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0650A - 내솥 덮개 - Google Patents

내솥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0650A
KR20080040650A KR1020080028935A KR20080028935A KR20080040650A KR 20080040650 A KR20080040650 A KR 20080040650A KR 1020080028935 A KR1020080028935 A KR 1020080028935A KR 20080028935 A KR20080028935 A KR 20080028935A KR 20080040650 A KR20080040650 A KR 20080040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ot
cover
pot body
temperature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8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준호
Original Assignee
(주)복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복돼지 filed Critical (주)복돼지
Priority to KR1020080028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0650A/ko
Publication of KR20080040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06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솥 덮개에 관한 것으로, 절개부(403)가 형성된 캡(40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취사시에 상기 절개부(403)가 열리면서 수증기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솥 덮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절개부에 의하여 수증기의 배출이 적절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최적의 취사가 이루어진다.
밥솥, 내솥, 손잡이, 패킹, 도자기

Description

내솥 덮개{Rice Cooker Cover}
본 발명은 전기자연압력밥솥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자기로 이루어진 내솥을 이용하여 적당한 온도와 압력에서 취사가 이루어지도록 한 전기자연압력밥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기밥솥은 밥솥 뚜껑에 위치한 압력 배출구가 작고 밥솥 내부의 압력을 강제로 지탱하기 위해서 밥솥 뚜껑이 밥솥 몸체와 강하게 잠겨진 상태에서 빠른 취사를 위하여 고온 고압에서 취사과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기밥솥 내부에서 발생한 수증기를 밥통뚜껑에 위치한 배출구를 통하여 적절하게 배출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폭발의 위험성이 있고, 밥맛을 최상으로 내기 위한 적정 취사온도 이상으로 가열되어 영양분의 손실과 지어진 밥의 상태가 최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전기밥솥은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및 철재로 된 내솥을 사용하므로 내솥 전체에 열전달이 고르게 이루어지지 않아서 뜸을 들이는 과정에서 곡류가 가지고 있는 맛을 제대로 낼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및 철재로 된 내솥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종래의 도자기를 내솥으로 사용한 전기 밥솥은 실용신안등록인 출원번호 1995-39096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종래 고안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고 이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전기밥솥에 사용되는 내솥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부분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1에 의하면 내솥(1)은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부는 오목한 형상의 내솥몸체(5)와 하단부의 형상이 상기 내솥몸체(5)의 개구부와 형태 및 크기가 같은 내솥덮개(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내솥덮개(4)에는 중앙에 손잡이(3)가 형성되고, 소정 위치에 구멍(2)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솥(1)의 내솥몸체(5)와 내솥덮개(4)의 내부에는 열전도체(6)가 내장된다. 도 3은 상기 열전도체(6)가 내장된 내솥(1)의 모습을 잘 보이도록 도시한 내솥(1)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내솥(1)은 도자기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제작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도자기 형상으로 만든 1차 솥의 외부 둘레에 열전도체를 밀착시키고 그 외부에 다시 흙을 발라 2차 솥을 형성한 후 초벌구이와 본불구이을 거쳐서 이루어진다.
도 4는 도 1의 내솥(1)이 사용된 종래 전기밥솥으로 외부 몸체(7)에 상기 내솥(1)이 인입되어 있고, 상기 외부 몸체(7)의 일단은 외부 덮개(9)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자기로 구성된 상기 내솥(1)은 원적외선이 조사되어 물분자가 활성화되고 용존산소가 발생되기 때문에 내용물을 부패시키는 박테리아의 침투를 억제하므로 선도를 오래도록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내솥(1)에 담긴 내용물의 풍미가 좋아지고 내용물의 표면이 마르고 갈색으로 변하는 것을 억제하며 또한 내솥(1)의 내외면이 거의 균일하게 가열되므로 효율적인 가열이 가능하여 내용물의 맛을 한층 좋게 하며, 온도변화가 적어 내용물의 보존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자기를 이용한 전기밥솥의 경우에는 주로 내용물 보존기간을 연장하고 내용물 특히, 밥의 보존 상태를 양질의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고 취사시에 고온 고압의 상태로 인한 밥통의 폭발 등의 사고 방지나 고온의 취사 온도에 의하여 취사시 밥의 영향성분 파괴 등의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내솥으로 도자기의 단점인 굽을 없앤 도자기를 사용하여 빠르게 열전도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한 도자기의 특성인 고른 열전달과 내솥의 패킹구조에 의하여 내솥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압력을 적절하게 제어하도록 하여, 고온 고압에 의한 폭발사고 위험을 방지하고 맛과 영양이 보존된 최상의 밥이 되는 취사과정 및 보온과정을 이루는 전기밥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자기로 된 내솥몸체 및 외주면에 제 1 패킹이 마련된 제 1 덮개를 포함하는 내솥본체와 상기 제 1 덮개 상부에 마련된 제 3 덮개를 포함하는 외부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밥솥에 있어서, 상기 제 1 덮개 하부에 위치되고 상하면이 중심부로 하향 경사진 형상이며 외주면에 제 2 패킹이 마련되고 상기 중심부에 제 2 구멍이 형성된 제 2 덮개를 마련하여, 상기 제 2 덮개의 하면 형상 및 제 2 패킹은 내솥본체 내부의 압력을 지탱하고 제 2 덮개의 상면 형상은 수분이 다시 제 2 구멍을 통하여 환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밥솥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덮개 중심에는 상기 제 2 덮개 중심에서 상승하는 수증기 온도를 감지하는 제 1 센서가 마련되고, 상기 외부본체의 바닥부에는 제 2 센서 및 마이콤(MICOM: MIcroprocessor COMputer)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어부가 마련되어 외부본체로부터 내솥본체로의 열전달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덮개 및 제 2 덮개는 둘레가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자기로 된 내솥몸체 및 제 1 덮개를 포함하는 내솥본체와 상기 제 1 덮개 상부에 마련된 제 3 덮개를 포함하는 외부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밥솥에 있어서, 상기 내솥몸체의 바닥부는 평평하거나 곡선을 이루게 마련되고, 상기 내솥 몸체의 내부 상단면은 상방으로 둘레가 넓어지게 경사지도록 마련되며, 상기 내솥몸체의 상단 둘레는 내솥몸체와 플라스틱으로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밥솥도 제공한다.
그리고 도자기로 된 내솥몸체 및 제 1 덮개를 포함하는 내솥본체와 상기 제 1 덮개 상부에 마련된 제 3 덮개를 포함하는 외부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밥솥에 있어서, 상기 내솥몸체의 바닥부는 평평하거나 곡선을 이루게 마련되고, 상기 내솥 몸체의 내부 상단면은 상방으로 둘레가 넓어지게 경사지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밥솥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자기로 된 내솥몸체 및 제 1 덮개를 포함하는 내솥본체와, 상기 내솥본체를 내부에 포함하는 외부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밥솥에 있어서, 상기 제 1 덮개는 둘레가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 고, 상기 제 1 덮개가 도자기의 특성상 타원으로 형성된 내솥몸체의 경사진 상단면에 밀착되어 취사시 내솥본체 내부의 수증기 압력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밥솥을 제공한다.
도자기로 된 상기 내솥몸체의 바닥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내솥몸체의 둘레가 상단에서 하단으로 줄어들 수 있으며, 상기 내솥몸체의 상단 둘레에 손잡이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솥몸체는 돌 또는 강화유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1 덮개는 중심부로 하향 경사진 형상, 수평 또는 곡선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상기 내솥몸체의 상단 둘레는 내솥몸체와 다른 재질로 감쌀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진 내부 상단면에 단턱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경사진 내부 상단면의 하부에 돌출턱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덮개에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가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덮개와 제 3 덮개 사이에 탄성부재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제 1 덮개에 패킹이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덮개 하면에는 제 3 구멍이 마련되고, 제 3 구멍의 상부에는 내부하우징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내부하우징의 상단에는 절개부 또는 관통공이 형성된 캡이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도자기 내솥이 장착된 전기자연압력밥솥의 내솥 몸체 상부에 마련된 제 1 센서 및 내솥 몸체 하부에 마련된 제 2 센서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마이콤을 포함하는 제어부에서 도자기 내솥 몸체의 열보존력과 특성을 감안하여 소정온도가 오른후 열공급을 중지하고 다시 곡류 내용물의 특성을 감안하여 내솥본체의 내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반복적으로 열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내솥이 장착된 전기자연압력밥솥 취사방법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자기 등으로 이루어진 내솥의 덮개와 패킹에 의하여 압력을 단계적으로 지탱하며 내솥본체에 반복적으로 열을 계속 공급하는 방식으로 종래의 강제적인 고압지탱방식에서 탈피하고 곡물을 취사하는데 최적의 온도와 시간으로 안전하게 조리할 수 있어 영양소 손실 방지와 안전 사고 예방의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인 전기자연압력밥솥의 내부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B부 분의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5에서 밥솥 뚜껑을 연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인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밥솥에 사용되는 내솥본체(100)는 상단면(510)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오목한 형상이며 도자기로 된 내솥몸체(500)와 외주면에 제 1 패킹(700)이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를 덮을 수 있는 형상의 제 1 덮개(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내솥 몸체(500)는 도자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덮개(400) 하부에는 상하면이 중심부로 하향 경사진 형상이며 외주면에 제 2 패킹(610)이 마련되고 상기 중심부에 제 2 구멍(650)이 형성된 제 2 덮개(600)가 마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덮개(400)는 중심부로 하향 경사진 형상, 수평 또는 곡선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솥본체(100)의 외부에 위치되는 외부본체(960)에는 상기 내솥본체(100)에 열을 전달하는 소정 부분이 마련되고 상기 제 1 덮개(400) 상부에 마련된 제 3 덮개(900)가 포함된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외부본체(960)는 하단부에 위치하는 열판(930)과 상기 내솥본체(100) 바닥부(530)의 온도 감지용 제 2 센서(922)를 내부에 마련하고 있는 제어부(920)를 포함하고 상기 내솥본체(100)보다 큰 형상인 외부몸체(950)와, 상기 외부몸체(950)와 일부가 연결된 제 3 덮개(9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 3 덮개(900)의 상부에는 외부손잡이(910)가 마련되고 상기 외부손잡이(910) 전방에는 취사버튼(905)이 형성된다.
도 6과 같이, 상기 제 1 패킹(700) 및 제 2 패킹(610)의 단면 형상은 각각 소정 위치에서 갈라져 두 부분으로 나뉘고 상기 내솥 몸체(500)의 상단면(510)과 수평으로 접하는 부분과 수직으로 접하는 부분이 마련된다.
즉, 상기 제 1 패킹(700)에는 상기 상단면(510)과 수평으로 접하는 부분인 제 1 수평단(722) 및 수직으로 접하는 부분인 제 1 수직단(720)이 형성되고, 제 2 패킹(610)에는 상기 상단면(510)과 수평으로 접하는 부분인 제 2 수평단(615) 및 수직으로 접하는 부분인 제 2 수직단(605)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패킹(700) 및 제 2 패킹(610)과 접하는 내솥 몸체(500)의 내부 상단면(510)은 패킹을 밀착시키기 위해 상방으로 둘레가 넓어지게 경사진다.
그리고 도자기로 된 상기 내솥몸체(500)의 상단 둘레는 파손 방지를 위해 내솥몸체(500)와 다른 재질, 특히, 플라스틱으로 감싼 부분인 커버(505)가 마련되고, 상기 상단 둘레 양끝에 손잡이(320)가 마련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자기는 특성상 제작 과정에서 약간 타원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제 1 덮개(400) 및 제 2 덮개(600)도 상기 상단면(510)에 밀착되도록 대응되는 둘레도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5의 상기 제 1 덮개(400) 중심에는 상기 제 2 덮개(600) 중심에서 상승하는 수증기 온도를 감지하는 제 1 센서(405)가 마련되고, 상기 외부본체(960)의 바닥부에는 제 2 센서(922) 및 마이콤(MICOM: MIcroprocessor COMputer)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어부(920)가 마련되어 외부본체(960)로부터 내솥본체(100)로의 열전달을 제어한다. 상기 마이콤(MICOM: MIcroprocessor COMputer)은 일반적으로 전기밥솥이나 냉장고 또는 세탁기에 사용되어 온도 제어, 시간 제어 등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솥몸체(500)는 도자기 뿐만 아니라, 돌 또는 강화유리 로도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내솥몸체(500)의 바닥부(530)와 외부본체(960)의 내부 바닥부 사이를 밀착시켜 열전달이 잘 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내솥몸체(500)의 바닥부(530)는 돌출부가 없이 평평하거나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도 7과 같이 내솥몸체(500)의 바닥부(530)에 돌출부(535)가 형성되고 상기 외부본체(960)의 내부 열판에 도자기로 된 내솥몸체(500) 바닥부(530)의 돌출부(535)가 들어가는 홈(925)이 형성된다.
상기 상단면(510) 위에 놓여지는 상기 제 1 덮개(400)는 중앙에 마련된 온도 감지용 제 1 센서(405) 및 소정 위치에 형성된 제 1 구멍(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구멍(200)의 일단에 형성된 관통관(220)은 상기 제 3 덮개(900)를 관통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덮개(400)와 제 2 덮개(600) 및 제 3 덮개(900)가 연결 로드(300)에 의하여 연결되어 일체로 된다.
따라서, 도 7과 같이 상기 제 3 덮개(900)를 열면 제 1 덮개(400) 및 제 2 덮개(600)도 함께 열린다.
도 8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내솥의 한 실시예에 관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내솥과 제 2 덮개의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적은 양의 취사를 할 경우에 필요 이상으로 내솥몸체(500)가 큰 경우에는 좋은 밥맛을 낼 수가 없으므로, 이러한 경우에 도 8과 같이 상기 내솥몸체(500)의 둘레가 상단에서 하단으로 줄어들도록 형성하여 상부는 본 발명의 다른 내솥몸체(500)의 상부와 크기가 같도록 하여 상기 제 2 덮개(600)가 적절히 덮힐 수 있고, 하부는 둘레를 작게 하여 적은 양의 취사시에도 좋은 밥맛을 낼 수 있다.
도 9와 같이 상기 내솥몸체(500)는 상단 둘레의 지름의 크기가 a부분이 b부분 보다 크다. 이는 도자기가 고온에서 제작되는 과정 중에 본래 원형 형상에서 근소하게 타원형 형상으로 변형되는 특성에 기인한 것인 바, 상기 지름의 크기가 가장 긴 a부분의 양끝에 손잡이(320)가 마련되어 상기 내솥몸체(500)를 외솥 본체(960)의 내부에 넣을 때 손잡이(320)가 항상 소정 위치에 놓이도록 하여 제 2 덮개(600)와의 밀착도를 높인다.
그리고 본 발명 중에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 홍삼 중탕기는 상기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밥솥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밥솥을 그대로 사용하되 그 용도가 홍삼 중탕을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 홍삼 중탕기는 상기 외부본체(960)에서 내솥본체(100)에 열을 전달하는 다림시간을 고정하지 않고 사용자가 시간별로 직접설정 하도록 제어부가 구성된다. 따라서 홍삼을 다리는 목적에 따라서 필요한 영양분 파괴가 최소화되도록 온도와 다림시간을 사용자가 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인 전기밥솥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인 취사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취사과정 예열단계의 전기자연압력밥솥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취사과정 중간단계의 전기자연압력밥솥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취사 과정에서 압력밥솥의 작용을 설명하면 상기 제 1 덮 개(400)와 제 2 덮개(600)와 제 1 패킹(700) 및 제 2 패킹(610)은 내솥본체(100) 내부의 압력을 단계적으로 지탱하고 상기 외부본체(960)는 상기 내솥본체(100)가 소정 온도에 오른 후에도 내솥본체(100)의 온도가 떨어지면 반복적으로 열을 공급하여 내솥본체(100)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덮개(600)의 하면 형상은 수증기에 의한 대류 현상이 상기 하면을 따라 제 2 덮개(600)의 중심부를 향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작용을 하고, 제 2 덮개(600)의 상면 형상은 취사과정 중 뜸 단계에서 온도가 소정 범위 내려가면 제 1 덮개(400)와 제 2 덮개(600) 사이에 있던 수증기가 물방울로 변하여 상면의 형상을 따라 이동하여 중심부에 있는 제 2 구멍(650)을 통과하고 취사중인 내용물(690)에 환원됨으로써, 상기 내용물(690)의 수분을 최적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외부본체(960)의 내면에 상기 내솥본체(100)의 외면 중에 상기 바닥부(530)만 밀착되면 되기 때문에 내솥본체(100)의 크기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솥본체(100)를 도 8의 3인용 밥솥 형상 또는 전기 홍삼 중탕기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취사가 시작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사과정이 진행되는데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취사 시작의 제 1 단계(1000)는 사용자가 도 11에 도시된 내솥본체(100) 내부에 쌀, 콩, 보리 등의 내용물(690)을 넣고 상기 외부 본체(960)의 소정 위치에 있는 취사버튼(905)을 누르는 과정이다.
내솥 가열 및 온도 측정 단계인 제 2 단계(1100)는 상기 제 1 단계(1000)에 의해서 시작되고 마이콤(MICOM)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기 제어부(920)에서 상기 열판(930)에 열을 공급하여 상기 바닥부(530)를 데워 상기 내용물(690)이 취사의 최적 온도상태가 될 수 있는 소정 온도까지 내솥본체(100)를 가열하게 된다.
도 11는 상기 제 2 단계(1100)의 상태에서 외부본체(960)의 단면을 잘라 내부 상태를 보여주는데 내솥본체(100)의 내부상태는 내용물(690)이 끓게 됨에 따라 수증기가 발생하고 이에 의하여 압력이 증가하는데 내부압력선(692)은 수증기의 압력방향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제 2 덮개(600)의 하면 형상은 중심부로 하향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수증기가 내부압력선(692)과 같이 대류하면서 상기 내용물(690)과 제 2 덮개(600) 사이에 수증기의 압력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2 덮개(600)는 상부로 소정 범위 이동하면서 그 자중에 의하여 압력 일부를 지탱하고 상기 제 2 패킹(610)이 나머지 압력을 지탱하게 된다.
그리고 수증기의 양이 증가하여 제 2 덮개(600) 하부에 압력이 증가하면 수증기의 일부는 상기 제 2 구멍(650)을 통과하여 도 12의 제 2 덮개(600)와 제 1 덮개(400) 사이에 도시된 내부압력선(692)의 방향으로 향하고 상기 제 1 덮개(400)는 수증기의 압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제 2 덮개(600)와 제 1 덮개(400) 사이의 온도가 상승하고, 상기 제 1 센서(405)는 상기 감지된 온도를 제어부(920)에 전달한다.
외솥 몸체(950)의 바닥에 위치되고 상기 바닥부(530)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 2 센서(922)를 내장한 마이콤(MICOM)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기 제어부(920)는 상기 제 1 센서(405)와 제 2 센서(922)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서 내솥 몸체(500)의 바닥부(530)에 열공급을 제어한다.
열공급 차단 단계인 제 3 단계(1200)는 상기 제 2 단계(1100)에서 상기 내솥본체(100)의 온도가 소정 온도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제어부(920)에서 상기 열판(930)의 열공급을 차단하는 단계이다. 이때 도자기로 이루어진 상기 내솥본체(100)는 보온성이 있기 때문에 소정 온도를 소정 시간 동안 유지하고 온도가 서서히 하강하게 된다.
소정시간 간격으로 열공급 단계인 제 4 단계(1300)는 상기 제 3 단계(1200)의 상기 내솥본체(100)가 소정 시간이 지나 소정 온도 이하로 내려가면 상기 제어부(920)는 상기 외부몸체(950)의 열판(930)으로부터 내솥본체(100)에 소정 시간 간격으로 열전달이 되도록 열공급을 소정 시간마다 반복하는 과정이다. 이 단계에서는 상기 내솥본체(100)가 소정 온도를 유지하는 시간이 일정하기 때문에 소정 시간마다 열공급하여 취사에 필요한 시간만큼의 온도 유지를 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면, 백미 가마솥밥의 경우는 내솥본체(100)의 내부 온도가 섭씨 101도 이상 도달하면 마이콤(MICOM)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기 제어부(920)에서 열공급을 차단하고,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내솥본체(100)의 온도가 섭씨 101도 이하로 떨어지면 다시 열을 공급하여, 내솥본체(100)의 온도가 섭씨 101도로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백미 가마솥밥 보다 잘 불리지 않는 단단한 콩류 등의 잡곡은 상기의 온도보다 저온인 섭씨 100도의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920)에서 열공급을 차단하고,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상기 백미 가마솥밥의 경우보다 긴 시간 열공급을 반복하여, 상기 백미 가마솥밥 또는 콩류 등의 잡곡이 최상의 상태로 취사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 4 단계(1300)의 시간은 취사대상인 곡물의 종류에 따라서 여러 형태로 변형가능 하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 단계(1200)와 제 4 단계(1300)에서의 외부본체(960) 내부 상태는 상기 내부압력선(692)의 일부 압력이 제 2 덮개(600)에서 차단되고 내부압력선(692)의 나머지 압력은 상기 제 1 덮개(400)를 상부로 미는 힘으로 작용한다. 이에 대하여 상기 제 1 덮개(400)는 상부로 소정 범위 이동하면서 그 자중에 의하여 나머지 압력 일부를 지탱하고 상기 제 1 패킹(700)이 나머지 압력 잔부를 지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내용을 요약하면 상기 제 1 덮개(400)와 제 2 덮개(600)와 제 1 패킹(700) 및 제 2 패킹(610)은 내솥본체(100)의 압력을 단계적으로 지탱하고 마이콤(MICOM)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상기 제어부(920)는 외부몸체(950)로부터 내솥본체(100)에 열전달을 제어하는 것이다.
그리고 내부압력이 소정 범위 이상이 될 경우에는 수증기의 일부가 제 1 구멍(200)으로 인입되어 관통공(220)을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
상기 외부본체(960)는 상기 내솥본체(100)가 소정 온도에 오른 후에도 내솥본체(100)의 온도가 떨어지면 반복적으로 열을 공급하여 내솥본체(100)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뜸 단계인 제 5 단계(1400)는 상기 제 4 단계(1300)의 적정시간을 거친 후에 상기 제어부(920)에 의하여 열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공급된 열을 전체가 고르게 보유하는 도자기의 특성과 상기 제 1 덮개(400), 제 1 패킹(700), 제 2 덮개(600) 그리고 제 2 패킹(610)의 구조가 상기 내솥본체(100) 내부의 열을 유지시켜 최상의 상태에서 상기 제 5 단계(1400)가 이루어진다.
취사종료인 제 6 단계(1500)는 상기 제 5 단계(1400)가 종료된 후에 취사가 완료된 것을 외부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이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기밥솥 취사 방법은 도자기 내솥이 장착된 전기자연압력밥솥의 내솥 몸체(500) 상부에 마련된 상기 제 1 센서(405) 및 내솥 몸체(500) 하부에 마련된 상기 제 2 센서(922)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마이콤을 포함하는 제어부(920)에서 도자기 내솥 몸체(500)의 열보존력과 특성을 감안하여 소정온도가 오른후 열공급을 중지하고 다시 곡류 내용물의 특성을 감안하여 내솥본체(100)의 내부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반복적으로 열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인 전기자연압력밥솥은 보온기능도 수행하는데, 상기 도자기 내솥이 장착된 전기자연압력밥솥의 내솥 몸체(500) 상부에 마련된 제 1 센서(405) 및 내솥 몸체(500) 하부에 마련된 제 2 센서(922)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마이콤을 포함하는 제어부(920)가 도자기로 된 내솥 몸체(500)의 특성을 감안하여 내용물의 온도가 일정 보온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열판에 열을 1분 이하로 공급하고 그 후 1분 이하로 열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반복하여 일정 보온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열공급을 중지하는 열공급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내솥이 장착된 전기자연압력밥솥 보온방법도 수행한다.
일반적인 전기밥솥의 내솥 재질과 달리 본 발명의 내솥 몸체(500)는 도자기고 이루어져 있어서 열전도는 늦고 열보유력은 큰 특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도자기로 된 내솥 몸체(500)의 특성을 감안하여 보온온도를 제어하게 되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 1 단계는 상기 도자기 내솥이 장착된 전기자연압력밥솥의 내솥 몸체(500) 상부에 마련된 제 1 센서(405) 및 내솥 몸체(500) 하부에 마련된 제 2 센서(922)에서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단계를 통하여 측정된 온도는 마이콤을 포함하는 제어부(920)에 전달된다.
제 2 단계는 마이콤을 포함하는 제어부(920)가 도자기로 된 내솥 몸체(500)의 특성을 감안하여 내용물의 온도가 적정 보온온도인 섭씨 69도 내지 71도 사이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내솥 몸체(500)에 열을 공급하는 단계이다.
즉, 취사가 종료되면 섭씨 90도 이상의 온도에서 보온단계로 전환되어 내솥 몸체(500)의 내용물 온도가 하강하여 섭씨 69도 내지 71도 사이의 온도가 된다. 그리고 열공급이 차단된 상태가 계속되면 내용물 온도가 섭씨 69도 이하로 떨어지게 되고, 이때 마이콤을 포함하는 제어부(920)가 열판에 열을 1분 이하로 공급하고 그 후 1분 이하로 열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반복하여 일정 보온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열공급을 중지하는 열공급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열공급 시간을 1분 이하로 공급하고 그 후 1분 이하로 열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반복하는 이유는 내솥 몸체(500)가 도자기로 형성된 것에 기인하는데, 1분 이상 열공급이 이루어지면 그 후에 열공급을 차단하여도 도자기의 특성상 온도가 2도 이상 상승하게 되어 적정 보온 온도 중 최고 온도인 섭씨 71도를 넘게되는 문제가 야기된다.
또한, 1분 이상 열공급이 중단되면 먼저 공급된 1분 이하의 열공급에 의해 발생한 도자기의 열보유력이 소멸하여 적정 보온 온도에 도달할 수 없는 문제가 야기된다.
따라서, 1분 이하의 열공급을 하여 도자기로 된 내솥 몸체(500)의 온도를 서서히 올린 후에 1분 이하로 열공급을 차단하여 공급된 열이 내솥 몸체(500)의 내용물에 충분히 전달된 후에 다시 1분 이하의 열공급을 하고 1분 이하로 열공급을 차단하는 방식을 반복하여 내솥 몸체(500)의 온도가 적정 보온 온도에 도달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13과 같다.
즉,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밥솥은 도자기로 된 내솥몸체(500) 및 외주면에 제 1 패킹(700)이 마련된 제 1 덮개(400)를 포함하는 내솥본체(100)와 상기 제 1 덮개(400) 상부에 마련된 제 3 덮개(900)를 포함하는 외부본체(9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밥솥에 있어서, 상기 내솥몸체(500)의 바닥부(530)는 외부본체(960)의 내부 열판에 밀착되게 평평하거나 곡선을 이루게 마련되고, 상기 제 1 패킹(700)과 접하는 내솥 몸체(500)의 내부 상단면(510)은 상방으로 둘레가 넓어지게 경사지도록 마련되어 상기 상단면(510)에는 제 1 패킹(700)이 밀착되며, 상기 내솥몸체(500)의 상단 둘레는 플라스틱으로 감싸는 부분이 마련되게 구성된다.
제 1 덮개(400)에 온도를 감지하는 부분의 위치는 도 5와 도 13에서 상이하나 모두 제 1 센서(405)로 나타내고 그 기능이나 구조는 같은 것으로 한다.
그리고 도 7과 같이 상기 도자기로 된 상기 내솥몸체(500)의 바닥부(530)가 곡선을 이루는 것 또는 상기 외부본체(960)의 내부 열판에 도자기로 된 내솥몸체(500) 바닥부(530)의 돌출부(535)가 들어가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8과 같이 상기 상단 둘레 양끝에 손잡이(320)가 마련되고, 상기 내솥몸체(500)의 둘레가 상단에서 하단으로 줄어들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1 덮개(400)는 도 9의 제 2 덮개(600)와 같이 둘레가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덮개(400)가 도자기의 특성상 타원으로 형성된 내솥몸체(500)의 경사진 상단면(510)에 밀착되어 취사시 내솥본체(100) 내부의 수증기 압력을 저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덮개(400)에 온도를 감지하는 제 1 센서(405)가 부착되고, 상기 제 1 덮개(400)는 하면이 중심부로 하향 경사진 형상이다.
상기 제 1 덮개(400)와 제 3 덮개(900) 사이에는 제 1 덮개(400)에 일단이 연결되고, 제 3 덮개(900)의 제 1 인입공(306)에 타단이 인입된 연결로드(300)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로드(300) 중 제 1 덮개(400)와 제 3 덮개(900) 사이에 위치된 부분에는 연결로드(300)의 둘레를 감싸는 스프링으로 된 탄성부재(302)가 마련된다.
상기 제 1 덮개(400) 하면에는 제 3 구멍(201)이 마련되고, 제 3 구멍(201)의 상부에는 내부하우징(401)이 위치되며, 상기 내부하우징(401)에는 제 1 센서(405)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하우징(401)의 상단에는 절개부(403) 또는 관통공이 형성된 캡(402)이 위치된다.
상기 캡(402)의 형상은 도 13의 (a)와 같이 캡(402)의 상면에 절개중심(404)을 중앙으로 해서 십자형 절개부(403)가 형성되거나, (b)와 같이 절개중심(404)을 중앙으로 해서 3갈래로 나뉘는 절개부(403)가 형성되거나, (c)와 같이 캡몸체(407)와 캡상단(409) 사이에 일측에는 연결부재(406)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연결스프링(408)이 마련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402)은 절개되지 않고, 상기 절개중심(404) 부근에 작은 관통공이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3의 상기 외부본체(960)의 바닥부에는 제 2 센서(922) 및 마이콤(MICOM: MIcroprocessor COMputer)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제어부(920)가 마련되어 외부본체(960)로부터 내솥본체(100)로의 열전달을 제어한다. 상기 마이콤(MICOM: MIcroprocessor COMputer)은 일반적으로 전기밥솥이나 냉장고 또는 세탁기에 사용되어 온도 제어, 시간 제어 등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솥몸체(500)는 도자기 뿐만 아니라, 돌 또는 강화유리로도 이루어진다.
도 14의 (a)와 같이, 상기 제 1 패킹(700)의 단면 형상은 소정 위치에서 두 부분으로 갈라져 상기 내솥 몸체(500)의 상단면(510)과 수평으로 접하는 부분과 수직으로 접하는 부분이 마련된다.
즉, 상기 제 1 패킹(700)에는 상기 상단면(510)과 수평으로 접하는 부분인 수평단(722) 및 수직으로 접하는 부분인 수직단(720)이 형성되어 상방으로 넓어진 상기 상단면(510)인 경사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단(720)의 끝부분에 수평팁(724)이 마련되어 밀착도를 높인다.
또한, 도 14의 (b)와 같이 상단면(510)에 단턱(717)이 형성되고 수직단(720)만 형성된 상기 제 1 패킹(700)이 상기 상단면(510)에 밀착하고 상기 단턱(717)에 제 1 덮개(400)가 안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단면(510)의 하부에 돌출턱(719)이 마련되어 내솥몸체(500)에서 발생된 수증기가 제 1 방향(718)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도 14의 (c)와 같이, 상기 도 14의 (a)와 같은 형상에서 상기 돌출턱(719)만 더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도자기로 된 상기 내솥몸체(500)의 상단 둘레에는 파손 방지와 잠금장치의 물리적 힘을 견디기 위해 플라스틱 또는 실리콘 등의 비금속이나 금속 재질로 감싸는 부분인 커버(505)가 마련되고, 상기 상단 둘레 양끝에 손잡이(320)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덮개(400)와 제 3 덮개(900)가 연결 로드(300)에 의하여 연결되어 일체로 움직이기 때문에 상기 제 3 덮개(900)를 열면 제 1 덮개(400)도 함께 열린다.
도 13과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작용은 상기 도 11 및 도 12에서 설명된 주요내용과 유사하므로 이와 다른 부분만 설명하기로 한다.
취사시에 내솥몸체(500) 내부에 수증기가 많이 발생되면 제 1 덮개(400)의 하면 형상을 따라서 제 1 덮개(400)의 중앙으로 이동되다가 제 3 구멍(201)을 관통하여 내부하우징(401)에 인입된다.
그리고 내부하우징(401)에 유입된 수증기가 내부하우징(401) 내부에 포화되면 상기 캡(402)의 절개중심(404)에서부터 절개부(403)가 열리면서 수증기가 배출된다.
또한, 상기 내솥몸체(500) 내부에 수증기의 압력이 매우 높아지면 절개부(403)를 통하여 배출되는 수증기의 양으로는 내솥몸체(500)의 높아진 수증기의 압력을 감당할 수 없으므로, 수증기의 일부는 제 1 덮개(400)의 하부를 상부로 밀고,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302)가 압축되면서 연결로드(300)가 상향 이동되며 제 1 덮개(400)가 열리게 된다.
따라서, 내솥본체(100)는 취사가 진행됨에 따라 수증기의 압력이 소정 범위 이상에 도달할 경우 폭발 위험 없이 안전하게 수증기가 배출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 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전기밥솥에 사용되는 내솥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부분을 자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내솥이 사용된 종래 전기밥솥.
도 5는 본 발명인 전기자연압력밥솥의 내부 단면도.
도 6은 도 5의 B부분의 확대도.
도 7은 도 5에서 밥솥 뚜껑을 연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내솥의 한 실시예에 관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내솥과 제 2 덮개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인 취사방법의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취사과정 예열단계의 전기자연압력밥솥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취사과정 중간단계의 전기자연압력밥솥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내솥 본체 300: 연결 로드
400: 제 1 덮개 500: 내솥 몸체
600: 제 2 덮개 700: 제 1 패킹

Claims (2)

  1. 절개부(403)가 형성된 캡(402);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취사시에 상기 절개부(403)가 열리면서 수증기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솥 덮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403)는 십자형 절개부 또는 3갈래로 나뉘는 절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솥 덮개.
KR1020080028935A 2008-03-28 2008-03-28 내솥 덮개 KR200800406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935A KR20080040650A (ko) 2008-03-28 2008-03-28 내솥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935A KR20080040650A (ko) 2008-03-28 2008-03-28 내솥 덮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2353A Division KR100848866B1 (ko) 2006-09-18 2007-03-07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밥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0650A true KR20080040650A (ko) 2008-05-08

Family

ID=39648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8935A KR20080040650A (ko) 2008-03-28 2008-03-28 내솥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06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5975A (ko) * 2017-03-30 2019-07-19 그리 일렉트릭 어플라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오브 주하이 자기 스트립 장착 브래킷 및 가전 제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5975A (ko) * 2017-03-30 2019-07-19 그리 일렉트릭 어플라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 오브 주하이 자기 스트립 장착 브래킷 및 가전 제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8866B1 (ko)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밥솥
KR200430601Y1 (ko) 이중구조의 조리용기
KR101631556B1 (ko) 중탕기능이 구비된 무선 전기주전자
KR100679061B1 (ko) 도자기를 이용한 전기밥솥과 그 취사방법 및 도자기를이용한 전기홍삼 중탕기
KR20110072862A (ko) 넘침방지 조리기구용 뚜껑
KR20090004397A (ko) 다기능 찜 용기
KR100885044B1 (ko) 도자기 내솥 장착 전기자연압력밥솥과 그 보온방법 및도자기내솥 제조방법
KR20080040650A (ko) 내솥 덮개
JP2008126084A (ja) 陶磁器内釜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64703Y1 (ko) 가정용 멀티 중탕기
CN207136771U (zh) 压力烤煨锅
KR20110000512U (ko) 직화형 후라이팬
JP5285869B2 (ja) マイクロ波加熱調理容器
KR101140261B1 (ko) 전기 압력 보온밥솥용 밥 건조방지장치
KR200297361Y1 (ko) 전기보온밥솥의 보조용기 구조
KR20040083816A (ko) 자동압력 중탕기
KR200426023Y1 (ko) 히타가 구비된 냄비
KR200482007Y1 (ko) 조리된 음식물 가열기구
KR102126775B1 (ko) 바텀 센싱부의 구조를 간소화시킨 이중조리용기 및 이중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1544367B1 (ko) 가스레인지용 조리용기 내장 받침대
JP3902772B2 (ja)
KR200490536Y1 (ko) 요리용 보조기구 및 보조기구가 활용된 이중냄비
CN207084661U (zh) 一种基于温度检测的双层盖电烹饪器具
KR20130118128A (ko) 조리용기의 증기회수식 덮개장치
KR20170138369A (ko) 조리 용기용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