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952Y1 - 가습기 - Google Patents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952Y1
KR200455952Y1 KR2020110003887U KR20110003887U KR200455952Y1 KR 200455952 Y1 KR200455952 Y1 KR 200455952Y1 KR 2020110003887 U KR2020110003887 U KR 2020110003887U KR 20110003887 U KR20110003887 U KR 20110003887U KR 200455952 Y1 KR200455952 Y1 KR 2004559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ver
water
humidifi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8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연규
Original Assignee
최연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연규 filed Critical 최연규
Priority to KR20201100038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9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9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9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8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injection of steam into the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에 대한 청소가 용이하면서 물의 투입이 편리하도록 개선된 가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공급받아 수용하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기화된 증기가 배출되는 가습홀이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를 덮는 덮개; 상기 덮개와 상기 본체가 맞닿는 부위에 배치되며, 상기 덮개와 상기 본체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 상기 본체의 내측공간에 결합되며, 상기 가습홀과 연통되는 분무관; 및 상기 본체의 내측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공간 내의 물을 공급받아 기화시켜 증기로 만들어 상기 분무관으로 공급하는 분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덮개와 상기 본체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이부재;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덮개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본체 측과 결합되거나,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덮개 측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가습기{HUMIDIFIER}
본 고안은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가정이나 사무실에 배치되어 가습 기능을 제공하는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겨울철과 같이, 습도가 낮은 계절에는 습도를 높이기 위해 가습기의 이용이 필요된다.
일반적으로,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가습기는 물을 입자 형태로 기화시키는 가습부와 물을 내부 저장하였다가 가습부로 공급하는 물통을 구비한다.
여기서, 물통은 분리될 수 있으며 박스 형태의 폐쇄형 구조를 갖는다. 또한, 물통은 내부에 물을 공급받기 위하여 통공이 형성되며, 해당 통공에는 마개가 결합된다.
이러한 물통은 오랜 사용으로 인하여 내부에 침전물이 형성되거나 미생물이 번식되어 호흡기 질환 등을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세척을 해주어야 한다. 더불어, 물통의 세척과 함께 물이 닿는 가습부도 세척을 해주어야 한다.
이 경우, 물통은 통공이 매우 협소하므로, 이용자가 그 내부를 세척하기가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의 세척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는 가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물통을 분리시키지 않고서도 바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가습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가습기는,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공급받아 수용하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기화된 증기가 배출되는 가습홀이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를 덮는 덮개; 상기 덮개와 상기 본체가 맞닿는 부위에 배치되며, 상기 덮개와 상기 본체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 상기 본체의 내측공간에 결합되며, 상기 가습홀과 연통되는 분무관; 및 상기 본체의 내측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공간 내의 물을 공급받아 기화시켜 증기로 만들어 상기 분무관으로 공급하는 분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덮개와 상기 본체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이부재;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덮개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본체 측과 결합되거나,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덮개 측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덮개는,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는 평판부; 및 상기 평판부의 외곽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외곽돌출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외곽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외곽돌출부와 상기 삽입홈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덮개는,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는 평판부; 및 상기 평판부의 가습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중앙돌출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분무관은, 상기 중앙돌출부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습기는, 상기 제2삽입홈에 삽입되며, 상기 중앙돌출부와 밀착되는 제2밀폐부재;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고안에 의하면, 본체에서 덮개를 분리 시에 물을 수용하는 내부공간 전체가 개방되므로, 내부 청소가 매우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본체에서 덮개를 분리 시에 물을 수용하는 내부공간 전체가 개방되므로, 물을 내부 공간에 보다 편리하게 채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습기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습기의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A선을 절개하여 본 부분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B-B선을 절개하여 본 부분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부분 단면도의 다른 응용예.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부분 단면도의 또 다른 응용예.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습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습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A선을 절개하여 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B-B선을 절개하여 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부분 단면도의 다른 응용예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부분 단면도의 또 다른 응용예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는 본체(10) 및 덮개(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밀폐부재(30), 제2밀폐부재(40), 분무관(50), 가습부(60) 및 걸이부재(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11)이 형성되며, 물을 공급받기 위하여 상면 측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10)는 개구부를 통해 물을 공급받아 내부에 물을 수용하고, 분무관(50)과 가습부(60)와 같은 가습발생수단 등이 구비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해당 본체(10)는 외곽 테두리 상면에 삽입홈(1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홈(12)은 후술하는 덮개(20)의 외곽돌출부(22)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또한, 본체(10)는 상단 측면에 걸이홈(1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이홈(13)은 후술하는 덮개(20)의 걸이부재(7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분으로, 그에 대해 덮개(20)의 걸이부재(70)가 삽입 결합되어 덮개(20)가 본체(1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본체(10)는 종래에 별도의 물통이 구비되던 종래의 가습기와는 달리 그 자체 내부에 물을 바로 수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10)는 상면 전체가 개구되어 내부공간에 물을 채울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개구되는 부분을 통해 청소를 실시할 수 있으므로, 물 공급 및 청소가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덮개(20)는 본체(10)의 개구부를 덮어 폐쇄시킨다. 이러한 덮개(20)는 본체(10)의 유동 시에 본체(10) 내부에 수용된 물이 본체(1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덮개(20)는 필요 시에 본체(10)와 분리됨으로써, 본체(10) 내부를 청소하거나 본체(10) 내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덮개(20)의 일 예로서, 덮개(20)는 평판부(21), 외곽돌출부(22) 및 중앙돌출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평판부(21)는 본체(10)의 개구부를 덮어 본체(10)의 개구부를 폐쇄시킨다. 또한, 평판부(21)는 일측에 가습홀(21a)이 형성된다. 이러한 가습홀(21a)은 가습부(60)에서 기화된 증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외곽돌출부(22)는 평판부(21)의 외곽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본체(10)의 삽입홈(12)에 삽입 결합된다. 외곽돌출부(22)는 삽입홈(12)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덮개(20)와 본체(10)가 상호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중앙돌출부(23)는 평판부(21)의 가습홀(21a)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 경우, 분무관(50)은 그 상면에 중앙돌출부(23)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52)이 형성된다. 이러한 중앙돌출부(23)는 분무관(50)의 제2삽입홈(52)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분무관(50)과 가습홀(21a)이 내부 연통된 상태에서 상호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밀폐부재(30)는 덮개(20)와 본체(10)가 맞닿는 부위 사이에 배치되어 덮개(20)와 본체(10) 사이를 밀폐시킨다. 이러한 밀폐부재(30)는 고무와 같은 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덮개(20)와 본체(10) 사이에서 압착되어 덮개(20)와 본체(10) 사이의 밀폐력을 향상시킨다.
일 예로서, 밀폐부재(30)는 본체(10)의 삽입홈(12)에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덮개(20)의 외곽돌출부(22)와 본체(10)의 삽입홈(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밀폐부재(30)는 삽입홈(12)에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밀폐부재(30)는 외곽돌출부(22)가 상방에서 압박하는 경우, 팽창되어 삽입홈(12)의 측면들을 강하게 압박하여 덮개(20)와 본체(10) 간의 밀폐력을 상승시킨다.
상기 제2밀폐부재(40)는 덮개(20)와 분무관(5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분무관(50)에서 발생되는 가습된 물의 입자가 본체(10) 내부 측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본체(10) 내부의 물이 분무관(50)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제2밀폐부재(40)는 분무관(50)의 제2삽입홈(52)에 삽입되도록 구비되어 덮개(20)의 중앙돌출부(23)와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밀폐부재(40)는 제2삽입홈(52)에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이탈이 방지되고 중앙돌출부(23)의 밀착 시 팽창되어 중앙돌출부(23)와 분무관(50) 사이의 밀폐력을 상승시킨다.
상기 분무관(50)은 본체(10)의 내측공간에 결합되며, 가습홀(21a)과 연통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분무관(50)은 본체(10)의 수용공간(11)에 수용된 물이 가습부(60)에 의해 기화되는 경우, 기화된 증기가 그를 통해 유동된 다음 가습홀(21a)을 통해 외부 배출되도록 한다.
이 경우, 분무관(50)은 일측에 본체(10) 내부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홀(51)이 형성된다. 유입홀(51)은 본체(10) 내부의 물을 유입시키고, 가습부(60)는 유입홀(51)을 통해 유입된 물을 기화시켜 분무관(5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가습부(60)는 분무관(50)의 내측에 배치되거나 분무관(50)과 연통되는 적정한 본체(10)의 내측공간에 배치된다. 이러한 가습부(60)는 초음파 진동자, 압전 진동자 및 가열 수단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본체(10)에서 공급되는 물을 기화시켜 분무관(50)과 가습홀(21a)을 통해 기화된 증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가습부(60)는 모터(미도시)와 결합되는 회전 팬(미도시)을 더 구비하여 기화된 증기의 배출압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걸이부재(70)는 덮개(20)와 본체(10)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된다. 이러한 걸이부재(70)는 일측 단부에 측방으로 돌출되는 후크가 형성되며, 해당 후크는 상대되는 덮개(20)와 본체(10) 가운데 어느 하나에 결착되어 덮개(20)와 본체(10)가 상호 고정 결합되도록 한다.
이러한 걸이부재(70)의 일 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재(70)는 측방으로 돌출되는 후크(71)를 구비하며, 해당 후크(71)는 본체(10)에 형성되는 걸이홈(13)에 삽입 결합된다.
걸이부재(70)의 다른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재(70)는 측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72)을 통해 끼움홈(72a)이 형성되고, 본체(10)에는 삽입돌기(15)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끼움홈(72a)이 삽입돌기(15)에 끼움 맞춤되어 결합된다.
걸이부재(70)의 또 다른 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재(70)는 본체(10)의 측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해당 걸이부재(70)는 측방으로 후크(16)가 돌출되도록 구비되어 해당 후크(16)가 덮개(20)의 측면에 형성되는 홈(24)에 끼움 맞춤되어 결합된다.
물론, 덮개(20)와 본체(10)는 걸이부재(70)를 이용하지 않고도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20)와 본체(10)의 결합은 덮개(20)와 본체(10)의 맞닿는 부위의 형상 맞춤을 통한 결합을 통해 상호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습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가습기의 가습을 위한 이용 시에는 덮개(20)를 본체(10)와 분리한 상태에서 바로 본체(10)의 수용공간(11)에 물을 공급하고, 덮개(20)를 본체(10) 개구부에 결합시킨다. 이 경우, 덮개(20)는 외곽돌출부(22)가 본체(10)의 삽입홈(12)에 삽입되어 밀폐부재(30)를 가압하고, 덮개(20)의 중앙돌출부(23)는 분무관(50)의 제2삽입홈(52)에 삽입되어 제2밀폐부재(40)를 가압한다. 그 다음, 걸이부재(70)를 걸어서 덮개(20)와 본체(10)를 상호 고정한다.
다음, 이러한 상태에서 전원이 가습부(60)에 공급되면, 가습부(60)는 물을 기화시키게 되고, 기화된 물은 분무관(50)을 통해 유동된 다음 가습홀(21a)을 통해 외부 배출된다.
한편, 가습기 내부의 청소를 실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본체(10)에서 덮개(20)를 분리한 후, 개방된 본체(10) 내부의 공간을 세척하면 된다. 이 경우, 본체(10)는 상부가 완전하게 개방되므로, 본체(10)의 내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는 종래와 같이 협소한 통공을 통해 별도로 구비되던 물통 내부를 청소하는 것과는 달리, 완전 개방되는 본체 내부를 바로 청소하면 되므로, 이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는 별도로 물통이 구비되던 종래의 가습기와는 달리 덮개(20)를 개방한 상태에서 본체(10) 내부로 바로 물을 주입할 수 있어서 이 점에서도 이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본체
20 ; 덮개
30 ; 밀폐부재
40 ; 제2밀폐부재
50 ; 분무관
60 ; 가습부
70 ; 걸이부재

Claims (6)

  1.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공급받아 수용하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기화된 증기가 배출되는 가습홀이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를 덮는 덮개;
    상기 덮개와 상기 본체가 맞닿는 부위에 배치되며, 상기 덮개와 상기 본체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
    상기 본체의 내측공간에 결합되며, 상기 가습홀과 연통되는 분무관; 및
    상기 본체의 내측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수용공간 내의 물을 공급받아 기화시켜 증기로 만들어 상기 분무관으로 공급하는 분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덮개와 상기 본체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이부재;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덮개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본체 측과 결합되거나,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덮개 측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는 평판부; 및
    상기 평판부의 외곽 테두리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외곽돌출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외곽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외곽돌출부와 상기 삽입홈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는 평판부; 및
    상기 평판부의 가습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중앙돌출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분무관은,
    상기 중앙돌출부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삽입홈에 삽입되며, 상기 중앙돌출부와 밀착되는 제2밀폐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6. 삭제
KR2020110003887U 2011-05-06 2011-05-06 가습기 KR2004559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887U KR200455952Y1 (ko) 2011-05-06 2011-05-06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887U KR200455952Y1 (ko) 2011-05-06 2011-05-06 가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5952Y1 true KR200455952Y1 (ko) 2011-10-05

Family

ID=53676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887U KR200455952Y1 (ko) 2011-05-06 2011-05-06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9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6454A (ko) 2020-11-16 2022-05-24 박주성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6454A (ko) 2020-11-16 2022-05-24 박주성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337614U (zh) 雾化器及电子烟
CN107810370A (zh) 加湿器和家用电器
US20210018247A1 (en) Appliance air freshener
KR101381948B1 (ko) 가습기
KR200455952Y1 (ko) 가습기
KR101610704B1 (ko) 가습기
JP6960566B2 (ja) 加湿装置
JP2017161104A (ja) 加湿器
US11337570B2 (en) Stick vacuum cleaner with improved filter
KR101728057B1 (ko) 상부급수형 물탱크를 구비하는 가습기
KR102237457B1 (ko) 급수형 에어워셔
KR101728056B1 (ko) 상부급수형 가습기
KR200431451Y1 (ko) 자연대류방식 가습 키트
KR20170015598A (ko) 유동이 개선된 가습공기청정기
KR100745124B1 (ko) 유체저장조 및 이를 이용한 가습기
KR200491898Y1 (ko) 난방장치용 가습기
CN209301005U (zh) 吸尘器尘杯
KR102543794B1 (ko) 가습장치
US10596292B2 (en) Compact aromatic diffuser and method of use
CN107401783A (zh) 除湿机
KR101939576B1 (ko) 다수의 진동자 및 필터를 갖는 가습기
KR100902922B1 (ko) 공기 청정기용 필터 조립체
CN109893043A (zh) 蒸汽发生器及无线蒸汽拖把
CN220967228U (zh) 清洁基站和清洁系统
KR101977257B1 (ko) 착탈식 모듈 구조의 실내공기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