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29928A - 필터조립체 - Google Patents

필터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9928A
KR20240029928A KR1020220108309A KR20220108309A KR20240029928A KR 20240029928 A KR20240029928 A KR 20240029928A KR 1020220108309 A KR1020220108309 A KR 1020220108309A KR 20220108309 A KR20220108309 A KR 20220108309A KR 20240029928 A KR20240029928 A KR 20240029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base
frame
filter assembly
filt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8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희상
천만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8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29928A/ko
Priority to PCT/KR2023/011113 priority patent/WO2024049026A1/ko
Publication of KR20240029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99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27Manipulating filters or filter elements, e.g. handles or extrac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88Replacing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90Devices for taking out of action one or more units of multi-unit filters, e.g. for regeneration or maintena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조립체이다. 본 발명의 필터조립체(1)는 다수개의 필터(30)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0)에 2개의 필터(30)가 장착되어 원통형으로 된 필터조립체(1)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필터(30)들이 가지는 기능을 각각 다르게 하면,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필터조립체(1)를 제공할 수 있게 되고, 오염이 심한 필터(30)를 선별적으로 청소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Description

필터조립체{Filter assembly}
본 발명은 공기중에 있는 이물질, 이취 등을 걸러주는 필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공기청정기에서는 공기 중에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필터조립체를 사용한다. 상기 필터조립체는 특정한 오염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특성을 가지는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먼지, 냄새, 바이러스 등 특정한 오염물질을 걸러주기 위해 특정한 기능을 가지는 필터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필터의 예로서, 선행문헌1인 한국 공개특허 제10-2019-0025882호에는 사면팔방에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해서 제공하는 공기청정기가 개시되어 있고, 이 공기청정기에서 사용하는 원통형의 필터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원통형의 필터조립체에서 사용되는 필터는 일반적으로 2~3가지의 기능을 가지는 것을 겹쳐서 만들 수 있다. 즉, 특정한 기능을 가지는 필터를 동심으로 만들어서 필터조립체에 겹쳐지게 설치되도록 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사면팔방에서 공기가 흡입되더라도 오염원이 일측에 있으면, 그 방향에서 흡입되어 필터조립체를 통과하는 공기에만 오염물질이 있고 다른 방향에서 흡입되는 공기에는 오염물질이 없다. 따라서, 필터조립체의 필터 중에서 일부 영역에만 오염물질이 집중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중에서 오염물질이 있지 않은 깨끗한 영역이 더 많이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필터조립체를 청소하거나 교체하여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선행문헌2인 한국 공개특허 제10-2014-0146190호에서도 오염물질을 걸러주는 필터가 하나의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어, 선행문헌1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선행문헌3인 한국 공개특허 제10-2018-0044568호에서는 다수개의 공기정화모듈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들 공기정화모듈이 합쳐져서 원통형상으로 되고, 그 중심을 통해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가 각각의 공기정화모듈로 나눠져서 유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 때문에 각각의 공기정화모듈로 동일한 성분의 오염물질이 있는 공기가 균등하게 나눠져서 유동되므로, 모든 공기정화모듈이 일정하게 오염되어, 모든 공기정화모듈을 동시에 교체하게 된다. 그리고, 이들 각각의 공기정화모듈이 각각 하나의 필터조립체여서, 실질적으로 다수개의 필터조립체를 사용하게 되고, 교체시에는 각각의 공기정화모듈을 교체하여야 하고, 재사용할 수 있는 부분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4인 한국 공개특허 제10-2021-0026729호에서는 필터조립체가 다수개가 있어서, 이들을 순차적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위치로 회전에 의해 이동시켜서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면팔방에서 동시에 전달되는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능력이 없으며, 하나의 필터조립체가 사용되고 나면, 회전시켜서 옆에 있는 필터조립체를 사용하는 방식이어서, 다른 방향에서 들어오는 다양한 오염원에 대한 정화를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 001) 한국 공개특허 제10-2019-0025882호 (선행문헌 002) 한국 공개특허 제10-2014-0146190호 (선행문헌 003) 한국 공개특허 제10-2018-0044568호 (선행문헌 004) 한국 공개특허 제10-2021-0026729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조립체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필터를 각각 별도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조립체를 분리가능한 다수개의 구성요소로 만드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조립체를 구성하는 필터의 착탈동작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통형의 구성을 가지는 필터조립체에서 인접한 오염원에 대응되는 기능을 가지는 필터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필터조립체를 구성하는 필터가 다수개가 있어서, 이들 다수개의 필터는 오염 정도에 따라 별도로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터조립체는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에 다수개의 필터가 분리가능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에서 필터를 분리하면 필터의 교체가 가능하고 프레임은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터조립체를 구성하는 필터에는 그 가장자리 일측에 손잡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는 공기가 필터를 통과하는 면적을 줄이지 않으면서 필터의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터조립체를 구성하는 필터는 다수개로 구성되므로, 각각의 필터가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착탈되게 설치되고 소정의 오염물질을 걸러주도록 구성되며 다수개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원통형상을 이루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제1관통공을 가지는 제1베이스와 제2관통공을 가지는 제2베이스가 연결컬럼에 의해 서로 마주보게 연결되 제1베이스와 제2베이스의 사이에 상기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컬럼은 적어도 2개 이상이 소정의 각도 간격을 가지고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컬럼의 폭방향 일측인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 쪽을 따라서는 내측컬럼걸이가 소정의 폭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컬럼 중 일부에는 상기 연결컬럼의 폭방향 타측인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의 외측에 해당되는 위치에 외측컬럼걸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측컬럼걸이가 있는 연결컬럼에서는 상기 필터의 대응되는 부분이 연결컬럼에 가까워지고 멀어지는 방향으로 필터가 상기 프레임에 착탈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의 제1관통공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제1내측걸이리브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베이스의 제2관통공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제2내측걸이리브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베이스의 외측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제1외측걸이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베이스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제2외측걸이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의 제1마감판과 제2마감판에 인접하여서는 손잡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착탈되게 설치되고 소정의 오염물질을 걸러주도록 구성되는 다수개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필터는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다수개의 층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은 제1관통공을 가지는 제1베이스와, 제2관통공을 가지는 제2베이스와, 제3관통공을 가지는 제3베이스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연결컬럼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1베이스와 제3베이스 사이 그리고 상기 제3베이스와 제2베이스 사이에 각각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필터들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컬럼은 적어도 2개가 소정의 각도 간격을 가지고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컬럼의 폭방향 일측인 상기 제1관통공, 제2관통공,제3관통공 쪽을 따라서는 내측컬럼걸이가 소정의 폭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컬럼 중 일부에는 상기 연결컬럼의 폭방향 타측인 상기 제1,2,3베이스의 외측에 해당되는 위치에 외측컬럼걸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각각이 일정한 원주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필터의 원주각은 180도, 120도, 90도 중 어느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소정의 오염물질을 걸러주도록 구성되며 적어도 2개의 원통형상을 형성하도록 적어도 2개가 구비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서로 결합하는 결합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구조는 서로 결합되는 필터의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 제1결합요철과 제2결합요철일 수 있다.
상기 제1결합요철은 상기 필터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돌출된 돌기형상일 수 있고, 상기 제2결합요철은 상기 필터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오목하게 들어간 채널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필터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필터조립체는 프레임에 다수개의 필터가 장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다수개가 장착되어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필터를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어서, 필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터조립체는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에 다수개의 필터가 분리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필터는 오염이 심해지면 교체할 수 있고 프레임은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터만을 구입하여 프레임에 있는 기존의 필터와 교체하면 되므로 프레임을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필터조립체 교체비용이 상대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필터조립체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필터에는 각각 손잡이가 있을 수 있다. 이들 손잡이는 필터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위치에 있고, 프레임에서 필터를 분리하기 위한 힘을 제공할 수 있는 방향으로 당겨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를 사용하여 필터를 취급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질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가 필터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위치에 있어서 공기가 필터를 통과하는 면적을 줄이지 않아 필터의 성능을 극대화하면서도 취급이 편하게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필터조립체를 구성하는 필터는 다수개가 있는데, 이들 다수개의 필터 중 적어도 하나는 다른 필터와 다른 오염물을 걸러줄 수 있도록 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다수개의 필터가 각각 다른 오염물을 제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환경에 따라 특정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필터를 선택적으로 채용하여 필터조립체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환경에서 필터조립체를 사용하는 사용자 들의 각각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필터조립체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3-3'선 단면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필터의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필터의 제2마감판의 구성을 보인 저면사시도.
도 7은 도 2의 7-7'선 단면도.
도 8은 도 2의 8-8'선 단면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필터가 프레임에 착탈되는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필터가 프레임에 착탈되는 것을 연결컬럼을 기준으로 확대하여 보인 상세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사시도.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필터의 사시도.
도 15는 도 1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사용되는 제2마감판의 구성을 보인 저면사시도.
도 16은 도 12의 16-16'선 단면도.
도 17은 도 12의 17-17'선 단면도.
도 18은 도 1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필터가 프레임에 착탈되는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의 필터조립체를 보인 사시도.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1은 도 19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사시도.
도 22는 도 19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필터의 사시도.
도 23은 도 19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마감판의 구성을 보인 저면사시도.
도 24는 도 20의 24-24'선 단면도.
도 25는 도 19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필터가 프레임에 착탈되는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의 필터조립체를 보인 사시도.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8은 도 26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사시도.
도 29는 도 26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사용되는 필터를 보인 사시도.
도 30은 도 26에 도시된 실시례에서 필터가 프레임에 착탈되는 것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의 필터조립체를 보인 사시도.
도 32는 도 31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3은 도 31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사시도.
도 3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의 필터조립체를 보인 사시도.
도 35는 도 34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6은 도 34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사시도.
도 3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의 필터조립체를 보인 사시도.
도 38은 도 37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9는 도 37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사시도.
도 4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의 필터조립체를 보인 사시도.
도 41은 도 40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2는 도 40에 도시된 실시례의 내부 구성을 보인 횡단면도 및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 실시례의 필터조립체를 도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필터조립체(1)는 프레임(10)과 다수개의 필터(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은 필터조립체(1)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에는 상기 필터(30)가 착탈가능하다. 상기 프레임(10)에는 제1베이스(12)와 제2베이스(14)가 평행하게 마주볼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12)와 제2베이스(14)는 각각 링형상의 판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12)를 관통하여서는 제1관통공(1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베이스(14)를 관통하여서는 제2관통공(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12)와 제2베이스(14)를 소정 간격을 두고 연결하도록 연결컬럼(16)이 다수개 있을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2개의 연결컬럼(16)이 나란히 연장되어 상기 제1베이스(12)와 제2베이스(14)를 서로 연결한다. 상기 제1베이스(12)와 제2베이스(14)에 상기 연결컬럼(16)이 각각 직교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컬럼(16)은 소정의 폭을 가지는 판형상이다. 상기 연결컬럼(16)은 그 두께가 되도록 얇게 되는 것이 좋다. 상기 연결컬럼(16)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상기 필터(30)가 위치되는 영역이 좁아지기 때문이다.
상기 연결컬럼(16)에는 각각 내측컬럼걸이(18)와 외측컬럼걸이(19)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연결컬럼(16)의 폭방향 일측에 내측컬럼걸이(18)가 있고, 폭방향 타측에 외측컬럼걸이(19)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외측컬럼걸이(19)는 필터조립체(1)의 외관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내측컬럼걸이(18)는 필터조립체(1)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내측컬럼걸이(18)는 상기 제1 및 제2 관통공(12',14') 쪽에 해당되는 연결컬럼(16)의 폭방향 일측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내측컬럼걸이(18)와 외측컬럼걸이(19)는 각각 전체가 일체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내측컬럼걸이(18)나 외측컬럼걸이(19)는 필터(30)를 고정하는 것에 문제가 없다면,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내측컬럼걸이(18)나 외측컬럼걸이(19)가 각각 다수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컬럼(16), 내측컬럼걸이(18), 외측컬럼걸이(19)를 모두 포함하는 횡단면은 'H'자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내측컬럼걸이(18)와 외측컬럼걸이(19)는 필터(30)의 대응되는 가장자리를 걸어서 프레임(10)에서 임의로 필터(30)가 탈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연결컬럼(16)은 180도 간격으로 2개가 배치되고 있다. 이는 필터(30)가 설치되는 영역을 2개로 나눠서 필터(30)가 180도 각도의 영역을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12)의 제1관통공(12')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제1내측걸이리브(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내측걸이리브(20)는 전체적으로 상기 내측컬럼걸이(18) 부분을 포함해서 링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제1내측걸이리브(20)는 상기 제1베이스(12)에 직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내측걸이리브(20)는 상기 제2베이스(14)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12)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다수개의 제1외측걸이돌기(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외측걸이돌기(22)는 상기 제1베이스(12)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외측걸이돌기(22)는 필터(30)가 프레임(10)에서 임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1외측걸이돌기(22)는 프레임(10)에 필터(30)를 장착하는 것이 어렵지 않을 정도로 돌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1외측걸이돌기(22)는 상기 제1내측걸이리브(20)가 돌출된 정도보다는 덜 돌출되어야 한다. 즉, 상기 제1외측걸이돌기(22)는 상기 제1내측걸이리브(20)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된다. 상기 제1외측걸이돌기(22)는 단순히 돌출된 돌기형상일 수 있지만, 다르게는 외팔보 형상의 구조의 선단에 돌출된 돌기일 수도 있다.
상기 제2베이스(14)의 제2관통공(14')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제2내측걸이리브(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내측걸이리브(24)는 전체적으로 상기 내측컬럼걸이(18) 부분을 포함해서 링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제2내측걸이리브(24)는 상기 제2베이스(14)에 직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내측걸이리브(24)는 상기 제1베이스(12)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베이스(14)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다수개의 제2외측걸이돌기(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외측걸이돌기(26)는 상기 제2베이스(14)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외측걸이돌기(26)는 필터(30)가 프레임(10)에서 임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2외측걸이돌기(26)는 프레임(10)에 필터(30)를 장착하는 것이 어렵지 않을 정도로 돌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2외측걸이돌기(26)는 상기 제2내측걸이리브(20)가 돌출된 정도보다는 덜 돌출되어야 한다. 상기 제2외측걸이돌기(26)는 단순히 돌출된 돌기형상일 수 있지만, 다르게는 외팔보 형상의 구조의 선단에 돌출된 돌기일 수도 있다.
필터(30)는 먼지, 냄새, 바이러스 등 다양한 오염물을 걸러주는 것이다. 상기 필터(30)는 상기 프레임(10)에 장착되어 사용되는데, 상기 프레임(10)에 다수개가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2개의 필터(30)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필터(30)는 각각의 것이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필터(30)는 본 발명의 필터조립체(1)에서 공기가 통과하는 영역에 위치하는데,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될 수 있다. 즉, 본 실시례에서는 2개의 필터(30)가 상기 프레임(10)에 장착되면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례의 필터(30)는 180도의 원주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필터(30)에는 특정한 오염물을 걸러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개의 필터링부가 있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제1필터링부(31), 제2필터링부(32), 제3필터링부(33)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필터링부(31)가 먼지를 걸러주고, 상기 제2필터링부(32)가 냄새를 제거하고, 제3필터링부(33)가 바이러스를 걸러줄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필터(30)의 필터링부(31,32,33)는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링부(31,32,33)의 갯수는 다양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필터링부(31)만 있을 수도 있다. 또는 제1필터링부(31)와 제2필터링부(32)가 함께 있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제1필터링부(31)가 별개로 만들어지고, 제2필터링부(32)와 제3필터링부(33)가 일체로 만들어져 있다.
상기 필터링부(31,32,33)들은 모두 동심으로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제1필터링부(31)가 가장 외측에 있고, 제2필터링부(32)와 제3필터링부(33)의 순서로 곡률반경의 중심쪽에 배치되어 있다. 하나의 필터(30)에서만 보면 상기 필터링부(31,32,33)들은 모두 반원통 형상이다.
상기 필터(30)에는 제1마감판(34)과 제2마감판(36)이 있다. 상기 제1마감판(34)과 제2마감판(36)은 상기 필터링부(31,32,33)들을 일체로 결합할 수 있고, 필터(30)의 양측 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마감판(34)과 제2마감판(36)은 상기 프레임(10)의 제1베이스(12)와 제2베이스(14)에 안착되는 부분으로, 제1베이스(12)와 제2베이스(14)의 대응되는 부분의 형상과 같은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마감판(34)과 제2마감판(36)은 반원링 형상으로 될 수 있다.
도 6에는 상기 제2마감판(36)의 저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상기 제1마감판(34)과 제2마감판(36)은 대칭인 구조여서, 제2마감판(36)을 기초로 그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제2마감판(36)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단부리브(37)가 소정 길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단부리브(37)는 상기 제2마감판(36) 전체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형성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단부리브(37)는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필터링부(31,32,33)를 고정하는데 문제가 없는 범위 내에서 될 수 있다.
상기 제2마감판(36)에는 상기 제1필터링부(31)와 제2필터링부(32)사이에 틈을 형성할 수 있는 스페이서리브(3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리브(38)는 상기 제2마감판(36)에서 상기 제1마감판(34)을 보는 면에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리브(38)는 2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스페이서리브(38)의 폭이 상기 제1필터링부(31)와 제2필터링부(32) 사이에 필요한 간격과 같이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스페이서리브(38)가 있게 되면, 제1필터링부(31)와 제2필터링부(32)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공간의 존재에 의해 필터링부(31,32,33)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이 상대적으로 더 원활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30)가 상기 프레임(10)의 연결컬럼(16)과 마주보는 부분에는 막음판(40)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막음판(40)은 필터(30)를 통과하는 공기가 새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링부(31,32,33)를 통과하여 유동되는 공기가 상기 막음판(40)이 있는 부분으로는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상기 필터링부(31,32,33)를 공기가 차례로 통과해서 필터조립체(1)의 내측으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막음판(40)은 소정의 강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또는 소정의 강성을 가지도록 된 부직포를 막음판(40)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필터(30)에는 손잡이(42)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손잡이(42)는 필터(30)를 사용자가 취급하는 것이 편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42)는 상기 제1마감판(34)이나 제2마감판(36)에 인접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는 상기 손잡이(42)가 제1필터링부(31)의 공기통과영역을 막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손잡이(42)는 하나의 필터(30)에 다수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42)의 위치는 상기 필터(30)를 상기 프레임(10)에서 분리하는 방향을 고려하여 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에서 도 1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의 필터조립체(101)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례의 필터조립체(101)는 프레임(110)에 다수개의 필터(130)가 장착되어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필터(130)가 3개 사용된다. 즉 위의 실시례에서는 하나의 필터(30)가 원통형의 전체 영역에서 180도 만큼의 영역을 차지하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하나의 필터(130)가 120도 만큼의 영역을 차지한다.
상기 프레임(110)은 필터조립체(101)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에는 상기 필터(130)가 착탈가능하다. 상기 프레임(110)에는 제1베이스(112)와 제2베이스(114)가 평행하게 마주볼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112)와 제2베이스(114)는 각각 링형상의 판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112)를 관통하여서는 제1관통공(11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베이스(114)를 관통하여서는 제2관통공(1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112)와 제2베이스(114)를 소정 간격을 두고 연결하도록 연결컬럼(116)이 다수개 있을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3개의 연결컬럼(116)이 나란히 연장되어 상기 제1베이스(112)와 제2베이스(114)를 서로 연결한다. 상기 제1베이스(112)와 제2베이스(114)에 상기 연결컬럼(116)이 각각 직교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컬럼(116)은 소정의 폭을 가지는 판형상이다. 상기 연결컬럼(116)은 그 두께가 되도록 얇게 되는 것이 좋다. 상기 연결컬럼(116)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상기 필터(130)가 위치되는 영역이 좁아지기 때문이다.
상기 연결컬럼(116)에는 내측컬럼걸이(118)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내측컬럼걸이(118)는 상기 연결컬럼(116)의 폭방향 일측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내측컬럼걸이(118)는 필터조립체(101)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내측컬럼걸이(118)는 상기 제1 및 제2 관통공(112',114') 쪽에 해당되는 연결컬럼(116)의 폭방향 일측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내측컬럼걸이(118)는 각각 전체가 일체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내측컬럼걸이(118)는 필터(130)를 고정하는 것에 문제가 없다면,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내측컬럼걸이(118)는 다수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컬럼(116)과 내측컬럼걸이(118)를 모두 포함하는 횡단면은 'T'자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내측컬럼걸이(18)는 필터(130)의 대응되는 가장자리를 걸어서 프레임(110)에서 필터(130)가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연결컬럼(116)은 120도 간격으로 3개가 배치되고 있다. 이는 필터(130)가 설치되는 영역을 3개로 나눠서 필터(130)가 120도 각도의 영역을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112)의 제1관통공(112')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제1내측걸이리브(1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내측걸이리브(120)는 전체적으로 상기 내측컬럼걸이(118) 부분을 포함해서 링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제1내측걸이리브(120)는 상기 제1베이스(112)에 직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내측걸이리브(120)는 상기 제2베이스(114)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112)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다수개의 제1외측걸이돌기(1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외측걸이돌기(122)는 상기 제1베이스(112)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외측걸이돌기(122)는 필터(130)가 프레임(110)에서 임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1외측걸이돌기(122)는 프레임(110)에 필터(130)를 장착하는 것이 어렵지 않을 정도로 돌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1외측걸이돌기(122)는 상기 제1내측걸이리브(120)가 돌출된 정도보다는 덜 돌출되어야 한다. 즉, 상기 제1외측걸이돌기(122)는 상기 제1내측걸이리브(120)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된다. 상기 제1외측걸이돌기(122)는 단순히 돌출된 돌기형상일 수 있지만, 다르게는 외팔보 형상의 구조의 선단에 돌출된 돌기일 수도 있다.
상기 제2베이스(114)의 제2관통공(114')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제2내측걸이리브(1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내측걸이리브(124)는 전체적으로 상기 내측컬럼걸이(118) 부분을 포함해서 링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제2내측걸이리브(124)는 상기 제2베이스(114)에 직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내측걸이리브(124)는 상기 제1베이스(112)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베이스(114)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다수개의 제2외측걸이돌기(1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외측걸이돌기(126)는 상기 제2베이스(114)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외측걸이돌기(126)는 필터(130)가 프레임(110)에서 임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2외측걸이돌기(126)는 프레임(110)에 필터(130)를 장착하는 것이 어렵지 않을 정도로 돌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2외측걸이돌기(126)는 상기 제2내측걸이리브(120)가 돌출된 정도보다는 덜 돌출되어야 한다. 상기 제2외측걸이돌기(126)는 단순히 돌출된 돌기형상일 수 있지만, 다르게는 외팔보 형상의 구조의 선단에 돌출된 돌기일 수도 있다.
필터(130)는 먼지, 냄새, 바이러스 등 다양한 오염물을 걸러주는 것이다. 상기 필터(130)는 상기 프레임(110)에 장착되어 사용되는데, 상기 프레임(110)에 다수개가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3개의 필터(130)가 사용된다. 상기 필터(130)는 각각의 것이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필터(130)는 본 발명의 필터조립체(101)에서 공기가 통과하는 영역에 위치하는데,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될 수 있다. 즉, 본 실시례에서는 3개의 필터(130)가 상기 프레임(110)에 장착되면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례의 필터(130)는 그 원주각이 120도가 될 수 있다.
상기 필터(130)에는 특정한 오염물을 걸러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개의 필터링부가 있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제1필터링부(131), 제2필터링부(132), 제3필터링부(133)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필터링부(131)가 먼지를 걸러주고, 상기 제2필터링부(132)가 냄새를 제거하고, 제3필터링부(133)가 바이러스를 걸러줄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필터(130)의 필터링부(131,132,133)는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링부(131,132,133)의 갯수는 다양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필터링부(131)만 있을 수도 있다. 또는 제1필터링부(131)와 제2필터링부(132)가 함께 있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제1필터링부(131)가 별개로 만들어지고, 제2필터링부(132)와 제3필터링부(133)가 일체로 만들어져 있다.
상기 필터링부(131,132,133)들은 모두 동심으로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제1필터링부(131)가 가장 외측에 있고, 제2필터링부(132)와 제3필터링부(133)의 순서로 곡률반경의 중심쪽에 배치되어 있다. 하나의 필터(130)에서만 보면 상기 필터링부(131,132,133)들은 모두 1/3원통 형상이다.
상기 필터(310)에는 제1마감판(134)과 제2마감판(136)이 있다. 상기 제1마감판(134)과 제2마감판(136)은 상기 필터링부(131,132,133)들을 일체로 결합할 수 있고, 필터(130)의 양측 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마감판(134)과 제2마감판(136)은 상기 프레임(110)의 제1베이스(112)와 제2베이스(114)에 안착되는 부분으로, 제1베이스(112)와 제2베이스(114)의 대응되는 부분의 형상과 같은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마감판(134)과 제2마감판(136)은 중심각이 120도인 원주형상으로 될 수 있다.
도 15에는 상기 제2마감판(136)의 저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상기 제1마감판(134)과 제2마감판(136)은 대칭인 구조여서, 제2마감판(136)을 기초로 그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제2마감판(136)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단부리브(137)가 소정 길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단부리브(137)는 상기 제2마감판(136) 전체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형성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단부리브(137)는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필터링부(131,132,133)를 고정하는데 문제가 없는 범위 내에서 될 수 있다.
상기 제2마감판(136)에는 상기 제1필터링부(131)와 제2필터링부(132)사이에 틈을 형성할 수 있는 스페이서리브(13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리브(138)는 상기 제2마감판(136)에서 상기 제1마감판(134)을 보는 면에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리브(138)는 2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스페이서리브(138)의 폭이 상기 제1필터링부(131)와 제2필터링부(132) 사이에 필요한 간격과 같이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스페이서리브(138)가 있게 되면, 제1필터링부(131)와 제2필터링부(132)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공간의 존재에 의해 필터링부(131,132,133)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이 상대적으로 더 원활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130)가 상기 프레임(110)의 연결컬럼(116)과 마주보는 부분에는 막음판(140)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막음판(140)은 필터(130)를 통과하는 공기가 새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링부(131,132,133)를 통과하여 유동되는 공기가 상기 막음판(140)이 있는 부분으로는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상기 필터링부(131,132,133)를 공기가 차례로 통과해서 필터조립체(101)의 내측으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막음판(140)은 소정의 강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또는 소정의 강성을 가지도록 된 부직포를 막음판(140)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필터(130)에는 손잡이(142)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손잡이(142)는 필터(130)를 사용자가 취급하는 것이 편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142)는 상기 제1마감판(134)이나 제2마감판(136)에 인접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이는 상기 손잡이(142)가 제1필터링부(131)의 공기통과영역을 막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손잡이(142)는 하나의 필터(130)에 다수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142)의 위치는 상기 필터(30)를 상기 프레임(10)에서 분리하는 방향을 고려하여 선정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손잡이(142)는 상기 제1마감판(134)과 제2마감판(136)의 외측 가장자리 중간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있을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와 같이 2개의 손잡이(142)가 있으면 둘 중의 어느 하나의 손잡이(142)만을 사용하거나 동시에 2개의 손잡이(142)를 사용하여 상기 필터(130)를 취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9에서 도 2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를 설명한다. 본 실시례의 필터조립체(201)는 프레임(210)과 다수개의 필터(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10)은 필터조립체(201)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10)에는 상기 필터(230)가 착탈가능하다. 상기 프레임(210)에는 제1베이스(212)와 제2베이스(214)가 평행하게 마주볼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212)와 제2베이스(214)는 각각 링형상의 판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212)를 관통하여서는 제1관통공(21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베이스(214)를 관통하여서는 제2관통공(2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212)와 제2베이스(214)를 소정 간격을 두고 연결하도록 연결컬럼(216)이 다수개 있을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4개의 연결컬럼(216)이 나란히 연장되어 상기 제1베이스(212)와 제2베이스(214)를 서로 연결한다. 상기 제1베이스(212)와 제2베이스(214)에 상기 연결컬럼(216)이 각각 직교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컬럼(216)은 소정의 폭을 가지는 판형상이다. 상기 연결컬럼(216)은 그 두께가 되도록 얇게 되는 것이 좋다. 상기 연결컬럼(216)의 두께가 두꺼워지면 상기 필터(230)가 위치되는 영역이 좁아지기 때문이다.
상기 연결컬럼(216)에는 내측컬럼걸이(218)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내측컬럼걸이(218)는 상기 연결컬럼(216)의 폭방향 일측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내측컬럼걸이(218)는 필터조립체(201)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내측컬럼걸이(218)는 상기 제1 및 제2 관통공(212',214') 쪽에 해당되는 연결컬럼(216)의 폭방향 일측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내측컬럼걸이(218)는 각각 전체가 일체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내측컬럼걸이(218)는 필터(230)를 고정하는 것에 문제가 없다면,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내측컬럼걸이(218)는 다수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내측컬럼걸이(218)는 필터(230)의 대응되는 가장자리를 걸어서 프레임(210)에서 필터(230)가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결컬럼(216)중 일부에는 외측컬럼걸이(219)가 있을 수 있다. 도 21에서 볼 수 있듯이, 4개의 연결컬럼(216)중 2개의 연결컬럼(216)에 외측컬럼걸이(21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측컬럼걸이(219)는 2개의 서로 마주보는 연결컬럼(216)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외측컬럼걸이(219)가 형성되어 있는 2개의 연결컬럼(216)에는 내측컬럼걸이(218)도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H'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외측컬럼걸이(219)가 없는 연결컬럼(216)은 연결컬럼(216)과 내측컬럼컬이(218)만 있어 횡단면이 'T'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내측컬럼걸이(218)는 상기 연결컬럼(216) 모두의 폭방향 일측에 있을 수 있고, 상기 외측컬럼걸이(219)는 연결컬럼(216)의 폭방향 타측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외측컬럼걸이(219)는 필터조립체(201)의 외관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내측컬럼걸이(218)는 상기 제1 및 제2 관통공(212',214') 쪽에 해당되는 연결컬럼(216)의 폭방향 일측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내측컬럼걸이(218)와 외측컬럼걸이(219)는 각각 전체가 일체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내측컬럼걸이(218)나 외측컬럼걸이(219)는 필터(230)를 고정하는 것에 문제가 없다면,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내측컬럼걸이(218)나 외측컬럼걸이(219)가 각각 다수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내측컬럼걸이(218)와 외측컬럼걸이(219)는 필터(230)의 대응되는 가장자리를 걸어서 프레임(210)에서 임의로 필터(230)가 탈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외측컬럼걸이(219)가 상기 연결컬럼(216)에서 돌출되는 방향은 상기 필터(230)가 프레임(210)에 장착되고 분리되는 방향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측컬럼걸이(219)가 있는 연결컬럼(216)에서는 연결컬럼(216)의 표면에 인접하고 멀어지는 방향으로 필터(230)의 막음판(240)이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연결컬럼(216)은 90도 간격으로 4개가 배치되고 있다. 이는 필터(230)가 설치되는 영역을 4개로 나눠서 필터(230)가 360도 각도의 영역을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212)의 제1관통공(212')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제1내측걸이리브(2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내측걸이리브(220)는 전체적으로 상기 내측컬럼걸이(218) 부분을 포함해서 링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제1내측걸이리브(220)는 상기 제1베이스(212)에 직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내측걸이리브(220)는 상기 제2베이스(214)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212)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다수개의 제1외측걸이돌기(2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외측걸이돌기(222)는 상기 제1베이스(212)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외측걸이돌기(222)는 필터(230)가 프레임(210)에서 임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1외측걸이돌기(222)는 프레임(210)에 필터(230)를 장착하는 것이 어렵지 않을 정도로 돌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1외측걸이돌기(222)는 상기 제1내측걸이리브(220)가 돌출된 정도보다는 덜 돌출되어야 한다. 즉, 상기 제1외측걸이돌기(222)는 상기 제1내측걸이리브(220)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된다. 상기 제1외측걸이돌기(222)는 단순히 돌출된 돌기형상일 수 있지만, 다르게는 외팔보 형상의 구조의 선단에 돌출된 돌기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연결컬럼(216)중에서 상기 외측컬럼걸이(219)가 형성되지 않은 것에는 컬럼후크(2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컬럼후크(223)는 외팔보 형상으로 된 것으로, 선단에 돌출된 부분이 있어서 필터(230)의 일측을 걸어줄 수 있다. 상기 컬럼후크(223)는 상기 제1외측돌기(222)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2베이스(214)의 제2관통공(214')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제2내측걸이리브(2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내측걸이리브(224)는 전체적으로 상기 내측컬럼걸이(218) 부분을 포함해서 링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제2내측걸이리브(224)는 상기 제2베이스(214)에 직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내측걸이리브(224)는 상기 제1베이스(212)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베이스(214)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다수개의 제2외측걸이돌기(2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외측걸이돌기(226)는 상기 제2베이스(214)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외측걸이돌기(226)는 필터(230)가 프레임(210)에서 임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2외측걸이돌기(226)는 프레임(210)에 필터(230)를 장착하는 것이 어렵지 않을 정도로 돌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2외측걸이돌기(226)는 상기 제2내측걸이리브(220)가 돌출된 정도보다는 덜 돌출되어야 한다. 상기 제2외측걸이돌기(226)는 단순히 돌출된 돌기형상일 수 있지만, 다르게는 외팔보 형상의 구조의 선단에 돌출된 돌기일 수도 있다.
필터(230)는 먼지, 냄새, 바이러스 등 다양한 오염물을 걸러주는 것이다. 상기 필터(230)는 상기 프레임(210)에 장착되어 사용되는데, 상기 프레임(210)에 다수개가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4개의 필터(230)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필터(230)는 각각의 것이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필터(230)는 본 발명의 필터조립체(201)에서 공기가 통과하는 영역에 위치하는데,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될 수 있다. 즉, 본 실시례에서는 4개의 필터(230)가 상기 프레임(210)에 장착되면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례의 필터(230)는 그 원주각이 90도가 될 수 있다.
상기 필터(230)에는 특정한 오염물을 걸러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다수개의 필터링부가 있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제1필터링부(231), 제2필터링부(232), 제3필터링부(233)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필터링부(231)가 먼지를 걸러주고, 상기 제2필터링부(232)가 냄새를 제거하고, 제3필터링부(233)가 바이러스를 걸러줄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필터(230)의 필터링부(231,232,233)는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링부(231,232,233)의 갯수는 다양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필터링부(231)만 있을 수도 있다. 또는 제1필터링부(231)와 제2필터링부(232)가 함께 있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제1필터링부(231)가 별개로 만들어지고, 제2필터링부(232)와 제3필터링부(233)가 일체로 만들어져 있다.
상기 필터링부(231,232,233)들은 모두 동심으로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제1필터링부(231)가 가장 외측에 있고, 제2필터링부(232)와 제3필터링부(233)의 순서로 곡률반경의 중심쪽에 배치되어 있다. 하나의 필터(230)에서만 보면 상기 필터링부(231,232,233)들은 모두 1/4원통 형상이다.
상기 필터(230)에는 제1마감판(234)과 제2마감판(236)이 있다. 상기 제1마감판(234)과 제2마감판(236)은 상기 필터링부(231,232,233)들을 일체로 결합할 수 있고, 필터(230)의 양측 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마감판(234)과 제2마감판(236)은 상기 프레임(210)의 제1베이스(212)와 제2베이스(214)에 안착되는 부분으로, 제1베이스(212)와 제2베이스(214)의 대응되는 부분의 형상과 같은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마감판(234)과 제2마감판(236)은 반원링 형상으로 될 수 있다.
도 23에는 상기 제2마감판(236)의 저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상기 제1마감판(234)과 제2마감판(236)은 대칭인 구조여서, 제2마감판(236)을 기초로 그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제2마감판(236)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단부리브(237)가 소정 길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단부리브(237)는 상기 제2마감판(236) 전체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형성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단부리브(237)는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필터링부(231,232,233)를 고정하는데 문제가 없는 범위 내에서 될 수 있다.
상기 제2마감판(236)에는 상기 제1필터링부(231)와 제2필터링부(232)사이에 틈을 형성할 수 있는 스페이서리브(23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리브(238)는 상기 제2마감판(236)에서 상기 제1마감판(234)을 보는 면에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리브(238)는 2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스페이서리브(238)의 폭이 상기 제1필터링부(231)와 제2필터링부(232) 사이에 필요한 간격과 같이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스페이서리브(238)가 있게 되면, 제1필터링부(231)와 제2필터링부(232)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공간의 존재에 의해 필터링부(231,232,233)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이 상대적으로 더 원활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230)가 상기 프레임(210)의 연결컬럼(216)과 마주보는 부분에는 막음판(240)이 있을 수 있다. 상기 막음판(240)은 필터(230)를 통과하는 공기가 새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링부(231,232,233)를 통과하여 유동되는 공기가 상기 막음판(240)이 있는 부분으로는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상기 필터링부(231,232,233)를 공기가 차례로 통과해서 필터조립체(201)의 내측으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막음판(240)은 소정의 강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또는 소정의 강성을 가지도록 된 부직포를 막음판(240)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필터(230)에는 손잡이(242)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손잡이(242)는 필터(230)를 사용자가 취급하는 것이 편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242)는 상기 제1마감판(234)이나 제2마감판(236)에 인접한 위치에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손잡이(242)가 막음판(240)에 인접한 위치에 있다. 이와 같은 손잡이(242)의 위치선정은, 상기 손잡이(242)가 제1필터링부(231)의 공기통과영역을 막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손잡이(242)는 하나의 필터(230)에 다수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242)의 위치는 상기 필터(230)를 상기 프레임(10)에서 분리하는 방향을 고려하여 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외측컬럼걸이(219)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손잡이(242)를 당길 수 있도록 막음판(240)의 중간 정도의 위치에 있다.
도 26에서 도 30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의 필터조립체(301)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의 필터조립체(301)는 프레임(310)과 다수개의 필터(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10)은 필터조립체(301)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10)에는 상기 필터(330)가 착탈가능하다. 상기 프레임(310)에는 제1베이스(312), 제2베이스(314) 그리고 제3베이스(315)가 차례로 평행하게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312)와 제3베이스(315)가 서로 마주보고, 상기 제3베이스와 상기 제2베이스(314)가 서로 마주보도록 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312), 제2베이스(314) 및 제3베이스(315)는 각각 링형상의 판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312)를 관통하여서는 제1관통공(31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베이스(314)를 관통하여서는 제2관통공(31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3베이스(315)를 관통해서는 제3관통공(3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312), 제2베이스(314) 및 제3베이스(315)를 소정 간격을 두고 연결하도록 연결컬럼(316)이 다수개 있을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3개의 연결컬럼(316)이 나란히 연장되어 상기 제1베이스(312), 제2베이스(314) 및 제3베이스(315)를 서로 연결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연결컬럼(316)은 상기 제1베이스(312), 제2베이스(314) 및 제3베이스(315)의 외측 가장자리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3개의 상기 연결컬럼(316)은 상기 베이스(312,314,315)가 형성하는 원형 영역 중에서 180각도 내에 모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180도 각도 내에 연결컬럼(316)이 배치되어야 원통형상으로 되는 상기 필터(330)가 연결컬럼(316)과 간섭되지 않고 프레임(310)에 착탈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연결컬럼(316)에서 서로 마주보는 것 사이의 거리가 상기 필터(330)의 외경과 같거나 조금 크게 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312), 제2베이스(314) 및 제3베이스(315)에 상기 연결컬럼(316)이 각각 직교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컬럼(316)은 소정의 폭을 가지는 판형상이다. 상기 연결컬럼(316)은 그 폭이 되도록 얇게 되는 것이 좋다. 상기 연결컬럼(316)의 폭이 커지면 상기 필터(330)를 공기가 통과하는 영역이 좁아지기 때문이다.
상기 제1베이스(312)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다수개의 제1외측걸이돌기(3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외측걸이돌기(322)는 상기 제1베이스(312)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외측걸이돌기(322)는 필터(330)가 프레임(310)에서 임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1외측걸이돌기(322)는 프레임(310)에 필터(330)를 장착하는 것이 어렵지 않을 정도로 돌출되어야 한다. 상기 제1외측걸이돌기(322)는 단순히 돌출된 돌기형상일 수 있지만, 다르게는 외팔보 형상의 구조의 선단에 돌출된 돌기일 수도 있다.
상기 제2베이스(314)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다수개의 제2외측걸이돌기(3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외측걸이돌기(326)는 상기 제2베이스(314)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외측걸이돌기(326)는 필터(330)가 프레임(310)에서 임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2외측걸이돌기(326)는 프레임(310)에 필터(330)를 장착하는 것이 어렵지 않을 정도로 돌출되어야 한다. 상기 제2외측걸이돌기(326)는 단순히 돌출된 돌기형상일 수 있지만, 다르게는 외팔보 형상의 구조의 선단에 돌출된 돌기일 수도 있다.
상기 제3베이스(315)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다수개의 제3외측걸이돌기(32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외측걸이돌기(328)는 상기 제1베이스(312)를 향해 돌출되는 것과 상기 제2베이스(314)를 향해 돌출되는 것이 각각 있다. 이는 상기 제3외측걸이돌기(328)는 상기 제1베이스(312)와 제3베이스(315) 사이에 있는 필터(330)와 상기 제2베이스(314)와 제3베이스(315) 사이에 있는 필터(330)를 각각 고정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상기 제3외측걸이돌기(328)는 단순히 돌출된 돌기형상일 수 있지만, 다르게는 외팔보 형상의 구조의 선단에 돌출된 돌기일 수도 있다.
본 실시례를 구성하는 필터(330)는 먼지, 냄새, 바이러스 등 다양한 오염물을 걸러주는 것이다. 상기 필터(330)는 상기 프레임(310)에 장착되어 사용되는데, 상기 프레임(310)에 다수개가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2개의 필터(330)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필터(330)는 각각의 것이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필터(330)는 본 발명의 필터조립체(301)에서 공기가 통과하는 영역에 위치하는데, 각각의 것이 원통형상일 수 있다. 즉, 본 실시례에서는 2개의 필터(330)가 상기 프레임(310)에서 서로 다른 높이에 장착된다.
즉, 상기 제1베이스(312)와 제3베이스(315) 사이에 하나의 필터(330)가 설치되고, 상기 제2베이스(314)와 제3베이스(315) 사이에 다른 하나의 필터(330)가 설치되는 것이다. 본 실시례에서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되는 필터조립체(301)에서 원통형상을 가지는 별도의 필터(330)가 층을 달리하여 배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필터(330)의 구성은 위에서 설명된 것들과 단지 외관 전체 형상만 다르고, 그에 따라 각 부품의 형상이 달라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필터(33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지만, 도면에서는 300번대의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위에서 설명된 필터(30,130,230)에 있는 구성과 대응되는 구성을 표시하였다. 각각의 필터(330)는 제1필터링부(331), 제2필터링부(332), 제3필터링부(333)가 제1마감판(334)과 제2마감판(336)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되고, 손잡이(342)를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1에서 도 3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의 필터조립체(401)는 프레임(410)과 다수개의 필터(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410)은 필터조립체(401)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410)에는 상기 필터(430)가 착탈가능하다. 상기 프레임(410)에는 제1베이스(412), 제2베이스(414) 그리고 제3베이스(415)가 차례로 평행하게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412)와 제3베이스(415)가 서로 마주보고, 상기 제3베이스(415)와 상기 제2베이스(414)가 서로 마주보도록 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412), 제2베이스(414) 및 제3베이스(415)는 각각 링형상의 판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412)를 관통하여서는 제1관통공(41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베이스(414)를 관통하여서는 제2관통공(41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3베이스(415)를 관통해서는 제3관통공(4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412), 제2베이스(414) 및 제3베이스(415)를 소정 간격을 두고 연결하도록 연결컬럼(416)이 다수개 있을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2개의 연결컬럼(416)이 나란히 연장되어 상기 제1베이스(412), 제2베이스(414) 및 제3베이스(415)를 서로 연결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연결컬럼(416)은 상기 제1베이스(412), 제2베이스(414) 및 제3베이스(415)의 내측 가장자리와 외측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하면서 이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2개의 상기 연결컬럼(416)은 상기 베이스(412,414,415)가 형성하는 원형 영역에서 180도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412), 제2베이스(414) 및 제3베이스(415)에 상기 연결컬럼(416)이 각각 직교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컬럼(416)은 소정의 폭을 가지는 판형상이다. 상기 연결컬럼(416)은 그 두께가 되도록 얇게 되는 것이 좋다. 상기 연결컬럼(416)의 두께가 커지면 상기 필터(430)를 공기가 통과하는 영역이 좁아지기 때문이다.
상기 연결컬럼(416)에는 각각 내측컬럼걸이(418)와 외측컬럼걸이(419)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연결컬럼(416)의 폭방향 일측에 내측컬럼걸이(418)가 있고, 폭방향 타측에 외측컬럼걸이(419)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외측컬럼걸이(419)는 필터조립체(401)의 외관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내측컬럼걸이(418)는 필터조립체(401)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내측컬럼걸이(418)는 상기 제1,제2,제3 관통공(412',414',415') 쪽에 해당되는 연결컬럼(416)의 폭방향 일측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내측컬럼걸이(418)와 외측컬럼걸이(419)는 각각 전체가 일체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내측컬럼걸이(418)나 외측컬럼걸이(419)는 필터(430)를 고정하는 것에 문제가 없다면,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내측컬럼걸이(418)나 외측컬럼걸이(419)가 각각 다수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컬럼(416), 내측컬럼걸이(418), 외측컬럼걸이(419)를 모두 포함하는 횡단면은 'H'자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내측컬럼걸이(418)와 외측컬럼걸이(419)는 필터(430)의 대응되는 가장자리를 걸어서 프레임(410)에서 임의로 필터(430)가 탈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연결컬럼(416)은 180도 간격으로 2개가 배치되고 있다. 이는 필터(430)가 설치되는 영역을 하나의 층에서 2개로 나눠서 필터(430)가 180도 각도의 영역을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412)의 제1관통공(412')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제1내측걸이리브(4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내측걸이리브(420)는 전체적으로 상기 내측컬럼걸이(418) 부분을 포함해서 링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제1내측걸이리브(420)는 상기 제1베이스(412)에 직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내측걸이리브(420)는 상기 제3베이스(415)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412)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다수개의 제1외측걸이돌기(4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외측걸이돌기(422)는 상기 제1베이스(412)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외측걸이돌기(422)는 필터(430)가 프레임(410)에서 임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1외측걸이돌기(422)는 프레임(410)에 필터(430)를 장착하는 것이 어렵지 않을 정도로 돌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1외측걸이돌기(422)는 상기 제1내측걸이리브(420)가 돌출된 정도보다는 덜 돌출되어야 한다. 즉, 상기 제1외측걸이돌기(422)는 상기 제1내측걸이리브(420)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된다. 상기 제1외측걸이돌기(422)는 단순히 돌출된 돌기형상일 수 있지만, 다르게는 외팔보 형상의 구조의 선단에 돌출된 돌기일 수도 있다.
상기 제2베이스(414)의 제2관통공(414')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제2내측걸이리브(4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내측걸이리브(424)는 전체적으로 상기 내측컬럼걸이(418) 부분을 포함해서 링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제2내측걸이리브(424)는 상기 제2베이스(414)에 직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내측걸이리브(424)는 상기 제3베이스(415)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베이스(414)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다수개의 제2외측걸이돌기(4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외측걸이돌기(426)는 상기 제2베이스(414)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외측걸이돌기(426)는 필터(430)가 프레임(410)에서 임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2외측걸이돌기(426)는 프레임(410)에 필터(430)를 장착하는 것이 어렵지 않을 정도로 돌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2외측걸이돌기(426)는 상기 제2내측걸이리브(424)가 돌출된 정도보다는 덜 돌출되어야 한다. 상기 제2외측걸이돌기(426)는 단순히 돌출된 돌기형상일 수 있지만, 다르게는 외팔보 형상의 구조의 선단에 돌출된 돌기일 수도 있다.
상기 제3베이스(415)의 제3관통공(415')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제3내측걸이리브(42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내측걸이리브(427)는 전체적으로 상기 내측컬럼걸이(418) 부분을 포함해서 링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제3내측걸이리브(427)는 상기 제3베이스(415)에 직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내측걸이리브(427)는 상기 제1베이스(412)와 제2베이스(414)를 향해 각각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3베이스(415)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다수개의 제3외측걸이돌기(42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외측걸이돌기(428)는 상기 제3베이스(415)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외측걸이돌기(428)는 필터(430)가 프레임(410)에서 임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3외측걸이돌기(428)는 프레임(410)에 필터(430)를 장착하는 것이 어렵지 않을 정도로 돌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3외측걸이돌기(428)는 상기 제3내측걸이리브(427)가 돌출된 정도보다는 덜 돌출되어야 한다. 상기 제3외측걸이돌기(428)는 단순히 돌출된 돌기형상일 수 있지만, 다르게는 외팔보 형상의 구조의 선단에 돌출된 돌기일 수 있다. 상기 제3외측걸이돌기(428)는 상기 제1베이스(412)를 향해 돌출된 것과 상기 제2베이스(414)를 향해 돌출된 것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필터(430)는 먼지, 냄새, 바이러스 등 다양한 오염물을 걸러주는 것이다. 상기 필터(430)는 상기 프레임(410)에 장착되어 사용되는데, 상기 프레임(410)에 다수개가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한 층에 2개 씩 총 4개의 필터(430)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필터(430)는 각각의 것이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필터(430)는 본 발명의 필터조립체(401)에서 공기가 통과하는 영역에 위치하는데,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될 수 있다. 즉, 본 실시례에서는 하나의 층에서 2개의 필터(430)가 상기 프레임(10)에 장착되면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필터(430)의 구성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 중에서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것과 동일하다. 단지, 도면을 기준으로 필터(430)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필터(430)의 구체적인 구성의 설명을 생략하고, 대응되는 구성요소들에는 400번대의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예를 들면, 제1필터링부(431), 제3필터링부(433), 제1마감판(434), 제2마감판(436), 손잡이(442) 등이 도면에 표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34에서 도 3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의 필터조립체(501)는 프레임(510)과 다수개의 필터(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510)은 필터조립체(501)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510)에는 상기 필터(530)가 착탈가능하다. 상기 프레임(510)에는 제1베이스(512), 제2베이스(514) 그리고 제3베이스(515)가 차례로 평행하게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512)와 제3베이스(515)가 서로 마주보고, 상기 제3베이스(515)와 상기 제2베이스(514)가 서로 마주보도록 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512), 제2베이스(514) 및 제3베이스(515)는 각각 링형상의 판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512)를 관통하여서는 제1관통공(51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베이스(514)를 관통하여서는 제2관통공(51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3베이스(515)를 관통해서는 제3관통공(5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512), 제2베이스(514) 및 제3베이스(515)를 소정 간격을 두고 연결하도록 연결컬럼(516)이 다수개 있을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3개의 연결컬럼(516)이 나란히 연장되어 상기 제1베이스(512), 제2베이스(514) 및 제3베이스(515)를 서로 연결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연결컬럼(516)은 상기 제1베이스(512), 제2베이스(514) 및 제3베이스(515)의 내측 가장자리와 외측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하면서 이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3개의 상기 연결컬럼(516)은 상기 베이스(512,514,515)가 형성하는 원형 영역에서 120도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512), 제2베이스(514) 및 제3베이스(515)에 상기 연결컬럼(516)이 각각 직교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컬럼(516)은 소정의 폭을 가지는 판형상이다. 상기 연결컬럼(516)은 그 두께가 되도록 얇게 되는 것이 좋다. 상기 연결컬럼(516)의 두께가 커지면 상기 필터(530)를 공기가 통과하는 영역이 좁아지기 때문이다.
상기 연결컬럼(516)에는 각각 내측컬럼걸이(51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연결컬럼(516)의 폭방향 일측에 상기 내측컬럼걸이(51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내측컬럼걸이(518)는 필터조립체(501)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내측컬럼걸이(518)는 상기 제1,제2,제3 관통공(512',514',515') 쪽에 해당되는 연결컬럼(516)의 폭방향 일측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내측컬럼걸이(518)는 전체가 일체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내측컬럼걸이(518)는 필터(530)를 고정하는 것에 문제가 없다면,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내측컬럼걸이(518)가 다수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컬럼(516)과 내측컬럼걸이(518)를 모두 포함하는 횡단면은 'T'자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내측컬럼걸이(518)는 필터(530)의 대응되는 가장자리를 걸어서 프레임(510)에서 필터(530)가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연결컬럼(516)은 120도 간격으로 3개가 배치되고 있다. 이는 필터(530)가 설치되는 영역을 3개로 나눠서 필터(530)가 120도 각도의 영역을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512)의 제1관통공(512')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제1내측걸이리브(5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내측걸이리브(520)는 전체적으로 상기 내측컬럼걸이(518) 부분을 포함해서 링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제1내측걸이리브(520)는 상기 제1베이스(512)에 직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내측걸이리브(520)는 상기 제3베이스(515)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512)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다수개의 제1외측걸이돌기(5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외측걸이돌기(522)는 상기 제1베이스(512)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외측걸이돌기(522)는 필터(530)가 프레임(510)에서 임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1외측걸이돌기(522)는 프레임(510)에 필터(530)를 장착하는 것이 어렵지 않을 정도로 돌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1외측걸이돌기(522)는 상기 제1내측걸이리브(520)가 돌출된 정도보다는 덜 돌출되어야 한다. 즉, 상기 제1외측걸이돌기(522)는 상기 제1내측걸이리브(520)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된다. 상기 제1외측걸이돌기(522)는 단순히 돌출된 돌기형상일 수 있지만, 다르게는 외팔보 형상의 구조의 선단에 돌출된 돌기일 수도 있다.
상기 제2베이스(514)의 제2관통공(514')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제2내측걸이리브(5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내측걸이리브(524)는 전체적으로 상기 내측컬럼걸이(518) 부분을 포함해서 링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제2내측걸이리브(524)는 상기 제2베이스(514)에 직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내측걸이리브(524)는 상기 제3베이스(515)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베이스(514)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다수개의 제2외측걸이돌기(5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외측걸이돌기(526)는 상기 제2베이스(514)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외측걸이돌기(526)는 필터(530)가 프레임(510)에서 임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2외측걸이돌기(526)는 프레임(510)에 필터(530)를 장착하는 것이 어렵지 않을 정도로 돌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2외측걸이돌기(526)는 상기 제2내측걸이리브(524)가 돌출된 정도보다는 덜 돌출되어야 한다. 상기 제2외측걸이돌기(526)는 단순히 돌출된 돌기형상일 수 있지만, 다르게는 외팔보 형상의 구조의 선단에 돌출된 돌기일 수도 있다.
상기 제3베이스(515)의 제3관통공(515')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제3내측걸이리브(52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내측걸이리브(527)는 전체적으로 상기 내측컬럼걸이(518) 부분을 포함해서 링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제3내측걸이리브(527)는 상기 제3베이스(515)에 직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내측걸이리브(527)는 상기 제1베이스(512)와 제2베이스(514)를 향해 각각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3베이스(515)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다수개의 제3외측걸이돌기(52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외측걸이돌기(528)는 상기 제3베이스(515)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외측걸이돌기(528)는 필터(530)가 프레임(510)에서 임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3외측걸이돌기(528)는 프레임(510)에 필터(530)를 장착하는 것이 어렵지 않을 정도로 돌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3외측걸이돌기(528)는 상기 제3내측걸이리브(527)가 돌출된 정도보다는 덜 돌출되어야 한다. 상기 제3외측걸이돌기(528)는 단순히 돌출된 돌기형상일 수 있지만, 다르게는 외팔보 형상의 구조의 선단에 돌출된 돌기일 수 있다. 상기 제3외측걸이돌기(528)는 상기 제1베이스(512)를 향해 돌출된 것과 상기 제2베이스(514)를 향해 돌출된 것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필터(530)는 먼지, 냄새, 바이러스 등 다양한 오염물을 걸러주는 것이다. 상기 필터(530)는 상기 프레임(510)에 장착되어 사용되는데, 상기 프레임(510)에 다수개가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한 층에 3개 씩 총 6개의 필터(530)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필터(530)는 각각의 것이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필터(530)는 본 발명의 필터조립체(501)에서 공기가 통과하는 영역에 위치하는데,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될 수 있다. 즉, 본 실시례에서는 하나의 층에서 3개의 필터(530)가 상기 프레임(510)에 장착되면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필터(530)의 구성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 중에서 도 11에 도시된 실시례의 것과 동일하다. 단지, 도면을 기준으로 필터(530)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필터(530)의 구체적인 구성의 설명을 생략하고, 대응되는 구성요소들에는 500번대의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예를 들면, 제1필터링부(531), 제3필터링부(533), 제1마감판(534), 제2마감판(536), 손잡이(542) 등이 도면에 표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37에서 도 39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의 필터조립체(601)는 프레임(610)과 다수개의 필터(6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610)은 필터조립체(601)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610)에는 상기 필터(630)가 착탈가능하다. 상기 프레임(610)에는 제1베이스(612), 제2베이스(614) 그리고 제3베이스(615)가 차례로 평행하게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612)와 제3베이스(615)가 서로 마주보고, 상기 제3베이스(615)와 상기 제2베이스(614)가 서로 마주보도록 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612), 제2베이스(614) 및 제3베이스(615)는 각각 링형상의 판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612)를 관통하여서는 제1관통공(61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베이스(614)를 관통하여서는 제2관통공(61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3베이스(615)를 관통해서는 제3관통공(6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612), 제2베이스(614) 및 제3베이스(615)를 소정 간격을 두고 연결하도록 연결컬럼(616)이 다수개 있을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4개의 연결컬럼(616)이 나란히 연장되어 상기 제1베이스(612), 제2베이스(614) 및 제3베이스(615)를 서로 연결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연결컬럼(616)은 상기 제1베이스(612), 제2베이스(614) 및 제3베이스(615)의 내측 가장자리와 외측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하면서 이들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4개의 상기 연결컬럼(616)은 상기 베이스(612,614,615)가 형성하는 원형 영역에서 90도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612), 제2베이스(614) 및 제3베이스(615)에 상기 연결컬럼(616)이 각각 직교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컬럼(616)은 소정의 폭을 가지는 판형상이다. 상기 연결컬럼(616)은 그 두께가 되도록 얇게 되는 것이 좋다. 상기 연결컬럼(616)의 두께가 커지면 상기 필터(630)를 공기가 통과하는 영역이 좁아지기 때문이다.
상기 연결컬럼(616)에는 각각 내측컬럼걸이(61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연결컬럼(616)의 폭방향 일측에 상기 내측컬럼걸이(61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내측컬럼걸이(618)는 필터조립체(601)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내측컬럼걸이(618)는 상기 제1,제2,제3 관통공(612',614',615') 쪽에 해당되는 연결컬럼(616)의 폭방향 일측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내측컬럼걸이(618)는 전체가 일체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내측컬럼걸이(618)는 필터(630)를 고정하는 것에 문제가 없다면,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내측컬럼걸이(618)가 다수개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컬럼(616)과 내측컬럼걸이(618)를 모두 포함하는 횡단면은 'T'자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내측컬럼걸이(618)는 필터(630)의 대응되는 가장자리를 걸어서 프레임(610)에서 필터(630)가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연결컬럼(616)은 90도 간격으로 4개가 배치되고 있다. 이는 필터(630)가 설치되는 영역을 4개로 나눠서 필터(630)가 90도 각도의 영역을 커버할 수 있도록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결컬럼(616)중 일부에는 외측컬럼걸이(619)가 있을 수 있다. 도 39에서 볼 수 있듯이, 4개의 연결컬럼(616)중 2개의 연결컬럼(616)에 외측 컬럼걸이(61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측컬럼걸이(619)는 2개의 서로 마주보는 연결컬럼(616)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외측컬럼걸이(619)가 형성되어 있는 2개의 연결컬럼(616)에는 내측컬럼걸이(618)도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H'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외측컬럼걸이(619)가 상기 연결컬럼(616)에서 돌출되는 방향은 상기 필터(630)가 프레임(610)에 장착되고 분리되는 방향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측컬럼걸이(619)가 있는 연결컬럼(616)에서는 연결컬럼(616)의 표면에 인접하고 멀어지는 방향으로 필터(630)의 막음판(640)이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베이스(612)의 제1관통공(612')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제1내측걸이리브(6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내측걸이리브(620)는 전체적으로 상기 내측컬럼걸이(618) 부분을 포함해서 링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제1내측걸이리브(620)는 상기 제1베이스(612)에 직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내측걸이리브(620)는 상기 제3베이스(615)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이스(612)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다수개의 제1외측걸이돌기(6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외측걸이돌기(622)는 상기 제1베이스(612)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외측걸이돌기(622)는 필터(630)가 프레임(610)에서 임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1외측걸이돌기(622)는 프레임(610)에 필터(630)를 장착하는 것이 어렵지 않을 정도로 돌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1외측걸이돌기(622)는 상기 제1내측걸이리브(620)가 돌출된 정도보다는 덜 돌출되어야 한다. 즉, 상기 제1외측걸이돌기(622)는 상기 제1내측걸이리브(620)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된다. 상기 제1외측걸이돌기(622)는 단순히 돌출된 돌기형상일 수 있지만, 다르게는 외팔보 형상의 구조의 선단에 돌출된 돌기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연결컬럼(616)중에서 상기 외측컬럼걸이(619)가 형성되지 않은 것에는 컬럼후크(6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컬럼후크(623)는 외팔보 형상으로 된 것으로, 선단에 돌출된 부분이 있어서 필터(630)의 일측을 걸어줄 수 있다. 상기 컬럼후크(623)는 상기 제1외측돌기(622)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2베이스(614)의 제2관통공(614')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제2내측걸이리브(6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내측걸이리브(624)는 전체적으로 상기 내측컬럼걸이(618) 부분을 포함해서 링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제2내측걸이리브(624)는 상기 제2베이스(614)에 직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내측걸이리브(624)는 상기 제3베이스(615)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베이스(614)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다수개의 제2외측걸이돌기(6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외측걸이돌기(626)는 상기 제2베이스(614)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외측걸이돌기(626)는 상기 필터(630)가 프레임(610)에서 임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2외측걸이돌기(626)는 프레임(610)에 필터(630)를 장착하는 것이 어렵지 않을 정도로 돌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2외측걸이돌기(626)는 상기 제2내측걸이리브(624)가 돌출된 정도보다는 덜 돌출되어야 한다. 상기 제2외측걸이돌기(626)는 단순히 돌출된 돌기형상일 수 있지만, 다르게는 외팔보 형상의 구조의 선단에 돌출된 돌기일 수도 있다.
상기 제3베이스(615)의 제3관통공(615')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제3내측걸이리브(62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내측걸이리브(627)는 전체적으로 상기 내측컬럼걸이(618) 부분을 포함해서 링형상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제3내측걸이리브(627)는 상기 제3베이스(615)에 직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내측걸이리브(627)는 상기 제1베이스(612)와 제2베이스(614)를 향해 각각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3베이스(615)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다수개의 제3외측걸이돌기(62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외측걸이돌기(628)는 상기 제3베이스(615)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외측걸이돌기(628)는 필터(630)가 프레임(610)에서 임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3외측걸이돌기(628)는 프레임(610)에 필터(630)를 장착하는 것이 어렵지 않을 정도로 돌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3외측걸이돌기(628)는 상기 제3내측걸이리브(627)가 돌출된 정도보다는 덜 돌출되어야 한다. 상기 제3외측걸이돌기(628)는 단순히 돌출된 돌기형상일 수 있지만, 다르게는 외팔보 형상의 구조의 선단에 돌출된 돌기일 수 있다. 상기 제3외측걸이돌기(628)는 상기 제1베이스(612)를 향해 돌출된 것과 상기 제2베이스(614)를 향해 돌출된 것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필터(630)는 먼지, 냄새, 바이러스 등 다양한 오염물을 걸러주는 것이다. 상기 필터(630)는 상기 프레임(610)에 장착되어 사용되는데, 상기 프레임(610)에 다수개가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한 층에 4개 씩 총 8개의 필터(630)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필터(630)는 각각의 것이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필터(630)는 본 발명의 필터조립체(601)에서 공기가 통과하는 영역에 위치하는데,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될 수 있다. 즉, 본 실시례에서는 하나의 층에서 4개의 필터(630)가 상기 프레임(610)에 장착되면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필터(630)의 구성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 중에서 도 19에 도시된 실시례의 것과 동일하다. 단지, 도면을 기준으로 필터(630)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필터(630)의 구체적인 구성의 설명을 생략하고, 대응되는 구성요소들에는 600번대의 도면부호를 부여한다. 예를 들면, 제1필터링부(631), 제3필터링부(633), 제1마감판(634), 제2마감판(636), 손잡이(642) 등이 도면에 표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40에서 도 42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필터조립체(701)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의 필터조립체(701)는 복수개의 필터(730)(730')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필터(730)(730')는 각각이 원통형상으로 되고, 이들 필터(730)(730')를 적층함에 의해 전체적으로도 원통형상의 필터조립체(701)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필터(730)(730')의 구성은 아래에서 설명될 결합요철(740,740')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필터(730)(730')의 구성요소들의 도면부호는 동일하게 부여한다.
상기 필터(730)(730')에는 다수개의 필터링부가 있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제1필터링부(731), 제2필터링부(732), 제3필터링부(733)가 있다. 이들 필터링부(731,732,733)는 각각 다른 오염물질을 걸러줄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위의 실시례들에서 충분히 설명되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필터링부(731,732,733)들은 제1마감판(734)과 제2마감판(736)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링부(731,732,733)들은 각각 동심으로 된 원통형상이고, 상기 제1마감판(734)과 제2마감판(736)은 상기 필터링부(731,732,733)들의 횡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인 링형상의 판으로 될 수 있다.
상기 제1마감판(734)과 제2마감판(736)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단부리브(737)가 있다. 상기 단부리브(737) 사이에 상기 필터링부(731,732,733)가 고정되어 위치된다. 상기 제1마감판(734)는 상기 필터링부(731,732,733)들의 일측 단부에 위치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제2마감판(736)이 위치된다.
상기 제1마감판(734)과 제2마감판(736)에는 스페이서리브(738)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리브((738)는 상기 제1마감판(734)과 제2마감판(736)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필터링부(731)와 제2필터링부(732) 사이에 소정의 틈새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필터(730)의 제1마감판(734) 외면에는 도 4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결합요철(740)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필터(730')의 제2마감판(736) 외면에는 제2결합요철(74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결합요철(740)은 돌출된 링형상의 리브이고, 상기 제2결합요철(740')은 링형상의 채널이다. 이들 제1결합요철(740)과 제2결합요철(740')이 서로 결합됨에 의해 상기 필터(730)(730')가 결합되어 일체로 되어 필터조립체(701)를 구성할 수 있다.
참고로, 돌출 형상의 상기 제1결합요철(740)과 오목한 형상의 제2결합요철(740')은 서로 반대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된 링형상의 리브인 제1결합요철(740)이 상기 필터(730')의 제2마감판(736)에 형성되고, 링형상의 채널인 상기 제2결합요철(740')은 상기 필터(730)의 제1마감판(734)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실시례의 필터조립체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의 필터조립체(1)는 프레임(10)에 2개의 필터(30)가 장착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2개의 필터(30)는 프레임(10)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착탈될 수 있다.
도 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필터(30)는 화살표 A방향으로 프레임(10)에 착탈될 수 있다. 상기 내측컬럼걸이(18)와 외측컬럽걸이(19)의 돌출방향으로 상기 필터(30)가 이동된다. 이는 필터(30)의 착탈과정에서 상기 내측컬럼걸이(18)와 외측컬럼걸이(19)가 필터(30)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필터(30)를 프레임(10)에서 분리할 때는 상기 손잡이(40)를 사용자가 잡고 힘을 가하면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에 2개의 필터(30)가 장착되어 원통형상의 필터조립체(1)가 만들어지면, 이는 공기청정기 내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필터조립체(1)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부의 상부나 하부에 팬모터(도시되지 않음)가 있어서, 흡입력을 제공하면, 외부의 공기가 상기 필터조립체(1)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필터(30)의 필터링부(31,32,33)를 통과하면서 오염물질이 걸러진다. 이때, 상기 필터링부(31,32,33)는 각각의 기능에 따라 특정한 오염물질을 걸러줄 수 있다. 오염물질이 걸러진 공기는 상기 필터조립체(1)의 중앙에서 상기 팬모터가 있는 쪽으로 유동되어 원하는 위치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필터조립체(1)가 일정 기간 이상 사용되면, 상기 필터(30)가 오염되어 청소나 교체가 필요할 수 있다. 하지만, 2개의 필터(30) 모두가 오염되지 않고, 어느 하나만이 오염되거나, 상대적으로 더 많이 오염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더 많이 오염된 필터(30)를 상기 프레임(10)에서 제거하여 청소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3개의 필터(130)가 있다. 이들 3개의 필터(130)는 상기 프레임(110)의 360도 영역에 120도에 해당되는 구간마다 하나 씩 위치되어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130)를 상기 프레임(110)에서 프레임(110)의 원심방향으로 손잡이(142)를 사용하여 당길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컬럼(116)에는 내측컬럼걸이(118)만 있고, 그 반대쪽에는 아무런 구조가 없어서, 필터(130)의 착탈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4개의 필터(230)가 있다. 이들 4개의 필터(230)는 상기 프레임(210)의 360도 영역에 90도에 해당되는 구간마다 하나 씩 위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컬럼걸이(218)와 외측컬럼걸이(219)가 있는 연결컬럼(216)에서 필터(230)가 멀어지고 가까워지도록 필터(230)에 힘을 가하면 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례의 손잡이(242)는 필터(230)의 높이방향 중간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부분에 있다. 이와 같이 필터(230)가 이동하면, 해당 필터(230)의 반대쪽 단부에서는 상기 연결컬럼(216)의 표면을 따라, 상기 필터(230)의 막음판(240)이 이동하면서 필터(230)가 프레임(2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필터(230)를 프레임(210)에 장착할 때는 위의 반대방향으로 필터(230)를 이동시키면 된다.
도 26에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원통형으로 된 필터(330)가 상기 프레임(310)에 2개의 층을 이루도록 장착된댜. 따라서, 도 26을 기준으로 필터조립체(301)의 높이방향으로 층을 이루고 있는 필터(330)중 어느 하나를 분리하여 교체하거나 청소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연결컬럼(316) 중에서 180도 간격을 두고 설치된 연결컬럼(316)의 연장방향으로 필터(330)가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은 도 30에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필터(430)가 프레임(410)에 2개의 층을 이루도록 구성되는데, 각각의 층에 2개씩의 필터(430)가 있다. 이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와 같이 필터(430)가 프레임(410)에 착탈될 수 있다. 따라서, 총 4개의 필터(43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분리하여 교체하거나 청소할 수 있다.
도 34에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필터(530)가 프레임(510)에 2개의 층을 이루도록 구성되는데, 각각의 층에 3개씩의 필터(530)가 있다. 따라서, 총 6개의 필터(530)가 개별적으로 프레임(510)에 착탈될 수 있다. 이들 6개의 필터(5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분리하여 교체하거나 청소할 수 있다. 여기서는 도 11에 도시된 실시례에서와 같이 필터(530)의 착탈동작을 할 수 있다.
도 37에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필터(630)가 프레임(610)에 2개의 층을 이루도록 구성되는데, 각각의 층에 4개씩의 필터(630)가 있다. 따라서, 총 8개의 필터(630)가 개별적으로 프레임(610)에 착탈될 수 있다. 이들 8개의 필터(630)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분리하여 교체하거나 청소할 수 있다. 여기서는 도 19에 도시된 실시례에서와 같이 필터(630)의 착탈동작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40에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원통형으로 된 2개의 필터(730,730')가 적층되어 필터조립체(701)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2개의 필터(730,730')를 결합하고 있는, 상기 제1결합요철(740)과 제2결합요철(740')을 결합해지하면 2개의 필터(730,730')를 분리하여 교체하거나 청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1: 필터조립체 10: 프레임
12: 제1베이스 12': 제1관통공
14: 제2베이스 14': 제2관통공
16: 연결컬럼 18: 내측컬럼걸이
19: 외측컬럼걸이 20: 제1내측걸이리브
22: 제1외측걸이돌기 24: 제2내측걸이리브
26: 제2외측걸이돌기 30: 필터
31; 제1필터링부 32: 제2필터링부
33: 제3필터링부 34: 제1마감판
36: 제2마감판 37: 단부리브
38: 스페이서리브 40: 마감판
42: 손잡이
101: 필터조립체 110: 프레임
112: 제1베이스 112': 제1관통공
114: 제2베이스 114': 제2관통공
116: 연결컬럼 118: 내측컬럼걸이
120: 제1내측걸이리브 122: 제1외측걸이돌기
124: 제2내측걸이리브 126: 제2외측걸이돌기
130: 필터 131; 제1필터링부
132: 제2필터링부 133: 제3필터링부
134: 제1마감판 136: 제2마감판
137: 단부리브 138: 스페이서리브
140: 마감판 142: 손잡이
201: 필터조립체 210: 프레임
212: 제1베이스 212': 제1관통공
214: 제2베이스 214': 제2관통공
216: 연결컬럼 218: 내측컬럼걸이
219: 외측컬럼걸이 220: 제1내측걸이리브
222: 제1외측걸이돌기 223: 컬럼돌기
224: 제2내측걸이리브 226: 제2외측걸이돌기
230: 필터 231; 제1필터링부
232: 제2필터링부 233: 제3필터링부
234: 제1마감판 236: 제2마감판
237: 단부리브 238: 스페이서리브
240: 마감판 242: 손잡이
301: 필터조립체 310: 프레임
312: 제1베이스 312': 제1관통공
314: 제2베이스 314': 제2관통공
315: 제3베이스 315': 제3관통공
316: 연결컬럼 322: 제1외측걸이돌기
326: 제2외측걸이돌기 330: 필터
331: 제1필터링부 332: 제2필터링부
333: 제3필터링부 334: 제1마감판
336: 제2마감판 337: 단부리브
338: 스페이서리브 340: 마감판
342: 손잡이 401: 필터조립체
410: 프레임 412: 제1베이스
412': 제1관통공 414: 제2베이스
414': 제2관통공 415: 제3베이스
415': 제3관통공 416: 연결컬럼
418: 내측컬럼걸이 419: 외측컬럼걸이
420: 제1내측걸이리브 422: 제1외측걸이돌기
424: 제2내측걸이리브 426: 제2외측걸이돌기
427: 제3내측걸이리브 428: 제3외측걸이돌기
430: 필터 431; 제1필터링부
432: 제2필터링부 433: 제3필터링부
434: 제1마감판 436: 제2마감판
437: 단부리브 438: 스페이서리브
440: 마감판 442: 손잡이
501: 필터조립체 510: 프레임
512: 제1베이스 512': 제1관통공
514: 제2베이스 514': 제2관통공
515: 제3베이스 515': 제3관통공
516: 연결컬럼 518: 내측컬럼걸이
520: 제1내측걸이리브 522: 제1외측걸이돌기
524: 제2내측걸이리브 526: 제2외측걸이돌기
527: 제3내측걸이리브 528: 제3외측걸이돌기
530: 필터 531; 제1필터링부
532: 제2필터링부 533: 제3필터링부
534: 제1마감판 536: 제2마감판
540: 마감판 542: 손잡이
601: 필터조립체 610: 프레임
612: 제1베이스 612': 제1관통공
614: 제2베이스 614': 제2관통공
615: 제3베이스 615': 제3관통공
616: 연결컬럼 618: 내측컬럼걸이
619: 외측컬럼걸이 620: 제1내측걸이리브
622: 제1외측걸이돌기 623: 컬럼후크
624: 제2내측걸이리브 626: 제2외측걸이돌기
627: 제3내측걸이리브 628: 제3외측걸이돌기
630: 필터 631; 제1필터링부
632: 제2필터링부 634: 제1마감판
636: 제2마감판 640: 마감판
642: 손잡이 701: 필터조립체
730,730': 필터 731: 제1필터링부
732: 제2필터링부 733: 제3필터링부
734: 제1마감판 736: 제2마감판
737: 단부리브 738: 스페이서리브
740: 제1결합요철` 740': 제2결합요철

Claims (21)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착탈되게 설치되고 소정의 오염물질을 걸러주도록 구성되며 다수개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어 원통형상을 이루는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제1관통공을 가지는 제1베이스와 제2관통공을 가지는 제2베이스가 연결컬럼에 의해 서로 마주보게 연결되 제1베이스와 제2베이스의 사이에 상기 필터가 설치되는 필터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컬럼은 적어도 2개 이상이 소정의 각도 간격을 가지고 구비되는 필터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컬럼의 폭방향 일측인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 쪽을 따라서는 내측컬럼걸이가 소정의 폭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필터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컬럼 중 일부에는 상기 연결컬럼의 폭방향 타측인 상기 제1 및 제2 베이스의 외측에 해당되는 위치에 외측컬럼걸이가 더 구비되는 필터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컬럼걸이가 있는 연결컬럼에서는 상기 필터의 대응되는 부분이 연결컬럼에 가까워지고 멀어지는 방향으로 필터가 상기 프레임에 착탈되는 필터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각각이 일정한 원주각을 가지는 필터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원주각은 180도, 120도, 90도 중 어느 하나의 값을 가지는 필터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의 제1관통공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제1내측걸이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제2베이스의 제2관통공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제2내측걸이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제1베이스의 외측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제1외측걸이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베이스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제2외측걸이돌기가 형성되는 필터조립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제1마감판과 제2마감판에 인접하여서는 손잡이가 더 구비되는 필터조립체.
  1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착탈되게 설치되고 소정의 오염물질을 걸러주도록 구성되는 다수개의 필터를 포함하는 필터조립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필터는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다수개의 층을 구성하는 필터조립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제1관통공을 가지는 제1베이스와, 제2관통공을 가지는 제2베이스와, 제3관통공을 가지는 제3베이스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연결컬럼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베이스와 제3베이스 사이 그리고 상기 제3베이스와 제2베이스 사이에 각각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필터들이 설치되는 필터조립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컬럼은 적어도 2개가 소정의 각도 간격을 가지고 구비되는 필터조립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컬럼의 폭방향 일측인 상기 제1관통공, 제2관통공,제3관통공 쪽을 따라서는 내측컬럼걸이가 소정의 폭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필터조립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컬럼 중 일부에는 상기 연결컬럼의 폭방향 타측인 상기 제1,2,3베이스의 외측에 해당되는 위치에 외측컬럼걸이가 구비되는 필터조립체.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각각이 일정한 원주각을 가지는 필터조립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원주각은 180도, 120도, 90도 중 어느 하나의 값을 가지는 필터조립체.
  19. 소정의 오염물질을 걸러주도록 구성되며 적어도 2개의 원통형상을 형성하도록 적어도 2개가 구비되는 필터와,
    상기 필터를 서로 결합하는 결합구조를 포함하는 필터조립체.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조는 서로 결합되는 필터의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 제1결합요철과 제2결합요철인 필터조립체.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요철은 상기 필터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돌출된 돌기형상이고, 상기 제2결합요철은 상기 필터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오목하게 들어간 채널형상인 필터조립체.
KR1020220108309A 2022-08-29 2022-08-29 필터조립체 KR2024002992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309A KR20240029928A (ko) 2022-08-29 2022-08-29 필터조립체
PCT/KR2023/011113 WO2024049026A1 (ko) 2022-08-29 2023-07-31 필터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309A KR20240029928A (ko) 2022-08-29 2022-08-29 필터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9928A true KR20240029928A (ko) 2024-03-07

Family

ID=90098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8309A KR20240029928A (ko) 2022-08-29 2022-08-29 필터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29928A (ko)
WO (1) WO2024049026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6190A (ko) 2012-06-04 2014-12-24 이스턴 기켄 가부시키가이샤 필터 장치
KR20180044568A (ko) 2016-10-24 2018-05-03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겸용 공기청정기
KR20190025882A (ko) 2019-03-05 2019-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20210026729A (ko) 2019-09-02 2021-03-10 (주)씨에스이엔엘 다기능 공기 청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조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61634B2 (en) * 2011-10-17 2015-02-24 Aerospace Filtration Systems, Inc. Filter systems for air intakes of aircraft engines and related methods
KR102296837B1 (ko) * 2014-11-27 2021-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토출유닛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
GB2568937B (en) * 2017-12-01 2020-08-12 Dyson Technology Ltd A fan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6190A (ko) 2012-06-04 2014-12-24 이스턴 기켄 가부시키가이샤 필터 장치
KR20180044568A (ko) 2016-10-24 2018-05-03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겸용 공기청정기
KR20190025882A (ko) 2019-03-05 2019-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20210026729A (ko) 2019-09-02 2021-03-10 (주)씨에스이엔엘 다기능 공기 청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49026A1 (ko) 202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3991B2 (en) Filter elements, air filter arrangements; and, methods
KR102349165B1 (ko) 필터 어셈블리
US7311747B2 (en) Filter assembly with pleated media V-packs, and methods
US20210213381A1 (en) Ovate tubular filter cartridges and filter systems using the same
US20100132712A1 (en) Respirator
CA2449164A1 (en) Filter element having center piece and methods
US10232295B2 (en) Filter including support frame
US11247154B2 (en) Truncated filter capsule
KR20160145079A (ko) 회전 디스크 필터 장치
KR101807185B1 (ko) 다수의 필터를 이용한 복합 여과 시스템
CN108119267B (zh) 用于内燃机的筒状空气滤清器
AU603734B2 (en) Filter cartridge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US20180149117A1 (en) Tubular air clean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tubular filter element
KR20240029928A (ko) 필터조립체
JP6469522B2 (ja) 空気調和機及びフィルタ部材
US20230065961A1 (en) Room Air Purifier with Locking Ring
US20020121474A1 (en) Replaceable square, pleated filter cartridge
WO2018170114A1 (en) Combination fluid and gas filter
KR20180017767A (ko) 금속입자 제거용 자성 필터
US20050252852A1 (en) Compact filter element
KR200188196Y1 (ko) 보호마스크용 필터의 구조
KR101951763B1 (ko) 사각 정수 필터
JP2004223312A (ja) フィルター
RU2070429C1 (ru) Фильтрующий элемент
JPH11188243A (ja) 交換式の中空糸膜型分離エレメン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