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5124B1 - 유체저장조 및 이를 이용한 가습기 - Google Patents

유체저장조 및 이를 이용한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5124B1
KR100745124B1 KR1020060021822A KR20060021822A KR100745124B1 KR 100745124 B1 KR100745124 B1 KR 100745124B1 KR 1020060021822 A KR1020060021822 A KR 1020060021822A KR 20060021822 A KR20060021822 A KR 20060021822A KR 100745124 B1 KR100745124 B1 KR 100745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water
air
spac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1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7848A (ko
Inventor
권영일
Original Assignee
(주)휴메이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메이커 filed Critical (주)휴메이커
Priority to KR1020060021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5124B1/ko
Publication of KR20060027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7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5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5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저장조 및 이를 이용한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저장조는 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와, 공간부로 유체를 주입시키기 위한 주입구와, 공간부에 수용된 유체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저장조; 공간부를 개방 및 밀폐시키도록 주입구에 결합되는 밀폐마개; 및 밀폐마개가 공간부를 개방시킬 때 저장조의 배출구가 폐쇄되게 하며, 밀폐마개가 공간부를 밀폐시킬 때 저장조의 배출구가 개방되도록 하는 밸브수단;을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는 하우징과,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부와 그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구비하는 물저장조와, 물저장조로부터 공급된 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와 그 수용부내에 설치되어 물을 무화상태의 가습입자로 만들기 위한 초음파 진동자를 구비하는 가습부와, 물저장조의 배출구와 가습부의 수용부를 연결하는 수로와, 가습부에서 발생된 가습입자를 추동하기 위하여 하우징에 설치되는 송풍기유닛을 구비하며, 물저장조는 공간부로 물을 주입시키기 위하여 이 물저장조의 상면에 형성되는 주입구와, 공간부를 개방 및 밀폐시키도록 주입구에 결합되는 밀폐마개 및 밀폐마개가 공간부를 개방시킬 때 물저장조의 배출구가 폐쇄되게 하며, 밀폐마개가 공간부를 밀폐시킬 때 물저장조의 배출구가 개방되도록 하는 밸브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유체저장조 및 이를 이용한 가습기{Fluid reservoir and Humidifier using the fluid reservoir}
도 1은 종래 가습기에 채용된 물저장조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체저장조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유체저장조가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4b는 도 3의 Ⅳ-Ⅳ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4a의 Ⅴa-Ⅴa선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5b는 도 4b의 Ⅴb-Ⅴb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유체저장조의 밀폐마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8a 및 8b는 도 7의 Ⅷ-Ⅷ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유체저장조 200 ... 가습기
10 ... 저장조 20 ... 밀폐마개
30 ... 연결봉 41 ... 매개부재
44 ... 디스크부재 45 ... 걸림편
51 ... 공기유입공 58 ... 공기배출공
52 ... 제1공기조절공 53 ... 제2공기조절공
55 ... 제1공기덕트 56 ... 제2공기덕트
본 발명은 유체를 저장하는 유체저장조 및 이 유체저장조를 이용한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나 가습기와 같이 물 등의 유체를 이용하는 장치는 유체를 저장하는 유체저장조를 구비하여 이 유체저장조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장치가 작동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종래의 장치들 중 가습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가습기에 채용된 물저장조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가습기(H)는 물저장조(r)를 구비하고 있다. 이 물저장조(r)의 하부에는 밀폐마개(c)가 나사결합되어 물저장조(r)의 내부 공간을 밀폐시킨다. 또한, 밀폐마개(c)에는 물저장조(r)에 수용되어 있는 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출구(g)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구(g)를 개폐할 수 있는 밸브(v)가 마련되며, 이 밸브(v)에는 스프링(s)이 끼워지게 된다. 이 스프링(s)은 밸브(v)가 배출구(g)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물저장조(r)를 가습기(H)로부터 분리시키면 스프링(s)은 탄성복원 되며 밸브(v)는 배출구(g)를 폐쇄시키며 저장조(r)를 가습기(H)에 장착시키면 밸브(v)는 눌려서 배출구 (g)를 개방시키게 된다. 물저장조(r)가 가습기(H)에 장착되면, 도 1에 화살표(a)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방울이 배출구(g)를 통해 물저장조(r)로 유입됨에 따라 물저장조(r) 내의 물은 화살표(w)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g)를 통해 가습기(H)의 가습부(미도시)로 흘러가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가습기(H)에 채용된 물저장조(r)에 물을 보충하기 위해서는 물저장조(r)를 가습기(H)로부터 분리시킨 후 물저장조(r)를 거꾸로 뒤집어서 밀폐마개(c)가 위쪽으로 향하게 한 뒤 밀폐마개(c)를 열어 물을 보충하고 다시 물저장조(r)를 뒤집어서 가습기(H)에 장착하여야 했으므로 사용이 매우 불편하였다. 이러한 사용상의 불편을 해소시키고자 상기한 구성의 종래의 가습기(H)에서 배출구(g)와 밸브(v)의 위치는 그대로 둔 채 주입구와 밀폐마개(c)의 위치만을 물저장조(r)의 상부에 배치시키게 되면 더욱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물저장조(r)를 가습기(H)로부터 분리시키지 않은 채 밀폐마개(c)만을 열게 되면, 물저장조(r) 내측이 대기압과 동일한 상태로 되므로 물저장조(r)내에 수용되어 있는 물이 개방된 배출구(g)를 통해 일시에 배출되게 되므로 가습기(H)의 작동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주입구와 밀폐마개(c)를 물저장조(r)의 상부에 배치시키면서도 물저장조(r)가 대기압 상태로 되지 않도록 하는 시도가 있었으나 물저장조의 구성이 매우 복잡해지거나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가습기(H)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방울(a)이 물저장조(r)에 수용되어 있는 물을 통과해서 유입되게 되는 구조이므로, 이 공기방 울(a)이 물을 통과할 때 쿨럭이는 소음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주입구와 밀폐마개(c)를 저장조의 상부에 배치시켜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하면서도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저장조 및 이러한 저장조를 채용하는 가습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체의 주입구를 상부에 배치시켜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하면서도 매우 간단한 구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물이 일시에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유체저장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구성과 동일한 유체저장조가 채용되어 사용이 매우 간편한 가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공기방울이 유입될 때 쿨럭이는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구조가 개선된 유체저장조 및 가습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체저장조는, 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로 유체를 주입시키기 위한 주입구와, 상기 공간부에 수용된 유체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저장조; 상기 공간부를 개방 및 밀폐시키도록 상기 주입구에 결합되는 밀폐마개; 및 상기 밀폐마개가 상기 공간부를 개방시킬 때 상기 저장조의 배출구가 폐쇄되게 하며, 상기 밀폐마개가 상 기 공간부를 밀폐시킬 때 상기 저장조의 배출구가 개방되도록 하는 밸브수단;을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밀폐마개는 상기 저장조의 공간부를 개방시킬 수 있는 제1위치와 개방시킬 수 없는 제2위치 사이에서 상기 저장조의 주입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밸브수단은 상기 밀폐마개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저장조의 배출구를 폐쇄시키며, 상기 밀폐마개가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저장조의 배출구를 개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밸브수단은 상기 밀폐마개의 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이 밀폐마개에 결합되는 연결봉과, 상기 저장조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중심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봉이 삽입될 수 있는 연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밸브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밀폐마개의 회전시 상기 밸브체는 함께 회전되며, 상기 밀폐마개가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밸브체의 관통공은 상기 저장조의 배출구와 상호 연통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저장조의 공간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경로가 이 저장조의 외부로부터 상기 연결봉의 내측을 통해 상기 저장조의 공간부 상측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유입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는, 하우징과,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부와 그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물저장조와, 상기 물저장조의 배출구를 통해 물저장조로부터 공급된 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와 그 수용부내에 설치되어 상기 물을 무화상 태의 가습입자로 만들기 위한 초음파 진동자를 구비하는 가습부와, 상기 물저장조의 배출구와 상기 가습부의 수용부를 연결하는 수로와, 상기 가습부에서 발생된 가습입자를 추동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송풍기유닛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물저장조는 상기 공간부로 물을 주입시키기 위하여 이 물저장조의 상면에 형성되는 주입구와, 상기 공간부를 개방 및 밀폐시키도록 상기 주입구에 결합되는 밀폐마개 및 상기 밀폐마개가 상기 공간부를 개방시킬 때 상기 물저장조의 배출구가 폐쇄되게 하며, 상기 밀폐마개가 상기 공간부를 밀폐시킬 때 상기 물저장조의 배출구가 개방되도록 하는 밸브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체저장조와 가습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체저장조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유체저장조가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4a 및 4b는 도 3의 Ⅳ-Ⅳ선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5a는 도 4a의 Ⅴa-Ⅴa선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4b의 Ⅴb-Ⅴb선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유체저장조의 밀폐마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체저장조(100)는 저장조(10), 밀폐마개(20) 및 밸브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저장조(10)는 그 내측에 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19)가 형성되어 있다. 저장조(10)의 상면(14)에는 공간부(19)로 유체를 주입시키기 위한 주입구(11)가 마련되며, 이 주입구(11)는 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저장조(10)에 는 상기 주입구(11)의 외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된 결합부(18)가 마련된다. 저장조(10)의 바닥면 중앙부에는 볼록하게 돌출된 돌출부(13)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출부(13)에는 저장조(10)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결합공(13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장조(10)의 바닥면 더욱 상세하게는 돌출부(13)의 일측에는 공간부(19)에 수용된 유체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저장조(10)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배출구(1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저장조(10)의 상면(14)에는 이 상면(14)에 대하여 상방으로 돌출된 돌륜부(15)가 형성되며, 이 돌륜부(15)는 주입구(11)의 둘레방향을 따라 원형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돌륜부(15)에는 이 돌륜부(15)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 즉, 상기 주입구(11)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턱(16)이 마련된다. 이 돌출턱(16)은 돌륜부(15)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출턱(16)은 상호 대칭되게 2개 배치되어 있다. 상기 돌출턱(16)과 저장조(10)의 상면(14) 사이에는 후술할 밀폐마개(20)의 돌출편(23)이 끼워질 수 있는 끼움부(17)가 형성된다.
상기 밀폐마개(20)는 공간부(19)를 개방 및 밀폐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밀폐마개(20)는 대략 원통형으로서 그 내측에는 후술할 제2공기덕트(56)가 형성되어 있다. 밀폐마개(20)는 주입구(11)에 결합되는데,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조(10)의 결합부(18)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밀폐마개(20)가 저장조(10)의 결합부(18)에 삽입되어 공간부(19)를 밀폐시킬 때, 밀폐마개(20)의 외주면과 저장조(10) 결합부(18)의 내주면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폐마개(20)의 외주면에는 실링부재(22)가 끼워진다. 이 실링부재(22)는 연성의 고무소재로서 밀폐 마개(20)가 결합부(18)에 끼워졌을 때, 밀폐마개(20)의 외주면과 결합부(18)의 내주면 사이에서 압착되어 공간부(19)로 공기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밀폐마개(20)는 주입구(11)와 결합부(18)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다. 밀폐마개(20)가 저장조(10)의 공간부(19)를 개방시킬 수 있는 상태 즉, 주입구(11)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제1위치(도 6a 상태)와 공간부(19)를 개방시킬 수 없는 상태 즉, 주입구(11)로부터 분리될 수 없는 제2위치(도 6b 상태)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다. 한편, 밀폐마개(20)에는 그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편(23)이 형성되며, 이 밀폐마개(20)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호 대칭적으로 2개 배치된다. 도 4b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편(23)들이 각각 저장조(10)의 돌출턱(16)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을 때 밀폐마개(20)가 주입구(11)에 삽입 및 분리될 수 있게 되는데, 상기 제1위치는 이렇게 돌출편(23)이 돌출턱(16)들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밀폐마개(20)가 주입구(11)에 결합된 상태를 말한다. 또한, 상기 제2위치는, 도 4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위치로부터 밀폐마개(20)를 회전시켜 이 돌출편(23)이 저장조(10)의 끼움부(17)에 끼워져 들어감으로써 돌출편(23)이 저장조(10)의 돌출턱(16)에 걸려 밀폐마개(20)가 주입구(11)로부터 분리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한편, 상기 밀폐마개(20)에는 저장조(10)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2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밸브수단은 밀폐마개(20)가 저장조(10)의 공간부(19)를 개방시킬 수 있는 제1위치에 있을 때 저장조(10)의 배출구(12)를 폐쇄시키게 하며, 밀폐마개(20) 가 제1위치로부터 회전하여 상기 공간부(19)를 밀폐시키는 제2위치에 있을 때 저장조(10)의 배출구(12)를 개방시키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 밸브수단은 연결봉(30)과 밸브체(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밸브체(40)는 매개부재(41)와 디스크부재(44)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봉(30)은 밀폐마개(20)의 바닥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밀폐마개(20)에 결합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연결봉(30)은 밀폐마개(20)로부터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이 연결봉(30)의 내측에는 후술할 제1공기덕트(55)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봉(30)은 본체(31)와 연결부(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32)는 연결봉(30)의 하단부(32)에 형성되어 후술할 매개부재(41)의 연결홈(42)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그 단면형상은 다각형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직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상기 매개부재(41)는 저장조(10)의 바닥면 내측, 더욱 상세하게는 돌출부(13)의 결합공(13a)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매개부재(41)의 상부에는 상기 연결봉(30)의 연결부(32)가 삽입될 수 있는 연결홈(42)이 마련되어 있다. 이 연결홈(42)은 그 단면 형상이 다각형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32)와 대응되도록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홈(42)에 연결부(32)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연결봉(30)과 매개부재(41)는 동축적으로 결합된다. 한편, 상기 매개부재(41)와 저장조(10)의 바닥면이 상호 접하는 곳에는 오링(43)이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공간부(19)에 수용된 유체가 매개부재(41)와 저장조(10) 바닥면 사이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디스크부재(44)는 저장조(10)의 바닥면 외측에 배치된다. 이 디스크부재(44)는 저장조(10)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매개부재(41)와 볼트(b)에 의하여 동축상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매개부재(41)의 회전시 디스크부재(44)도 함께 회전된다. 또한, 상기 디스크부재(44)에는 관통공(46)이 형성되는데, 이 관통공(46)은 디스크부재(44)의 회전중심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편심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밀폐마개(20)가 공간부(19)를 개방시킬 수 없는 제2위치에 있을 때,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크부재(44)의 관통공(46)은 저장조(10)의 배출구(12)와 동축상에 나란하게 배치됨으로써 관통공(46)과 배출구(12)는 상호 연통됨에 따라 상기 저장조(10)의 공간부(19)에 수용된 유체가 저장조(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밀폐마개(20)가 제1위치에 배치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46)과 배출구(12)는 상호 어긋나게 위치하여 연통되지 않음에 따라 저장조(10)의 공간부(19)에 수용된 유체는 외부로 배출될 수 없게 된다. 한편, 저장조(10)의 배출구(12)의 둘레에는 밀폐오링(18a)이 배치된다. 이 밀폐오링(18a)은 상기 디스크부재(44)와 저장조(10)의 바닥면 사이에 압착되게 끼워짐으로써, 상기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된 유체가 디스크부재(44)와 저장조(10)의 바닥면 사이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디스크부재(44)의 외주면에는 걸림편(45)이 구비되며, 디스크부재(44)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며,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호 대칭되게 2개 배치된다. 이 걸림편(45)은 상기 저장조(10)의 바닥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으며, 디스크부재(44)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체저장조(100)가 채용되는 장치 예컨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200)에는 상기 유체저장조(100)가 장착되는 장 착부(2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장착부(211)에는 상기 디스크부재(44)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21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공(212)의 직경은 상기 걸림편(45)과 디스크부재(44)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이 삽입공(21)에는 그 내주면으로부터 삽입공(211)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213)이 형성된다. 이 걸림턱(213)은 삽입공(211)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며,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호 대칭적으로 2개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저장조(100)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200)에 장착되는 것을 도 7 및 도 8a,8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개략적 구성도이며, 도 8a 및 8b는 도 7의 Ⅷ-Ⅷ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크부재(44)의 걸림편(45)들이 각각 상기 가습기(200)의 걸림편(45)들 사이에 위치되는 장착위치에 있을 때 이 디스크부재(44)와 걸림편(45)들은 상기 가습기(200)의 삽입공(212)에 삽입됨으로써 유체저장조(100)는 가습기(200)의 장착부(211)에 장착 및 분리가능하게 된다. 상기 유체저장조(100)의 디스크부재(44)가 삽입공(212)에 삽입된 상태에서 밀폐마개(20)를 일정 각도 회전시키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부재(44)의 걸림편(45)과 삽입공(212)의 걸림턱(213)이 상호 겹쳐지게 되어 유체저장조(100)가 가습기(200)로부터 분리될 수 없는 잠금위치에 놓여지게 된다. 이렇게 유체저장조(100)가 잠금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사용자가 유체저장조(100)의 손잡이(21)를 잡고 들게 되면, 가습기(200) 전체가 들리게 되어 가습기(200)의 이동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체저장조(100)에는 공기유입수단이 구비된다. 이 공기유입수단은 저장조(10)의 외부로부터 이 저장조(10)의 공간부(19)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경로를 형성함에 있어서, 공기가 공간부(19)내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연결봉(30)의 내측을 통해 저장조(10)의 상측으로 직접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공기유입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공기가 공간부(19)내에 수용된 유체를 통과하여 유입됨에 따라 공기가 유체를 통과할 때 발생되는 쿨럭이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용을 행하기 위한 공기유입수단은 공기유입공(51), 공기조절공(52,53), 공기덕트(54,55,56,57) 및 공기배출공(58)을 구비한다. 상기 공기유입공(51)은 저장조(10)의 바닥면에 이 바닥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공기배출공(58)은 저장조(10)의 상측에 형성된 결합부(58)에 마련되어 공간부(19)와 연통되어 있다. 상기 공기조절공은 디스크부재(44)에 형성된 제1공기조절공(52)과 매개부재(41)에 형성된 제2공기조절공(53)으로 이루어진다. 제1공기조절공(52)은 디스크부재(44)의 회전중심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편심위치에 배치되며 제2공기조절공(53)은 매개부재(41)의 회전중심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편심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제1공기조절공(52)과 제2공기조절공(53)은 동일한 직선상에 동축적으로 위치된다. 상기 공기덕트는 연결봉(30)의 내측에 형성된 제1공기덕트(55)와, 이 제1공기덕트(55)로부터 연장되어 밀폐마개(20)의 내측에 형성된 제2공기덕트(56)와, 상기 제1공기덕트(55)와 매개부재(41)의 제2공기조절공(53)을 연통시키도록 연결봉(30)의 하부에 형성된 제1연결공(54) 및 상기 제2공기덕트(55)와 저장조(10)의 공기배출공(58)을 연통시키도록 밀폐마개(20)의 측면에 형성된 제2연결공(58)을 구비한다.
상기 밀폐마개(20)가 제2위치에 있을 때,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공기조절공(52)과 공기유입공(51)과 제2공기조절공(53)과 제1연결공(54)은 상호 동일한 직선상에 동축적으로 배치됨으로써 공기유입공(51)을 개방시키게 되므로 저장조(10) 외부의 공기가 상기 연결봉(30)의 제1공기덕트(55) 내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밀폐마개(20)가 제1위치에 있을 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공기조절공(52)과 제2공기조절공(53)과 제1연결공(54)은 상호 동일한 직선상에 동축적으로 배치되지만, 공기유입공(51)은 동일한 직성상에 배치되지 않음으로써 공기유입공(51)을 폐쇄시키게 되므로 저장조(10)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1공기덕트(55)로 유입될 수 없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공기덕트(55)로 유입된 공기는 제2공기덕트(56)와 제2연결공(57) 및 저장조(10)의 공기배출공(58)을 통해 저장조(10)의 공간부(19) 상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며, 상기 가습기의 일 구성요소인 물저장조(100)는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유체저장조와 완전히 동일한 구성과 작용효과를 발생시키므로 물저장조에 대한 설명은 상기한 것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200)는 하우징(210)을 구비하며, 이 하우징(210)에는 물저장조(100)가 설치된다. 물저장조(100)가 하우징(210)에 설치되는 구성은 위에서 설명한 것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가습기(200)는 가습부(240)를 구비하는데 이 가습부(240)는 상기 물저장조(100)의 배출구(12)를 통해 물저장조(100)로부터 공급된 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와 그 수용부내에 설치되어 상기 물 을 무화상태의 가습입자로 만들기 위한 초음파 진동자(241)를 구비한다. 상기 물저장조(100)의 배출구(12)와 상기 가습부(240)의 수용부를 연결하는 수로(230)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 가습부(240)의 초음파 진동자(241)에 의하여 발생된 가습입자를 추동하여 가습기(200)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하우징(210)에는 송풍기유닛(250)이 구비되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유체저장조(100) 및 가습기(200)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저장조(100)를 가습기(200) 등에 채용하게 되면, 사용자는 가습기(200)에 물을 보충하고자 하는 경우 종래와 같이 유체저장조(100)를 가습기(200)로부터 분리시킬 필요가 없어 매우 사용이 용이하다. 즉, 유체저장조(100)에 물을 보충할 때에는 상기 밀폐마개(20)를 제1위치로 회전시킨 후 저장조(10)의 주입구(11)로부터 분리시켜 공간부(19)를 개방시키고 직접 물을 보충하면 된다. 이렇게 밀폐마개(20)를 회전시켜 제1위치에 위치시키는 경우, 밀폐마개(20)의 회전에 따라 연결봉(30)과 매개부재(41) 및 디스크부재(44)가 함께 회전되며, 디스크부재(44)의 관통공(46)은 저장조(10)의 배출구(12)와 상호 어긋나게 되어 상기 배출구(12)는 폐쇄된다. 따라서, 밀폐마개(20)를 분리시켜 저장조(10)의 공간부(19)를 대기압 상태로 형성하는 경우에도 공간부(19)에 수용되어 있는 물이 일시에 가습기(200)의 수로(230)쪽으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반면, 저장조(10)에 물을 보충한 후 밀폐마개(20)를 주입구(11)에 삽입시키고 제2위치로 회전시키게 되면, 관통공(46)과 배출구(12)가 상호 연통되어 공간부(19)에 수용되어 있는 물이 가습기(200) 의 수로(230) 쪽으로 서서히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체저장조(100)는 디스크부재(44)의 걸림편(45)의 작용에 의하여 유체저장조(100)가 잠금위치에 있을 때에는 가습기(200)와 유체저장조(100)가 결합되어 이동이 용이하게 되며, 유체저장조(100)가 장착위치에 있을 때에는 유체저장조(100)를 가습기(200)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세척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공간부(19)에 수용되어 있는 물이 수로쪽으로 배출되기 위해서는 저장조(10)의 외부로부터 공간부(19)의 내측으로 공기가 유입되어야 하는데 밀폐마개(20)가 제2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제1공기조절공(52)과 공기유입공(51)과 제2공기조절공(53)과 제1연결공(54)은 상호 동일한 직선상에 동축적으로 배치됨으로써 공기유입공(51)을 개방시키게 되므로 저장조(10) 외부의 공기가 상기 연결봉(30)의 제1공기덕트(55) 내로 유입될 수 있게 되고, 이 유입된 공기는 공기덕트(54,55,56,57)와 공기배출구(58)를 통해 저장조(10)의 상부로 유입될 수 있다. 종래의 유체저장조 또는 가습기의 경우 공기가 저장조(10) 내의 유체를 통과하여 공간부로 공급되기 때문에, 유체를 통과시에 쿨럭이는 소음이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와 유체저장조에서는 공기가 유체를 통과하지 않게 함으로써 사용시에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 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체저장조와, 이 유체저장조가 채용된 가습기는 상단개방형으로 유체를 보충시 유체저장조를 가습기 등으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저장조와 이 유체저장조가 채용된 가습기는 저장조를 가습기에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가능함으로써 세척과 사용이 매우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저장조와 이 유체저장조가 채용된 가습기는 공기의 유입시 쿨럭이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로 유체를 주입시키기 위한 주입구와, 상기 공간부에 수용된 유체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저장조;
    상기 저장조의 공간부를 개방시킬 수 있는 제1위치와 개방시킬 수 없는 제2위치 사이에서 상기 저장조의 주입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공간부를 개방 및 밀폐하는 밀폐마개; 및
    상기 밀폐마개가 상기 저장조의 공간부를 개방시킬 수 있는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저장조의 배출구를 폐쇄시키며, 상기 밀폐마개가 상기 저장조의 공간부를 개방시킬 수 없는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저장조의 배출구를 개방시키는 밸브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밸브수단은,
    상기 밀폐마개의 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이 밀폐마개에 결합되는 연결봉과,
    상기 저장조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회전중심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봉이 삽입될 수 있는 연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밸브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밀폐마개의 회전시 상기 밸브체는 함께 회전되며, 상기 밀폐마개가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밸브체의 관통공은 상기 저장조의 배출구와 상호 연통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저장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저장조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체는,
    상기 연결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저장조의 내측 바닥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매개부재와,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저장조의 외측 바닥면에 배치되어 이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매개부재에 고정되는 디스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저장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부재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되며, 그 각각은 상기 저장조의 바닥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이 디스크부재의 외주면으 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걸림편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저장조가 채용되는 장치에는 상기 저장조의 디스크부재가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복수 개 배치되는 걸림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걸림편이 상기 장치의 걸림턱들 사이에 위치되는 장착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저장조의 디스크부재와 걸림편은 상기 장치의 장착부에 장착 및 분리가능하며, 상기 걸림편이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일정 각도 회전되어 상기 장치의 걸림턱과 겹쳐지는 잠금위치에 배치되어 있을 때 상기 걸림편은 걸림턱에 걸리게 되어 상기 저장조는 이 장치로부터 분리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저장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마개의 외주면과 상기 저장조 주입구의 내주면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밀폐마개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실링부재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유체가 상기 디스크부재와 상기 저장조의 바닥면 사이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배출구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저장조의 바닥면과 디스크부재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는 밀폐오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저장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의 연결홈은 다각형이며, 상기 연결봉의 단부도 상기 연결홈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저장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마개에는, 이 밀폐마개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치되며 이 밀폐마개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저장조에는 상기 주입구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이 저장조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돌륜부와, 상기 돌륜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며 이 돌륜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밀폐마개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밀폐마개의 돌출편은 상기 돌출턱들 사이로 삽입 및 분리가능하며, 상기 밀폐마개가 상기 제1위치로부터 회전하여 제2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돌출편은 상기 저장조의 돌출턱에 걸려 상기 밀폐마개는 상기 저장조로부터 분리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저장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의 주입구는 저장조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거 저장조의 배출구는 저장조의 상면과 다른 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저장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의 공간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경로가 이 저장조의 외부로부 터 상기 연결봉의 내측을 통해 상기 저장조의 공간부 상측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유입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저장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수단은,
    공기를 상기 저장조의 외부로부터 유입시키기 위하여 이 저장조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공기유입공과,
    이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저장조의 공간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이 저장조의 상부에 형성되는 공기배출공과,
    상기 밸브체의 회전중심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밀폐마개가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저장조의 공기유입공과 상호 연통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이 공기유입공을 개방시키며 상기 밀폐마개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저장조의 공기유입공과 연통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유입공을 폐쇄시키는 공기조절공과,
    일단은 상기 밸브체의 공기조절공과 연통되며 타단은 상기 저장조의 공기배출공과 연통되도록 상기 연결봉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밀폐마개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공기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저장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상기 연결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저장조의 내측 바닥면 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매개부재와,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저장조의 외측 바닥면에 배치되어 이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매개부재에 고정되는 디스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밸브체의 공기조절공은, 상기 디스크부재에 형성되는 제1공기조절공과, 상기 매개부재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봉의 공기덕트와 연통되는 제2공기조절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밀폐마개가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공기조절공과 공기유입공과 제2공기조절공 및 공기덕트는 상호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저장조.
  13. 하우징과,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부와 그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물저장조와, 상기 물저장조의 배출구를 통해 물저장조로부터 공급된 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와 그 수용부내에 설치되어 상기 물을 무화상태의 가습입자로 만들기 위한 초음파 진동자를 구비하는 가습부와, 상기 물저장조의 배출구와 상기 가습부의 수용부를 연결하는 수로와, 상기 가습부에서 발생된 가습입자를 추동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송풍기유닛을 구비하는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물저장조는 상기 공간부로 물을 주입시키기 위하여 이 물저장조의 상면에 형성되는 주입구와, 상기 물저장조의 공간부를 개방시킬 수 있는 제1위치와 개방시킬 수 없는 제2위치 사이에서 상기 물저장조의 주입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공간부를 개방 및 밀폐시키는 밀폐마개 및 상기 밀폐마개가 상기 공간부를 개방시킬 때 상기 물저장조의 배출구가 폐쇄되게 하며, 상기 밀폐마개가 상기 공간부를 밀폐시킬 때 상기 물저장조의 배출구가 개방되도록 하는 밸브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밸브수단은 상기 밀폐마개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물저장조의 배출구를 폐쇄시키며 상기 밀폐마개가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물저장조의 배출구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밀폐마개의 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이 밀폐마개에 결합되는 연결봉과,
    상기 물저장조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회전중심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봉이 삽입될 수 있는 연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밸브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밀폐마개의 회전시 상기 밸브체는 함께 회전되며, 상기 밀폐마개가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밸브체의 관통공은 상기 물저장조의 배출구와 상호 연통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물저장조의 공간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경로가 이 물저장조의 외부로부터 상기 연결봉의 내측을 통해 상기 저장조의 공간부 상측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유입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공기유입수단은,
    공기를 상기 저장조의 외부로부터 유입시키기 위하여 이 저장조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공기유입공과,
    이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저장조의 공간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이 저장조의 상부에 형성되는 공기배출공과,
    상기 밸브체의 회전중심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밀폐마개가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저장조의 공기유입공과 상호 연통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이 공기유입공을 개방시키며 상기 밀폐마개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저장조의 공기유입공과 연통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유입공을 폐쇄시키는 공기조절공과,
    일단은 상기 밸브체의 공기조절공과 연통되며 타단은 상기 저장조의 공기배출공과 연통되도록 상기 연결봉의 내측으로부터 상기 밀폐마개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공기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KR1020060021822A 2006-03-08 2006-03-08 유체저장조 및 이를 이용한 가습기 KR100745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822A KR100745124B1 (ko) 2006-03-08 2006-03-08 유체저장조 및 이를 이용한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822A KR100745124B1 (ko) 2006-03-08 2006-03-08 유체저장조 및 이를 이용한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848A KR20060027848A (ko) 2006-03-28
KR100745124B1 true KR100745124B1 (ko) 2007-08-02

Family

ID=37138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822A KR100745124B1 (ko) 2006-03-08 2006-03-08 유체저장조 및 이를 이용한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51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157B1 (ko) 2011-08-29 2013-05-0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하방향 수증기 배출 방식의 초음파 가습기
CN106016557A (zh) * 2016-06-03 2016-10-12 江苏纽唯盛机电有限公司 一种便携式香薰补水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41928B (zh) * 2023-04-14 2023-06-16 深圳市凯奥模具技术有限公司 一种空气加湿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603Y1 (ko) * 1992-12-09 1995-02-04 김연규 차선 또는 횡단보도용 위험표시기
KR950008552Y1 (ko) * 1993-06-30 1995-10-11 강태하 플로우트를 이용한 초음파 가습기의 물 공급장치
JP2000274751A (ja) * 1999-03-24 2000-10-06 Aiwa Co Ltd 液体用タンク及び、この液体用タンクを用いた加湿器
JP2000281035A (ja) * 1999-03-30 2000-10-10 Aiwa Co Ltd タンク及び加湿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603Y1 (ko) * 1992-12-09 1995-02-04 김연규 차선 또는 횡단보도용 위험표시기
KR950008552Y1 (ko) * 1993-06-30 1995-10-11 강태하 플로우트를 이용한 초음파 가습기의 물 공급장치
JP2000274751A (ja) * 1999-03-24 2000-10-06 Aiwa Co Ltd 液体用タンク及び、この液体用タンクを用いた加湿器
JP2000281035A (ja) * 1999-03-30 2000-10-10 Aiwa Co Ltd タンク及び加湿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157B1 (ko) 2011-08-29 2013-05-0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하방향 수증기 배출 방식의 초음파 가습기
CN106016557A (zh) * 2016-06-03 2016-10-12 江苏纽唯盛机电有限公司 一种便携式香薰补水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848A (ko) 2006-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7446B1 (en) Mechanisms and systems for directing water flow in a fluid container
JP2018118453A5 (ko)
JP2010508957A5 (ko)
KR100745124B1 (ko) 유체저장조 및 이를 이용한 가습기
US10919676B2 (en) Lid with ventilation system
KR102617528B1 (ko) 콘텍트 렌즈 케이스
RU233378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и очистки жидкого продукта
JP2005506150A5 (ko)
US20130320038A1 (en) Rapid Refill System for a Toy Water Gun
US8985560B2 (en) Oxygen humidifier
KR100947512B1 (ko) 가습기
KR101707120B1 (ko)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101090847B1 (ko) 휘산장치
JPH11309447A (ja) 浄水ポット
CN217303165U (zh) 空调器的储液箱及空调器
CN220735340U (zh) 一种液体箱及扫地机器人
KR200455952Y1 (ko) 가습기
CN209718955U (zh) 墨盒
CN213271158U (zh) 厨房防返水止回阀
KR101180666B1 (ko) 방독면용 음료취수구
CN220735339U (zh) 一种连接件、盛物装置和扫地机器人
JPH09169343A (ja) 給水タンク用の給水栓
JP2002031264A (ja) 水抜きバルブ
KR200283545Y1 (ko) 유체 분배기
KR200334094Y1 (ko) 가습기의 물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