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0100A -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밥솥과 그 보온방법 및도자기내솥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밥솥과 그 보온방법 및도자기내솥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0100A
KR20070020100A KR1020070006583A KR20070006583A KR20070020100A KR 20070020100 A KR20070020100 A KR 20070020100A KR 1020070006583 A KR1020070006583 A KR 1020070006583A KR 20070006583 A KR20070006583 A KR 20070006583A KR 20070020100 A KR20070020100 A KR 20070020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ot
pot body
porcelain
cover
cera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6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5044B1 (ko
Inventor
전준호
Original Assignee
(주)복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복돼지 filed Critical (주)복돼지
Publication of KR20070020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0100A/ko
Priority to JP2007300321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08126084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5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5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99SUBJECT 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ECTION
    • H99ZSUBJECT 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ECTION
    • H99Z99/00Subject 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92Delivering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자기로 된 내솥몸체 및 외주면에 제 1 패킹이 마련된 제 1 덮개를 포함하는 내솥본체와 상기 제 1 덮개 상부에 마련된 제 2 덮개를 포함하는 외부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밥솥에 있어서, 상기 제 1 덮개에 마련된 제 1 관통관과, 상기 제 1 관통관의 상부에 위치된 하우징과, 상기 제 1 덮개와 제 2 덮개 사이에 위치된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취사시에 내솥본체 내부에서 높아진 수증기의 압력이 상기 제 1 관통관, 하우징, 탄성부재에 의해서 단계적으로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밥솥을 제공한다.
밥솥, 내솥, 손잡이, 패킹, 도자기

Description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밥솥과 그 보온방법 및 도자기내솥 제조방법{Ceramicusing Electric Pressure Cooker And Method Of Keeping Warm Thereof And Ceramic Manufacturing Method}
도 1은 종래 전기밥솥에 사용되는 내솥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부분을 자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내솥이 사용된 종래 전기밥솥.
도 5는 본 발명인 전기자연압력밥솥의 내부 단면도.
도 6은 도 5의 B부분의 확대도.
도 7은 도 5에서 밥솥 뚜껑을 연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내솥의 한 실시예에 관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내솥과 제 1 덮개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인 취사방법의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취사과정 예열단계의 전기자연압력밥솥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취사과정 중간단계의 전기자연압력밥솥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내솥 본체 300: 연결 로드
400: 제 1 덮개 500: 내솥 몸체
700: 제 1 패킹
본 발명은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밥솥과 그 보온방법 및 도자기내솥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자기로 이루어진 내솥을 이용하여 적당한 온도와 압력에서 취사가 이루어지도록 한 전기자연압력밥솥과 그 보온방법 및 상기 전기압력밥솥 또는 전기홍삼중탕기에 사용되는 도자기내솥몸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기밥솥은 밥솥 뚜껑에 위치한 압력 배출구가 작고 밥솥 내부의 압력을 강제로 지탱하기 위해서 밥솥 뚜껑이 밥솥 몸체와 강하게 잠겨진 상태에서 빠른 취사를 위하여 고온 고압에서 취사과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기밥솥 내부에서 발생한 수증기를 밥통뚜껑에 위치한 배출구를 통하여 적절하게 배출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폭발의 위험성이 있고, 밥맛을 최상으로 내기 위한 적정 취사온도 이상으로 가열되어 영양분의 손실과 지어진 밥의 상태가 최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전기밥솥은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및 철재로 된 내솥을 사용하므로 내솥 전체에 열전달이 고르게 이루어지지 않아서 뜸을 들이는 과정에서 곡류가 가지고 있는 맛을 제대로 낼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및 철재로 된 내솥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종래의 도자기를 내솥으로 사용한 전기 밥솥은 실용신안등록인 출원번호 1995-39096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종래 고안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고 이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전기밥솥에 사용되는 내솥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부분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1에 의하면 내솥(1)은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부는 오목한 형상의 내솥몸체(5)와 하단부의 형상이 상기 내솥몸체(5)의 개구부와 형태 및 크기가 같은 내솥덮개(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내솥덮개(4)에는 중앙에 손잡이(3)가 형성되고, 소정 위치에 구멍(2)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솥(1)의 내솥몸체(5)와 내솥덮개(4)의 내부에는 열전도체(6)가 내장된다. 도 3은 상기 열전도체(6)가 내장된 내솥(1)의 모습을 잘 보이도록 도시한 내솥(1)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내솥(1)은 도자기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제작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도자기 형상으로 만든 1차 솥의 외부 둘레에 열전도체를 밀착시키고 그 외부에 다시 흙을 발라 2차 솥을 형성한 후 초벌구이와 본불구이을 거쳐서 이루어진다.
도 4는 도 1의 내솥(1)이 사용된 종래 전기밥솥으로 외부 몸체(7)에 상기 내솥(1)이 인입되어 있고, 상기 외부 몸체(7)의 일단은 외부 덮개(9)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자기로 구성된 상기 내솥(1)은 원적외선이 조사되어 물분자가 활성화되고 용존산소가 발생되기 때문에 내용물을 부패시키는 박테리아의 침투를 억제하므로 선도를 오래도록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내솥(1)에 담긴 내용물의 풍미가 좋아지고 내용물의 표면이 마르고 갈색으로 변하는 것을 억제하며 또한 내솥(1)의 내외면이 거의 균일하게 가열되므로 효율적인 가열이 가능하여 내용물의 맛을 한층 좋게 하며, 온도변화가 적어 내용물의 보존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자기를 이용한 전기밥솥의 경우에는 주로 내용물 보존기간을 연장하고 내용물 특히, 밥의 보존 상태를 양질의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고 취사시에 고온 고압의 상태로 인한 밥통의 폭발 등의 사고 방지나 고온의 취사 온도에 의하여 취사시 밥의 영향성분 파괴 등의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하고 있다.
그리고 도자기로 이루어진 상기 내솥몸체(5)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소성과정을 거칠 때에 열을 더 받는 부분이 먼저 수축을 하여 뒤틀림 현상이 생기는데, 내솥몸체(5) 상방의 둘레가 클수록 뒤틀림 현상은 더욱 심하게 된다.
따라서, 제작된 내솥몸체(5)의 상단은 정확하게 원형으로 형성되지 않고,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솥덮개(4)와 밀착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내솥으로 도자기의 단점인 굽을 없앤 도자기를 사용하여 빠르게 열전도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한 도자기의 특성인 고른 열전달과 내솥의 패킹구조에 의하여 내솥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압력을 적절하게 제어하도록 하여, 고온 고압에 의한 폭발사고 위험을 방지하고 맛과 영양이 보존된 최상의 밥이 되는 전기자연압력밥솥과 그 보온방법 및 전기압력밥솥 또는 전기홍삼중탕기에 사용되는 도자기내솥몸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자기로 된 내솥몸체 및 외주면에 제 1 패킹이 마련된 제 1 덮개를 포함하는 내솥본체와 상기 제 1 덮개 상부에 마련된 제 2 덮개를 포함하는 외부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밥솥에 있어서, 상기 제 1 덮개에 마련된 제 1 관통관과, 상기 제 1 관통관의 상부에 위치된 하우징과, 상기 제 1 덮개와 제 2 덮개 사이에 위치된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취사시에 내솥본체 내부에서 높아진 수증기의 압력이 상기 제 1 관통관, 하우징, 탄성부재에 의해서 단계적으로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밥솥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덮개에는 수증기 온도를 감지하는 제 1 센서가 마련되고, 상기 외부본체의 바닥부에는 제 2 센서 및 마이콤(MICOM: MIcroprocessor COMputer)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어부가 마련되어 외부본체로부터 내솥본체로의 열전달을 제어할 수 있고,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자기 내솥이 장착된 전기자연압력밥솥의 제 1 덮개에 마련된 제 1 센서 및 내솥 몸체 하부에 마련된 제 2 센서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마이콤을 포함하는 제어부가 도자기로 된 내솥 몸체의 특성을 감안하여 내용물의 온도가 일정 보온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열판에 열을 1분 이하로 공급하고 그 후 10분 이하로 열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반복하여 일정 보온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열공급을 중지하는 열공급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내솥이 장착된 전기자연압력밥솥 보온방법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도자기내솥모체 내부 상단면이 상방으로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만드는 단계, 상기 도자기내솥모체를 건조하거나 1차 소성하는 단계, 상기 도자기 내솥모체에 유약을 도포하되 상단부 안착면에 유약을 없애는 단계, 상기 상단부가 닿게 거꾸로 엎어서 안착시킨 후 도자기내솥모체에 열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내솥몸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도자기 내솥모체에 유약을 도포하되 상단부 안착면에 유약을 없애는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도자기내솥모체 상단면이 상방으로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만드는 단계, 상기 도자기내솥모체를 건조하거나 1차 소성하는 단계, 상기 도자기내솥모체에 유약을 도포하되 바닥부 안착면에 유약을 없애는 단계, 상기 도자기내솥모체 바닥부를 안착시킨 후 도자기내솥모체에 열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내솥몸체의 제조방법도 제공한다.
상기 도자기내솥모체에 유약을 도포하되 바닥부 안착면에 유약을 없애는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자기내솥모체에 코팅층을 형성하고 열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고, 상기 도자기내솥모체 상단면 둘레를 커버로 감싸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단면에 단턱을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면의 하부에 돌출턱을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도자기내솥모체를 둘레가 상단에서 하단으로 줄어드는 형상으로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도자기내솥모체의 상단에 손잡이를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인 전기자연압력밥솥의 내부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B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5에서 밥솥 뚜껑을 연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인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밥솥은 도자기로 된 내솥몸체(500) 및 외주면에 제 1 패킹(700)이 마련된 제 1 덮개(400)를 포함하는 내솥본체(100)와 상기 제 1 덮개(400) 상부에 마련된 제 2 덮개(900)를 포함하는 외부본체(9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밥솥에 있어서, 상기 제 1 덮개(400)에 마련된 제 1 관통관(202)과, 상기 제 1 관통관(202)의 상부에 위치된 하우징(206)과, 상기 제 1 덮개(400)와 제 2 덮개(900) 사이에 위치된 스프링인 탄성 부재(3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취사시에 상기 내솥본체(100) 내부에서 높아진 수증기의 압력이 상기 제 1 관통관(202), 하우징(206), 탄성부재(302)에 의해서 단계적으로 저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덮개(400)에는 수증기 온도를 감지하는 제 1 센서(405)가 마련되고, 상기 외부본체(960)의 바닥부에는 제 2 센서(922) 및 마이콤(MICOM: MIcroprocessor COMputer)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어부(920)가 마련되어 외부본체(960)로부터 내솥본체(100)로의 열전달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내솥본체(100)의 외부에 위치되는 외부본체(960)에는 상기 내솥본체(100)에 열을 전달하는 소정 부분이 마련되고 상기 제 1 덮개(400) 상부에 마련된 제 2 덮개(900)가 포함된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외부본체(960)는 하단부에 위치하는 열판(930)과 상기 내솥본체(100)의 바닥부(530)의 온도 감지용 제 2 센서(922)를 내부에 마련하고 있는 제어부(920)를 포함하고 상기 내솥본체(100)보다 큰 형상인 외부몸체(950)와, 상기 외부몸체(950)와 일부가 연결된 제 2 덮개(9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 2 덮개(900)의 상부에는 외부손잡이(910)가 마련되고 상기 외부손잡이(910) 전방에는 취사버튼(905)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1 덮개(400)와 제 2 덮개(900) 사이에는 제 1 덮개(400)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 2 덮개(900)의 제 1 인입공(306)에 타단이 인입된 연결로드(300)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로드(300) 중 제 1 덮개(400)와 제 2 덮개(900) 사이에 위치된 부분에는 연결로드(300)의 둘레를 감싸는 스프링으로 된 탄성부 재(302)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관통관(202)의 하부로는 제 1 구멍(200)이 마련되고, 제 1 관통관(202)의 상부 측면에는 제 2 구멍(204)이 마련되며, 제 1 관통관(202)의 하단부(212)는 제 1 덮개(400)의 하면 아래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그리고 도 5의 상기 하우징(206)에는 수증기 온도를 감지하는 제 1 센서(405)가 마련되고, 상기 외부본체(960)의 바닥부에는 제 2 센서(922) 및 마이콤(MICOM: MIcroprocessor COMputer)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어부(920)가 마련되어 외부본체(960)로부터 내솥본체(100)로의 열전달을 제어한다. 상기 마이콤(MICOM: MIcroprocessor COMputer)은 일반적으로 전기밥솥이나 냉장고 또는 세탁기에 사용되어 온도 제어, 시간 제어 등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솥몸체(500)는 도자기 뿐만 아니라, 돌 또는 강화유리로도 이루어진다.
도 6 (a)와 같이, 상기 제 1 패킹(700)의 단면 형상은 소정 위치에서 두 부분으로 갈라져 상기 내솥 몸체(500)의 상단면(510)과 수평으로 접하는 부분과 수직으로 접하는 부분이 마련된다.
즉, 상기 제 1 패킹(700)에는 상기 상단면(510)과 수평으로 접하는 부분인 수평단(722) 및 수직으로 접하는 부분인 수직단(720)이 형성되어 상방으로 넓어진 상기 상단면(510)인 경사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단(720)의 끝부분에 수평팁(724)이 마련되어 밀착도를 높인다.
또한, 도 6 (b)와 같이 상단면(510)에 단턱(717)이 형성되고 수직단(720)만 형성된 상기 제 1 패킹(700)이 상기 상단면(510)에 밀착하고 상기 단턱(717)에 제 1 덮개(400)가 안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단면(510)의 하부에 돌출턱(719)이 마련되어 내솥몸체(500)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제 1 방향(718)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한편, 도자기로 된 상기 내솥몸체(500)의 상단 둘레에는 파손 방지와 잠금장치의 물리적 힘을 견디기 위해 플라스틱 또는 실리콘 등의 비금속이나 금속 재질로 감싸는 부분인 커버(505)가 마련되고, 상기 상단 둘레 양끝에 손잡이(320)가 마련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자기는 특성상 제작 과정에서 약간 타원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제 1 덮개(400)도 둘레가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도자기의 특성상 타원으로 형성된 내솥몸체(500)의 상단면(510) 형상에 밀착된다.
또한, 도자기로 된 상기 내솥몸체(500)의 바닥부(530)가 굽이 없이 평평하거나 곡선을 이루는 것 또는 상기 외부본체(960)의 내부 열판에 도자기로 된 내솥몸체(500) 바닥부(530)의 굽(535)이 들어가도록 홈(925)이 형성되어, 상기 외부본체(960)의 내부 열판과 상기 바닥부(530)가 밀착된 상태에서 열전달이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덮개(400)와 제 2 덮개(900)가 연결 로드(300)에 의하여 연결되어 일체로 움직이기 때문에 도 7과 같이 상기 제 2 덮개(900)를 열면 제 1 덮개(400)도 함께 열린다.
도 8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내솥의 한 실시예에 관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내솥과 제 1 덮개의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적은 양의 취사를 할 경우에 필요 이상으로 내솥몸체(500)가 큰 경우에는 좋은 밥맛을 낼 수가 없으므로, 이러한 경우에 도 8과 같이 상기 내솥몸체(500)의 둘레가 상단에서 하단으로 줄어들도록 형성하여 상부는 본 발명의 다른 내솥몸체(500)의 상부와 크기가 같도록 하여 상기 제 1 덮개(400)가 적절히 덮힐 수 있고, 하부는 둘레를 작게 하여 적은 양의 취사시에도 좋은 밥맛을 낼 수 있다.
도 9와 같이 상기 내솥몸체(500)는 상단 둘레의 지름의 크기가 a부분이 b부분 보다 크다. 이는 도자기가 고온에서 제작되는 과정 중에 본래 원형 형상에서 근소하게 타원형 형상으로 변형되는 특성에 기인한 것인 바, 상기 지름의 크기가 가장 긴 a부분의 양끝에 손잡이(320)가 마련되어 상기 내솥몸체(500)를 외솥 본체(960)의 내부에 넣을 때 손잡이(320)가 항상 소정 위치에 놓이도록 하여 제 1 덮개(400)와의 밀착도를 높인다.
그리고 본 발명 중에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 홍삼 중탕기는 상기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밥솥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밥솥을 그대로 사용하되 그 용도가 홍삼 중탕을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 홍삼 중탕기는 상기 외부본체(960)에서 내솥본체(100)에 열을 전달하는 다림시간을 고정하지 않고 사용자가 시간별로 직접설정 하도록 제어부가 구성된다. 따라서 홍삼을 다리는 목적에 따라서 필요한 영양분 파괴가 최소화되도록 온도와 다림시간을 사용자가 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인 전기밥솥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인 취사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취사과정 예열단계의 전기자연압력밥솥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취사과정 중 간단계의 전기자연압력밥솥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취사 과정에서 압력밥솥의 작용을 설명하면 상기 제 1 덮개(400), 제 1 패킹(700), 제 1 관통관(202), 하우징(206) 및 탄성부재(302)는 내솥본체(100) 내부의 압력을 단계적으로 지탱하고, 상기 외부본체(960)는 상기 내솥본체(100)가 소정 온도에 오른 후에도 내솥본체(100)의 온도가 떨어지면 반복적으로 열을 공급하여 내솥본체(100)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외부본체(960)의 내면에 상기 내솥본체(100)의 외면 중에 상기 바닥부(530)만 밀착되면 되기 때문에 내솥본체(100)의 크기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솥본체(100)를 도 8의 3인용 밥솥 형상 또는 전기 홍삼 중탕기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취사가 시작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사과정이 진행되는데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취사 시작의 제 1 단계(1000)는 사용자가 도 11에 도시된 내솥본체(100) 내부에 쌀, 콩, 보리 등의 내용물(690)을 넣고 상기 외부 본체(960)의 소정 위치에 있는 취사버튼(905)을 누르는 과정이다.
내솥 가열 및 온도 측정 단계인 제 2 단계(1100)는 상기 제 1 단계(1000)에 의해서 시작되고 마이콤(MICOM)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기 제어부(920)에서 상기 열판(930)에 열을 공급하여 상기 바닥부(530)를 데워 상기 내용물(690)이 취사의 최적 온도상태가 될 수 있는 소정 온도까지 내솥본체(100)를 가열하게 된다.
도 11는 상기 제 2 단계(1100)의 상태에서 외부본체(960)의 단면을 잘라 내 부 상태를 보여주는데 내솥본체(100)의 내부상태는 내용물(690)이 끓게 됨에 따라 수증기가 발생하고 이에 의하여 압력이 증가하는데 내부압력선(692)은 수증기의 압력방향을 나타낸다.
수증기의 양이 증가하면 상기 제 1 덮개(400)는 수증기의 압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센서(405)는 상기 감지된 온도를 제어부(920)에 전달한다.
외솥 몸체(950)의 바닥에 위치되고 상기 바닥부(530)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 2 센서(922)를 내장한 마이콤(MICOM)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기 제어부(920)는 상기 제 1 센서(405)와 제 2 센서(922)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서 내솥 몸체(500)의 바닥부(530)에 열공급을 제어한다.
열공급 차단 단계인 제 3 단계(1200)는 상기 제 2 단계(1100)에서 상기 내솥본체(100)의 온도가 소정 온도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제어부(920)에서 상기 열판(930)의 열공급을 차단하는 단계이다. 이때 도자기로 이루어진 상기 내솥본체(100)는 보온성이 있기 때문에 소정 온도를 소정 시간 동안 유지하고 온도가 서서히 하강하게 된다.
소정시간 간격으로 열공급 단계인 제 4 단계(1300)는 상기 제 3 단계(1200)의 상기 내솥본체(100)가 소정 시간이 지나 소정 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상기 제어부(920)는 상기 외부몸체(950)의 열판(930)으로부터 내솥본체(100)에 소정 시간 간격으로 열전달이 되도록 열공급을 소정 시간마다 반복하는 과정이다. 이 단계에서는 상기 내솥본체(100)가 소정 온도를 유지하는 시간이 일정하기 때문에 소정 시간 마다 열공급하여 취사에 필요한 시간만큼의 온도 유지를 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면, 백미 가마솥밥의 경우는 내솥본체(100)의 내부 온도가 섭씨 101도 이상 도달하면 마이콤(MICOM)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기 제어부(920)에서 열공급을 차단하고,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내솥본체(100)의 온도가 섭씨 101도 이하로 떨어지면 다시 열을 공급하여, 내솥본체(100)의 온도가 섭씨 101도로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백미 가마솥밥 보다 잘 불리지 않는 단단한 콩류 등의 잡곡은 상기의 온도보다 저온인 섭씨 100도의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920)에서 열공급을 차단하고,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백미 가마솥밥의 경우보다 긴 시간 열공급을 반복하여, 상기 백미 가마솥밥 또는 콩류 등의 잡곡이 최상의 상태로 취사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 4 단계(1300)의 시간은 취사대상인 곡물의 종류에 따라서 여러 형태로 변형가능 하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 단계(1200)와 제 4 단계(1300)에서의 외부본체(960) 내부 상태는 상기 내부압력선(692)의 압력은 상기 제 1 덮개(400)를 상부로 미는 힘으로 작용한다. 이에 대하여 상기 제 1 덮개(400)는 상부로 소정 범위 이동하면서 그 자중에 의하여 나머지 압력 일부를 지탱하고 상기 제 1 패킹(700)이 나머지 압력 잔부를 지탱하게 된다.
취사시 제 1 패킹(700)이 상기 상단면(510)에 밀착되어 내솥본체(100) 내부의 수증기 압력을 상기 수평단(722)과 수직단(720)에서 이중으로 저지한다.
따라서 상기 내용을 요약하면 상기 제 1 덮개(400)와 제 1 패킹(700)은 내솥본체(100)의 압력을 단계적으로 지탱하고 마이콤(MICOM)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기 제어부(920)는 외부몸체(950)로부터 내솥본체(100)에 열전달을 제어하는 것이다.
그리고 내부압력이 소정 범위 이상이 될 경우에는 수증기의 일부가 제 1 구멍(200)을 통하여 제 1 관통관(202)으로 인입된 후 제 2 구멍(204)을 통하여 하우징(206)에 모이고, 소정량 이상 모인 후에는 연결관(208)을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관통관(202)의 하단부(212)의 형상과 크기가 좁게 형성된 제 1 구멍(200) 둘레의 형상은 상기 수증기의 압력이 소정 범위 이상이 되기 전에는 수증기가 쉽게 제 1 구멍(200)으로 인입되는 것을 막아준다.
또한, 수증기의 일부는 제 1 덮개(400)의 하부를 상부로 밀고,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302)가 압축되면서 연결로드(300)가 상향 이동되며 제 1 덮개(400)가 열리게 된다.
따라서, 내솥본체(100)는 취사가 진행됨에 따라 수증기의 압력이 소정 범위 이상에 도달할 경우 폭발 위험 없이 안전하게 수증기가 배출되게 된다.
상기 외부본체(960)는 상기 내솥본체(100)가 소정 온도에 오른 후에도 내솥본체(100)의 온도가 떨어지면 반복적으로 열을 공급하여 내솥본체(100)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뜸 단계인 제 5 단계(1400)는 상기 제 4 단계(1300)의 상태에서 적정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제어부(920)에 의한 열공급이 차단된 상태로 진행된다. 그리고 제 5 단계(1400)에서는 이미 공급된 열이 고르게 보유되는 도자기의 특성과 상기 제 1 덮개(400)의 구조에 의해서 상기 내솥본체(100) 내부의 열이 최상의 상태로 유지된다.
취사종료인 제 6 단계(1500)는 상기 제 5 단계(1400)가 종료된 후에 취사가 완료된 것을 외부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이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기밥솥 취사 방법은 도자기 내솥이 장착된 전기자연압력밥솥의 제 1 덮개(400)에 마련된 제 1 센서(405) 및 내솥 몸체(500) 하부에 마련된 제 2 센서(922)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마이콤을 포함하는 제어부(920)에서 도자기 내솥 몸체(500)의 열보존력과 특성을 감안하여 소정온도가 오른 후 열공급을 중지하고 다시 곡류 내용물의 특성을 감안하여 내솥본체(100)의 내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반복적으로 열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인 전기자연압력밥솥은 보온기능도 수행하는데, 도자기 내솥이 장착된 전기자연압력밥솥의 제 1 덮개(400)에 마련된 제 1 센서(405) 및 내솥 몸체(500) 하부에 마련된 제 2 센서(922)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마이콤을 포함하는 제어부(920)가 도자기로 된 내솥 몸체(500)의 특성을 감안하여 내용물의 온도가 일정 보온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열판에 열을 1분 이하로 공급하고 그 후 10분 이하로 열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반복하여 일정 보온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열공급을 중지하는 열공급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내솥이 장착된 전기자연압력밥솥 보온방법도 수행한다.
일반적인 전기밥솥의 내솥 재질과 달리 본 발명의 내솥 몸체(500)는 도자기 고 이루어져 있어서 열전도는 늦고 열보유력은 큰 특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도자기로 된 내솥 몸체(500)의 특성을 감안하여 보온온도를 제어하게 되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 1 단계는 상기 도자기 내솥이 장착된 전기자연압력밥솥의 제 1 덮개(400)에 마련된 제 1 센서(405) 및 내솥 몸체(500) 하부에 마련된 제 2 센서(922)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단계를 통하여 측정된 온도는 마이콤을 포함하는 제어부(920)에 전달된다.
제 2 단계는 마이콤을 포함하는 제어부(920)가 도자기로 된 내솥 몸체(500)의 특성을 감안하여 내용물의 온도가 적정 보온온도인 섭씨 69도 내지 71도 사이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내솥 몸체(500)에 열을 공급하는 단계이다.
즉, 취사가 종료되면 섭씨 90도 이상의 온도에서 보온단계로 전환되어 내솥 몸체(500)의 내용물 온도가 하강하여 섭씨 65도 내지 73도 사이의 온도가 된다. 그리고 열공급이 차단된 상태가 계속되면 내용물 온도가 섭씨 65도 이하로 떨어지게 되고, 이때 마이콤을 포함하는 제어부(920)가 열판에 열을 1분 이하로 공급하고 그 후 1분 이하로 열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반복하여 일정 보온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열공급을 중지하는 열공급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열공급 시간을 1분 이하로 공급하고 그 후 10분 이하로 열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반복하는 이유는 내솥 몸체(500)가 도자기로 형성된 것에 기인하는데, 1분 이상 열공급이 이루어지면 그 후에 열공급을 차단하여도 도자기의 특성상 온도 가 10도 이상 상승하게 되어 적정 보온 온도 중 최고 온도인 섭씨 73도를 넘게되는 문제가 야기된다.
또한, 10분 이상 열공급이 중단되면 먼저 공급된 1분 이하의 열공급에 의해 발생한 도자기의 열보유력이 소멸하여 적정 보온 온도에 도달할 수 없는 문제가 야기된다.
따라서, 1분 이하의 열공급을 하여 도자기로 된 내솥 몸체(500)의 온도를 서서히 올린 후에 10분 이하로 열공급을 차단하여 공급된 열이 내솥 몸체(500)의 내용물에 충분히 전달된 후에 다시 1분 이하의 열공급을 하고 10분 이하로 열공급을 차단하는 방식을 반복하여 내솥 몸체(500)의 온도가 적정 보온 온도에 도달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전기압력밥솥 또는 전기홍삼중탕기에 사용되는 도자기내솥몸체의 제조방법도 제공하는데, 그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의할 점은 후술하는 도자기 내솥몸체(500)를 만드는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중간단계의 형상인 도자기내솥모체는 상기 도자기 내솥몸체(500)의 형상과 같은 형상이므로 도면부호를 도자기 내솥몸체(500)의 도면부호를 빌어 사용한다는 점이다.
도자기내솥모체(500) 내부 상단면(510)이 상방으로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만드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를 거친 후 상기 도자기내솥모체(500)를 건조하거나 1차 소성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를 거친 후 상기 도자기내솥모체(500)에 유약을 도포하되 상단부 안착부에 유약을 없애는 제 3 단계 및 상기 상단부가 바닥이나 바닥의 역할을 하는 부분에 닿게 거꾸로 도자기내솥모체(500)를 엎어서 안착시킨 후에 도자기내솥모체(500)에 섭씨 800도 이상의 열을 가하여 유약을 도자기내솥모체(500)의 표면에 고착시키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최상단부는 도자기내솥모체(500)를 거꾸로 엎어서 바닥에 안착시킬 때 바닥에 닿는 부분이다.
상기 제 1 단계에서 도자기내솥모체(500) 내부 상단면(510)이 상방으로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만드는 것은 도자기의 특성상 제작중 수축과정에서 도자기내솥모체(500) 상단면의 수축 크기가 일정하지 않아, 도자기 내솥몸체(500)가 완성된 후에 내솥덥개의 패킹과 밀착될 수 없어 전기압력밥솥의 내솥으로 사용될 수 없던 도자기 내솥몸체(500)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함인데, 내부 상단면(510)이 경사지면 크기가 일정하지 않아도 경사진 상단면(510)에 내솥덮개의 패킹이 밀착되기 때문이다. 제 2 단계와 제 3 단계는 도자기 제작과정에서 일반적으로 거치는 과정이다.
그리고 상기 제 3 단계 및 제 4 단계에서 도자기내솥모체(500) 상단면(510)의 최상단부에 유약을 없애고 상기 최상단부가 바닥에 닿게 거꾸로 엎어서 안착시킨 후 작업을 하면 바닥면에 돌출부가 필요없게 되어 바닥면의 형상을 원하는 형상으로 만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인 전기압력밥솥 또는 전기홍삼중탕기에 사용되는 도자기내솥몸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도자기내솥모체(500)에 유약을 도포하되 상단부 안착부에 유약을 없애는 제 3 단계를 도자기내솥모체(500)에 유약을 도포하되 바닥부 안착면에 유약을 없애는 제 3 단계로 바꾸어 진행가능하고, 상기 상단부가 바닥이나 바닥의 역할을 하는 부분에 닿게 거꾸로 도자기내솥모체(500)를 엎어서 안착시킨 후에 도자기내솥모체(500)에 섭씨 800도 이상의 열을 가하여 유약을 도자기내솥모체(500)의 표면에 고착시키는 제 4 단계는 상기 도자기내솥모체(500) 바닥부를 바닥이나 바닥과 같은 역할을 하는 부분에 안착시킨 후 도자기내솥모체(500)에 섭씨 800도 이상의 열을 가하여 유약을 도자기내솥모체(500)의 표면에 고착시키는 제 4 단계로 바꾸어 진행 가능하다.
상기 제 3 단계는 필요한 경우에 생략이 가능하다.
상기 전기압력밥솥 또는 전기홍삼중탕기에 사용되는 도자기내솥몸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 1 내지 제 4 단계에 도 6과 같이 도자기내솥모체(500) 상단면(510) 둘레를 플라스틱 또는 실리콘 등의 비금속이나 금속을 포함하는 재질인 커버(505)로 감싸는 제 5 단계와, 상기 도자기내솥모체(500)를 둘레가 상단에서 하단으로 줄어드는 형상으로 마련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505)는 상기 도자기 내솥몸체(500)가 일반적인 강제잠금장치의 압력전기밥솥의 내솥으로 사용될 경우에 뚜껑이 도자기 내솥몸체에 강제적으로 잠겨도 커버(505)가 물리적 힘을 견뎌 내솥몸체(500)의 상단면(510)이 보호된다.
상기 제 5 단계의 커버(505)를 감싸는 과정은 완성된 도자기 내솥몸체(500) 상단면(510)이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열전도를 차단하여 손잡이(320)를 장착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제 6 단계는 취사량이 적을 경우에도 별도의 전기압력밥솥을 마련할 필요없이 최적의 밥을 지을 수 있도록 도자기 내솥모체(500)의 형상을 도 8과 같이 만드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기압력밥솥 또는 전기홍삼중탕기에 사용되는 도자기내솥몸체의 제조방법은 상기 도자기내솥모체(500)의 상단에 손잡이(320)를 마련하는 제 7 단계와, 상기 상단면(510)에 단턱(717)을 마련하는 제 8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7 단계는 도자기 내솥몸체(500)의 열전달이 안되면서 상기 내솥몸체(500)를 쉽게 다룰 수 있게 하기 위한 손잡이(320) 부착 단계이다.
제 8 단계는 도자기 내솥몸체(500)의 상단면(510)에 내솥덮개인 제 1 덮개(400)의 패킹(700)이 잘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단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기압력밥솥 또는 전기홍삼중탕기에 사용되는 도자기내솥몸체의 제조방법은 도 6(b)와 같이 상기 상단면(510)의 하부에 돌출턱(719)이 마련되는 제 9 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돌출턱(719)은 상기 내솥몸체(500)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제 1 방향(718)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자기내솥모체(500)에 코팅층(502)을 형성하고 열을 가하는 제 10 단계가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코팅층(502)은 테프론 코팅이나 그 밖의 코팅으로 마련되며 완성된 내솥몸체(500)의 내용물이 내솥몸체(500)의 내부 표면에 눌러 붙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3 단계에서 유약에 상기 코팅층(502)을 이루는 성분을 첨가하여 도자기내솥모체(500)에 도포한 후에 작업을 진행하면 상기 제 10 단계가 생략된다.
상기 제 1 단계와 제 10 단계의 과정은 필요한 경우 일부가 생략되거나 순서가 바뀌어 진행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자기 등으로 이루어진 내솥몸체의 경사진 상단면에 밀착되는 내솥의 덮개와 패킹에 의하여 압력을 단계적으로 지탱하는 방식으로 종래의 금속내솥에 의한 방식을 탈피하고 상기와 같이 도자기 내솥의 경사진 상단면에 패킹이 밀착되도록 하면 도자기로는 사용할 수 없었던 전기압력밥솥 또는 전기밥솥의 내솥으로 사용할 수 있어 도자기의 특성인 열보존력으로 인해서 곡물을 취사하는데 최적의 온도와 시간으로 조리할 수 있다.
그리고 영양소 손실방지와 일정한 온도가 필요한 홍삼중탕기의 내솥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도자기 내솥몸체의 상단면 둘레를 커버로 감싸서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도자기 내솥몸체의 상단에 손잡이를 마련하여 사용하기 편한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도자기로 된 내솥몸체(500) 및 외주면에 제 1 패킹(700)이 마련된 제 1 덮개(400)를 포함하는 내솥본체(100)와 상기 제 1 덮개(400) 상부에 마련된 제 2 덮개(900)를 포함하는 외부본체(9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밥솥에 있어서,
    상기 제 1 덮개(400)에 마련된 제 1 관통관(202)과;
    상기 제 1 관통관(202)의 상부에 위치된 하우징(206)과;
    상기 제 1 덮개(400)와 제 2 덮개(900) 사이에 위치된 탄성부재(302);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취사시에 내솥본체(100) 내부에서 높아진 수증기의 압력이 상기 제 1 관통관(202), 하우징(206), 탄성부재(302)에 의해서 단계적으로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밥솥.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덮개(400)에는 수증기 온도를 감지하는 제 1 센서(405)가 마련되고, 상기 외부본체(960)의 바닥부에는 제 2 센서(922) 및 마이콤(MICOM: MIcroprocessor COMputer)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어부(920)가 마련되어 외부본체(960)로부터 내솥본체(100)로의 열전달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밥솥.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02)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밥솥.
  4. 청구항 1의 도자기 내솥이 장착된 전기자연압력밥솥의 제 1 덮개(400)에 마련된 제 1 센서(405) 및 내솥 몸체(500) 하부에 마련된 제 2 센서(922)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마이콤을 포함하는 제어부(920)가 도자기로 된 내솥 몸체(500)의 특성을 감안하여 내용물의 온도가 일정 보온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열판에 열을 1분 이하로 공급하고 그 후 10분 이하로 열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반복하여 일정 보온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열공급을 중지하는 열공급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내솥이 장착된 전기자연압력밥솥 보온방법.
  5. 도자기내솥모체 내부 상단면이 상방으로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만드는 단계;
    상기 도자기내솥모체를 건조하거나 1차 소성하는 단계;
    상기 도자기 내솥모체에 유약을 도포하되 상단부 안착면에 유약을 없애는 단계;
    상기 상단부가 닿게 거꾸로 엎어서 안착시킨 후 도자기내솥모체에 열을 가하 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내솥몸체의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도자기 내솥모체에 유약을 도포하되 상단부 안착면에 유약을 없애는 단계를 생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내솥몸체의 제조방법.
  7. 도자기내솥모체 상단면이 상방으로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만드는 단계;
    상기 도자기내솥모체를 건조하거나 1차 소성하는 단계;
    상기 도자기내솥모체에 유약을 도포하되 바닥부 안착면에 유약을 없애는 단계;
    상기 도자기내솥모체 바닥부를 안착시킨 후 도자기내솥모체에 열을 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내솥몸체의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도자기내솥모체에 유약을 도포하되 바닥부 안착면에 유약을 없애는 단계를 생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내솥몸체의 제조방법.
  9.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도자기내솥모체에 코팅층을 형성하고 열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내솥몸체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도자기내솥모체 상단면 둘레를 커버로 감싸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내솥몸체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 내부 상단면에 단턱을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내솥몸체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 내부 상단면의 하부에 돌출턱을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내솥몸체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도자기내솥모체를 둘레가 상단에서 하단으로 줄어드는 형상으로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내솥몸체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도자기내솥모체의 상단에 손잡이를 마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내솥몸체의 제조방법.
KR1020070006583A 2006-11-20 2007-01-22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밥솥과 그 보온방법 및도자기내솥 제조방법 KR100885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00321A JP2008126084A (ja) 2006-11-20 2007-11-20 陶磁器内釜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620 2006-11-20
KR20060114620 2006-1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0100A true KR20070020100A (ko) 2007-02-16
KR100885044B1 KR100885044B1 (ko) 2009-02-23

Family

ID=38108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6583A KR100885044B1 (ko) 2006-11-20 2007-01-22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밥솥과 그 보온방법 및도자기내솥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50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9332A3 (ko) * 2011-09-15 2013-05-10 Kim Woo Yong 고무패킹이 없는 전기 압력밥솥 및 압력식 조리기구
CN108652431A (zh) * 2018-07-05 2018-10-16 中山市家冠电气有限公司 一种高压锅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8525Y1 (ko) * 1993-04-15 1999-03-20 이헌조 전기밥솥의 보온온도 조절장치
JP3258784B2 (ja) * 1993-10-19 2002-02-18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気炊飯器
KR100191803B1 (ko) 1996-07-05 1999-06-15 정담 전기압력밥솥의 내통변형방지장치
JPH10201621A (ja) 1997-01-24 1998-08-04 Toshiba Home Technol Corp 炊飯保温釜
KR20000017891U (ko) * 1999-03-08 2000-10-05 유태우 도자기 보온밥통
KR20010000509U (ko) * 1999-06-11 2001-01-05 김창규 전기밥솥용 내부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9332A3 (ko) * 2011-09-15 2013-05-10 Kim Woo Yong 고무패킹이 없는 전기 압력밥솥 및 압력식 조리기구
EP2762044A4 (en) * 2011-09-15 2015-10-28 Woo Yong Kim ELECTRIC STEAM COOKING POT AND STEAM COOKING POT WITHOUT RUBBER PACKAGING
US10321782B2 (en) 2011-09-15 2019-06-18 Woo Yong KIM Electric rice pressure cooker and pressure cooker without a rubber packing
CN108652431A (zh) * 2018-07-05 2018-10-16 中山市家冠电气有限公司 一种高压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5044B1 (ko) 2009-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458000U (zh) 一种多功能烹调锅
KR100848866B1 (ko)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밥솥
KR200430601Y1 (ko) 이중구조의 조리용기
JP2007135729A (ja) 炊飯器
CN207544881U (zh) 家庭用电热锅
CN106714639A (zh) 用于厨用机器的可加热容器的蒸制附件
EP1761149B1 (en) A coffee machine
CN206792247U (zh) 水米分离蒸饭煲
KR100885044B1 (ko)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밥솥과 그 보온방법 및도자기내솥 제조방법
KR100997758B1 (ko) 전기압력밥솥
KR100679061B1 (ko) 도자기를 이용한 전기밥솥과 그 취사방법 및 도자기를이용한 전기홍삼 중탕기
JP2008126084A (ja) 陶磁器内釜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40650A (ko) 내솥 덮개
KR0128707Y1 (ko) 3중 구조의 내부용기와 상,하부히터를 구비한 전기밥솥
CN106419514A (zh) 一种可自动控制的电加热汽锅
JP6832259B2 (ja) 炊飯器
KR101615261B1 (ko) 스팀 프라이팬
CN207544860U (zh) 一种采用厚膜发热的立体加热电饭锅
JP5103280B2 (ja) 炊飯器
JP2006325823A (ja) ジャー炊飯器
KR100596193B1 (ko) 축열을 이용한 조리기
CN205284868U (zh) 一种手工搓茶的灶具
KR101823423B1 (ko) 가정용 중탕기
KR20170138369A (ko) 조리 용기용 거치대
KR20090117682A (ko) 전기 압력 보온밥솥용 밥 건조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