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4568A - 가습겸용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가습겸용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4568A
KR20180044568A KR1020160138246A KR20160138246A KR20180044568A KR 20180044568 A KR20180044568 A KR 20180044568A KR 1020160138246 A KR1020160138246 A KR 1020160138246A KR 20160138246 A KR20160138246 A KR 20160138246A KR 20180044568 A KR20180044568 A KR 20180044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odule
humidification
main body
dis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8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0978B1 (ko
Inventor
최현국
송규완
신경철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8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978B1/ko
Publication of KR20180044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24F6/04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with self-sucking action, e.g. wi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정화기능을 수행하는 부품과 가습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을 구조적으로 분리하기 용이하고, 사용시 공기정화기능을 수행하는 부품과 가습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을 선택적으로 채용함으로써 공기정화기능과 가습기능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가습겸용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겸용 공기청정기는 외측에 복수의 공기토출부를 구비하는 장치본체; 상기 장치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공기토출부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송풍팬; 및 공기유입구와 공기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장치본체의 외측에서 상기 공기토출부에 탈착 가능한 공기정화모듈과 가습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정화모듈은 상기 공기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정화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습모듈은 상기 공기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가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습겸용 공기청정기{AIR CLEANER WITH HUMIDIFICATION}
본 발명은 가습겸용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치의 외부에서 가습모드 및 공기정화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가습겸용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가습겸용 공기청정기는 가습유닛과 공기정화필터가 장치본체의 내부에 일괄적으로 설치되는 구조이며, 가습모드와 공기정화모드에 따라 유로를 전환하여 가습유닛을 통과하는 풍량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의한 가습겸용 공기청정기는 가습유닛과 공기정화필터를 송풍팬의 측면이나 근처에 구비하는 구조가 일반적이며,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가 장치본체의 상단이나 일 측면에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풍향조절 범위에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의한 가습겸용 공기청정기는 장치의 내부에 가습유닛이 상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습을 정지하고 공기정화기능만 사용하고자 유로를 변경하는 경우 경우에도 가습유닛에서 기화되는 수분이 토출 공기에 포함될 수 있어서 유로의 변경 만으로는 가습을 완전히 차단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의한 가습겸용 공기청정기는 장치본체로 유입되는 공기가 항상 공기정화필터를 통과하는 구조이므로, 가습기능을 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공기정화필터가 사용되어 공기정화필터의 사용수명이 단축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공기정화필터를 장치본체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공기정화필터가 장치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분해가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으로서, 공기정화기능을 수행하는 부품과 가습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을 구조적으로 분리하기 용이하고, 사용시 공기정화기능을 수행하는 부품과 가습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을 선택적으로 채용함으로써 공기정화기능과 가습기능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가습겸용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외측에 복수의 공기토출부를 구비하는 장치본체; 상기 장치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공기토출부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송풍팬; 및 공기유입구와 공기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장치본체의 외측에서 상기 공기토출부에 탈착 가능한 공기정화모듈과 가습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정화모듈은 상기 공기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정화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습모듈은 상기 공기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가습하도록 설치되는 가습겸용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정화모듈 및 상기 가습모듈은 복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공기토출부에 선택적으로 장착 가능하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공기토출부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공기정화기능과 가습기능을 장치의 외부에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사용 편리성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로 다른 공기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을 장치와 분리 가능하게 독립적으로 구성하여, 공기정화기능 및 가습기능 중에서 어느 하나를 완전히 배제한 상태로 하나의 공기처리기능을 집중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겸용 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습겸용 공기청정기의 공기정화모듈 및 가습모듈이 장치본체에서 분리된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습겸용 공기청정기에 포함되는 장치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가습겸용 공기청정기에 포함되는 공기정화모듈 및 가습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가습모듈의 다른 일 실시형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겸용 공기청정기의 공기정화모듈 및 가습모듈이 장치본체에서 분리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가습겸용 공기청정기에 포함되는 풍향전환부의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겸용 공기청정기(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가습겸용 공기청정기(100)는 장치본체(110), 송풍팬(120), 공기정화모듈(130A) 및 가습모듈(13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본체(110)는 상기 송풍팬(120)이 내장되는 박스형태의 부재로서, 외부 공기가 장치본체(11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흡입부(112)와 장치본체(1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토출부(114)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기흡입부(112)는 장치본체(110)의 양측에 대칭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토출부(114)는 장치본체(110)의 외측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공기토출부(114)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복수의 공기토출부(114)는 각각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장치본체(110)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110)의 상단으로 돌출되고 송풍팬(120)이 토출하는 공기가 유입되는 덕트부재(116)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공기토출부(114)는 덕트부재(116)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덕트부재(11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팬(120)이 토출하는 공기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송풍팬(12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덕트부재(116)는 장치본체(110)의 상단에 장착되는 커버부재(118)에 형성된 중공을 관통하여 배치되어 장치본체(110)의 상단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송풍팬(120)이 토출하는 공기는 덕트부재(116)의 내부로 유동한 후 공기토출부(114)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겸용 공기청정기(100)는, 장치본체(110)가 외관의 일부를 구성하고, 후술할 공기정화모듈(130A) 또는 가습모듈(130B)이 외관의 나머지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겸용 공기청정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정화모듈(130A) 또는 가습모듈(130B)이 장치본체(110)에 장착됨으로써 공기정화기능 또는 가습기능을 구비하는 완성된 하나의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120)은 장치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장치본체(110)에 구비된 공기흡입부(112)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덕트부재(116)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토출부(114)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송풍팬(120)은 장치본체(110)의 양측에 구비된 공기흡입부(112)에 대응하여 양측으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양흡입 원심팬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장치본체(110)의 내부에는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먼지 및 이물질에 의해 송풍팬(120)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공기흡입부(112)로 흡입되는 공기를 1차적으로 여과하는 프리필터(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정화모듈(130A)과 가습모듈(130B)은 공기유입구(132)와 공기배출구(134)를 구비하는 박스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정화모듈(130A) 및 가습모듈(130B)은 장치본체(110)와 독립된 별도의 장치로 구성되어, 장치본체(110)의 외측에서 공기토출부(114)에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정화모듈(130A)은 공기유입구(132)로 유입된 공기를 정화하여 공기배출구(134)로 배출시킬 수 있고, 가습모듈(130B)은 공기유입구(132)로 유입된 공기를 가습하여 공기배출구(134)로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공기정화모듈(130A)과 가습모듈(130B)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공기정화모듈(130A)과 가습모듈(130B)을 선택적으로 복수의 공기토출부(114)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공기정화모듈(130A)과 가습모듈(130B)을 동시에 복수의 공기토출부(114)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겸용 공기청정기(100)를 오직 공기청정기로만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공기토출부(114)에 공기정화모듈(130A)만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가습겸용 공기청정기(100)를 오직 가습기로만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공기토출부(114)에 가습모듈(130B)만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가습겸용 공기청정기(100)의 공기정화기능과 가습기능을 모두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공기토출부(114) 중에서 일부에 공기정화모듈(130A)을 장착하고 나머지에 가습모듈(130B)를 장착하여 공기정화와 가습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공기정화모듈(130A)과 가습모듈(130B)의 장착 개수를 조절하여 공기정화량과 가습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공기정화모듈(130A)과 가습모듈(130B)을 동일한 부위에 병용 가능하게 구성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서, 공기정화모듈(130A) 및 가습모듈(130B)은 모두 모듈케이스(135)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케이스(135)는 공기정화모듈(130A) 및 가습모듈(130B)의 외관을 구성하며, 일면에 공기유입구(132)가 형성되고 타면에 공기배출구(134)가 형성된 박스형태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듈케이스(135)는 모듈케이스(135)의 내부공간에 공기정화필터(137) 또는 가습필터(138)를 설치하기 위해 전면이 개방된 구조로 구성될 수 있고, 개방된 전면에는 전면커버(136)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공기유입구(132)는 모듈케이스(135)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고, 공기배출구(134)는 전면커버(136)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공기정화모듈(130A)은 모듈케이스(135)의 내부에 공기정화필터(137)를 구비하고, 가습모듈(130B)은 모듈케이스(135)의 내부에 가습필터(138)를 구비할 수 있다.
즉, 공기정화모듈(130A)과 가습모듈(130B)은 서로 동일한 모듈케이스(135)를 채용하되, 모듈케이스(135)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예로, 공기정화필터(13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파필터(137a)와 탈취필터(137b)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가습모듈(130B)은 모듈케이스(135)의 내부에 인출입 가능하고 가습필터(138)의 하단 일부가 침지되어 가습필터(138)에 가습용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수조(139)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모듈케이스(135)에서 수조(139)를 인출하거나 모듈케이스(135)의 전면커버(136)를 열고 수조(139)에 물을 보충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가습모듈(130B)의 수조(139) 기능을 하기 위한 구조가 모듈케이스(135')에 일체로 형성된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모듈(130B)은 내부공간에 직접 가습용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모듈케이스(135')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모듈케이스(135')는 내부에 상당 수위의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전면의 하단에 상부로 연장된 가둠벽부(135a)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모듈케이스(135)는 내부 구조가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모듈케이스(135)의 외부에서 공기정화모듈(130A)인지 가습모듈(130B)인지 구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가습모듈(130B) 내부에 저장된 가습용 물의 수위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정화모듈(130A)과 가습모듈(130B)의 모듈케이스(135)가 서로 다른 색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서로 다른 표시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공기정화모듈(130A) 및 가습모듈(130B)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110)의 상단에 모듈케이스(135)의 하단이 안착되어 공기토출부(114)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공기토출부(114)에 장착되는 공기정화모듈(130A) 및 가습모듈(130B)의 하중 지탱이 용이하여 공기정화모듈(130A)과 가습모듈(130B)이 공기토출부(114)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덕트부재(116)는 장치본체(110)의 상단 중앙에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공기정화모듈(130A) 및 가습모듈(130B) 각각은 평면의 관점에서 장치본체(110)를 복수개로 등분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장치본체(110)가 모듈케이스(135)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공기정화모듈(130A)과 가습모듈(130B)은 각각이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공기정화모듈(130A)과 복수의 가습모듈(130B)이 서로 다른 방향에 형성된 공기토출부(114) 각각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정화모듈(130A)과 가습모듈(130B)은 공기유입구(132)가 복수의 공기토출부(114) 중에서 일부에 연결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기토출부(114)로 토출되는 공기는 공기정화모듈(130A) 또는 가습모듈(130B)의 공기유입구(132)를 통해 모듈케이스(135) 내부로 유입되어 정화되거나 가습된 후 공기배출구(134)를 통해 실내로 배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겸용 공기청정기(100)를 공기정화용으로만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복수의 공기토출부(114) 전체에 공기정화모듈(130A)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가습용으로만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복수의 공기토출부(114) 전체에 가습모듈(130B)만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가습겸용 공기청정기(100)를 공기정화용과 가습용으로 병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공기토출부(114) 중에서 일부에 공기정화모듈(130A)을 장착하고 나머지 일부에 가습모듈(130B)을 장착하여 공기정화와 가습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겸용 공기청정기(100)는, 장치본체(110)와 독립적으로 분리된 공기정화모듈(130A) 및 가습모듈(130B)을 포함하고, 이러한 공기정화모듈(130A) 및 가습모듈(130B)을 장치본체(110)의 외측에서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장치의 운전모드(공기정화모드 및 가습모드)전환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겸용 공기청정기(100)는 필요에 따라 가습모듈(130B)을 배제하고 공기정화모듈(130A)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반대로, 공기정화모듈(130A)을 배제하고 가습모듈(130B)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공기정화 또는 가습을 집중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겸용 공기청정기(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겸용 공기청정기(100)는 덕트부재(116)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공기토출부(114)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폐쇄할 수 있는 풍향전환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풍향전환부(150)는 복수의 공기토출부(114) 중에서 일부를 선택적으로 폐쇄하여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풍향전환부(150)는 가습겸용 공기청정기(100)의 공기정화모드 및 가습모드에 따라 가습모듈(130B)이 장착된 공기토출부(114)를 폐쇄하거나 공기정화모듈(130A)이 장착된 공기토출부(114)를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서, 풍향전환부(150)는 덕트부재(116)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복수의 공기토출부(114) 중에서 일부를 폐쇄하는 가림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풍향전환부(150)의 가림판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대칭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양측 가림판 사이에는 공기토출부(114)를 개방시키는 개방홀(15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풍향전환부(150)는 가림판 부분에 의해 가려지는 공기토출부(114)를 폐쇄하고 개방홀(154)에 대향하는 공기토출부(114)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풍향전환부(150)는 덕트부재(116)의 둘레방향으로 회전되어 일부 방향의 공기토출부(114)를 폐쇄하고 나머지 일부 방향의 공기토출부(114)를 개방시킴으로써 토출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공기토출부(114)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정화모듈(130A)과 가습모듈(130B)이 각각 2개씩 교번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때, 풍향전환부(150)가 개방홀(154)이 공기정화모듈(130A)의 공기유입구(132)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면 가습겸용 공기청정기(100)는 공기정화기능을 집중하여 수행할 수 있고, 풍향전환부(150)가 개방홀(154)이 가습모듈(130B)의 공기유입구(132)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면 가습겸용 공기청정기(100)는 가습기능을 집중하여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풍향전환부(150)는 덕트부재(116)의 상단에서 수동 또는 자동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덕트부재(116)의 외부에서 현재 풍향을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도록 풍향전환부(150)의 상단에는 덕트부재(116)의 외부로 노출되는 풍향표시부(152)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풍향표시부(152)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풍향전환부(150)를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가습겸용 공기청정기
110: 장치본체 112: 공기흡입부
114: 공기토출부 116: 덕트부재
118: 커버부재 120: 송풍팬
130A: 공기정화모듈 130B: 가습모듈
132: 공기유입구 134: 공기배출구
135: 모듈케이스 135' 수조형 모듈케이스
135a: 가둠벽부 136: 전면커버
137: 공기정화필터 137a: 헤파필터
137b: 탈취필터 138: 가습필터
139: 수조 140: 프리필터
150: 풍향전환부 152: 풍향표시부
154: 개방홀

Claims (10)

  1. 외측에 복수의 공기토출부를 구비하는 장치본체;
    상기 장치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공기토출부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송풍팬; 및
    공기유입구와 공기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장치본체의 외측에서 상기 공기토출부에 탈착 가능한 공기정화모듈과 가습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정화모듈은 상기 공기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정화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습모듈은 상기 공기유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가습하도록 설치되는 가습겸용 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모듈 및 상기 가습모듈은 복수개로 구성되고 상기 공기토출부에 선택적으로 장착 가능한 가습겸용 공기청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기토출부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 형성된 가습겸용 공기청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모듈 및 상기 가습모듈은 상기 공기유입구가 상기 공기토출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공기토출부에 장착되는 가습겸용 공기청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모듈 및 상기 가습모듈은 일면에 상기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타면에 상기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모듈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정화모듈은 상기 모듈케이스의 내부에 공기정화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가습모듈은 상기 모듈케이스의 내부에 가습필터를 구비하는 가습겸용 공기청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모듈은, 상기 모듈케이스의 내부에 인출입 가능하고 상기 가습필터에 물을 공급하는 수조를 포함하는 가습겸용 공기청정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의 양측에는 공기가 상기 장치본체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흡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송풍팬은 양측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양흡입 원심팬으로 구성된 가습겸용 공기청정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의 상단으로 돌출되고 상기 송풍팬이 토출하는 공기가 유입되는 덕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공기토출부는 상기 덕트부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공기정화모듈 및 상기 가습모듈은 상기 장치본체의 상단에 안착되어 상기 공기토출부에 장착되는 가습겸용 공기청정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기토출부 중 일부를 폐쇄하는 풍향전환부를 더 포함하는 가습겸용 공기청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기토출부에는 상기 공기정화모듈 및 상기 가습모듈이 장착되고,
    상기 풍향전환부는, 공기정화모드 및 가습모드에 따라 상기 가습모듈이 장착된 공기토출부를 폐쇄하거나 상기 공기정화모듈이 장착된 공기토출부를 폐쇄하도록 구성된 가습형 공기청정기.
KR1020160138246A 2016-10-24 2016-10-24 가습겸용 공기청정기 KR102560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246A KR102560978B1 (ko) 2016-10-24 2016-10-24 가습겸용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246A KR102560978B1 (ko) 2016-10-24 2016-10-24 가습겸용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568A true KR20180044568A (ko) 2018-05-03
KR102560978B1 KR102560978B1 (ko) 2023-07-28

Family

ID=62244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8246A KR102560978B1 (ko) 2016-10-24 2016-10-24 가습겸용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097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7545A (zh) * 2019-03-06 2019-05-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气净化部件安装结构及新风机
US20190353362A1 (en) * 2018-05-21 2019-11-21 James G Montagnino Evaporative humidifier-air purifier combo
WO2020177487A1 (en) * 2019-03-01 2020-09-10 Jmatek (Zhongshan) Ltd. All-in-one evaporative cooler
KR20210065425A (ko) * 2019-11-27 2021-06-04 (주)씨에스이엔엘 무전해 도금 필터가 구비된 다기능 공기 청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조시스템
KR20210085056A (ko) * 2019-12-30 2021-07-08 (주)씨에스이엔엘 환기형 공기 청정기 및 이를 구비하는 환기 시스템
KR20220065606A (ko) * 2020-11-13 2022-05-20 (주)디자인엑스투 다용도 가습기
KR20240029928A (ko) 2022-08-29 2024-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필터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6339A (ja) * 2007-10-26 2009-05-21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髪ケア装置
KR200476113Y1 (ko) * 2014-07-30 2015-01-30 (주)어메이징그레이스 다용도 휴대용 송풍장치
KR20150077776A (ko) * 2013-12-30 2015-07-08 코웨이 주식회사 제습기
KR20160063738A (ko) * 2014-11-27 2016-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토출유닛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6339A (ja) * 2007-10-26 2009-05-21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髪ケア装置
KR20150077776A (ko) * 2013-12-30 2015-07-08 코웨이 주식회사 제습기
KR200476113Y1 (ko) * 2014-07-30 2015-01-30 (주)어메이징그레이스 다용도 휴대용 송풍장치
KR20160063738A (ko) * 2014-11-27 2016-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토출유닛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353362A1 (en) * 2018-05-21 2019-11-21 James G Montagnino Evaporative humidifier-air purifier combo
US10845072B2 (en) * 2018-05-21 2020-11-24 James G Montagnino Evaporative humidifier-air purifier combo
WO2020177487A1 (en) * 2019-03-01 2020-09-10 Jmatek (Zhongshan) Ltd. All-in-one evaporative cooler
CN109737545A (zh) * 2019-03-06 2019-05-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气净化部件安装结构及新风机
KR20210065425A (ko) * 2019-11-27 2021-06-04 (주)씨에스이엔엘 무전해 도금 필터가 구비된 다기능 공기 청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조시스템
KR20210085056A (ko) * 2019-12-30 2021-07-08 (주)씨에스이엔엘 환기형 공기 청정기 및 이를 구비하는 환기 시스템
KR20220065606A (ko) * 2020-11-13 2022-05-20 (주)디자인엑스투 다용도 가습기
KR20240029928A (ko) 2022-08-29 2024-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필터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0978B1 (ko) 2023-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44568A (ko) 가습겸용 공기청정기
KR100708358B1 (ko) 송풍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공기 조화기
JP5228319B2 (ja) 空気清浄機
JP6899847B2 (ja) 空気処理装置のための加湿モジュール
KR20040056154A (ko) 공기청정기
KR102050586B1 (ko) 멀티형 공기 청정기 및 그 멀티형 공기 청정기 운전 제어방법
JP5832214B2 (ja) 加湿装置
JP2018532095A (ja) 加湿清浄装置
KR20180026525A (ko) 가습 필터 및 가습기
KR20120016901A (ko) 환기유로를 구비한 벽걸이용 공기청정기
KR101916886B1 (ko) 가습기
KR20170081946A (ko) 공기정화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
JP2011152260A (ja) 加湿機付きイオン発生機
JP5861990B2 (ja) 空気調和機
KR20160090222A (ko) 휴대용 에어워셔
JP2005061655A (ja) 加湿機能付空気清浄機
WO2013058071A1 (ja) 送風装置
JP2019011875A (ja) 加湿空気清浄装置
KR20150076990A (ko) 가습형 공기 청정기
KR20120125019A (ko) 공기 청정기
JP5983801B2 (ja) 空気調和機
JP6149954B2 (ja) 空気調和機
CN216346866U (zh) 空气净化装置
KR20050089934A (ko) 공기청정기의 필터조립체 구조
KR20170043314A (ko) 공기청정기용 무전원 가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