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837B1 - 토출유닛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토출유닛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6837B1
KR102296837B1 KR1020140167406A KR20140167406A KR102296837B1 KR 102296837 B1 KR102296837 B1 KR 102296837B1 KR 1020140167406 A KR1020140167406 A KR 1020140167406A KR 20140167406 A KR20140167406 A KR 20140167406A KR 102296837 B1 KR102296837 B1 KR 102296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diffuser
air conditioner
open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3738A (ko
Inventor
최선묵
김상학
김중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7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6837B1/ko
Priority to EP15188637.1A priority patent/EP3026353B1/en
Priority to US14/923,224 priority patent/US10113753B2/en
Publication of KR20160063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4Arrangements for portabil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55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for cyclical variation of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5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formed as cylindrical or spherical bodies which are rota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0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composed of diaphragms or seg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토출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공기조화장치는 내부에 열교환기 및 송풍팬을 구비하며, 외면에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열 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일단이 상기 배출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부는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유속 및 토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복수의 토출유닛이 연통된 상태로 연결되어 모듈화된다.

Description

토출유닛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DISCHARGING UNIT AND AIR CONDITIONING EQUIPMEN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송풍기류의 구현이 가능한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장치는 냉매사이클을 이용하여 가습, 제습, 냉방 및 난방을 수행하는 장치로 우리 생활의 전반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장치 중 일반 가정에 널리 쓰이는 스탠드형 공기조화장치는 원형, 다각형 또는 이와 유사한 단면을 가지는 기둥형상으로 획일화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의 공기조화장치는 대부분 후면에 실내공기 유입구를 구비하며, 유입된 공기를 내부에서 열 교환한 후 전면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공기를 배출한다. 따라서, 토출방향을 다양하게 형성하기 어려웠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배출구가 좌우로 소정 각도 회전하며 일정한 방향으로 토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가 개시되었으나, 조절할 수 있는 토출방향이 제한적이었다.
또한,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송풍팬의 구동력을 조절해야 하였으므로, 사용자가 빠른 유속의 공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송풍팬에 높은 구동력을 부여해야 하였으므로, 많은 양의 전기를 사용하여야 했다.
또한, 최근에는 사용자에게 심미적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다양한 색채를 조합하여 하우징에 프린팅한 공기조화장치가 개시되었으나, 전체적인 외관은 여전히 획일화되어 있었다.
1) 공개특허공보 제 10-2014-0028192호(2014.03.10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실내로 송풍되는 공기의 토출유속 및 토출방향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부와 분리 가능하며, 복수의 토출유닛이 모듈화된 토출부를 통해 공기조화장치의 유지보수 및 디자인의 변경이 용이한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열교환기 및 송풍팬을 구비하며, 외면에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열 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일단이 상기 배출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부는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유속 및 토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복수의 토출유닛이 연통된 상태로 연결되어 모듈화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토출유닛은, 상기 본체부와 연통하며, 외주면에 개구가 형성되는 메인덕트; 및 상기 메인덕트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디퓨저를 포함하며, 상기 디퓨저는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개구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메인덕트는 상기 복수의 토출유닛이 복수로 연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양단에 각각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퓨저는 일부분에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부 및 나머지 부분에 상기 개구와 연통하는 연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폐쇄부 및 상기 연통부는 상기 디퓨저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통부는 상이한 면적을 갖는 적어도 2 이상의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토출구는 상기 디퓨저의 양단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리브의 간격에 의해 면적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토출유닛의 디퓨저는 각각 상이한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토출유닛의 디퓨저의 크기는 상기 배출구로부터 멀어질수록 크기가 점차 큰 순서대로 배열되거나 점차 작은 순서대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부는 타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는, 적어도 하나의 개폐구멍을 가지는 케이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폐구멍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셔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부는 상기 배출구와 상기 토출부의 일단 사이에 연통가능하게 배치되는 어댑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어댑터는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2 이상의 유로로 분리하며, 상기 토출부는 각 유로에 연결되도록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 또는 측면에 적어도 1 이상 형성되며, 상기 토출부는 상기 배출구와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토출유닛은 내측에 배치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습도 조절을 위한 가습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습유닛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급수부; 상기 본체부 내에 배치되어 상기 급수부에 공급된 물을 미세 물 입자로 변환하는 가습부; 및 상기 미세 물 입자를 분출하는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습부는 초음파방식, 가열방식 및 상기 초음파방식과 상기 가열방식을 함께 포함하는 복합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교환기 및 송풍팬을 구비하며,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열 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본체부; 및 적어도 2 이상이 일렬로 분리 가능하게 연통되는 복수의 토출유닛으로 이루어지는 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부의 적어도 하나의 토출유닛은 상기 본체부의 배출구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토출유닛은 공기의 토출유속 및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토출유닛은, 일주면에 개구를 가지는 메인덕트; 및 상기 메인덕트의 개구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며, 상기 개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설정하는 디퓨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덕트는 양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디퓨저는 상기 메인덕트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퓨저는 서로 다른 면적을 갖는 적어도 2 이상의 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복수의 토출유닛은 서로 다른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토출유닛 중 상기 본체부로부터 가장 먼 곳에 배치된 토출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토출유닛은 송풍원과 연통하며, 외주면에 개구가 형성되는 메인덕트; 및 상기 메인덕트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디퓨저;를 포함하며, 상기 디퓨저는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개구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로부터 토출부를 분리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토출부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표시된 A-A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디퓨저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덮개부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공기조화장치에서 토출부를 분리하고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장치(1)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기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첨부된 도면은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는 실내를 냉방 및 난방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부(100) 및 토출부(200)를 포함한다. 이러한 공기조화장치(1)는 전체적으로 화분과 화분에 식재된 나무의 형상과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친환경적인 심미감을 갖도록 해 줄 수 있다.
본체부(100)는 실내공기를 유입하여 열 교환시킨 후 토출부(200)로 배출한다. 이러한 본체부(100)는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본체부(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외면에 형성되는 유입구(111) 및 배출구(112)를 포함한다.
유입구(111)는 하우징(110)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실내공기를 본체부(100)의 내부로 유입하기 위한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유입구(11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장공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유입구(111)의 형상은 장공 형상 외에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구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구멍들은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배출구(112)는 하우징(110)의 상면에 형성되며, 열 교환된 공기를 토출부(200)로 배출한다. 이러한, 배출구(112)는 토출부(200)의 일단과 연통가능하게 결합한다.
또한, 유입구(111)는 하우징(110)의 측면에 형성되며, 배출구(112)는 하우징(110)의 상면에 각각 형성된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유입구(111) 및 배출구(112)는 각각 상면 및 측면들 중 임의의 어느 일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유입구(111)가 하우징(110)의 상면에 형성되고 배출구(112)가 하우징(110)의 측면에 형성되거나, 유입구(111)와 배출구(112)가 하우징(110)의 각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입구(111) 및 배출구(112)는 하우징(110)에 복수로 형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러한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열교환기(미도시) 및 송풍팬(미도시)이 구비된다.
열교환기는 유입구(111)로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 시킨다. 구체적으로, 여름에는 유입된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고, 겨울에는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여 방출한다. 열교환기는 유입구(111)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입구(111)가 복수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열교환기를 유입구(111)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풍팬은 열교환기에서 열 교환된 공기를 배출구(112)를 통해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한다. 따라서, 송풍팬은 배출구(112)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배출구(112)가 복수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배출구(112)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열교환기와 송풍팬은 하우징(110) 내에서의 전술한 배치와 반대로, 열교환기를 배출구(112)에 인접하게 배치하고, 송풍팬을 유입구(111)에 각각 배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술한 열교환기 및 송풍팬은 공지 기술에 속하는 것으로 각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의 본체부(100)는 가습유닛(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습유닛(130)은 실내가 건조한 경우 습도를 높여주며, 본체부(100)의 상단에 배출구(112)를 피해 배치된다. 다만, 가습유닛(13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부(100)에 구비되는 공기의 유로, 열교환기 및 송풍팬을 간섭하지 않는 곳이라면 본체부(110)의 어디든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습유닛(130)은 급수부(131), 가습부(132) 및 노즐(133)을 포함한다.
급수부(131)는 사용자가 가습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물을 공급하는 부분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100)의 상면에 대략 요입 형성되는데, 이러한 급수부(131)의 위치는 사용자가 마치 화분에 물을 주듯이 가습유닛(130)에 물을 공급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에게 심미적 효과를 줄 뿐만 아니라 사용 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가습부(132)는 급수부(131)에 급수된 물을 미세한 물 입자로 변환하여 실내로 분무 가능한 상태로 만든다. 본 실시예에서 가습부(132)는 본체부(100)의 상단에 배치되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본체부(100)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습부(132)는 초음파방식, 가열방식 및 초음파방식과 가열방식을 함께 포함하는 복합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가습부(132)는 공지의 기술에 속하는 것으로 각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노즐(133)은 가습부(132)에서 변환한 미세 물 입자를 실내로 배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노즐(133)이 본체부(100)의 상면에 배치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본체부(100)의 측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노즐(133)은 두 개의 가습구를 구비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셋 이상의 가습구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토출부(200)는 본체부(100)와 연통되는 상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때, 배출구(112) 및 토출부(200) 간의 결합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결합 및 해제할 수 있도록 배출구(112) 및 토출부(200)의 일단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결합할 수도 있고, 배출구(112)에 토출부(200)를 안착한 후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도 있으며, 배출구(112) 및 토출부(200) 상호 간 후크결합을 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술한 예에 제한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가 예상할 수 있는 결합방법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러한 토출부(200)는 복수의 토출유닛(210), 덮개부(261) 및 어댑터(271)를 포함하며, 본체부(100)에서부터 어댑터(271), 복수의 토출유닛(210) 및 덮개부(261) 순서로 연결된다.
토출유닛(210)은 배출구(112)를 통해 본체부(110)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며,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유속 및 토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토출유닛(210)을 원하는 높이만큼 추가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며, 하나의 토출유닛(210)만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토출유닛(210)은 메인덕트(220) 및 디퓨저(230)를 포함한다.
메인덕트(220)는 본체부(110)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흐르며, 외주면을 따라 디퓨저(230)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양단이 개방된 관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메인덕트(220)는 개구(221), 결합부(222) 및 안착부(223)를 포함한다.
개구(221)는 메인덕트(220)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메인덕트(220)의 내부에 흐르는 공기를 실내로 배출할 수 있도록 디퓨저(230)와 선택적으로 연통한다. 본 실시예에서 개구(221)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나,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개구(221)는 후술할 연통구(242, 25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부(222)는 메인덕트(220)의 양 끝단에 형성되며, 복수의 토출유닛(210)이 연통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부(222)는 메인덕트(220)의 일단(222a)의 내주면 및 메인덕트(220)의 타단(222b)의 외주면이 면 접촉하면서 끼워지는 결합이 되도록 형성된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결합부(222)는 일단(222a)이 타단(222b)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도록 하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성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결합부(222)에 의해 복수의 토출유닛(210)에 포함되는 메인덕트(220)들은 개별적인 회전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는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안착부(223)는 디퓨저(230)가 메인덕트(22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도록 디퓨저(230)를 받쳐준다. 본 실시예에서 안착부(223)는 메인덕트(220)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디퓨저(230)의 내주면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메인덕트(220)의 외주면에 홈을 형성하여 위치고정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디퓨저(230)는 메인덕트(220)보다 낮은 높이의 원기둥 형상을 가지며, 내주면이 메인덕트(220)의 외주면과 면 접촉하며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이러한 디퓨저(230)는 메인덕트(22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며 개구(221)와 선택적으로 만나는 폐쇄부(231), 연통부(240)를 포함한다.
폐쇄부(231)는 개구(221)를 막기 위한 차단판(232)을 포함한다. 차단판(232)은 디퓨저(230)의 내주면을 따라 개구(221)의 면적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폐쇄부(231)가 개구(221)와 만나면 개구(221)는 막히게 되고, 실내로의 공기배출은 차단된다.
연통부(240)는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상이하게 형성하는 저속부(241) 및 고속부(251)를 포함한다.
저속부(241)는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느리게 형성하여, 사용자가 간접적으로 냉난방 공기를 느낄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저속부(241)는 제1 연통구(242), 제1 가이드리브(243a), 제2 가이드리브(243b) 및 제1 토출구(244)를 포함한다.
제1 연통구(242)는 개구(221)와 연통하도록 디퓨저(230)의 내주면을 따라 개구(221)의 면적 및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저속부(241)가 개구(221)와 만나면, 개구(221)는 개방되어 실내로의 공기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제1 가이드리브(243a) 및 제2 가이드리브(243b)는 제1 연통구(24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제1 토출구(244)를 향하도록 공기의 유로를 형성한다. 이때, 저속부(241)의 경우에는 제1 가이드리브(243a) 및 제2 가이드리브(243b)의 간격은 제1 연통구(242)에서 제1 토출구(244)로 갈수록 일정하게 유지되어, 후술할 고속부(251)에 비해 넓은 면적의 제1 토출구(244)를 형성하게 된다.
제1 토출구(244)는 디퓨저(230)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공기를 실내로 배출한다. 이러한 제1 토출구(244)의 토출면적은 상술한 제1 가이드리브(243a) 및 제2 가이드리브(243b)에 의해 설정된다. 이러한 저속부(241)의 제1 토출구(244)는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므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은 상대적으로 느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저속부(241)를 통해 냉난방을 하는 경우, 실내를 은은하게 냉난방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고속부(251)는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빠르게 형성하여,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냉난방 공기를 느낄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고속부(251)는 제2 연통구(252), 제3 가이드리브(253a) 제4 가이드리브(253b) 및 제2 토출구(254)를 포함한다.
제2 연통구(252)는 제1 연통구(242)와 마찬가지로 개구(221)와 연통하도록 디퓨저(230)의 내주면을 따라 개구(221)의 면적 및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고속부(251)가 개구(221)와 만나면, 개구(221)는 개방되어 실내로의 공기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제3 가이드리브(253a) 및 제4 가이드리브(253b)는 제2 연통구(25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제2 토출구(254)를 향하도록 공기의 유로를 형성한다. 이때, 고속부(251)의 경우에는 제3 가이드리브(253a) 및 제4 가이드리브(253b)의 간격은 제2 연통구(252)에서 제2 토출구(254)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 토출구(254)의 면적은 제1 토출구(244)의 면적에 비해 좁은 면적을 가지게 된다.
제2 토출구(254)는 디퓨저(230)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공기를 실내로 배출한다. 이러한 제2 토출구(254)의 토출면적은 상술한 제3 가이드리브(253a) 및 제4 가이드리브(253b)에 의해 설정된다. 이러한 고속부(251)의 제2 토출구(254)는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으로 형성되므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은 상대적으로 빠르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고속부(251)를 통해 냉난방을 하는 경우, 특정 지역을 집중하여 우선 냉난방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공기의 유량이 일정한 경우에는 면적이 좁아질수록 유속이 상승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토출구의 면적을 다르게 형성함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는 송풍팬이 동일한 구동력으로 회전하더라도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는 이러한 폐쇄부(231), 저속부(241) 및 고속부(251)를 디퓨저(230)의 원주를 따라 구분되도록 형성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세 가지 다른 모드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폐쇄부(231), 저속부(241) 및 고속부(251)가 디퓨저(230)의 원주를 대략 120°씩 균등하게 점유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구(221)도 각 모드가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도록 120°만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디퓨저(230)는 세 가지 다른 모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더욱 다양하게 설정하기 위해서는 연통부(240)를 세 부분 이상으로 구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단순히 디퓨저(230)를 180°로 나누어 폐쇄부(231) 및 연통부(240) 만으로 나누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개구(221)도 폐쇄부(231) 및 연통부(240)가 형성되어 구획되는 구간에 대응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퓨저(230)는 내주면 중 폐쇄부(231) 및 연통부(240)의 경계부분에 돌출형성된 고정부(28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는 메인덕트(220)의 외주면에 디퓨저(230)의 회전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홈(224)과 결합하여 메인덕트(220) 상을 회전하는 디퓨저(230)가 상술한 모드들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회전하는 디퓨저(230)를 어느 하나의 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구조라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또한, 복수의 토출유닛(210)에 포함되는 디퓨저들(230)은 각각 상이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도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퓨저(230)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공기조화장치(1)로부터 가까운 곳으로 공기를 배출하기 적합하며, 디퓨저(230)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공기조화장치(1)로부터 먼 곳으로 공기를 배출하기 적합하다.
아울러, 도 5를 참조하면, 디퓨저(230)의 연통구(242)에는 필터(291)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291)는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실내공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또한, 필터(291)는 상술한 위치에 제한되지 않고, 토출구(244)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메인덕트(220)의 개구(221)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5에서는 저속부(241)에만 필터(291)를 배치하였지만, 고속부(251)에 배치하거나 또는 저속부(241) 및 고속부(251) 모두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덮개부(261)는 적층된 복수의 토출유닛(210) 중 마지막 토출유닛(210)의 메인덕트(220)의 타단(222b)에 배치된다. 이러한 덮개부(261)는 송풍팬에 의해 본체부(100)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토출부(200)의 상단으로 배출되지 않고, 복수의 토출유닛(210)에 각각 형성된 개구(221)로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를 가이드 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덮개부(261)는 케이스(262) 및 셔터부(263)를 포함한다.
케이스(262)는 덮개부(261)의 외관을 형성하며, 메인덕트(220)의 타단(220b)과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26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연결부(264)의 내주면이 메인덕트(220)의 타단(220b)의 외주면과 면 접촉하며 연결된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덮개부(261)를 메인덕트(22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구조라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또한, 셔터부(263)가 배치되는 케이스(262)의 일면에는 셔터부(263)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1 개폐구멍(265)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개폐구멍(265)은 셔터부(263)의 구동에 의해 제2 개폐구멍(266)과 선택적으로 연통된다.
셔터부(263)는 케이스(262)의 일면에 힌지부(267)에 의해 힌지결합한다. 또한, 셔터부(263)의 일면에는 제1 개폐구멍(265)과 연통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 개폐구멍(266)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셔터부(263)는 힌지부(267)를 중심으로 케이스(262)의 상면을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회전에 의해 제1 개폐구멍(265)은 선택적으로 제2 개폐구멍(266)과 만나게 된다.
이러한 셔터부(263)에 의해 사용자는 토출부(200)를 흐르는 공기를 토출유닛(210)을 통해 실내로 배출할 수도 있으며, 이와 달리, 공기를 토출부(200)의 상측으로 배출하도록 설정하여 실내 전체를 은은하게 냉방할 수도 있게 한다.
어댑터(271)는 토출부(200)와 본체부(100)를 연통가능한 상태로 연결하기 위해, 일단(271a)은 배출구(112)에 연결되고, 타단(271b)은 복수의 토출유닛(210) 중 일 토출유닛(210)에 연결된다.
이러한 어댑터(271)는 단순히 메인덕트(220)와 같은 지름을 같은 원통 형상을 가질 수도 있지만, 더욱 다양한 기류를 형성하도록 하나의 본체부(100)에 두 개의 토출부(200)를 연결 가능하게 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덮개부(261) 및 어댑터(271)는 복수의 토출유닛(210)이 상호 결합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결합되도록 통일하여 복수의 토출유닛(210), 덮개부(261) 및 어댑터(271) 간 호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의 토출유닛(210), 덮개부(261) 및 어댑터(271)를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의 송풍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는 유입구(111)를 통해 본체부(100)의 내부로 실내공기가 유입된다. 유입된 실내공기는 열교환기를 통과하며 열 교환이 일어나고, 이후 배출구(112)를 통해 토출부(200)를 향해 흐른다.
토출부(200)로 유입된 공기는 어댑터(271)를 통과하여 복수의 토출유닛(210)을 순차적으로 흐르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실내를 은은하게 냉난방하는 것을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덮개부(261)를 개방하여 대부분의 공기가 덮개부(261)를 통해 공기조화장치(1)의 상측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복수의 토출유닛(210)을 통해 배출되는 바람을 원하는 경우에는 덮개부(261)를 폐쇄한다. 이에 따라, 토출부(200) 내부를 흐르는 공기는 복수의 토출유닛(210)의 각각의 토출구(244, 254)를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이때, 사용자는 각각의 토출유닛(210)의 개구(211)가 향하는 방향을 달리 하도록 각각의 토출유닛(210)을 개별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아랫부분에 배치되는 토출유닛(210)은 좌측으로, 윗부분에 배치되는 토출유닛(210)은 우측으로 공기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조작에 의해 사용자는 토출방향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디퓨저(230)를 메인덕트(220)에 대해 회전시켜, 개구(221)가 디퓨저(230)의 폐쇄부(231), 저속부(241) 및 고속부(251) 중 어느 부분과 만날지를 조작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자신이 있는 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 경우 개구(221)가 폐쇄부(231)와 만나도록 디퓨저(230)를 소정 각도 회전하여 개구(221)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은은한 바람을 원하는 경우 개구(221)가 저속부(241)와 만나도록 디퓨저(230)를 소정 각도 회전하여 개구(221)를 개방할 수도 있으며, 반대로 유속이 빠른 공기를 통해 직접적인 바람을 원하는 경우, 개구(221)가 고속부(251)와 만나도록 디퓨저(230)를 소정 각도 회전하여 개구(221)를 개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조작에 의해 사용자는 배출되는 공기의 토출유속 및 토출방향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메인덕트(220) 및 디퓨저(230)의 회전구동은 수동방식으로 구동될 수도 있으며, 자동방식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
또한, 디퓨저(230)의 연통부(240)는 개구(221)의 일부분만 개방하도록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와 달리, 세 가지 모드를 고정하는 고정부(281) 및 고정홈(224)을 이용하여 특정 위치에서만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본체부(100)의 상면에 형성된 급수부(131)에 물을 주듯이 급수를 하여, 가습유닛(130)을 통한 실내가습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2)를 설명한다. 제2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였으며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2)는 상이한 크기를 같은 디퓨저(230)를 포함하는 각각의 토출유닛(210)을 다르게 배치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각 토출유닛(210)의 디퓨저(230)의 크기가 배출구(112)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큰 순서대로 배열되는 반면, 제2 실시예에서는 이와 반대로 배출구(112)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작은 순서대로 배열된다. 이러한 배치에 따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2)는 공기를 낮게 멀리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원하는 대로 토출유닛(210)을 배치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가운데에 배치되는 디퓨저(230)의 크기가 가장 크도록 배치할 수도 있으며, 디퓨저(230)의 크기에 상관없이 임의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3)를 설명한다. 제3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였으며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3)는 배출구(112)에서 배출된 공기의 유로를 두 개의 유로로 분리하는 어댑터(272)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어댑터(272)의 일단(272a)에는 배출구(112)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어댑터(272)의 두 개의 타단(272b)에는 각각 토출부(200)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3)는 두 개의 토출부(200)를 구비하게 되어 더욱 다양한 기류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배출구(112) 및 토출유닛(210)의 지름을 통일하여, 사용자가 어댑터(272)만 새로 구입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에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3)와 같은 형태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유로로 분리하였지만, 3 이상의 유로로 분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4)를 설명한다. 제4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였으며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4)는 배출구(112)가 본체부(100)의 양 측면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유입구(111)는 본체부(100)의 상면, 하면, 전면 및 후면 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배출구(112)에는 각각 토출부(200)가 본체부(100)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배출구(112)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하나의 배출구(112)만이 형성되어 일측면에만 토출부(200)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으며, 세 개 이상의 배출구(112)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토출부(200)의 무게를 고려하여 본체부(100)를 중심으로 대칭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송풍팬은 배출구(112)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각 배출구(112)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복수의 배출구(112)를 구비한 경우, 송풍용량이 더 큰 송풍팬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4)는 냉난방 하려는 장소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5)를 설명한다. 제5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였으며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5)는 제4 실시예에서와 같이 배출구(112)가 양 측면에 배치된다. 다만, 토출부(200)를 본체부(10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하기 위한 'ㄴ'형상의 어댑터(273)를 구비한다.
어댑터(273)의 일단(273a)은 본체부(10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출구(112)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273b)은 본체부(100)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토출유닛(210)과 연통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5)는 토출부(200)가 하나인 실시예들에 비해 더욱 다양한 토출기류를 형성할 수 있게 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6)를 설명한다. 제6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였으며,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6)는 상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열교환 용량이 더 큰 본체부(3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체부(300)의 상면에는 제1 배출구(312a) 및 제2 배출구(312b)가 비스듬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는 토출부(200)를 각각 연결하였을 때, 디퓨저(230)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 배출구(312a) 및 제2 배출구(312b) 간의 거리를 최대한 멀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1 배출구(312a) 및 제2 배출구(312b)에는 각각 토출부(200)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토출부(200)가 하나인 실시예들에 비해 다양한 토출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300)의 상면에는 제1 실시예에 비해 더 큰 급수부(331)가 구비되어 가습유닛(330)에 물을 채워넣어야 하는 횟수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6)는 냉난방이 필요한 공간의 면적이 넓은 경우, 대형 공기조화장치로써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토출유닛(210)은 상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것이므로 제품의 호환성 측면에서 유리한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복수의 토출유닛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토출유속 및 토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토출유닛만 상이한 디자인을 가진 것으로 교체하여 새로운 공기조화장치를 구매한 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게 한다.
또한, 공기조화장치의 전체적인 디자인을 화분에 식재된 나무와 같이 제작하여 사용자에게 친환경적인 느낌을 부여해 심미적인 효과도 부여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본체부 200; 토출부
210; 토출유닛 220; 메인덕트
230; 디퓨저 261; 덮개부
271, 272; 어댑터

Claims (28)

  1. 내부에 열교환기 및 송풍팬을 구비하며, 외면에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열 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일단이 상기 배출구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부는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유속 및 토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복수의 토출유닛이 연통된 상태로 연결되어 모듈화되고,
    상기 복수의 토출유닛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며,
    상기 복수의 토출유닛 각각은,
    상기 본체부와 상하 방향으로 연통하며, 외주면에 개구가 형성되는 메인덕트; 및
    상기 메인덕트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디퓨저;를 포함하며,
    상기 디퓨저는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개구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공기조화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덕트는 상기 복수의 토출유닛이 복수로 연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양단에 각각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는 일부분에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부 및 나머지 부분에 상기 개구와 연통하는 연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폐쇄부 및 상기 연통부는 상기 디퓨저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상이한 면적을 갖는 적어도 2 이상의 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토출구는 상기 디퓨저의 양단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리브의 간격에 의해 면적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토출유닛의 디퓨저는 각각 상이한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토출유닛의 디퓨저의 크기는 상기 배출구로부터 멀어질수록 크기가 점차 큰 순서대로 배열되거나 점차 작은 순서대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타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적어도 하나의 개폐구멍을 가지는 케이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폐구멍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셔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는 상기 배출구와 상기 토출부의 일단 사이에 연통가능하게 배치되는 어댑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2 이상의 유로로 분리하며,
    상기 토출부는 각 유로에 연결되도록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 또는 측면에 적어도 1 이상 형성되며,
    상기 토출부는 상기 배출구와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유닛은 내측에 배치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습도 조절을 위한 가습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습유닛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급수부;
    상기 본체부 내에 배치되어 상기 급수부에 공급된 물을 미세 물 입자로 변환하는 가습부; 및
    상기 미세 물 입자를 분출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부는 초음파방식, 가열방식 및 상기 초음파방식과 상기 가열방식을 함께 포함하는 복합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7. 열교환기 및 송풍팬을 구비하며,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열 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는 본체부; 및
    적어도 2 이상이 일렬로 분리 가능하게 연통되는 복수의 토출유닛으로 이루어지는 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토출부의 적어도 하나의 토출유닛은 상기 본체부의 배출구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토출유닛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며,
    상기 복수의 토출유닛 각각은,
    상기 본체부와 상하 방향으로 연통하며, 외주면에 개구가 형성되는 메인덕트; 및
    상기 메인덕트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디퓨저;를 포함하며,
    상기 디퓨저는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개구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여, 공기의 토출유속 및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공기조화장치.
  18. 삭제
  19. 삭제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덕트는 양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디퓨저는 상기 메인덕트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는 서로 다른 면적을 갖는 적어도 2 이상의 토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토출유닛은 서로 다른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토출유닛 중 상기 본체부로부터 가장 먼 곳에 배치된 토출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24. 송풍원과 상하 방향으로 연통하며, 외주면에 개구가 형성되는 메인덕트; 및
    상기 메인덕트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디퓨저;를 포함하며,
    상기 디퓨저는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개구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며,
    다른 토출유닛과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도록 결합 가능한, 토출유닛.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덕트는 복수로 연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양단에 각각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유닛.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저는 일부분에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부 및 나머지 부분에 상기 개구와 연통하는 연통부를 포함하며,
    상기 폐쇄부 및 상기 연통부는 상기 디퓨저의 원주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유닛.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는 상이한 면적을 갖는 적어도 2 이상의 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유닛.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토출구는 상기 디퓨저의 양단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가이드리브의 간격에 의해 면적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유닛.
KR1020140167406A 2014-11-27 2014-11-27 토출유닛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 KR102296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406A KR102296837B1 (ko) 2014-11-27 2014-11-27 토출유닛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
EP15188637.1A EP3026353B1 (en) 2014-11-27 2015-10-06 Discharging unit and air conditioning equipment having the same
US14/923,224 US10113753B2 (en) 2014-11-27 2015-10-26 Discharging unit and air conditioning equipment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406A KR102296837B1 (ko) 2014-11-27 2014-11-27 토출유닛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738A KR20160063738A (ko) 2016-06-07
KR102296837B1 true KR102296837B1 (ko) 2021-09-01

Family

ID=54266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406A KR102296837B1 (ko) 2014-11-27 2014-11-27 토출유닛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113753B2 (ko)
EP (1) EP3026353B1 (ko)
KR (1) KR1022968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135B1 (ko) * 2015-06-10 2017-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포터블 공기조화기
KR102560978B1 (ko) * 2016-10-24 2023-07-28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겸용 공기청정기
CN106288018A (zh) * 2016-10-31 2017-01-04 梅立功 一种模块化的室内空气净化装置
CN109595700B (zh) * 2018-11-15 2020-01-14 浙江欧伦电气有限公司 一种可调角度型减震除湿机
CN110160221B (zh) * 2019-04-19 2022-07-1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送风装置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
CN110736138B (zh) * 2019-09-27 2021-10-2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空调及其控制方法
CN113669826A (zh) * 2021-07-16 2021-11-19 安徽品冠空气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室内通风的新风设备
KR20240029928A (ko) * 2022-08-29 2024-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필터조립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859B1 (ko) * 2009-07-16 2010-02-24 주식회사 태화공조 풍량조절구가 구비된 바닥 공조용 취출구
JP2014035107A (ja) * 2012-08-08 2014-02-24 Hitachi Ltd 送気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08634A (en) * 1965-12-22 1967-03-14 Herman M Smith Built in wall air conditioner casing and air conditioner combination
US4326452A (en) * 1977-10-24 1982-04-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Fluid diverting assembly
JPS5885045A (ja) * 1981-11-13 1983-05-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装置
DE68902687T2 (de) * 1988-06-03 1993-04-01 Ponant Ind Befeuchter fuer eine klimaanlage.
JPH0635851U (ja) * 1992-10-13 1994-05-13 日立冷熱株式会社 フィルタ付局所冷房機
JP3637607B2 (ja) * 1994-10-06 2005-04-13 株式会社デンソー 空気調和装置
ID16934A (id) * 1996-05-22 1997-1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lat kontrol arah dan kecepatan alir udara yang dikeluarkan oleh mesin penyejuk udara dan metoda kerjanya
ITPD20030221A1 (it) * 2003-09-23 2005-03-24 Liebert Hiross Spa Struttura di serranda particolarmente per climatizzatori del tipo dotato dell'opzione di raffreddamento libero
EP1774226B1 (en) * 2004-06-29 2013-08-14 LG Electronics Inc. Indoor device of separable air conditioner
ITPD20110344A1 (it) * 2011-10-31 2013-05-01 Emerson Network Power Srl Modulo superiore di passaggio aria per macchine di climatizzazione industriale dotate di funzione di raffredamento mediante introduzione di aria esterna
GB2499582B (en) * 2012-02-17 2018-11-21 Flakt Woods Ltd Modular air movement apparatus
KR20140028192A (ko) 2012-08-24 2014-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621342B1 (ko) * 2014-09-12 2016-05-31 이선민 압력 부하의 변동없는 급기의 방향 조절이 이루어지는 공조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859B1 (ko) * 2009-07-16 2010-02-24 주식회사 태화공조 풍량조절구가 구비된 바닥 공조용 취출구
JP2014035107A (ja) * 2012-08-08 2014-02-24 Hitachi Ltd 送気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26353A2 (en) 2016-06-01
EP3026353B1 (en) 2019-05-15
US10113753B2 (en) 2018-10-30
EP3026353A3 (en) 2016-06-15
US20160153670A1 (en) 2016-06-02
KR20160063738A (ko) 201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6837B1 (ko) 토출유닛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장치
CN103604163B (zh) 立式空调
WO2021036405A1 (zh) 室内机、空调器及空调器控制的方法
KR20110018740A (ko) 공기 혼합형 에어컨
WO2021051895A1 (zh) 室内机、空调器及空调器控制的方法
KR102479048B1 (ko) 제습기
KR20160051093A (ko) 공기조화기
CN106152282B (zh) 空调器
CN108954619B (zh) 桌面空调
WO2022237170A1 (zh) 空调室内机及其控制方法
CN106287975B (zh) 空调柜机和空调柜机的出风控制方法
CN203395988U (zh) 立式空调
CN105258221A (zh) 空调内机
CN105444266B (zh) 空调室内机
KR20180111362A (ko) 공기조화기
CN207555772U (zh) 壁挂式空调室内机和具有其的空调器
WO2021036415A1 (zh) 室内机及具有其的空调器
CN109340908A (zh) 空调内机和空调器
CN106123265B (zh) 柜式空调室内机及混风方法
WO2023138087A1 (zh) 壁挂式空调室内机
WO2023197569A1 (zh) 立式空调室内机
CN107860059B (zh) 湿度调节器的转盘、湿度调节器及湿度调节器的控制方法
CN217031378U (zh) 空调器的室内机及空调器
CN206377750U (zh) 空调机组及其室内机
CN206626676U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