 교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충격흡수용 볼(30)은 모듈화 형성되므로 차종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어 대량생산으로 인해 가격을 낮추고,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으로 인해 범퍼중 외부 범퍼(10)를 형성하는 전면 범퍼(11) 또는 측면 범퍼(12)가 파손되는 경우, 내부 샤시(a)에 고정된 내부 범퍼(20)에 대해 파손된 전면 범퍼(11) 또는 측면 범퍼(12)만을 새것으로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로 부터 충격이 자동차의 범퍼에 가해지는 경우 전술한 외부 범퍼(10)에서 1차로 흡수하고, 전술한 외부 범퍼(10)와 내부 범퍼(20)사이에 설치되는 충격흡수용 볼(30)에서 2차로 흡수하며, 전술한 내부 범퍼(20)에서 3차로 흡수하게 되므로, 접촉사고 등으로 인해 범퍼에 가해지는 충격이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켜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외부로 부터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해 범퍼가 파손되는 경우 3개소로분할형성된 범퍼중 파손되는 해당 범퍼만을 교체하게 되므로, 자동차 관리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폐기되는 범퍼량을 줄임에 따라 친환경분위기 조성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충격흡수용 범퍼를 2개소로 분할형성하여 접촉사고 등으로 인해 범퍼 일부가 파손되는 경우 파손된 해당 범퍼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변형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조립식 범퍼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복수개로 분할형성되는 자동차용 범퍼의 연결부위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수단을 내설하여 외부로 부터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단계별로 흡수 및 상쇄시킴에 따라 운전자를 충돌사고로 부터 보호하여 안전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충격흡수용 범퍼를 복수개로 분할형성하여 각종 접촉사고 등으로 인해 일정하중을 초과하는 충격이 가해져 파손되는 해당 범퍼만을 교체하여 차량 관리유지비용을 절감하고, 폐기되는 범퍼를 줄여 친환경분위기 조성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충돌사고시 파괴물의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충돌에너지를 흡수함에 따라 해당 부품의 비산으로 인해 주행중 뒤따라오는 차량의 운전자 시야를 간섭함에 따른 연쇄적인 교통사고 발생을 방지하여 물적 및 인적 손실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Claims (5)

  1. 자동차의 전방 샤시에 장착되어 외부로 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감소시키는 자동차용 범퍼에 있어서: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할형성되어 교체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부로 부터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1차로 흡수하는 외부 범퍼;
    자동차의 내부 샤시에 고정되도록 상기 외부 범퍼와 대향되게 장착되고, 외부로 부터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3차로 흡수하는 내부 범퍼; 및
    상기 내부 범퍼와 외부 범퍼사이에 설치되고, 외부로 부터 차체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탄성변형되어 충격을 2차로 흡수하는 완충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립식 범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범퍼는;
    상기 내부 범퍼와 대향되게 장착되는 전면 범퍼; 및
    상기 전면 범퍼 좌우측에 각각 교체가능하게 결합되고, 자동차의 전방 및 측면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상기 완충수단에 의해 흡수하는 측면 범퍼로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립식 범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내부 범퍼 내측면에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내측 충격지지대;
    상기 내부 범퍼의 충격지지대와 대향되게 상기 전면 범퍼와 측면 범퍼의 내측면에 각각 돌출형성되는 외측 충격지지대; 및
    상기 내측 충격지지대와 외측 충격지지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호 형상의 안착면에 각각 탄설지지되는 구형상의 충격흡수용 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립식 범퍼.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부 범퍼는 외부로 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리브가 적층형성되고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립식 범퍼.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용 볼은 실리콘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립식 범퍼.
KR20-2003-0029514U 2003-09-17 2003-09-17 자동차용 조립식 범퍼 KR2003366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514U KR200336603Y1 (ko) 2003-09-17 2003-09-17 자동차용 조립식 범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514U KR200336603Y1 (ko) 2003-09-17 2003-09-17 자동차용 조립식 범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6603Y1 true KR200336603Y1 (ko) 2003-12-18

Family

ID=49341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9514U KR200336603Y1 (ko) 2003-09-17 2003-09-17 자동차용 조립식 범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660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618B1 (ko) 2007-03-26 2008-03-07 주식회사코네트인더스트리 회전 범퍼를 가진 진공 청소기
KR101980608B1 (ko) * 2019-01-16 2019-08-30 문수민 범퍼 결합 롤러를 통한 차량 안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618B1 (ko) 2007-03-26 2008-03-07 주식회사코네트인더스트리 회전 범퍼를 가진 진공 청소기
KR101980608B1 (ko) * 2019-01-16 2019-08-30 문수민 범퍼 결합 롤러를 통한 차량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231618A (ja) 自動車用外板部材
KR100588849B1 (ko) 하이브리드 타입 프론트 범퍼 빔의 구조
KR200336603Y1 (ko) 자동차용 조립식 범퍼
US6585318B1 (en) Safety seat
KR20070122301A (ko) 자동차의 범퍼
JP4293144B2 (ja) 車体構造
JP2001146140A (ja) バンパ構造
KR100717448B1 (ko) 충격흡수 기능이 있는 범퍼 스테이
KR100370940B1 (ko) 자동차용 롤러식 충격흡수 방어안전범퍼
CN211844337U (zh) 汽车防撞梁加强装置
KR102405632B1 (ko) 차량용 범퍼 지지구조
CN210062908U (zh) 用于新能源汽车的保险杠
KR200284159Y1 (ko) 자동차용 보조 범퍼
KR100440855B1 (ko) 자동차의 범퍼
KR0125720Y1 (ko) 자동차용 범퍼의 취부구조
JP4089528B2 (ja) 車両用車輪
KR100369001B1 (ko) 자동차의 범퍼
KR100189361B1 (ko) 자동차의 후방범퍼구조
KR19980039646U (ko) 자동차용 범퍼
KR19980061146U (ko) 자동차용 충격 흡수 범퍼구조
KR100187888B1 (ko) 자동차의 충격흡수용 보강판 구조
KR200213369Y1 (ko) 충격흡수구조를갖는자동차의루프사이드레일구조
KR20040083280A (ko) 자동차 범퍼용 커버
KR20050013040A (ko) 범퍼의 충격완충장치
KR19980016517A (ko) 자동차용 범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