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9170Y1 - 홍삼 제조기 - Google Patents

홍삼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9170Y1
KR200349170Y1 KR20-2004-0004215U KR20040004215U KR200349170Y1 KR 200349170 Y1 KR200349170 Y1 KR 200349170Y1 KR 20040004215 U KR20040004215 U KR 20040004215U KR 200349170 Y1 KR200349170 Y1 KR 2003491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eater
red ginseng
temperature
storage spac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42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웅
Original Assignee
신정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웅 filed Critical 신정웅
Priority to KR20-2004-00042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91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91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91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홍삼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증삼과정에서 탕기내의 실제 온도와 감지온도간의 온도편차 발생을 최소화시킴과 함께 기능설정 및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홍삼의 성분강화 및 제품에 대한 소비자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홍삼 제조기는, 탕기본체(10)의 수납공간(11)에 안착되어지되 내부 상단에는 다단의 걸림턱(21,22,23)이 형성되어져 있는 탕기(20)와, 탕기(20)의 내부 걸림턱(21)에 걸쳐져 구비되는 채반(30)과, 탕기(20)의 상부를 덮어주도록 순차적으로 올려져 장착되는 제1응축 냉각기(40) 및 제2응축 냉각기(50)로 구성되는 통상의 홍삼 제조기에 있어서: 채반(30)은 증기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대나무를 엮어 하향 라운드 형상을 이루고 있는 대나무채반으로 구비되고; 상기 탕기본체(10)의 수납공간(11) 저면에는 탕기(20) 밑바닥으로 열전달을 위한 열판기(12)가 구비되어지되, 열판기(12) 중앙에는 탕기 밑바닥에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부가 탄성으로 지지되는 온도감지구(13)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홍삼 제조기{RED GINSENG SYSTEM}
본 고안은 홍삼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에서 소용량으로 저렴하게 홍삼을 증숙 제조함에 있어 안정성 뿐 아니라 품질의 고도성과 균일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홍삼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홍삼은 수삼을 장기간 저장할 목적으로 증숙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인삼의 전분을 건조한 것으로서, 홍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결과로 홍삼의 화학구조 및 약리활성 성분이 속속 밝혀지고 있으며, 특히 주 성분인 사포닌은 인체 내의 지방분해력이 크고, 영양분의 흡수 및 소화를 촉진시키며, 세포내의 효소들을 활성화하여 신진대사를 촉진, 혈청단백질 합성을 촉진시킬 뿐 아니라, 에너지를 증가시켜 원기회복, 피로, 무력감, 식욕부진을 개선하는 특징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홍삼의 뛰어난 장점에도 불구하고 가격이 매우 비싸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애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홍삼에 비해 가격이 저렴한 수삼(건삼)을 홍삼으로 만드는 홍삼 제조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제조장치에 의해 홍삼이 제조되는 일반적인 방법은, 유리(질그릇)나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용기에 수삼과 물을 일정비율로 혼합시키고 가열수단을 이용하여 물과 수삼을 일정시간 가열한 후 가열된 수삼을 자연건조시켜서 홍삼을 제조하거나, 증기를 이용하여 수삼을 찐 후 이를 자연 건조시키는 방법으로 홍삼을 만든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홍삼 및 홍삼액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장시간에 걸쳐서 수삼을 가열 및 건조시켜야 하며, 특히 홍삼액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이 제조된 홍삼을 물에 넣어 다시 장시간 동안 가열해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번잡하여 일반인들이 홍삼액을 지속적으로 섭취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일반 가정에서도 홍삼을 쉽게 제조할 수 있도록 설정기능을 갖는 홍삼 제조기가 개발되고 있으나, 종래 대부분의 제조기는 유리나 스텐재질의 채반을 이용하기 때문에 증삼하는 과정에서 수증기 작용으로 인해 홍삼화 작용을 촉진시키는데 장애가 되었으며, 또한 탕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감지장치)가 탕기에 직잡 닿지않고 원통철판의 외부 하단부분에 부착되기 때문에 실제온도와 감지온도간의 온도편차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홍삼 제조기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증숙이 이루어지는 인삼이 충분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보다 효율적인 가열온도유지 및 탕기의 온도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홍삼화 작용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홍삼화 작업을 위한 기능제어 및 설정이 보다 정밀하면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일반 소비자들도 쉽게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 홍삼 제조기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홍삼 제조기의 제품 외관도.
도 3은 본 고안 홍삼 제조기의 내부 단면도.
도 4는 홍삼 제조기의 탕기 분리시 상태 단면도.
도 5는 제어판넬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어판넬 2 : 온도표시부
3 : 잔여시간 표시부 4 : 조절부
5 : 모드부 6 : LED 표시부
10 : 탕기본체 11 : 수납공간
20 : 탕기 21,22,23 : 걸림턱
30 : 대나무 채반 40 : 제1응축 냉각기
41 : 관통구 50 : 제2응축 냉각기
51,52 : 실리콘
상기 목적은, 내부에는 상부로 개방이 이루어진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외부에는 제어판넬이 부착되어져 있는 탕기본체와, 상기 수납공간에 안착되어지되 내부 상단에는 다단의 걸림턱이 형성되어져 있는 탕기와, 상기 탕기의 내부 걸림턱에 걸쳐져 구비되는 채반과, 상기 탕기의 상부를 덮어주도록 순차적으로 올려져 장착되는 제1응축 냉각기 및 제2응축 냉각기로 구성되는 통상의 홍삼 제조기에 있어서: 상기 채반은 대나무를 엮어 라운드 형상을 이루고 있는 대나무채반으로 구비되고; 상기 탕기본체의 수납공간 저면에는 탕기 밑바닥으로 열전달을 위한 열판기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열판기 중앙에는 탕기 밑바닥에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부가 탄성으로 지지되는 온도감지구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 제조기를 통해 이룰 수 있게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홍삼 제조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탕기본체(10)에는 기능조작을 위한 제어판넬(1)이 외부에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탕기본체(10)의 내부 수납공간(11)에는 게르마늄 도자기재질로 이루어진 탕기(20)가 안착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탕기(20) 상부로는 하향 라운드 형상을 이루고 있는 대나무 채반(30)과, 제1응축 냉각기(40) 및 제2응축 냉각기(50)가 순차적으로 얹혀져 설치되게 되는데, 상기 탕기(20)의 내주측 상단에는 걸림턱(21,22,23)이 다단으로 형성되어져 있어 상기 대나무 채반(30) 및 제1,2응축 냉각기(40,50)가 지지되면서 안착이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대나무 채반(30)은 대나무를 엮어 만들어서 증기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서 탕기(20) 상단부의 제1걸림턱(21)에 걸려져 지지질 수 있도록 테두리부(31)를 이루고 있는데, 대나무는 인삼과 가장 잘 어울리는 식물로서 수증기가 원활히 활동하면서 온도 상승을 억제하여 홍삼이 타지않도록 도와주기 때문에 기존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유리나 스텐제품에 비해 홍삼성분의 파괴가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탕기(20)의 제2걸림턱(22)에 지지되는 제1응축 냉각기(40)는 통상적으로 홍삼의 증숙시 홍삼에 물이 닿으면 질이 나빠지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솥뚜껑과 같이 내외면 중심부가 외주면보다 올라간 호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일측에는 탕기내의 증기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관통구(41)가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제2응축 냉각기(50)는 제1응축 냉각기(40)에서 1차적으로 응축되거나 그대로 유출된 증기를 최종적으로 재응축시켜 응축효과를 제고시키고자 하는 것으로서, 증기와의 접촉면적 증가에 따른 응축냉각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4개의 주름단을 형성시킨 강화유리로 제작되는데, 도 3의 단면도에 나타내어진 바와같이 하단 외주측에는 제1실리콘(51)을 결합시켜 탕기(20)의 제3걸림턱(23)에 안착시 수증기 증발억제 및 증기누출을 방지하며, 상부에는 제2실리콘(52)이 구비되어 증기를 응축냉각 회수시키는 패킹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한편, 탕기본체(10)의 수납공간(11) 저면에는 탕기(20) 밑바닥으로 열전달을 위한 열판기(12)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열판기(12) 중앙에는 탕기 밑바닥에 밀착이이루어지도록 탄성으로 지지되는 온도감지구(13)가 구성되었다. 상기 각각의 열판기(12) 및 온도감지구(13)는 각각 완충용 하부 스프링(12',13')에 의해 탄성으로 지지되며, 하단에는 온도감지구(13)를 지지하는 지지축(14)의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5)가 구성되었다.
또한, 제어판넬(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현재 탕기내의 물의 온도가 표시되는 온도표시부(2)와, 목표설정 시간에서 남은 잔여시간이 표시되는 잔여시간 표시부(3), 목표온도 또는 시간을 수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4),상기 조절부(4)에 의한 제어모드를 선택하는 모드부(5), 자동으로 온도 및 시간의 진행상태가 2열의 막대창에 각각 표시되는 LED표시부(6), 원하는 숙성기능(찜,숙성,보온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설정이 이루어져 있는 설정부(7), 전원의 온/오프 제어를 위한 전원부(8)로 이루어져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60은 유리재질의 제2응축 냉각기(50)를 보호하기 위한 플라스틱 재질의 보호커버를 나타낸다.
이와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본 고안 홍삼 제조기의 동작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탕기(20)내에 일정량의 물을 채우고 대나무 채반(30)위에 인삼을 몸통부분은 아래에 골고루 펴서 채우고 윗부분에는 나머지 뿌리 등을 채운후 탕기(20) 상단부에 형성된 제1걸림턱(21)에 조심해서 올려놓는다.
이후, 제1응축 냉각기(40)를 상기 대나무 채반(30) 위의 제2걸림턱(22)에 올려놓고 다시 그 위에 제2응축 냉각기(50)를 탕기(20)의 제3걸림턱(23)에 올려놓은후 보호커버(60)를 씌워주게 되면 도 2에서와 같이 조립이 완성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제2응축 냉각기(50)의 하단에 구비된 제1실리콘(51)이 탕기(20)의 상단면과 완전히 밀착되는 것을 확인한 후 제어판넬(1)의 전원부(8) 버튼을 눌러 전원을 인가한다.
전원이 인가되면 온도표시부(2)와 시간표시부(3)의 램프가 점등되며, 이상태에서 설정부(7)의 찜, 숙1, 숙2, 보온 버튼중 하나를 선택하여 눌러줌으로서 기능설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찜기능에서 온도는 98℃가 설정되고 시간은 6시간/12시간/24시간중 택일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숙1기능에서는 달임기능으로 온도가 93℃가 자동 설정되어 있으며, 시간은 24시간/48시간/72시간이 설정된다. 숙2기능은 달임기능으로 온도는 82℃가 자동 설정되어 있으며, 시간은 24시간/48시간/72시간이 설정된다. 보온기능은 상기 찜이나 숙성1 또는 숙성2에서 설정된 기능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보온기능으로 설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설정버튼이 선택됨에 따라 온도표시부(2) 및 시간표시부(3)에는 해당기능의 목표설정 시간에서 남은 잔여시간 및 탕기의 물의온도가 표시되며, 이와함께 LED표시부(6)에는 자동으로 온도 및 시간의 진행상태가 막대창으로 표시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설정온도 및 동작시간을 임의대로 수동조절이 가능하게 되는데, 모드부(5)를 한번 누르면 온도, 두번 누르면 시간기능이 설정됨으로 원하는 기능을 설정한 후 조절부(4)의 상,하 화살표를 눌러주어서 수치를 맞출 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같은 조작과정을 통해 기능설정이 이루어지면 탕기(20)의 저면에 접촉 구비되어져 있는 열판기(13)를 통해 직접적인 열전달이 이루어져 탕기(20)내의 물의 온도가 점차 높아지게 된다.
이에따라 증기가 발생되면서 탕기내에서 증기가 순환하다가 일정 압력을 넘으면 증기가 제1응축 냉각기(40)와 탕기(20) 상단부와의 틈새 및 관통구(41)를 통과하여 제2응축 냉각기(50) 공간으로 누출되면서 제2응축 냉각기(50)에 형성된 주름단을 따라 응축냉각과정을 통해 응축냉각되어지며, 응축냉각된 추출액은 제1응축 냉각기(40)의 상면을 통해 탕기(20)내로 들어가고 다시 증발을 통하여 재순환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지속적으로 증삼과정을 거치면서 선택된 시간동안 계속 작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증숙과정이 계속되는 과정에서 탕기(20) 내 물의 온도변화는 온도감지구(13)에 의해 계속적으로 감지되게 되는데, 온도감지구(13)는 하부의 탄성스프링(13')에 의한 탄성력을 받아 탕기(20) 하부면 중앙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됨으로 보다 정밀한 온도변화의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된다.
한편, 동작중 탕기(20)를 탕기본체(10)로 부터 분리시킬 경우 온도감지구(13)를 누르던 가압력이 해제되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부 스프링(13')의 탄성작용에 의해 지지축(14)이 상승하게되는데, 이때 감지센서(15)가 이를 감지하여 열판기(12)의 열전달을 중지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게 됨으로서 사용안전성이 확보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고안의 홍삼 제조기는, 증삼과정에서 탕기내의 온도변화를 하부 중앙에서 밀착 감지함으로 실제온도와 감지온도간의 온도편차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되며, 제어판넬의 조작을 통한 기능설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되어 일반인들도 가정에서 쉽게 사용이 가능하게 됨으로서 제품에 대한 소비자 신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탕기의 상부에 구비되는 증삼용 채반으로 대나무를 사용함으로서 증삼 과정에서 인삼의 홍삼화가 촉진 및 활성화 되어 보다 효과적인 홍삼 제조가 이루어질 수 있게된다.

Claims (3)

  1. 내부에는 상부로 개방이 이루어진 수납공간(11)을 형성하고 있으며 외부에는 기능 조작을 위한 제어판넬(1)이 부착되어져 있는 탕기본체(10)와, 상기 수납공간(11)에 안착되어지되 내부 상단에는 다단의 걸림턱(21,22,23)이 형성되어져 있는 탕기(20)와, 상기 탕기(20)의 내부 걸림턱(21)에 걸쳐져 구비되는 채반(30)과, 상기 탕기(20)의 상부를 덮어주도록 순차적으로 올려져 장착되는 제1응축 냉각기(40) 및 제2응축 냉각기(50)로 구성되는 통상의 홍삼 제조기에 있어서:
    상기 채반(30)은 증기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대나무를 엮어 하향 라운드 형상을 이루고 있는 대나무채반으로 구비되고;
    상기 탕기본체(10)의 수납공간(11) 저면에는 탕기(20) 밑바닥으로 열전달을 위한 열판기(12)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열판기(12) 중앙에는 탕기 밑바닥에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부가 탄성으로 지지되는 온도감지구(13)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 제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판기(12)는 일정 탄성력으로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탄성스프링(12')이 하부에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 제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판넬(1)은 현재 탕기내의 물의 온도가 표시되는 온도표시부(2)와, 목표설정 시간에서 남은 잔여시간이 표시되는 잔여시간 표시부(3), 목표온도 또는 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4),상기 조절부(4)에 의한 제어모드를 선택하는 모드부(5), 자동으로 온도 및 시간의 진행상태가 막대창에 표시되는 LED표시부(6), 원하는 숙성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설정이 이루어져 있는 설정부(7), 전원의 온/오프 제어를 위한 전원부(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 제조기.
KR20-2004-0004215U 2004-02-18 2004-02-18 홍삼 제조기 KR2003491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215U KR200349170Y1 (ko) 2004-02-18 2004-02-18 홍삼 제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215U KR200349170Y1 (ko) 2004-02-18 2004-02-18 홍삼 제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9170Y1 true KR200349170Y1 (ko) 2004-04-29

Family

ID=49429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215U KR200349170Y1 (ko) 2004-02-18 2004-02-18 홍삼 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917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092B1 (ko) 2007-04-27 2008-06-02 성이제 홍삼액 추출기
KR101458740B1 (ko) 2014-02-25 2014-11-05 김종석 홍삼 및 홍삼액 제조기
KR101744054B1 (ko) * 2016-04-11 2017-06-07 박상덕 전기약탕기 및 이를 이용한 한약액 추출방법
WO2022063506A1 (de) * 2020-09-22 2022-03-31 Miele & Cie. Kg Gargeschir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092B1 (ko) 2007-04-27 2008-06-02 성이제 홍삼액 추출기
KR101458740B1 (ko) 2014-02-25 2014-11-05 김종석 홍삼 및 홍삼액 제조기
KR101744054B1 (ko) * 2016-04-11 2017-06-07 박상덕 전기약탕기 및 이를 이용한 한약액 추출방법
WO2017179830A1 (ko) * 2016-04-11 2017-10-19 박상덕 전기약탕기 및 이를 이용한 한약액 추출방법
WO2022063506A1 (de) * 2020-09-22 2022-03-31 Miele & Cie. Kg Gargeschir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5192A (en) Cooking apparatus using steam injection at atmospheric pressure
EP2762045B1 (en) Pressurized steam cooker
JP2007135729A (ja) 炊飯器
CN105832121A (zh) 沥米饭蒸煮工艺
CN103230218B (zh) 无绳微型高压电饭煲和控制方法
US11297857B2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rapidly cooking food
CN105942850A (zh) 一种改进的新型防溢锅
KR200349170Y1 (ko) 홍삼 제조기
US20080066628A1 (en) Apparatus for making and storage of yogurt
CN206792247U (zh) 水米分离蒸饭煲
CN102753025B (zh) 家用酸奶机和酸奶的快速制造方法
CN201131270Y (zh) 茶叶蒸青器
CN104523136A (zh) 一种定时自动下料蒸煮的早餐机
CN206303726U (zh) 养生壶
JP2012016422A (ja) 炊飯器
CN210276870U (zh) 一种智能米饭蒸箱
WO2000016672A1 (en) Cooking appliance
KR100473282B1 (ko) 자동압력 중탕기
KR100522538B1 (ko) 다기능 중탕기 및 이를 이용한 청국장 제조방법
KR20000072062A (ko)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장치
KR101823423B1 (ko) 가정용 중탕기
KR200254720Y1 (ko) 홍삼 및 홍삼액 제조장치
CN205671929U (zh) 无蒸笼沥米饭蒸饭煲
WO2007079616A1 (en) A kettle for boiling beverage
KR200335763Y1 (ko) 청국장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