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6166A - 내부에 가변 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 Google Patents

내부에 가변 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6166A
KR20190046166A KR1020170139418A KR20170139418A KR20190046166A KR 20190046166 A KR20190046166 A KR 20190046166A KR 1020170139418 A KR1020170139418 A KR 1020170139418A KR 20170139418 A KR20170139418 A KR 20170139418A KR 20190046166 A KR20190046166 A KR 20190046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filter
air
unit
chang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2207B1 (ko
Inventor
백인규
최인두
허성환
권선덕
윤병수
정대중
이동훈
신태석
신경철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9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207B1/ko
Publication of KR20190046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01D46/0006Filter elements or cartridges installed in a drawer-like man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다기능 수납 시스템이 개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내측에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 수납부(100); 상기 수납부(100)의 일측에 위치되는 유로 수용부(200); 상기 유로 수용부(200)의 일측에 수용되는 공통 유로부(300); 상기 공통 유로부(300)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일측이 연결되는 가변 유로부(500); 상기 가변 유로부(500)의 타측에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배출 유로부(600); 및 상기 공통 유로부(300)의 타측에 일측이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탈착 가능한 공기 청정부(700)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내부에 가변 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capable of forming a variable flow path inside}
본 발명은 다기능 수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부에 가변 유로를 형성하여 실내 및 수납부 내부의 공기 청정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세 먼지 등에 의한 대기 오염이 문제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기 청정기 등 공기 정화와 관련된 기기가 각광받고 있다.
다만, 공기 청정기 등은 밀폐된 실내 공간의 공기만을 정화할 수 있기 때문에, 외출 후 옷 등에 묻어 올 수 있는 먼지 등을 모두 제거하기는 어려웠다.
이를 제거하기 위해 물리적인 방법으로 사용자가 실외에서 옷을 터는 방법 등이 사용되었으나, 실외 공기의 오염도가 높은 최근에는 이런 방법이 사용되기 어렵다.
이에, 실외에서 착용했던 옷에 묻어 있을 수 있는 미세 먼지 등을 제거하기 위한 의류 관리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의류 관리기는 수납 공간에 수납된 옷을 물리적으로 흔들거나, 유체를 분사하여 옷에 묻어 있는 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단순히 옷에 묻어 있는 먼지 등을 제거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탈취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도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의류 관리에 이용된 공기는 오염될 수 있으므로 의류 관리기는 외부로 배출되기 전 이를 정화하는 설비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의류 관리를 위해 유입된 외기뿐만 아니라, 실내의 외기를 별도로 유입하여 실내 공기 정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술들이 개시된 바 있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751777호는 다기능 스마트 장롱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장롱에 공기 청정 제습 가습 복합기, 살균 스팀기, 자외선 살균 조명등 등을 포함하여 공기 청정, 제습, 가습, 살균 스팀, 자외선 살균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스마트 장롱에 대해 개시한다.
그런데, 상술한 유형의 다기능 스마트 장롱은, 공기 청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별도의 공기 청정 제습 가습 복합기가 추가되어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0757434호는 물품 수납형 공기 청정기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필터가 적층된 필터부와 필터부 위에 배치되고 송풍팬을 회전시켜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정화된 공기를 토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송풍부가 케이싱에 설치되어, 공기 청정기의 비활용 공간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물품 수납형 공기 청정기를 개시한다.
그런데, 상술한 유형의 물품 수납형 공기 청정기는, 기존의 공기 청정기의 빈 공간을 수납 공간으로 활용하는 것에 불과하므로 수납 공간의 크기가 제한된다는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751777호(2017.06.22)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0757434호(2007.09.04)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납 공간에 수납된 의류 등의 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으로서, 충분한 수납 공간을 제공하면서도 별도의 추가 기기 없이 내부에 가변 유로를 형성하여 수납 공간 내부의 공기뿐만 아니라 실내 공기의 정화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측에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 수납부(100); 상기 수납부(100)의 일측에 위치되는 유로 수용부(200); 상기 유로 수용부(200)의 일측에 수용되는 공통 유로부(300); 상기 공통 유로부(300)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일측이 연결되는 가변 유로부(500); 상기 가변 유로부(500)의 타측에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배출 유로부(600); 및 상기 공통 유로부(300)의 타측에 일측이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탈착 가능한 공기 청정부(700)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이 개시된다.
또한, 상기 가변 유로부(500)는 제1 유로 변경 부재(510) 및 제2 유로 변경 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100)와 상기 가변 유로부(500)를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내기 순환부(8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기 순환부(800)는, 상기 제1 유로 변경 부재(510)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내기 유입부(810); 및 상기 제2 유로 변경 부재(520)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내기 배출부(8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로 변경 부재(510)가 상기 내기 유입부(810)를 폐쇄하면, 이에 상응하여 상기 제2 유로 변경 부재(520)가 상기 내기 배출부(820)를 폐쇄하고, 상기 제1 유로 변경 부재(510)가 상기 내기 유입부(810)를 개방하면, 이에 상응하여 상기 제2 유로 변경 부재(520)가 상기 내기 배출부(820)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청정부(700)는 상기 일측에 유체 소통 가능하게 형성되는 가변 개구부(710) 및 상기 가변 개구부(710)의 외측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기 차단 부재(720)를 포함하며, 상기 외기 차단 부재(720)는 상기 가변 개구부(710)가 개방되는 제1 위치 및 상기 가변 개구부(710)가 폐쇄되는 제2 위치 사이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기 차단 부재(720)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제1 유로 변경 부재(510)가 상기 내기 유입부(810)를 폐쇄하고, 상기 제2 유로 변경 부재(520)가 상기 내기 배출부(820)를 폐쇄하며, 상기 공기 청정부(700), 상기 공통 유로부(300), 상기 가변 유로부(500) 및 상기 배출 유로부(600)를 포함하는 외기 정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기 차단 부재(720)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제1 유로 변경 부재(510)가 상기 내기 유입부(810)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유로 변경 부재(520)가 상기 내기 배출부(820)를 개방하며, 상기 내기 유입부(810), 상기 공통 유로부(300), 상기 가변 유로부(500) 및 상기 내기 배출부(820)를 포함하는 내기 순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청정부(700)는 상기 공기 청정부(700)의 타측에 탈착 가능하게 수용되는 필터 케이스(7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 케이스(730)는, 상기 필터 케이스(730)의 하측에 유체 소통 가능하게 형성되는 필터 개구부(731); 상기 필터 개구부(731)의 외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 그릴(732); 상기 필터 그릴(732)에 대향되도록 유체 소통 가능하게 형성되는 유입 개구부(733); 및 상기 필터 케이스(730)에 탈착 가능하게 수용되는 청정 필터(7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기 정화 유로에는 상기 필터 개구부(731), 상기 청정 필터(740) 및 상기 유입 개구부(73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통 유로부(300)는 상기 공기 청정부(700)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가습부(310)를 포함하며, 상기 가습부(310)는, 상기 공기 청정부(700)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탈착 가능한 물통(311); 및 상기 물통(311)에 대향되도록 위치되는 가습 필터(3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케이스(730)는 상기 공기 청정부(700)에 수용되는 제1 방향 및 상기 공기 청정부(700)에서 분리되는 제2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필터 케이스(730)의 외측에는 장착 스토퍼(736) 및 탈착 스토퍼(737)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 청정부(700)의 내측에는 케이스 장착부(760) 및 케이스 탈착부(770)가 형성되어, 상기 필터 케이스(730)가 상기 공기 청정부(700)에 장착되면, 상기 장착 스토퍼(736)와 상기 케이스 장착부(760)가 접촉되고, 상기 탈착 스토퍼(737)과 상기 케이스 탈착부(770)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케이스(730)는 내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돌출부(734) 및 복수의 제2 돌출부(735)를 포함하고, 상기 청정 필터(740)는 복수의 제1 홈부(744) 및 복수의 제2 홈부(745)를 포함하며, 상기 청정 필터(740)가 상기 필터 케이스(730)에 수용되면, 상기 제1 돌출부(734)가 상기 제1 홈부(744)에 수용되고, 상기 제2 돌출부(735)가 상기 제2 홈부(745)에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내부에 가변 유로를 형성하여 공기 정화와 관련된 설비를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수납부 내부의 공기 또는 실내 공기를 선택적으로 청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가변 유로를 형성하는 것만으로 기존의 다기능 수납 시스템 내부에 존재하던 필터 등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 청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공기 청정 기기의 추가 없이도 실내 공기 청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수납 시스템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유로 수용부 내측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유로 수용부에 위치되는 공기 청정부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공기 청정부의 외기 차단 부재가 슬라이드 이동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공기 청정부의 필터 케이스가 분리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공기 청정부의 필터 케이스와 필터 그릴이 분리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공기 청정부의 필터 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되는 장착 스토퍼 및 탈착 스토퍼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공기 청정부의 필터 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와 청정 필터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 홈 및 제2 홈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2의 유로 수용부에서 물통이 분리되는 과정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2의 유로 수용부에서 공기 청정부가 분리되는 과정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3의 공기 청정부에서 외기 차단 부재가 분리되는 과정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3의 공기 청정부에서 필터 케이스가 분리되는 과정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3의 공기 청정부의 필터 케이스와 필터 그릴이 분리되는 과정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3의 공기 청정부의 필터 케이스에서 청정 필터가 분리되는 과정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2의 유로 수용부 내측에 형성되는 외기 정화 유로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2의 유로 수용부 내측에 형성되는 내기 순환 유로를 보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수납 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방", "후방", "상측", "하측", "좌측", "우측"이라는 용어는 도 1에 도시된 좌표계를 통해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외기"라는 용어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10)의 외부에 존재하던 공기를 의미하고, "내기"라는 용어는 후술될 수납부(100) 내부에 존재하던 공기를 의미한다.
1. 다기능 수납 시스템(10)의 구성의 설명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수납 시스템(10)은 수납부(100) 및 유로 수용부(200)를 포함한다.
(1) 수납부(100)의 설명
수납부(100)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10)의 상측을 형성하며,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수납부(100)의 위치와 형상은 변경 가능하다.
수납부(100)는 내측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수납부(100)에는 옷이 수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납부(100)는 내부에 옷걸이를 구비할 수 있다.
수납부(100)의 전방 측에는 도어(110)가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납부(100) 내부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다. 도어(110)는 수납부(100)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2) 유로 수용부(200)의 설명
유로 수용부(200)는 수납부(100)의 하측에 위치하며,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유로 수용부(200)의 위치와 형상은 변경 가능하나, 수납부(100)의 형상에 맞추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로 수용부(200)에는 후술될 가변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유로 수용부(200)는 분리 개구부(210), 배출 개구부(220) 공통 유로부(300), 송풍부(400), 가변 유로부(500), 배출 유로부(600), 공기 청정부(700) 및 내기 순환부(800)를 포함한다.
분리 개구부(210)는 후술될 가습부(310), 열 교환부(320), 공기 청정부(700)가 유로 수용부(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다기능 수납 시스템(10)의 사용 중에는 분리 개구부(210)가 분리 차단 부재(211)에 의해 폐쇄된다.
분리 차단 부재(211)는 가습부(310), 열 교환부(320), 공기 청정부(700)를 분리하고자 할 때 분리 개구부(210)를 개방하고, 다기능 수납 시스템(10)의 사용 중에는 분리 개구부(210)를 폐쇄한다.
이를 위해, 분리 차단 부재(211)는 유로 수용부(200)의 일측에 회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분리 개구부(210)를 개폐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배출 개구부(220)는 후술될 배출 유로부(600)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후술될 외기 정화 유로를 통과한 유체가 유로 수용부(200)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후술될 내기 순환 유로가 형성된 경우, 배출 개구부(220)는 배출 차단 부재(221)에 의해 폐쇄된다.
배출 차단 부재(221)는 유로 수용부(200) 내에 후술될 외기 정화 유로가 형성된 경우 유체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 개구부(220)를 개방하고, 내기 순환 유로가 형성된 경우 배출 개구부(220)를 폐쇄한다.
이를 위해, 배출 차단 부재(221)는 유로 수용부(2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배출 개구부(220)를 폐쇄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배출 차단 부재(221)는 후술될 제1 유로 변경 부재(510) 및 제2 유로 변경 부재(520)의 구동에 상응하게 구동될 수 있다.
즉, 유로 수용부(200) 내에 외기 정화 유로가 형성되도록 제1 유로 변경 부재(510) 및 제2 유로 변경 부재(520)가 구동된 경우 배출 차단 부재(221)가 배출 개구부(220)를 개방하도록 구동된다.
또한, 유로 수용부(200) 내에 내기 순환 유로가 형성되도록 제1 유로 변경 부재(510) 및 제2 유로 변경 부재(520)가 구동된 경우 배출 차단 부재(221)가 배출 개구부(220)를 페쇄하도록 구동된다.
1) 공통 유로부(300)의 설명
공통 유로부(300)는 유로 수용부(200) 내에서 형성되는 외기 정화 유로 및 내기 순환 유로가 공통적으로 포함하는 유로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공통 유로부(300)는 관의 형태로 구비되며, 공통 유로부(300)의 형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공통 유로부(300)는 가습부(310) 및 열 교환부(320)를 포함한다.
가습부(310)는 유로 수용부(200) 내부에서 유동하는 유체를 가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가습부(310)는 물통(311), 가습 필터(312) 및 수관부(313)를 포함한다.
물통(311)은 가습 필터(312)에 공급되는 물을 수용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물통(311)은 후술될 공기 청정부(700)에 인접하게 유로 수용부(200)의 가장 바깥쪽에 탈착 가능하게 수용된다.
공기 청정부(700)와 인접한 물통(311)의 형상은 공기 청정부(700)의 형상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물통(311)의 공기 청정부(700)와 인접한 측면은 공기 청정부(700)의 형상에 따라 지표면과 일정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물통(311)의 일측에는 가습 필터(312)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수관부(313)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가습 필터(312)는 공통 유로부(300)를 통과하는 유체를 가습한다. 가습 필터(312)는 후술될 공기 청정부(700)를 사이에 두고 물통(311)에 대향되도록 공통 유로부(300) 상에 위치되어, 후술될 외기 정화 유로 및 내기 순환 유로를 통과하는 모든 유체를 가습할 수 있다. 가습 필터(312)의 위치는 변경 가능하다.
가습 필터(312)가 유체를 가습하기 위한 물은 물통(311)으로부터 수관부(313)를 통해 공급된다.
수관부(313)는 물통(311)과 가습 필터(312)를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물통(311)에 저장된 물은 수관부(313)를 통해 가습 필터(312)에 공급된다.
수관부(313)는 물통(311)과 가습 필터(312)를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다.
열 교환부(320)는 공통 유로부(300)를 통과하는 유체에 잔류하는 열을 교환하여 다기능 수납 시스템(10) 전체의 열 효율을 증가시킨다. 열 교환부(320)는 이를 통과하는 유체와 열을 교환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열 교환부(320)는 가습 필터(312)와 인접하게 유로 수용부(200)의 후방 측에 위치하며, 열 교환부(320)의 위치는 변경 가능하다.
2) 송풍부(400)의 설명
송풍부(400)는 유로 수용부(200) 내에서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이송력을 제공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송풍부(400)는 열 교환부(320)에 인접하게 유로 수용부(200)의 가장 후방 측에 위치하며, 송풍부(400)는 유로 수용부(200) 내에서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이송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떤 위치에도 위치될 수 있다.
송풍부(400)는 송풍 팬(410) 및 송풍 모터(420)를 포함한다.
송풍 팬(410)은 송풍 모터(420)에 의해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여, 유로 수용부(200) 내에서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이송력을 제공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송풍 팬(410)은 블레이드 형태로 구비되며, 유체에 이송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다.
송풍 팬(410)은 송풍 모터(4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송풍 모터(420)는 송풍 팬(4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송풍 팬(410)이 회전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한다. 송풍 모터(420)에 전력을 공급하는 별도의 전선(미도시) 및 전기 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3) 가변 유로부(500)의 설명
가변 유로부(500)는 유로 수용부(200) 내에서 유동 중인 유체가 외기 정화 유로 및 내기 순환 유로 중 어느 한 유로를 유동할 수 있도록 유로를 변경한다.
가변 유로부(500)는 공통 유로부(300), 배출 유로부(600) 및 후술될 내기 순환부(800)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가변 유로부(500)는 제1 유로 변경 부재(510), 제2 유로 변경 부재(520) 및 가변 구역(530)을 포함한다.
제1 유로 변경 부재(510)는 후술될 내기 순환부(800)의 내기 유입부(810)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제1 유로 변경 부재(510)의 구동을 위해, 제1 유로 변경 부재(510)에 인접하게 제1 유로 변경 모터(511)가 구비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유로 변경 부재(510)는 회전하여 배출 유로부(600) 및 내기 유입부(810) 중 어느 하나와 가변 유로부(500)가 연결되는 유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이에 따라 외기 정화 유로 및 내기 순환 유로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며, 제1 유로 변경 부재(510)는 다양한 방식으로 배출 유로부(600) 또는 내기 유입부(810)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제1 유로 변경 부재(510)의 형상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다만, 외기 정화 유로 및 내기 순환 유로 중 어느 한 유로는 완전히 개방하고, 어느 한 유로는 완전히 폐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유로 변경 부재(520)는 후술될 내기 순환부(800)의 내기 배출부(820)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제2 유로 변경 부재(520)의 구동을 위해, 제2 유로 변경 부재(520)에 인접하게 제2 유로 변경 모터(521)가 구비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유로 변경 부재(510)는 회전하여 내기 배출부(820)와 가변 유로부(500)가 연결되는 유로 및 가변 구역(530)을 향하는 유로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이에 따라 외기 정화 유로 및 내기 순환 유로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며, 제2 유로 변경 부재(520)는 다양한 방식으로 공통 유로부(300) 또는 내기 배출부(820)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제2 유로 변경 부재(520)의 형상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다만, 외기 정화 유로 및 내기 순환 유로 중 어느 한 유로는 완전히 개방하고, 어느 한 유로는 완전히 폐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유로 변경 부재(510)와 제2 유로 변경 부재(520)는 서로 상응하게 구동된다.
즉, 제1 유로 변경 부재(510)가 외기 정화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동되면, 이에 상응하게 제2 유로 변경 부재(520)가 외기 정화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동된다.
또한, 제1 유로 변경 부재(510)가 내기 순환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동되면, 이에 상응하게 제2 유로 변경 부재(520)가 내기 순환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동된다.
또한, 제1 유로 변경 부재(510) 및 제2 유로 변경 부재(520)는 후술될 공기 청정부(700)의 외기 차단 부재(720)의 구동에 상응하게 구동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가변 구역(530)은 제1 유로 변경 부재(510) 및 제2 유로 변경 부재(520) 사이에 위치하며, 제1 유로 변경 부재(510) 및 제2 유로 변경 부재(520)를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한다.
후술될 외기 정화 유로가 형성되면, 가변 구역(530)은 제1 유로 변경 부재(510) 및 제2 유로 변경 부재(520)에 의해 개방되어 유체가 유동할 수 있다. 또한, 후술될 내기 순환 유로가 형성되면, 가변 구역(530)은 제1 유로 변경 부재(510) 및 제2 유로 변경 부재(520)에 의해 폐쇄되어 내기가 유입되지 않는다.
4) 배출 유로부(600)의 설명
배출 유로부(600)는 유로 수용부(200) 내에 외기 정화 유로가 형성된 경우, 정화된 외기가 다시 유로 수용부(200)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한다.
배출 유로부(600)의 일측은 가변 유로부(500)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일측은 배출 개구부(220)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유로 변경 부재(510) 및 제2 유로 변경 부재(520)의 구동에 의해 유로 수용부(200) 내에 외기 정화 유로가 형성되면, 배출 차단 부재(221)가 이에 상응하게 분리 개구부(210)를 개방하도록 구동된다.
이 때, 배출 유로부(600)는 가변 유로부(500)를 통과한 유체가 분리 개구부(210)로 배출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5) 내기 순환부(800)의 설명
내기 순환부(800)는 수납부(100)와 유로 수용부(200)를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하여, 수납부(100) 내부의 내기가 유로 수용부(200)로 유입되고, 다시 수납부(100) 내부로 돌아갈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내기 순환부(800)는 가변 유로부(500)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내기 순환부(800)는 내기 유입부(810) 및 내기 배출부(820)를 포함한다.
내기 유입부(810)는 수납부(100) 내부의 내기가 유로 수용부(200)로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내기 유입부(810)는 가변 유로부(500)에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때, 내기 유입부(810)는 제1 유로 변경 부재(510)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내기 유입부(810)와 가변 유로부(500)의 연결부는 제1 유로 변경 부재(51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내기 유입부(810)에는 내기 유입 필터(811)가 구비되어, 수납부(100) 내부의 내기가 유로 수용부(200)로 유입될 때 정화될 수 있다.
내기 배출부(820)는 유로 수용부(200)에 유입된 내기가 수납부(100)로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내기 배출부(820)는 가변 유로부(500)에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때, 내기 배출부(820)는 제2 유로 변경 부재(520)에 인접하게 위치하여, 내기 배출부(820)와 가변 유로부(500)의 연결부는 제2 유로 변경 부재(52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내기 배출부(820)에는 내기 배출 필터(821)가 구비되어 수납부(100) 내부로 배출될 때 정화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유로 변경 부재(510) 및 제2 유로 변경 부재(520)는 외기 정화 유로 또는 내기 순환 유로 중 어느 한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상응하게 구동된다.
따라서, 내기 유입부(810)와 가변 유로부(500)의 연결부가 개방되면 이에 상응하게 내기 배출부(820)와 가변 유로부(500)의 연결부가 개방되고, 내기 유입부(810)과 가변 유로부(500)의 연결부가 폐쇄되면, 이에 상응하게 내기 배출부(820)와 가변 유로부(500)의 연결부가 폐쇄된다.
6) 공기 청정부(700)의 설명
공기 청정부(700)는 유로 수용부(200) 내부에 외기 정화 유로가 형성된 경우 외기가 유로 수용부(200)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며, 동시에 유입되는 외기를 정화하는 공기 청정 기능을 수행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공기 청정부(700)는 물통(311) 및 공통 유로부(300)의 사이에 위치하며, 공기 청정부(700)의 위치는 변경 가능하다.
또한, 공기 청정부(700)의 일측은 지표면과 일정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는, 후술될 바와 같이 공기 청정부(700)의 하측으로 유입된 외기가 가변 개구부(710)를 통해 공통 유로부(300)에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공기 청정부(700)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공기 청정부(700)의 물통(311)과 인접한 일측의 형상은 물통(311)의 공기 청정부(700)와 인접한 일측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부(7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공기 청정부(700)는 가변 개구부(710), 외기 차단 부재(720), 필터 케이스(730), 청정 필터(740), 필터 모터(750), 케이스 장착부(760) 및 케이스 탈착부(770)를 포함한다.
가변 개구부(710)는 공통 유로부(300)에 인접한 공기 청정부(7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외기가 유로 수용부(200) 내로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가변 개구부(710)는 공통 유로부(300)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공기 청정부(700)에 유입된 외기는 가변 개구부(710)를 통해 공통 유로부(300)로 유입될 수 있다.
외기 차단 부재(720)는 가변 개구부(710)의 외측에 위치하여, 가변 개구부(710)를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이를 위해, 외기 차단 부재(720)는 가변 개구부(710)가 개방되는 제1 위치 및 가변 개구부(710)가 폐쇄되는 제2 위치 사이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외기 차단 부재(720)는 제1 위치에 해당하는 상측 및 제2 위치에 해당하는 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가변 개구부(710)를 개폐할 수 있는 여타 방식으로 결합 가능하다.
외기 차단 부재(720)는 제1 유로 변경 부재(510) 및 제2 유로 변경 부재(520)의 구동에 상응하게 구동된다.
즉, 제1 유로 변경 부재(510) 및 제2 유로 변경 부재(520)의 구동에 의해 유로 수용부(200) 내부에 외기 정화 유로가 형성된 경우 외기 차단 부재(720)는 가변 개구부(710)를 개방하도록 구동된다.
또한, 제1 유로 변경 부재(510) 및 제2 유로 변경 부재(520)의 구동에 의해 유로 수용부(200) 내부에 내기 순환 유로가 형성된 경우 외기 차단 부재(720)는 가변 개구부(710)를 폐쇄하도록 구동된다.
필터 케이스(730)는 공기 청정부(700)의 일측에 수용되며, 후술될 청정 필터(740)를 수용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필터 케이스(730)는 공기 청정부(700)에 수용되는 제1 방향 및 공기 청정부(70)0에서 분리되는 제2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필터 케이스(730)의 위치 및 수용 방식은 변경 가능하다.
필터 케이스(730)는 필터 개구부(731), 필터 그릴(732), 유입 개구부(333), 제1 돌출부(734), 제2 돌출부(735), 장착 스토퍼(736) 및 탈착 스토퍼(737)를 포함한다.
필터 개구부(731)는 필터 케이스(730)의 하측에 유체 소통 가능하게 형성되며, 청정 필터(74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필터 개구부(731)의 길이와 폭은 청정 필터(740)의 길이와 폭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필터 개구부(731)는 유체 소통 가능하게 형성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필터 그릴(732)은 필터 개구부(731)의 외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필터 케이스(730)에 수용된 청정 필터(740)가 임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유입 개구부(733)는 필터 개구부(731)를 통해 유입된 외기가 가변 개구부(710)로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유입 개구부(733)는 필터 케이스(730)의 상측에 필터 그릴(732)에 대향되어 유체 소통 가능하게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유입 개구부(733)는 작은 개구부들의 집합으로서 형성되며, 대안적으로 하나의 큰 개구부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돌출부(734)는 필터 케이스(730)의 길이 방향의 양쪽 내벽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 돌출부(734)는 복수 개 형성되어, 후술될 청정 필터(740)에 형성된 제1 홈부(744)에 삽입된다. 이를 통해, 필터 케이스(730)에 삽입된 청정 필터(740)는 임의 이탈이 방지된다.
제1 돌출부(734)의 개수, 크기 및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나, 청정 필터(740)에 형성된 제1 홈부(744)의 개수, 크기 및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청정 필터(740)의 탈착에 불편함이 없도록 충분히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돌출부(735)는 필터 케이스(730)의 길이 방향의 양쪽 내벽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2 돌출부(735)는 복수 개 형성되어, 후술될 청정 필터(740)에 형성된 제2 홈부(745)에 삽입된다. 이를 통해, 필터 케이스(730)에 삽입된 청정 필터(740)는 필터 케이스(730)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돌출부(735)의 개수, 크기 및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나, 청정 필터(740)에 형성된 제2 홈부(745)의 개수, 크기 및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청정 필터(740)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충분히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 스토퍼(736)는 필터 케이스(730)의 폭 방향의 양쪽 외벽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장착 스토퍼(736)는 필터 케이스(730)가 공기 청정부(700)에 수용될 때 후술될 케이스 장착부(760)와 접하게 되어 필터 케이스(730)가 삽입되는 거리를 제한한다.
탈착 스토퍼(737)는 필터 케이스(730)의 폭 방향 양쪽 외벽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탈착 스토퍼(737)는 필터 케이스(730)가 공기 청정부(700)에 수용된 후 임의 이탈되지 않도록 후술될 케이스 탈착부(770)에 체결된다.
청정 필터(740)는 유로 수용부(200)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를 정화한다. 이를 위해, 청정 필터(740)는 기능성 필터, 탈취 필터, 헤파 필터 등 공기 정화와 관련된 어떤 필터로도 구비될 수 있다.
청정 필터(740)는 필터 케이스(730)에 탈착 가능하게 수용된다.
청정 필터(740)는 제1 홈부(744) 및 제2 홈부(745)를 포함한다.
제1 홈부(744)는 청정 필터(740)의 길이 방향의 양쪽 외측에 형성된다. 제1 홈부(744)는 복수 개 형성되며, 제1 홈부(744)에는 필터 케이스(730)의 내벽에 형성된 제1 돌출부(734)가 삽입된다. 이를 통해, 필터 케이스(730)로부터의 청정 필터(740)의 임의 이탈이 방지된다.
제1 홈부(744)의 개수, 크기 및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나, 제1 돌출부(734)의 개수, 크기 및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홈부(745)는 청정 필터(740)의 길이 방향의 양쪽 외측에 형성된다. 제2 홈부(745)는 복수 개 형성되며, 제2 홈부(745)에는 필터 케이스(730)의 내벽에 형성된 제2 돌출부(735)가 삽입된다. 이를 통해, 청정 필터(740)는 필터 케이스(730)와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홈부(745)의 개수, 크기 및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나, 제2 돌출부(735)의 개수, 크기 및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 모터(750)는 공기 청정부(700)의 상측 측면에 외기 차단 부재(720)에 인접하도록 위치되어 외기 차단 부재(720)가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 예에서, 필터 모터(750)는 외기 차단 부재(720)에 동력을 공급할 수 있는 다른 기기로 구비될 수 있다.
필터 모터(750)과 외기 차단 부재(720) 사이에는 필터 기어(751)가 위치하여, 필터 모터(750)의 동력을 외기 차단 부재(720)에 전달한다.
케이스 장착부(760)는 공기 청정부(700)의 폭 방향의 양쪽 내벽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필터 케이스(730)가 공기 청정부(700)를 향해 슬라이드 이동되어 완전히 장착되면, 필터 케이스(730)의 장착 스토퍼(736)와 케이스 장착부(760)가 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필터 케이스(730)가 공기 청정부(700) 내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거리가 제한되어 필터 케이스(730)가 완전히 수용되면 제1 방향으로 더 이상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케이스 탈착부(770)는 공기 청정부(700)의 폭 방향의 양쪽 내벽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필터 케이스(730)가 공기 청정부(700)에 완전히 장착되면, 필터 케이스(730)의 탈착 스토퍼(737)가 케이스 탈착부(770)에 체결된다.
따라서, 공기 청정부(700)에 완전히 수용되어 케이스 탈착부(770)에 체결된 필터 케이스(730)는 분리를 위한 외력 없이는 임의 이탈되지 않는다.
2. 분리 과정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로 수용부(200) 내에 수용되는 가습부(310), 공기 청정부(700)는 탈착 가능하며, 특히 공기 청정부(700)는 각 구성 요소별로 분리될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각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분리 차단 부재(211)이 회전 이동하여 분리 개구부(210)가 개방되어 가습부(310) 및 공기 청정부(700)가 탈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먼저 분리 개구부(210)에 가장 인접하게 위치하는 물통(311)이 분리 개구부(210)를 통해 전방 측으로 분리되면, 물통(311)의 후측에 위치한 공기 청정부(700)가 노출된다.
다음, 공기 청정부(700)가 분리 개구부(210)를 통해 전방 측으로 분리된다. 이 때, 분리 차단 부재(211)가 회전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 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공기 청정부(700)가 분리되면, 공기 청정부(700)의 후측에 위치한 가습 필터(312)가 노출되고, 가습 필터(312) 또한 분리 개구부(210)를 통해 전방 측으로 분리될 수 있다(미도시).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공기 청정부(700)의 분리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필터 모터(750) 및 필터 기어(751)가 분리된다.
다음, 외기 차단 부재(720)가 상측으로 분리된다.
필터 케이스(730)는 공기 청정부(700)의 외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분리된다.
필터 케이스(730)의 하측에 결합된 필터 그릴(732)이 분리되면, 필터 개구부(731)가 노출되어, 청정 필터(740)가 필터 케이스(7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3. 가변 유로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수납 시스템(10)의 유로 수용부(200)에는 가변 유로부(500)를 통해 외기 정화 유로 및 내기 순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외기 정화 유로의 설명
도 15를 참조하면, 유로 수용부(200) 내부에 외기 정화 유로가 형성되면 외기가 공기 청정부(700)를 통해 유입된 후 공통 유로부(300), 가변 유로부(500) 및 배출 유로부(600)를 통과하여 배출 개구부(220)를 통해 배출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외기가 통과하는 외기 정화 유로 내의 각 구성의 순서는 변경 가능하며, 일부 구성이 생략되거나 추가될 수 있다.
외기가 외기 정화 유로 상에서 유동하기 위한 이송력은 송풍부(400)에 의해 공급된다.
외기의 유입을 위해 공기 청정부(700)의 필터 모터(750)에 의해 외기 차단 부재(720)가 제1 위치인 상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가변 개구부(710)가 개방된다. 이 때, 외기는 필터 개구부(731), 필터 케이스(730)에 수용된 청정 필터(740), 유입 개구부(733) 및 가변 개구부(710)를 차례로 통과하여 공통 유로부(300)로 유입된다.
공통 유로부(300)에 유입된 외기는 가습부(310)의 가습 필터(312) 및 열 교환부(320)를 차례로 통과하며 가습되고 열 교환된다. 이 때, 가습 필터(312) 및 열 교환부(320)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열 교환부(320)에서 열 교환된 외기는 공통 유로부(300)와 가변 유로부(500)의 경계에 위치하는 제2 유로 변경 부재(520)에 도달한다.
제2 유로 변경 부재(520)는 외기 정화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공통 유로부(300)와 가변 구역(530)이 연결되는 유로를 개방하고, 가변 유로부(500)와 내기 배출부(820)가 연결되는 유로를 폐쇄한다.
이 때, 제1 유로 변경 부재(510)는 제2 유로 변경 부재(520)의 구동에 상응하게 구동된다. 따라서, 제1 유로 변경 부재(510)는 외기 정화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가변 유로부(500)와 배출 유로부(600)가 연결되는 유로를 개방하고, 가변 유로부(500)와 내기 유입부(810)가 연결되는 유로를 폐쇄한다.
따라서 내기 유입부(810) 및 내기 배출부(820)가 폐쇄되므로, 가변 유로부(500)에 유입된 외기는 제2 유로 변경 부재(520), 가변 구역(530) 및 제1 유로 변경 부재(510)를 거쳐 배출 유로부(600)로 유입된다.
이 때, 배출 차단 부재(221)가 회전 이동되어 배출 개구부(220)가 개방되고, 배출 유로부(600)로 안내된 외기는 배출 개구부(220)를 통해 유로 수용부(2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정리하면, 배출 개구부(220), 제1 유로 변경 부재(510), 제2 유로 변경 부재(520) 및 외기 차단 부재(720)가 서로 상응하게 구동되어 외기 정화 유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유로 수용부(200)로 유입된 외기는 정화 과정, 가습 과정, 열 교환 과정을 거친 후 배출되므로, 다기능 수납 시스템(10)이 위치한 실내의 공기의 정화, 가습, 열 교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 내기 순환 유로의 설명
도 16을 참조하면, 유로 수용부(200) 내부에 내기 순환 유로가 형성되면 수납부(100) 내부의 내기가 내기 유입부(810)를 통해 유입된 후 가변 유로부(500) 및 공통 유로부(300)를 통과하여 내기 배출부(820)를 통해 수납부(100) 내부로 배출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기가 통과하는 내기 정화 유로 내의 각 구성의 순서는 변경 가능하며, 일부 구성이 생략되거나 추가될 수 있다.
내기가 내기 순환 유로 상에서 유동하기 위한 이송력은 송풍부(400)에 의해 공급된다.
내기 순환 유로가 형성되면, 외기의 유입이 방지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공기 청정부(700)의 필터 모터(750)에 의해 외기 차단 부재(720)가 제2 위치인 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가변 개구부(710)가 폐쇄된다.
또한, 제1 유로 변경 부재(510)는 내기 순환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가변 유로부(500)와 내기 유입부(810)가 연결되는 유로를 개방하고, 가변 유로부(500)와 배출 유로부(600)가 연결되는 유로를 폐쇄한다.
이 때, 제2 유로 변경 부재(520)는 제1 유로 변경 부재(510)의 구동에 상응하게 구동된다. 따라서, 제2 유로 변경 부재(520)는 내기 순환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가변 유로부(500)와 내기 배출부(820)가 연결되는 유로를 개방하고, 공통 유로부(300)와 가변 구역(530)이 연결되는 유로를 폐쇄한다.
즉, 내기 유입부(810) 및 내기 배출부(820)가 동시에 개방된다.
따라서, 내기 유입부(810)를 통해 가변 유로부(500)로 유입된 내기는 제1 유로 변경 부재(510)에 의해 공통 유로부(300)로 유입된다. 이 때, 내기는 내기 유입부(810)에 구비된 내기 유입 필터(812)를 통과하며 유입되어 정화된다.
공통 유로부(300)에 유입된 내기는 가습부(310)의 가습 필터(312) 및 열 교환부(320)를 차례로 통과하며 가습되고 열 교환된다. 이 때, 가습 필터(312) 및 열 교환부(320)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열 교환부(320)에서 열 교환된 내기는 공통 유로부(300)와 가변 유로부(500)의 경계에 위치하는 제2 유로 변경 부재(520)에 도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유로 변경 부재(520)에 의해 가변 유로부(500)와 내기 배출부(820)가 연결되는 유로가 개방되므로, 내기는 내기 배출부(820)를 통해 수납부(100) 내측으로 유입된다. 이 때, 내기는 내기 배출부(820)에 구비된 내기 배출 필터(822)를 통과하며 배출된다.
정리하면, 제1 유로 변경 부재(510), 제2 유로 변경 부재(520) 및 외기 차단 부재(720)가 서로 상응하게 구동되어 내기 순환 유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수납부(100) 내부의 내기는 유로 수용부(200)에 유입되어 가습 과정, 열 교환 과정을 거친 후 다시 수납부(100) 내측으로 배출되므로, 수납부(100) 내부 공기의 정화, 가습, 열 교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수납 시스템(10)은 가변 유로부(500)를 이용하여 외기 정화 유로 및 내기 순환 유로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할 수 있고, 외기 정화 유로 및 내기 순환 유로가 모두 통과하는 공통 유로부(300)에서 가습, 열 교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외기 정화 유로의 경우 공기 청정부(700)에서, 내기 순환 유로의 경우 내기 유입부(810) 및 내기 배출부(820)에서 공기 정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기기 장치를 추가하지 않고도 다기능 수납 시스템(10)의 수납부(100) 내측의 내기 및 다기능 수납 시스템(10)이 설치된 실내의 외기를 모두 정화, 가습, 열 교환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다기능 수납 시스템
100 : 수납부
110 : 도어
200 : 유로 수용부
210 : 분리 개구부
211 : 분리 차단 부재
220 : 배출 개구부
221 : 배출 차단 부재
300 : 공통 유로부
310 : 가습부
311 : 물통
312 : 가습 필터
313 : 수관부
320 : 열 교환부
400 : 송풍부
410 : 송풍 팬
420 : 송풍 모터
500 : 가변 유로부
510 : 제1 유로 변경 부재
511 : 제1 유로 변경 모터
520 : 제2 유로 변경 부재
521 : 제2 유로 변경 모터
530 : 가변 구역
600 : 배출 유로부
700 : 공기 청정부
710 : 가변 개구부
720 : 외기 차단 부재
730 : 필터 케이스
731 : 필터 개구부
732 : 필터 그릴
733 : 유입 개구부
734 : 제1 돌출부
735 : 제2 돌출부
736 : 장착 스토퍼
737 : 탈착 스토퍼
740 : 청정 필터
744 : 제1 홈부
745 : 제2 홈부
750 : 필터 모터
751 : 필터 기어
760 : 케이스 장착부
770 : 케이스 탈착부
800 : 내기 순환부
810 : 내기 유입부
811 : 내기 유입 필터
820 : 내기 배출부
821 : 내기 배출 필터

Claims (10)

  1. 내측에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 수납부(100);
    상기 수납부(100)의 일측에 위치되는 유로 수용부(200);
    상기 유로 수용부(200)의 일측에 수용되는 공통 유로부(300);
    상기 공통 유로부(300)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일측이 연결되는 가변 유로부(500);
    상기 가변 유로부(500)의 타측에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배출 유로부(600); 및
    상기 공통 유로부(300)의 타측에 일측이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탈착 가능한 공기 청정부(700)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유로부(500)는 제1 유로 변경 부재(510) 및 제2 유로 변경 부재(520)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00)와 상기 가변 유로부(500)를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하는 내기 순환부(8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기 순환부(800)는,
    상기 제1 유로 변경 부재(510)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내기 유입부(810); 및
    상기 제2 유로 변경 부재(520)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내기 배출부(8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유로 변경 부재(510)가 상기 내기 유입부(810)를 폐쇄하면, 이에 상응하여 상기 제2 유로 변경 부재(520)가 상기 내기 배출부(820)를 폐쇄하고,
    상기 제1 유로 변경 부재(510)가 상기 내기 유입부(810)를 개방하면, 이에 상응하여 상기 제2 유로 변경 부재(520)가 상기 내기 배출부(820)를 개방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청정부(700)는 상기 일측에 유체 소통 가능하게 형성되는 가변 개구부(710) 및 상기 가변 개구부(710)의 외측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기 차단 부재(720)를 포함하며,
    상기 외기 차단 부재(720)는 상기 가변 개구부(710)가 개방되는 제1 위치 및 상기 가변 개구부(710)가 폐쇄되는 제2 위치 사이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차단 부재(720)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제1 유로 변경 부재(510)가 상기 내기 유입부(810)를 폐쇄하고, 상기 제2 유로 변경 부재(520)가 상기 내기 배출부(820)를 폐쇄하며,
    상기 공기 청정부(700), 상기 공통 유로부(300), 상기 가변 유로부(500) 및 상기 배출 유로부(600)를 포함하는 외기 정화 유로가 형성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차단 부재(720)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되면,
    상기 제1 유로 변경 부재(510)가 상기 내기 유입부(810)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유로 변경 부재(520)가 상기 내기 배출부(820)를 개방하며,
    상기 내기 유입부(810), 상기 공통 유로부(300), 상기 가변 유로부(500) 및 상기 내기 배출부(820)를 포함하는 내기 순환 유로가 형성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청정부(700)는 상기 공기 청정부(700)의 타측에 탈착 가능하게 수용되는 필터 케이스(7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 케이스(730)는,
    상기 필터 케이스(730)의 하측에 유체 소통 가능하게 형성되는 필터 개구부(731);
    상기 필터 개구부(731)의 외측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 그릴(732);
    상기 필터 그릴(732)에 대향되도록 유체 소통 가능하게 형성되는 유입 개구부(733); 및
    상기 필터 케이스(730)에 탈착 가능하게 수용되는 청정 필터(7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기 정화 유로에는 상기 필터 개구부(731), 상기 청정 필터(740) 및 상기 유입 개구부(733)가 더 포함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유로부(300)는 상기 공기 청정부(700)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가습부(310)를 포함하며,
    상기 가습부(310)는,
    상기 공기 청정부(700)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탈착 가능한 물통(311); 및
    상기 물통(311)에 대향되도록 위치되는 가습 필터(312)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스(730)는 상기 공기 청정부(700)에 수용되는 제1 방향 및 상기 공기 청정부(700)에서 분리되는 제2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필터 케이스(730)의 외측에는 장착 스토퍼(736) 및 탈착 스토퍼(737)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 청정부(700)의 내측에는 케이스 장착부(760) 및 케이스 탈착부(770)가 형성되어,
    상기 필터 케이스(730)가 상기 공기 청정부(700)에 장착되면,
    상기 장착 스토퍼(736)와 상기 케이스 장착부(760)가 접촉되고, 상기 탈착 스토퍼(737)과 상기 케이스 탈착부(770)가 체결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스(730)는 내측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1 돌출부(734) 및 복수의 제2 돌출부(735)를 포함하고,
    상기 청정 필터(740)는 복수의 제1 홈부(744) 및 복수의 제2 홈부(745)를 포함하며,
    상기 청정 필터(740)가 상기 필터 케이스(730)에 수용되면,
    상기 제1 돌출부(734)가 상기 제1 홈부(744)에 수용되고, 상기 제2 돌출부(735)가 상기 제2 홈부(745)에 수용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1020170139418A 2017-10-25 2017-10-25 내부에 가변 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102572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418A KR102572207B1 (ko) 2017-10-25 2017-10-25 내부에 가변 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418A KR102572207B1 (ko) 2017-10-25 2017-10-25 내부에 가변 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166A true KR20190046166A (ko) 2019-05-07
KR102572207B1 KR102572207B1 (ko) 2023-08-29

Family

ID=66656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418A KR102572207B1 (ko) 2017-10-25 2017-10-25 내부에 가변 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2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4277A (ko) 2020-05-22 2021-11-30 코웨이 주식회사 의류관리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6098A (ja) * 1995-04-05 1996-10-22 Brother Ind Ltd 衣類乾燥機
KR20050089934A (ko) * 2004-03-06 2005-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의 필터조립체 구조
KR100757434B1 (ko) 2005-06-03 2007-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물품 수납형 공기청정기
JP2014231927A (ja) * 2013-05-28 2014-12-1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除加湿装置
KR101751777B1 (ko) 2015-04-30 2017-06-28 편창현 다기능 스마트 장롱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6098A (ja) * 1995-04-05 1996-10-22 Brother Ind Ltd 衣類乾燥機
KR20050089934A (ko) * 2004-03-06 2005-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의 필터조립체 구조
KR100757434B1 (ko) 2005-06-03 2007-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물품 수납형 공기청정기
JP2014231927A (ja) * 2013-05-28 2014-12-1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除加湿装置
KR101751777B1 (ko) 2015-04-30 2017-06-28 편창현 다기능 스마트 장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4277A (ko) 2020-05-22 2021-11-30 코웨이 주식회사 의류관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2207B1 (ko) 202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04605B (zh) 空气处理装置和具有其的立式空调器
KR102131439B1 (ko) 창문 설치형 하이브리드 공기청정 환기 시스템
KR20040056154A (ko) 공기청정기
CN108105881B (zh) 柜机
WO2015156636A1 (ko) 제습기능과 가습기능이 구비된 공기청정기
CN112368440A (zh) 包括再循环模块的多功能收纳系统
JP2005043032A (ja) 空気清浄機
US20230055517A1 (en) Ventilation apparatus and ventilation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667372B1 (ko) 의류 먼지 털기용 에어 토출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20190001334A (ko) 선택적으로 가습 기능과 공기 청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가습 공기 청정기
KR102673287B1 (ko) 자연가습공기를 이용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CN215765632U (zh) 空气净化器
KR20190046166A (ko) 내부에 가변 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US12007144B2 (en) Ventilation apparatus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KR102265470B1 (ko) 수막형집진판이 내장된 환기장치
KR101170599B1 (ko) 공기 청정 및 가습 장치
CN206875609U (zh) 具有除湿与净化两种功能的空气处理器
KR20190035395A (ko) 내부에 가변 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유로 변경 부재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101001187B1 (ko) 분기체가 일체로 형성된 전열교환기
KR20220019858A (ko) 공기 정화 겸용 진공청소기
CN206792355U (zh) 除尘组件及吸尘器
KR20230026836A (ko) 환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JP2003056869A (ja) 加湿機
WO2023134645A1 (zh) 一种过滤支架、线屑过滤装置及衣物处理装置
CN210345726U (zh) 一种组合式空气处理机组用空气净化灭菌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