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257B1 - 착탈식 모듈 구조의 실내공기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착탈식 모듈 구조의 실내공기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257B1
KR101977257B1 KR1020170114303A KR20170114303A KR101977257B1 KR 101977257 B1 KR101977257 B1 KR 101977257B1 KR 1020170114303 A KR1020170114303 A KR 1020170114303A KR 20170114303 A KR20170114303 A KR 20170114303A KR 101977257 B1 KR101977257 B1 KR 101977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module
valve plate
air supply
ven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7481A (ko
Inventor
황외석
Original Assignee
대영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영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영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4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257B1/ko
Publication of KR20190027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 F24F2221/125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mounted on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 가능하게 모듈화된 구조의 실내공기 조절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흡기구(11)와 급기구(12)를 지니는 분할 구조의 케이싱(10); 상기 케이싱(10)의 일측에 여과재(25)를 수용하고, 흡기덕트(21)와 급기덕트(22)를 지닌 청정모듈(20); 상기 케이싱(10)의 타측에 물통(36)을 수용하고, 흡기덕트(31)와 급기덕트(32)를 지닌 가습모듈(30); 및 상기 일측 케이싱(10)과 타측 케이싱(10)을 연결하는 덕트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실내에서 이동 가능한 형태로 공기 청정, 가습 등의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기능을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가동하기 용이하여 활용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착탈식 모듈 구조의 실내공기 조절장치{Indoor air conditioning apparatus with attachable and detachable module structure}
본 발명은 실내공기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내에서 이동 가능한 형태로 공기 청정, 가습 등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착탈식 모듈 구조의 실내공기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범정부적인 차원은 물론 개인적인 차원에도 실내공기의 질을 관리하기 위한 관심과 노력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에 각종 오염물질이나 미세먼지로부터 건강을 지키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다양한 실내공기 조절장치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어느 경우에나 실내공기 조절장치의 기본적 기능은 공기의 청정과 더불어 적절한 온습도의 유지에 있다. 다만 계절별과 지역별로 환경 요소가 변동되는 상황에서 획일적 설계를 탈피하기 위한 유연성이 요구되기도 한다.
이와 관련되어 참조할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62402호(선행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144675호(선행문헌 2) 등이 알려져 있다.
선행문헌 1은 공기 유입구가 구비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정화용 모듈을 결합하기 위해 상부 또는 하부에 체결부재가 구비된 공기 정화부; 및 공기 배출구가 구비된 상부 커버부를 포함한다. 이에, 사용자가 사용하는 조건에 따라 선택하여 살균형 모듈과 탈취형 모듈을 다양하게 결합시키는 효과를 기대한다.
선행문헌 2는 제1홈이 형성되고 임펠러가 수용되는 메인 어셈블리; 제1끼움돌기와 제2홈이 형성되고 가습 필터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가습부; 제2끼움돌기와 제3홈이 형성된 필터 하우징부 및 제3끼움돌기 사이에 필터가 수용되도록 형성된 필터부;를 포함한다. 이에, 모듈형으로 결합 및 연결되어 사용방법에 따라 구조를 변경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에 의하면 실내공기를 조절하기 위한 주요 기능의 탈부착 구조를 제시하고 있기는 하지만 기능을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고 사용자의 미숙에 의한 손상의 우려가 있다.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62402호 "살균 모듈 또는 탈취 모듈을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공개일자 : 2015.06.08.) 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144675호 "모듈형 가습 공기청정기" (공개일자 : 2016.12.19.)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에서 이동 가능한 형태로 공기 청정, 가습 등의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기능을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가동하기 용이한 착탈식 모듈 구조의 실내공기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착탈 가능하게 모듈화된 구조의 실내공기 조절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흡기구와 급기구를 지니는 분할 구조의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 여과재를 수용하고, 흡기덕트와 급기덕트를 지닌 청정모듈; 상기 케이싱의 타측에 물통을 수용하고, 흡기덕트와 급기덕트를 지닌 가습모듈; 및 상기 일측 케이싱과 타측 케이싱을 연결하는 덕트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청정모듈은 흡기덕트의 통기공에 설치되는 밸브판, 급기덕트의 통기공에 설치되는 밸브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가습모듈은 흡기덕트의 통기공에 형성되는 밸브판, 하단이 개방되고 급기덕트에 설치되는 보조덕트, 보조덕트의 통기공에 형성되는 밸브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밸브판은 힌지를 개재하여 통기공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토션스프링을 개재하여 통기공을 폐쇄하도록 복원력을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덕트수단은 분할된 케이싱의 접합면에서 대향하는 통기공에 맞물려 결합되는 연통관을 구비하고, 연통관은 밸브판을 통하여 청정모듈과 가습모듈의 유로를 설정된 방향으로 통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에서 이동 가능한 형태로 공기 청정, 가습 등의 기능을 구현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기능을 분리하여 독립적으로 가동하기 용이하여 활용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결합된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분리된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분리된 내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결합된 내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착탈 가능하게 모듈화된 구조의 실내공기 조절장치에 관하여 제안한다. 착탈 가능한 모듈화는 실내공기 조절을 위한 기능을 분할하거나 통합하는 구조를 의미한다. 실내공기 조절은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정 기능, 수분을 공급하는 가습 기능을 대상으로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할 구조의 케이싱(10)이 각각의 흡기구(11)와 급기구(12)를 지닌다. 도 1에서 원통을 2분할한 반원통 형태의 케이싱(10)을 예시하지만 반드시 이러한 형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각각의 케이싱(10)은 측면 하단의 흡기구(11), 상면의 급기구(12), 저면의 캐스터(13)를 구비한다. 흡기구(11)는 실내의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이고, 급기구(12)는 청정 그리고/또는 가습을 거친 공기가 토출되는 통로이다.
한편, 케이싱(10)은 상면에 개폐 가능한 덮개(15)를 구비하며, 덮개(15)는 힌지를 개재하여 회전되는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흡기덕트(21)와 급기덕트(22)를 지닌 청정모듈(20)이 상기 케이싱(10)의 일측에 여과재(25)를 수용하는 구조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 청정모듈(20)은 우측의 케이싱(10)에 수용된 상태로 예시한다. 흡기덕트(21)는 흡기구(11)와 연통되고, 급기덕트(22)는 급기구(12)와 연통된다. 흡기덕트(21) 및 급기덕트(22) 중의 적어도 하나에 송풍팬이 설치된다. 흡기덕트(21)와 급기덕트(22) 사이의 유로에는 여과재(25)가 설치된다. 여과재(25)는 적어도 일단에서 격판(26)을 이용하여 공기 유로를 형성하도록 지지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청정모듈(20)은 흡기덕트(21)의 통기공(41)에 설치되는 밸브판(42), 급기덕트(22)의 통기공(41)에 설치되는 밸브판(4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흡기덕트(21)에서 흡기구(11)의 반대편에 통기공(41)이 형성되고 밸브판(42)이 설치된다. 급기덕트(22)에서 급기구(12)에 인접한 하측에 통기공(41)이 형성되고 밸브판(42)이 설치된다. 통기공(41)과 밸브판(42)은 케이싱(10)이 접합되는 평면에 상하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한편, 도 3과 같이 급기덕트(22) 상에 가온, 살균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보조재(28)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가온은 전기 히터를 설치하여 수행 가능하고, 살균은 UV-LED 등을 설치하여 수행 가능하다. 보조재(28)는 격판(26)과 함께 급기덕트(22)의 유로를 설정된 형태로 유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흡기덕트(31)와 급기덕트(32)를 지닌 가습모듈(30)이 상기 케이싱(10)의 타측에 물통(36)을 수용하는 구조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 가습모듈(30)은 좌측의 케이싱(10)에 수용된 상태로 예시한다. 흡기덕트(31)는 흡기구(11)와 연통되고, 급기덕트(32)는 급기구(12)와 연통된다. 흡기덕트(31) 및 급기덕트(32) 중의 적어도 하나에 송풍팬이 설치된다. 흡기덕트(31)와 급기덕트(32) 사이의 유로에는 진동자(35)와 물통(36)이 설치된다. 진동자(35)에 의하여 생성된 수분은 급기덕트(32)로 유동하여 급기구(12)로 분사된다.
도 3에서 미설명 부호 37은 가습대로서 상측으로 물통(36)을 지지하면서 내부에 수용된 진동자(35)로 수분(증기)을 발생한다. 가습대(37) 상에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며 수분을 발생하는 것은 통상적인 가습기에서 공지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가습모듈(30)은 흡기덕트(31)의 통기공(41)에 형성되는 밸브판(42), 하단이 개방되고 급기덕트(32)에 설치되는 보조덕트(33), 보조덕트(33)의 통기공(41)에 형성되는 밸브판(4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흡기덕트(31)에서 흡기구(11)의 반대편에 통기공(41)이 형성되고 밸브판(42)이 설치된다. 보조덕트(33)는 급기덕트(32)에 수직으로 수용되고 하단에서 가습대(37)와 충분히 이격된 상태로 개방된다. 보조덕트(33)에서 폐쇄된 상단에 인접하여 통기공(41)이 형성되고 밸브판(42)이 설치된다. 통기공(41)과 밸브판(42)은 케이싱(10)이 접합되는 평면에 상하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밸브판(42)은 힌지(43)를 개재하여 통기공(41)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토션스프링(44)을 개재하여 통기공(41)을 폐쇄하도록 복원력을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통기공(41)은 원형이 선호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밸브판(42)은 통기공(41)보다 크게 형성되어 케이싱(10)의 내면에 힌지(43)로 부착된다. 힌지(43) 상에는 토션스프링(44)을 설치하여 평상시 밸브판(42)에 의한 통기공(41)의 폐쇄 상태를 유지한다. 물론, 밸브판(42)은 강도, 강성, 내모성과 더불어 자성을 지니도록 형성되는 것이 개폐 작동성과 기밀성을 향상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덕트수단(40)이 상기 일측 케이싱(10)과 타측 케이싱(10)을 연결하는 구조이다. 청정모듈(20)을 지닌 일측 케이싱(10)과 가습모듈(30)을 지닌 타측 케이싱(10)은 덕트수단(40)을 통하여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동시에 배관(덕트)의 연결도 이루어진다. 양측 케이싱(10)의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공기가 먼저 청정모듈(20)을 거쳐 정화된 후에 가습모듈(30)로 진행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덕트수단(40)은 분할된 케이싱(10)의 접합면에서 대향하는 통기공(41)에 맞물려 결합되는 연통관(46)을 구비하고, 연통관(46)은 밸브판(42)을 통하여 청정모듈(20)과 가습모듈(30)의 유로를 설정된 방향으로 통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서 상측의 연통관(46)과 하측의 연통관(46)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와 같이 상하의 연통관(46)을 대향하는 통기공(41)에 끼우고 양측 케이싱(10)을 밀착시키면 결합이 완료된다. 도 4에서 연통관(46)에 의하여 개방된 각각의 밸브판(42)는 유로의 전부 전환을 수행한다. 연통관(46)의 외주면에 플랜지(47)가 형성되므로 양측 케이싱(10)을 최대한 밀착시키면 정해진 깊이로 삽입된다.
작동에 있어서, 도 3은 청정모듈(20)과 가습모듈(30)을 독립적으로 활용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4는 청정모듈(20)과 가습모듈(30)을 통합적으로 활용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청정모듈(20)의 흡기구(11)로 유입된 공기는 하측의 연통관(46)을 따라 가습모듈(30)의 흡기구(11)로 유입된 공기와 합류되어 여과재(25)를 거치고, 급기덕트(22)에서 상측의 연통관(46)을 통과하여 보조덕트(33)의 하단으로 이동하고, 이어서 진동자(35)에 의한 수분을 급기덕트(32)를 통하여 급기구(12)로 보낸다. 즉, 연통관(46)을 통해 통기공(41)을 폐쇄하던 밸브판(42)이 개방되되, 흡기덕트(21, 31)에 형성된 밸브판(42)의 개방시 청정모듈(20)과 가습모듈(30)의 흡기덕트(21, 31) 상호간은 연통되고 청정모듈(20)에 형성된 흡기덕트(21)와 연통되는 유입 유로는 밸브판(42)에 의해 개방되며 가습모듈(30)에 형성된 흡기덕트(31)와 연통되는 유입 유로는 밸브판(42)에 의해 폐쇄되도록 동작하고, 급기덕트(22, 32)에 형성된 밸브판(42)의 개방시 청정모듈(20)과 가습모듈(30)의 급기덕트(22, 32) 상호간은 연통되고 청정모듈(20)에 형성된 급기덕트(22)와 연통되는 배출 유로는 밸브판(42)에 의해 폐쇄되도록 동작하여 청정모듈(20)과 가습모듈(30)의 유로가 설정된 방향으로 통합된다.
반대로 양측 케이싱(10)을 분리하는 순간 통기공(41)의 모든 밸브판(42)이 폐쇄로 전환되므로 도 3처럼 청정모듈(20)과 가습모듈(30)이 즉시 독립적으로 가동된다.
한편, 케이싱(10)의 평면 상에는 연통관(46)을 일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수용홈과 밴드(48)를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케이싱 11: 흡기구
12: 급기구 15: 덮개
20: 청정모듈 21: 흡기덕트
22: 급기덕트 25: 여과재
26: 격판 28: 보조재
30: 가습모듈 31: 흡기덕트
32: 급기덕트 33: 보조덕트
35: 진동자 36: 물통
40: 덕트수단 41: 통기공
42: 밸브판 43: 힌지
44: 토션스프링 46: 연통관
47: 플랜지

Claims (5)

  1. 착탈 가능하게 모듈화된 구조의 실내공기 조절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흡기구(11)와 급기구(12)를 지니는 분할 구조의 케이싱(10);
    상기 케이싱(10)의 일측에 여과재(25)를 수용하고, 흡기덕트(21)와 급기덕트(22)를 지닌 청정모듈(20);
    상기 케이싱(10)의 타측에 물통(36)을 수용하고, 흡기덕트(31)와 급기덕트(32)를 지닌 가습모듈(30); 및
    상기 청정모듈(20)과 가습모듈(30)을 연결하는 덕트수단(40);을 포함하며,
    상기 청정모듈(20)은 흡기덕트(21)의 통기공(41)에 설치되는 밸브판(42), 급기덕트(22)의 통기공(41)에 설치되는 밸브판(42)을 구비하고,
    상기 가습모듈(30)은 흡기덕트(31)의 통기공(41)에 형성되는 밸브판(42), 하단이 개방되고 급기덕트(32)에 설치되는 보조덕트(33), 보조덕트(33)의 통기공(41)에 형성되는 밸브판(42)을 구비하며,
    상기 밸브판(42)은 힌지(43)를 개재하여 통기공(41)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토션스프링(44)을 개재하여 통기공(41)을 폐쇄하도록 복원력이 작용되고,
    상기 덕트수단(40)은 분할된 케이싱(10)의 접합면에서 대향하는 통기공(41)에 맞물려 결합되는 연통관(46)을 구비하며,
    상기 연통관(46)을 통해 상기 통기공(41)을 폐쇄하던 상기 밸브판(42)이 개방되되, 상기 흡기덕트(21, 31)에 형성된 상기 밸브판(42)의 개방시 상기 청정모듈(20)과 가습모듈(30)의 흡기덕트(21, 31) 상호간은 연통되고 상기 청정모듈(20)에 형성된 흡기덕트(21)와 연통되는 유입 유로는 상기 밸브판(42)에 의해 개방되며 상기 가습모듈(30)에 형성된 흡기덕트(31)와 연통되는 유입 유로는 상기 밸브판(42)에 의해 폐쇄되도록 동작하고, 상기 급기덕트(22, 32)에 형성된 상기 밸브판(42)의 개방시 상기 청정모듈(20)과 가습모듈(30)의 급기덕트(22, 32) 상호간은 연통되고 상기 청정모듈(20)에 형성된 급기덕트(22)와 연통되는 배출 유로는 상기 밸브판(42)에 의해 폐쇄되도록 동작하여 상기 청정모듈(20)과 가습모듈(30)의 유로를 설정된 방향으로 통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모듈 구조의 실내공기 조절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114303A 2017-09-07 2017-09-07 착탈식 모듈 구조의 실내공기 조절장치 KR101977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303A KR101977257B1 (ko) 2017-09-07 2017-09-07 착탈식 모듈 구조의 실내공기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303A KR101977257B1 (ko) 2017-09-07 2017-09-07 착탈식 모듈 구조의 실내공기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481A KR20190027481A (ko) 2019-03-15
KR101977257B1 true KR101977257B1 (ko) 2019-05-10

Family

ID=65762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303A KR101977257B1 (ko) 2017-09-07 2017-09-07 착탈식 모듈 구조의 실내공기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7257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7976A (ko) * 2004-02-28 2005-09-01 크린에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부가기능 모듈의 결합이 가능한 공기청정기 및 이에 결합가능한 부가기능 모듈
HK1146518A2 (en) * 2011-01-14 2011-06-10 Akos R & D Ltd Ai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KR20150062402A (ko) 2013-11-29 2015-06-08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살균 모듈 또는 탈취 모듈을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KR102331432B1 (ko) * 2014-12-26 2021-11-30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160144675A (ko) 2015-06-09 2016-12-19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모듈형 가습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481A (ko) 201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87771A (ko) 환기장치
CN112205915A (zh) 用于连接清洁装置的基站和用于操作清洁系统的方法
CN112503682A (zh) 空气调节机
KR20180044568A (ko) 가습겸용 공기청정기
KR20170129484A (ko) 욕실 환기팬을 이용한 환기시스템
CN111076281A (zh) 空调室内机及空调室内机控制方法
KR101977257B1 (ko) 착탈식 모듈 구조의 실내공기 조절장치
KR20120094731A (ko) 공기청정기
KR102300503B1 (ko) 유로제어부재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CN108613255B (zh) 一种室内空气调节系统
KR101581198B1 (ko) 바이패스 유닛을 구비하는 전열교환장치
US12007144B2 (en) Ventilation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KR101001187B1 (ko) 분기체가 일체로 형성된 전열교환기
CN211400018U (zh) 空调室内机
JP3903844B2 (ja) 熱交換換気装置
KR20190046166A (ko) 내부에 가변 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20210090833A (ko) 공기조화장치
KR100700791B1 (ko) 공기청정장치 및 공기청정장치의 설치구조
EP1504225B1 (en) Arrangement for displacement ventilation including a support body with connectable supporting planes for supporting devices such a filter module
KR101246010B1 (ko) 공기 청정 및 가습 장치
KR200313230Y1 (ko) 주택용 다기능 환기 유니트
CN212962034U (zh) 一种新风过滤设备
KR20060014144A (ko) 공기조화기 겸용 냉장고의 토출구조
KR100996626B1 (ko) 실내공기 환기장치
US20050127311A1 (en) Fluid releas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