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4094Y1 - 가습기의 물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가습기의 물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4094Y1
KR200334094Y1 KR20-2003-0028896U KR20030028896U KR200334094Y1 KR 200334094 Y1 KR200334094 Y1 KR 200334094Y1 KR 20030028896 U KR20030028896 U KR 20030028896U KR 200334094 Y1 KR200334094 Y1 KR 2003340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torage space
closing
outlet
humid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88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양호
Original Assignee
한영전기공업주식회사
김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전기공업주식회사, 김양호 filed Critical 한영전기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288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40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40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40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습기의 물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내부에 저장공간(31)이 구비되는 급수탱크(30)의 일면에는 개구부(3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33)에는 유출구(43a)와 주입구(43b)가 형성되는 커버부(40)가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40)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저장공간(31)의 내부에는 개폐부(50)가 설치된다. 상기 개폐부(50)는 그 하부에 형성되는 공기챔버(53)의 부력에 의하여 상기 저장공간(31)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서 상하로 직선운동하여 상기 주입구(43b)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가 별도의 뚜껑을 여닫지 않고, 상기 주입구(43b)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가습기의 물공급장치{A water supplying device of humidifier}
본 고안은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습기의 물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가습기의 요부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기 본체(1)의 내부 일측에는 가습조(3)가 구비된다. 상기 가습조(3)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급수탱크(10)로부터 공급된 물이 저장되고, 그 일측에는 기화장치(5)가 설치된다. 상기 기화장치(5)는 상기 가습조(3)에 저장된 물을 기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기화장치(5)의 상방에는 배기덕트(7)가 구비된다. 상기 배기덕트(7)의 하단부는 상기 가습조(3)와 연통되고, 그 상단부에는 배기공(9)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습조(3)에서 기화된 수증기는 상기 배기덕트(7)에 의하여 안내되고, 상기 배기공(9)을 통하여 외부, 즉 가습하고자 하는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본체(1)의 상부에는 급수탱크(10)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급수탱크(10)의 내부에는 상기 가습조(3)에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소정의 저장공간(11)이 구비되고, 그 저면 양측에는 각각 주입구(13)와 유출구(15)가 형성된다.
상기 주입구(13)는, 상기 저장공간(11)에 저장되는 물이 공급되는 곳으로, 뚜껑(13a)에 의하여 개폐된다. 상기 유출구(15)는 상기 저장공간(11)에 저장된 물이 상기 가습조(3)에 유출되는 통로역할을 하는 곳으로, 상기 가습조(3)에 대응하는 상기 급수탱크(10)의 저면 일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출구(15)는 니들밸브(17)에 의하여 개폐된다.
상기 니들밸브(17)는 상기 급수탱크(10)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하로 직선운동하여 상기 유출구(15)를 개폐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습조(3)의 저면에는 가습조(3)에 저장되는 물의 높이에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니들밸브(17)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밸브작동부(19)가 구비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기술에 의한 가습기의 물공급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상기 주입구(13)를 통하여 상기 저장공간(11)에 물을 주입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직접 상기 뚜껑(13a)을 열어서 상기 주입구(13)를 개방시켜야 한다. 또한 물의 주입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상기 뚜껑(13a)을 닫아서 상기 주입구(13)를 차폐하여야 하므로, 상기 저장공간(11)에 물을 주입하는 것이 번거롭게 되는 불편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물의 주입이 간단하게 되도록 구성되는 가습기의 물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가습기의 요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가습기의 물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동작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급수탱크 31: 저장공간
33: 개구부 35: 돌출부
35a: 나사부 40: 커버부
41: 덮개부 41a: 나사부
42: 고무패킹부 43a: 유출구
43b: 주입구 44: 니들밸브
45: 밸브지지대 45a: 삽입공
46: 가이드부 46a: 걸림턱
47: 연통부 48: 차폐부
49: 자석패킹부 50: 개폐부
51: 연통부 53: 공기챔버
55: 가이드홀 57: 필터
59: 자석패킹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내부에 소정의 저장공간이 구비되고,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급수탱크와; 상기 개구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장공간으로 물이 출입되는 통로역할을 하는 유출구와 주입구가 각각 형성되는 커버부와;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 설치되어 부력에 의하여 이동하여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개폐부와; 상기 커버부와 개폐부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개폐부가 상기 주입구를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와 개폐부를 고정시키는 자석패킹부와; 상기 커버부의 저면과 상기 개폐부 상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공간의 물이 임의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무패킹부와; 상기 유출부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 그리고 상기 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니들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출구는 상기 커버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는 상기 유출구의 외측면을 따라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의 저면에는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는 가이드부가 상기 유출구의 외주연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개폐부의 내부에는 가이드부에 대응하는 가이드홀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하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의 상하부에는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연통부와 상기 저장공간으로부터 밀폐되는 공기챔버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의 연통부에 대응하는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에는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연통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가습기의 물공급장치에 의하면, 상기 개폐부가 부력에 의하여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유입구를 차폐하게 되므로,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기 위하여 뚜껑을 분리하는 별도의 작업을 요하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가습기의 물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가습기의 물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기의 급수탱크(3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소정의 저장공간(31)이 구비된다. 상기 저장공간(31)에는 가습기에 설치되는 기화장치(5)(도 1참조)에 의하여 기화되는 물이 저장된다. 그리고 도면상 상면에 해당하는 상기 급수탱크(30)의 일면에는 개구부(33)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개구부(33)의 외주연에 대응하는 상기 급수탱크(30)의 일면에는 돌출부(35)가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35)는 상기 급수탱크(30)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35)의 외주면에는 커버부(40)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나사부(35a)가 구비된다.
상기 개구부(33)에 인접하는 상기 급수탱크(30)의 일면에는 커버부(40)가 설치된다. 상기 커버부(40)의 저면 테두리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덮개부(41)가 구비되고, 상기 덮개부(41)의 내주면에는 상기 돌출부(35)의 나사부(35a)에 대응하는 나사부(41a)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35)의 나사부(35a)와 상기 덮개부(41)의 나사부(41a)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4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림으로써 상기 급수탱크(30)에 상기 커버부(4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40)의 저면에는 고무패킹부(42)가 구비된다. 상기 고무패킹부(42)는 상기 저장공간(31)에 저장된 물이 상기 커버부(40)와 아래에서 설명할 개폐부(50)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통하여 임의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덮개부(41)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돌출부(35)의 두께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커버부(40)의 중앙에는 유출구(43a)가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43a)의 외주연을 따라서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주입구(43b)가 형성된다. 상기 유출구(43a)는 상기 저장공간(31)에 저장된 물이 가습기의 가습조(3)(도 1참조)로 유출되는 곳으로, 니들밸브(44)에 의하여 개폐된다. 상기 주입구(43b)는 상기 저장공간(31)에 저장되는 물이 주입되는 곳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개폐부(50)에 의하여 개폐된다.
그리고 상기 유출구(43a)의 하방에는 밸브지지대(45)가 구비된다. 상기 밸브지지대(45)의 중앙에는 상기 유출구(43a)에 대응하는 삽입공(45a)이 형성된다. 상기 니들밸브(44)는 상기 유출구(43a)와 삽입공(45a)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며, 상하로 직선운동을 하면서 상기 유출구(43a)와 삽입공(45a)을 개폐시키게 되는데, 이와 같은 동작은 종래와 동일한 것으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유출구(43a)의 외주연에 해당하는 상기 커버부(40)의 저면에는 가이드부(46)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46)는 하방으로 돌출되고, 그 상부에는 상기 저장공간(31)과 연통되는 연통부(47)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46)의 하부에는 상기 저장공간(31)으로부터 차폐되는 차폐부(48)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46)의 하단에는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걸림턱(46a)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커버부(40)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저장공간(31)의 내부에는 개폐부(50)가 설치된다. 상기 개폐부(50)는 상하로 직선운동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주입구(43b)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50)는 연통부(51)와 공기챔버(53)로 구성된다.
상기 연통부(51)는 상기 유출구(43a)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물이 통과하는 통로역할을 하는 곳으로, 상기 저장공간(31)과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챔버(53)는 상기 개폐부(50)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부력을 제공하는 곳으로, 상기 연통부(51)의 하부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개폐부(50)의 내부에는 가이드홀(55)이 상기 가이드부(46)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홀(55)은 상기 개폐부(50)를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홀(55)에는 상기 가이드부(46)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개폐부(50)의 상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연통부(51)의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가이드홀(55)의 상부(55a)는 상기 가이드부(55)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챔버(53)의 내부에 형성되는 가이드홀(55)의 하부(55b)는 상기 걸림턱(46a)의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가지게 된다. 즉 상기 가이드홀(55)은 상부(55a)에 비하여 하부(55b)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46a)이 상기 가이드홀(55)의 상부(55a)의 하면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개폐부(50)가 상기 커버부(40)의 하방으로 완전히 탈거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연통부(51)에는 필터(5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57)는 상기 개폐부(50)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주입구(43b)를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유출구(43a)를 통하여 상기 가습조(3)로 유출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고무패킹부(42)의 내주연에 인접하는 상기 커버부(40)의 저면 테두리에는 자석패킹부(49)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40)의 자석패킹부(49)에 대응하는 상기 개폐부(50)의 상면 테두리에도 자석패킹부(59)가 구비된다. 상기 자석패킹부(49,59)는 상기 개폐부(50)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주입구(43b)를 차폐한 상태에서 서로 부착됨으로써, 상기 개폐부(50)가 임의로 이동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자석패킹부(49,59)의 부착력의 크기는 적어도 상기 공기챔버(53)의 부력보다는 큰 값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급수탱크(40)를 뒤집은 상태에서 상기 공기챔버(53)의 부력에 의하여 상기 자석패킹부(49,59)가 서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가습기의 물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용과정을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탱크(30)를 유출구(43a)와 주입구(43b)가 상방을 향하도록 바닥면에 내려놓고, 물이 급수되는 급수원(W)의 하방에 상기 주입구(43b)가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급수원(W)을 개방시켜서 상기 주입구(43b)를 통하여 저장공간(31)에 물이 유입되도록 한다.
이때 개폐부(50)를 하방으로 밀어서 커버부(40)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주입구(43b)가 개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공간(31)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상기 공기챔버(53)의 부력에 의하여 상기 개폐부(50)가 도면상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50)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그 상면이 상기 커버부(40)의 저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주입구(43b)를 차폐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부(40)의 자석패킹부(49)에 상기 개폐부(50)의 자석패킹부(59)가 서로 밀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수탱크(30)를 뒤집은 상태로 가습기 본체(3)(도 1 참조)에 장착시킨다. 한편 상기 자석패킹부(49,59)의 부착력은 상기 공기챔버(53)의 부력보다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급수탱크(30)를 뒤집은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50)가 도면상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주입구(43b)가 임의로 개방되는 현상은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유출구(43a)는 니들밸브(44)에 의하여 차폐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니들밸브(44)는 상기 급수탱크(30)가 상기 본체(3)에 장착되면, 그 내부에 설치되는 밸브작동부(19)(도 1 참조)에 의하여 동작되어상기 유출구(43a)를 개방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46)의 연통부(47)와 상기 개폐부(50)의 연통부(51)는 각각 상기 저장공간(31)과 연통되므로, 상기 저장공간(31)에 저장된 물이 상기 연통부(47,51) 및 유출구(43a)를 통하여 상기 본체(3)로 유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50)의 연통부(51)에 설치되는 필터(57)에 의하여 상기 본체(3)로 유출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상기 저장공간(31)에 다시 물을 주입하기 위해서는, 먼저 다시 상기 급수탱크(30)를 상기 본체(3)로부터 분리하여 뒤집는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50)를 하방으로 밀어서 상기 자석패킹부(49,59)를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커버부(40)로부터 분리시킨다. 따라서 상기 주입구(43b)는 개방되고, 상술한 바와 동일한 과정에 의하여, 상기 저장공간(31)에 물을 주입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고안에 의하면, 부력에 의하여 상하로 직선운동하는 개폐부에 의하여 물이 주입되는 통로인 주입구가 개폐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출구가 상기 니들밸브에 의하여 개폐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면 다른 밸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시된 실시에에서는, 상기 자석패킹부가 상기 커버부의 저면과 상기 개폐부의 상면에 각각 구비되지만, 상기 자서패킹부의 위치는 그 자력에 의하여 상기 개폐부가 상기 커버부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면, 다른 위치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가습기의 물공급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급수탱크의 저장공간으로 물을 주입하기 위한 통로역할을 하는 주입구가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서 차폐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주입구를 별도로 여닫지 않고, 상기 저장공간에 간단하게 물을 주입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내부에 소정의 저장공간이 구비되고,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급수탱크와;
    상기 개구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장공간으로 물이 출입되는 통로역할을 하는 유출구와 주입구가 각각 형성되는 커버부와;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 설치되어 부력에 의하여 이동하여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개폐부와;
    상기 커버부와 개폐부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개폐부가 상기 주입구를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와 개폐부를 고정시키는 자석패킹부와;
    상기 커버부의 저면과 상기 개폐부 상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공간의 물이 임의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무패킹부와;
    상기 유출부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 그리고
    상기 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니들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습기의 공기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는 상기 커버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는 상기 유출구의 외측면을 따라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물공급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저면에는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는 가이드부가 상기 유출구의 외주연에서 하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개폐부의 내부에는 가이드부에 대응하는 가이드홀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하로 안내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물공급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의 상하부에는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연통부와 상기 저장공간으로부터 밀폐되는 공기챔버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의 연통부에 대응하는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에는 상기 저장공간과 연통되는 연통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의 물공급장치.
KR20-2003-0028896U 2003-09-08 2003-09-08 가습기의 물공급장치 KR2003340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896U KR200334094Y1 (ko) 2003-09-08 2003-09-08 가습기의 물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8896U KR200334094Y1 (ko) 2003-09-08 2003-09-08 가습기의 물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4094Y1 true KR200334094Y1 (ko) 2003-11-20

Family

ID=49419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8896U KR200334094Y1 (ko) 2003-09-08 2003-09-08 가습기의 물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409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454B1 (ko) * 2018-12-06 2019-04-18 주식회사 삼국 역류방지 기능이 구비된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454B1 (ko) * 2018-12-06 2019-04-18 주식회사 삼국 역류방지 기능이 구비된 온수매트용 온수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4235A (en) Canister
RU2618179C2 (ru) Увлажн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отвращающее утечку воды
JP2946312B2 (ja) 燃料タンクのベント装置
KR200334094Y1 (ko) 가습기의 물공급장치
KR100803036B1 (ko) 상부 급수 기능을 가지는 가습기
KR101777235B1 (ko) 누수 방지 가습장치
CN209883061U (zh) 雾化器及电子烟
JP3487392B2 (ja) 蒸発燃料処理装置
JPH07144635A (ja) マスタシリンダ用リザーバ
KR200421945Y1 (ko) 가습기
KR100745124B1 (ko) 유체저장조 및 이를 이용한 가습기
KR100462227B1 (ko) 가습기용 필터
KR20190070564A (ko) 연료시스템의 에어 드레인 장치
KR200210346Y1 (ko) 가습기용 정수장치
KR200454078Y1 (ko) 상부 급수식 가습기
KR101499984B1 (ko) 에어 브리더를 구비한 연료 주입구 캡
JP2800680B2 (ja) 除湿容器
JP2016103431A (ja) 注液装置
JP3006111U (ja) 炭酸ガスレギュレータ
KR200411762Y1 (ko) 가습기
KR20170140632A (ko) 소음 저감형 퍼지 제어 솔레노이드 밸브
KR200393975Y1 (ko) 물병의 공기흡입밸브의 마찰력 감소장치
KR200304212Y1 (ko) 공기펌프와 공기유입기가 설치된 진공용기뚜껑
JPH11309447A (ja) 浄水ポット
KR200232581Y1 (ko) 소음저감형 전자식 분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