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763Y1 - 청국장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청국장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763Y1
KR200335763Y1 KR20-2003-0030080U KR20030030080U KR200335763Y1 KR 200335763 Y1 KR200335763 Y1 KR 200335763Y1 KR 20030030080 U KR20030030080 U KR 20030030080U KR 200335763 Y1 KR200335763 Y1 KR 2003357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vessel
beans
heating vessel
hea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00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호
정병훈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300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7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7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7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콩을 쪄서 발효시켜 청국장을 제조할 수 있는 청국장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콩의 양에 따라 정해지는 물의 양을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청국장을 발효시킬 수 있는 청국장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청국장 제조장치는 뚜껑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본체 내벽에 수납되어 물이 담겨지는 가열용기와, 상기 가열용기에 수납되어 콩이 담겨지는 발효용기와, 상기 본체와 가열용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열용기를 가열시키는 히터들과, 상기 히터들의 작동을 조절하여 콩을 쪄서 발효시키는 마이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열용기는 적당량의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내벽에 높이방향으로 눈금이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청국장 제조장치 {APPARATUS FOR MAKING FERMENTED SOYBEANS}
본 고안은 콩을 쪄서 발효시켜 청국장을 제조할 수 있는 청국장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콩의 양에 따라 정해지는 물의 양을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청국장을 발효시킬 수 있는 청국장 제조장치에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국장은 콩에 많이 들어있는 아미노산과 비타민 B군을 이용하여 고초균이 자라도록 하는 발효식품으로써, 콩을 삶아 일정온도에서 일정시간 동안 숙성 및 발효시켜서 만들게 된다.
이러한 청국장을 만드는 고전적인 방법을 살펴보면, 메주콩을 깨끗이 씻어 물에 불린 후, 이를 끓는 물에 투입하여 충분히 익힌 다음, 시루나 소쿠리에 볏집을 깔고, 삶은 콩을 넣어 베보자기를 덮어 그 위에 담요로 보온시킨 상태에서 보통 40 ~ 50℃를 유지하는 따뜻한 곳에 둔다.
그리고, 2 ~ 3일이 후에 곰팡이가 피게되면 주걱으로 콩의 위,아래를 고루 뒤섞어주어 발효가 고르게 진행되도록 하루동안 더 발효시키는 과정을 통해 청국장을 얻고 있으나, 이러한 제조공정이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기에는 많은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전기히터가 내장된 가열용기 내에 콩이 담겨지는 발효용기에서 청국장이 제조되도록 하는 청국장 제조장치가 개발되었는데, 도 1을 참고로 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청국장 제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뚜껑(2)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본체(4)와, 상기 본체(4)의 내부에 수납되어 삶거나 쪄진 콩이 담겨지는 가열용기(6)와, 상기 뚜껑(2)의 내측 상면 또는 본체의 내벽(4a) 외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가열용기(6)를 가열시키는 히터들(8a,8b)과, 상기 히터들(8a,8b)의 작동을 조절하여 콩을 발효시키는 마이컴(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4)는 내부에 상기 가열용기(6)가 담겨질 수 있도록 내벽(4a)에 의해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가열용기(6)는 상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히터들(8a,8b)은 봉 형태 형성되어 상기 내벽(4a) 외둘레를 감싸도록 위치되거나, 상기 뚜껑(2)의 내측 상면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가열용기(6)는 외부에서 별도로 삶거나 쪄진 콩이 담겨진 보조용기(미도시)가 수납되고, 상기 마이컴(12)은 내부의 제어회로에 따라 상기 히터들(8a,8b)의 작동온도 및 작동시간을 조절하여 상기 가열용기(6)에 적절한 열량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보조용기에 담겨진 콩은 상기 가열용기(6)에 의해 간접적으로 가열되어 발효가 진행된다.
그러나, 종래의 청국장 제조장치는 외부에서 콩을 삶거나 쪄서 별도의 보조용기에 담은 다음, 상기 보조용기가 상기 가열용기(6)에 수납되도록 하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할 뿐 아니라 삶거나 쪄진 콩이 담겨진 보조용기를 옮겨야 됨으로 뜨거운 증기에 의해 부상의 위험성이 크며, 사용자가 콩이 충분히 익은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려우므로 청국장이 충분히 발효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콩의 양에 따라 정확한 물이 한꺼번에 투입되도록 하여 콩을 쪄서 발효시키는 일련의 과정이 한번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청국장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청국장 제조장치가 도시된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청국장 제조장치가 도시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청국장 제조장치의 가열용기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2 : 뚜껑 54 : 본체
56 : 가열용기 58 : 발효용기
62 : 가열히터 64a,64b : 보조히터
66 : 온도제어센서 68 : 마이컴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청국장 제조장치는 뚜껑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본체 내벽에 수납되어 물이 담겨지는 가열용기와, 상기 가열용기에 수납되어 콩이 담겨지는 발효용기와, 상기 본체와 가열용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열용기를 가열시키는 히터들과, 상기 히터들의 작동을 조절하여 콩을 쪄서 발효시키는 마이컴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열용기는 적당량의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내벽에 높이방향으로 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눈금이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발효용기는 상기 가열용기로부터 간접적으로 열전달이 이루어도록 하기 위하여 외측 바닥면에 하향 돌출되도록 받침판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발효용기는 증기가 통과하면서 담겨진 콩을 찔 수 있도록 그물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눈금은 상기 발효용기에 담겨진 콩이 상기 가열용기에 담겨진 물이 잠기지 않도록 상기 받침판의 상단보다 높이가 낮은 부분에만 형성되되, 상기 눈금은 콩의 양 또는 가열시간 또는 공급열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상기 히터들은 상기 가열용기의 외측 바닥면과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열용기의 바닥면을 가열시켜 콩을 쪄는 가열히터와, 상기 본체의 내벽 외측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열용기의 벽면을 가열시켜 콩을 발효시키는 보조히터들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조히터들은 상기 가열용기의 상측을 가열시키도록 상기 뚜껑 내측 상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청국장 제조장치가 도시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청국장 제조장치의 가열용기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상기 본 고안에 따른 청국장 제조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뚜껑(52)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본체(54)와, 상기 본체(54) 내부에 수납되어 물이 담겨지는 가열용기(56)와, 상기 가열용기(56)에 수납되어 콩이 담겨지는 발효용기(58)와, 상기 본체(54)와 가열용기(56)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열용기(56)를 가열시키는 히터들(62,64a,64b)과, 상기 히터들(62,64a,64b)의 작동을 조절하여 콩을 쪄서 발효시키는 마이컴(68)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뚜껑의 내측 상면(52a)과 상기 본체의 내측 바닥면(54a) 및 내벽(54b)은 열전달 효율이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뚜껑(52) 및 본체(54) 중 그 이외의 부분은 열전달 효율이 떨어지는 플라이틱 재질로 구성된다.
다음, 상기 가열용기(56)는 상면이 개방된 용기 형상으로 내벽면에 높이 방향으로 눈금(56a)이 형성되되, 상기 눈금(56a)은 적당량의 물이 공급되도록 사용자가 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눈금(56a)은 콩의 양 또는 가열시간 또는 공급열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물의 양을 결정하도록 하는데, 상기 가열용기(56) 내벽 중 일정높이 이하에만 형성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눈금(56a)은 콩의 양과 가열시간과 공급열량이 일정할 경우 하나만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발효용기(58) 역시 상기 가열용기(56)와 마찬가지로 상면이 개방된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되, 콩은 담겨지는 동시에 증기가 투과될 수 있도록 그물망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열용기(56)로부터 간접적으로 열전달이 이루어도록 하기 위하여 외측 바닥면에 하향 돌출되도록 받침판(59)이 일체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눈금(56a)은 상기 가열용기(56)의 내벽에 상기 받침판(59)의 상단보다 높이가 낮은 부분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받침판(59)보다 물이 더 많이 공급될 경우 상기 발효용기(58)에 담겨진 콩이 물에 잠기게 되어 삶아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콩에 포함된 수용성 영양분이 물에 녹아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음, 상기 히터들(62,64a,64b)은 상기 가열용기(58)의 외측 바닥면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열용기(58)의 바닥면을 가열시켜 콩을 찌는 가열히터(62)와, 상기 본체의 내벽(54b) 외측에 접하도록 내장되어 상기 가열용기(58)의 벽면을 가열시키거나 상기 뚜껑의 내측 상면(52a)에 접하도록 내장되어 상기 가열용기(58)의 상측을 가열시켜 콩을 발효시키는 보조히터들(64a,64b)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가열히터(62)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내측바닥면(54a) 위에 올려지도록 상기 가열용기(58)의 외측 바닥면에 밀착된 가열판에 내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보조히터들(64a,64b) 역시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내벽(54b) 외측을 감싸도록 밀착된 가열판에 내장되거나, 상기 뚜껑 내측 상면(52a)에 밀착된 가열판에 내장되도록 설치된다.
물론, 상기 가열히터(62)와 보조히터들(64a,64b)은 상기 마이컴(68) 내부의 제어회로에 따라 작동온도 및 작동시간이 조절되는데, 상기 히터들(62,64a,64b)의 온도를 감지하여 온도정보를 상기 마이컴(68)으로 입력하여 상기 마이컴(68)이 상기 히터들(62,64a,64b)을 제어하는데 관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발효용기(58)에 콩을 담고, 상기 본체(54)로부터 상기 뚜껑(52)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열용기(56)에 상기 눈금(56a)을 기준으로 적당량의 물을 담은 다음, 상기 발효용기(58) 및 받침판(59)을 상기 가열용기(56)에 수납하고, 상기 뚜껑(52)을 닫은 상태에서 찌는 과정과 발효 과정이 진행된다.
물론, 상기 눈금(56a)을 기준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은 콩의 양 또는 가열시간 또는 공급열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찌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마이컴(68)이 상기 가열히터(62)를 일정시간 동안 일정온도로 가열시켜 상기 가열용기(56)의 바닥면이 가열됨에 따라 상기 가열용기(56)에 담겨진 물을 끓어 증기가 발생되고, 이와 같이 발생된 증기에 의해 그물망 형상의 발효용기(58)에 담겨진 콩을 찌는데, 콩과 물의 양이 적절한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가열되기 때문에 콩이 충분하게 익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콩이 증기에 의해 찌는 과정을 거치면서 충분히 익혀지기 때문에 수용성 영양분의 손실을 줄일 수 있고, 다른 영양소의 파괴도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발효율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찌는 과정이 완료되면, 발효 과정이 진행되는데, 상기 마이컴(68)이 상기 찌는 과정보다 오랜 시간 동안 더 낮은 온도로 상기 가열히터(62) 및 보조히터들(64a,64b)을 가열시킴으로 상기 가열용기(56) 전체가 골고루 가열되면서 상기 가열용기(56) 내부가 보통 40 ~ 50℃를 유지하도록 하여 충분히 쪄진 콩의 표면에 곰팡이가 생기도록 발효시키게 된다.
물론, 상기 가열히터(62) 및 보조히터들(64a,64b)가 작동됨에 따라 상기 온도제어센서(66)에 의해 온도가 측정되어 온도정보가 상기 마이컴(68)으로 입력되고, 상기 마이컴(68)은 상기 온도제어센서(66)로부터 수신된 온도정보에 따라 상기 가열히터(62) 및 보조히터들(64a,64b)의 작동을 조절하게 되는데, 상기 가열히터(62) 및 보조히터들(64a,64b)이 적정온도(40 ~ 50℃) 미만일 경우 상기 가열히터(62) 및 보조히터들(64a,64b)로 공급되는 전원을 조절하여 적정온도(40 ~ 50℃)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가열히터(62) 및 보조히터들(64a,64b)이 적정온도(40 ~ 50℃)를 초과하여 임계온도 이상으로 과열 작동될 경우 전원을 차단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청국장 제조장치는 본체 내부에 물이담겨지는 가열용기가 수납되고, 상기 가열용기 내부에 별도로 콩이 담겨지는 발효용기가 수납되며, 상기 가열용기와 본체 사이에 각종 히터들을 구비하기 때문에 콩과 물이 별도의 공간에 담겨진 상태에서 콩을 쪄서 발효시키는 일련의 과정이 한번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부상 위험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고, 콩을 쪄서 발효시킴으로 영양분의 손실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발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청국장 제조장치는 물이 담겨지는 가열용기 내벽에 높이 방향으로 물의 양이 표시된 눈금이 형성되기 때문에 콩의 양 또는 가열시간 또는 공급열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적당량의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콩이 충분히 쪄서 익힌 상태에서 발효되도록 하여 효과적으로 청국장을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뚜껑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본체 내벽에 수납되어 물이 담겨지는 가열용기와,
    상기 가열용기에 수납되어 콩이 담겨지는 발효용기와,
    상기 본체와 가열용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열용기를 가열시키는 히터들과,
    상기 히터들의 작동을 조절하여 콩을 쪄서 발효시키는 마이컴으로 이루어진 청국장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열용기는 적당량의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내벽에 높이방향으로 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눈금이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국장 제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용기는 상기 가열용기로부터 간접적으로 열전달이 이루어도록 하기 위하여 외측 바닥면에 하향 돌출되도록 받침판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국장 제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용기는 그물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국장 제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눈금은 상기 받침판의 상단보다 높이가 낮은 부분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국장 제조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눈금은 콩의 양 또는 가열시간 또는 공급열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국장 제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들은 상기 가열용기의 외측 바닥면과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열용기의 바닥면을 가열시켜 콩을 찌는 가열히터와, 상기 본체의 내벽 외측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열용기의 벽면을 가열시켜 콩을 발효시키는 보조히터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국장 제조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히터들은 상기 가열용기의 상측을 가열시키도록 상기 뚜껑 내측 상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국장 제조장치.
KR20-2003-0030080U 2003-09-23 2003-09-23 청국장 제조장치 KR2003357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080U KR200335763Y1 (ko) 2003-09-23 2003-09-23 청국장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0080U KR200335763Y1 (ko) 2003-09-23 2003-09-23 청국장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763Y1 true KR200335763Y1 (ko) 2003-12-11

Family

ID=49420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080U KR200335763Y1 (ko) 2003-09-23 2003-09-23 청국장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76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96492A (zh) 压力烹饪器具和用于压力烹饪器具的加热控制方法
KR200365585Y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취사조절장치
KR100660693B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취사조절장치 및 그 방법
CN106175411A (zh) 烹饪器具及控制方法
KR200335763Y1 (ko) 청국장 제조장치
KR200335764Y1 (ko) 청국장 제조장치
CN206303726U (zh) 养生壶
CN207604752U (zh) 一种适合糖尿病和消化功能差的人群的多功能自动电饭锅
KR100522538B1 (ko) 다기능 중탕기 및 이를 이용한 청국장 제조방법
KR100696061B1 (ko) 현미발아방법
JP3757953B2 (ja) 炊飯器
JP5910346B2 (ja) 炊飯器
KR200349170Y1 (ko) 홍삼 제조기
KR200315463Y1 (ko) 다기능 중탕기
KR100631080B1 (ko) 간접가열식 즉석 두부 제조기
CN213850029U (zh) 一种热量循环利用的烹饪式套餐机
JP4265495B2 (ja) 炊飯器
KR200341880Y1 (ko) 청국장 제조기
KR200346934Y1 (ko) 청국장 제조기
JP2004081437A (ja) 炊飯器
KR200357125Y1 (ko) 전기압력보온밥솥
KR100531771B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현미발아 취반제어장치 및 그 방법
CN213155340U (zh) 一种多功能烹饪器具
KR20070020100A (ko)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밥솥과 그 보온방법 및도자기내솥 제조방법
KR20050102037A (ko) 식혜 제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조리기 및 이를 이용한식혜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