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6454A -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 - Google Patents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6454A
KR20220066454A KR1020200152484A KR20200152484A KR20220066454A KR 20220066454 A KR20220066454 A KR 20220066454A KR 1020200152484 A KR1020200152484 A KR 1020200152484A KR 20200152484 A KR20200152484 A KR 20200152484A KR 20220066454 A KR20220066454 A KR 20220066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upward
perforated
hole
humid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2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0340B1 (ko
Inventor
박주성
Original Assignee
박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성 filed Critical 박주성
Priority to KR1020200152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340B1/ko
Publication of KR20220066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6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with water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용량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물롱이 본체 및 토출부재의 하측에 구비되어 물통에 수용된 정수를 상향으로 업그레이드하여 상측에서 수증기를 토출하는 방식으로서 물통에 정수를 수용시 기존과 달리 안정적으로 수용 가능하며 수증기의 토출이 상측에서 이루어짐으로서 외부 공간 즉, 실내 공간 전체에 가습역할을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수행가능하도록 한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 일측에 토출공(100)이 하나 이상 천공된 토출부재(10); 상기 토출부재(10)가 착탈 가능하도록 중앙에 삽입공(200)이 천공된 커버체(20); 수증기를 토출공(100)으로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토출 가능하도록 구비된 토출유도부재(30); 상기 토출유도부재(30)가 착탈 가능하도록 수용공간(40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용공간(400) 바닥면 중앙을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외주면에 초음파 진동자(410)가 구비되어 있고 바닥면 일측에 물통(50)에 수용된 정수가 유입가능하도록 유입공(420)이 천공되어 있고 양측에 송풍수단부(430)가 구비된 본체(40); 상기 본체(40) 하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물통(50); 을 포함하는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를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High-capacity humidifier with upward discharge type}
본 발명은 대용량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물롱이 본체 및 토출부재의 하측에 구비되어 물통에 수용된 정수를 상향으로 업그레이드하여 상측에서 수증기를 토출하는 방식으로서 물통에 정수를 수용시 기존과 달리 안정적으로 수용 가능하며 수증기의 토출이 상측에서 이루어짐으로서 외부 공간 즉, 실내 공간 전체에 가습역할을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수행가능하도록 한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공중에 수분을 뿜어내는 장치로서, 쾌적한 실내 분위기를 유지하기 위한 적당한 실내습도는 60% 정도다.
한편, 통상적인 가습 방식에는 전열식, 원심식, 초음파 발생식 등 여러 종류가 있으나, 전열식은 저장된 물을 열로 데워 수증기를 발생시킴으로 가열시간에 해당하는 시간지연이 발생되어 가습효과가 떨어지며, 원심식에 의한 가습기는 전원을 넣는 순간 즉시 수증기가 발생됨으로 가습효과는 빠르나 입자가 크기 때문에 끈적거리는 느낌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해, 초음파에 의한 가습기는 조작이 간단하고 가습효과가 빠르며, 입자의 크기가 작아 시원한 느낌이 드는 등의 장점이 있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초음파 가습기의 동작원리는 전자회로에서 만들어진 초음파 신호를 진동자(압전 세라믹스)에 가함으로써 진동을 만들고 초음파를 발생시킨다.
상기 진동자를 얕은 물의 밑바닥면에 설치하면 진동의 효과로 물의 미립자가 튀어나가게 되며 이러한 원리로 수증기가 공기중에 뿜어져 습도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은 초음파 진동자를 이용한 가습기는 종래에 많이 출원된 상태로서, 종래의 가습기는 일단은 대부분이 소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수증기를 온전히 초음파 진동자의 진동효과만으로 이루어져 있어 토출되는 수증기의 량이 실내 공간이 큰 사무실이나 거실 등에서는 미량으로서 가습의 효과를 제대로 발휘할 수 없으며,
보통 물탱크가 본체에 안착 분리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물탱크의 물을 교체시 사용자가 물탱크를 본체로 부터 탈락하여 일정 장소로 이동후 물을 수용한 후 다시 본체에 체결하는 방식으로서 그 번거로움과 특히 노약자가 이와 같이 무게가 있는 물탱크를 운반함에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배제할 수 없고,
더 나아가서, 토출구가 일정한 형상을 이룸으로서 토출되는 수증기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가습기 자체를 이동하거나 위치를 변경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추가적으로 종래의 가습기는 단순히 가습기의 역할이외에는 특별한 역할 기능을 수행치 아니하며 물탱크에 수용된 물이 장기간 수용시 물의 오염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오염된 수증기의 토출로 인한 실내 공기의 오염의 문제점과 더불어 수용된 물을 장기간 수용시 발생된 이물질의 제거나 또는 정화의 기능을 저혀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오히려 건강에 유익하여야 할 가습기의 역할이 퇴색되거나 역효과를 발생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447569호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455952호 한국특허등록 제10-1180598호 한국특허등록 제10-1381948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우선 대용량으로 거실이나 사무실 등 비교적 큰 공간 전체에 수증기가 고르게 토출토록 하여 실내의 가습효과를 골고루 전체적으로 향상시키고 그 효율성을 높이는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고,
물통이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고 수증기의 토출부재가 상부에 구비됨으로서 하부에 구비된 물통에 수용된 정수를 상측으로 업그레이드하여 토출부재를 통해 토출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실내 공간 전체에 고르게 가습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한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이 있고,
물통에 수용된 정수가 장기간 수용됨에 따른 오염 또는 이물질 발생에 따른 토출된 수증기로 인한 실내 공간의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이 있고,
토출부재의 다양성으로 인해 실내 공간 어느 곳이나 고르게 수증기가 토출 가능하도록 하여 실내 전체에 가습역할을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수행가능하도록 한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이 있고,
물통에 정수를 수용시 본체와 분리를 하되 별도로 물통을 운반 또는 이동함에 있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함으로서 노약자나 여성등이 손쉽고 편리하게 물통에 정수를 수용 가능하도록 하여 물통만 이동 및 운반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은,
"상면 일측에 토출공(100)이 하나 이상 천공된 토출부재(10); 상기 토출부재(10)가 착탈 가능하도록 중앙에 삽입공(200)이 천공된 커버체(20); 수증기를 토출공(100)으로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토출 가능하도록 구비된 토출유도부재(30); 상기 토출유도부재(30)가 착탈 가능하도록 수용공간(40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용공간(400) 바닥면 중앙을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외주면에 초음파 진동자(410)가 구비되어 있고 바닥면 일측에 물통(50)에 수용된 정수가 유입가능하도록 유입공(420)이 천공되어 있고 양측에 송풍수단부(430)가 구비된 본체(40); 상기 본체(40) 하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물통(50); 을 포함하는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와,
상기 토출부재(10)는,
상기 삽입공(200)에 착탈 가능하도록 중공상태의 몸체(110); 상기 몸체(110)와 일체로 구비된 것으로 일측으로 연장되어 끝단에 제1 토출공(121)이 천공된 메인 토출구(120); 상기 메인 토출구(120)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일측으로 연장되어 끝단에 제2 토출공(131)이 천공된 보조 토출구(130); 를 포함하는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와,
상기 토출부재(10)는,
상기 삽입공(200)에 착탈 가능하도록 중공상태의 몸체(110); 상기 몸체(110) 상부에 외주면으로 확개된 외통체(140); 상기 외통체(140) 내측에는 상기 삽입공(200)과 소통되는 제3 토출공(151)이 수직으로 천공된 내통체(150); 를 포함하는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와,
상기 토출부재(10)는,
상기 삽입공(200)에 착탈 가능하도록 중공상태의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상부 사방으로 중공상태의 분기관(160); 상기 분기관(160)마다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상태의 토출관(170); 을 포함하는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와,
상기 토출유도부재(30)는,
중앙에는 상기 삽입공(200)과 소통되는 배출공(300); 상기 배출공(300) 양측에는 저면이 개구되고 상면은 연장된 상태에서 폐쇄되어 상기 송풍수단부(310)가 체결되는 체결홈(320);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통공(331)이 천공된 상태에서 사각 모서리 내측으로 각각 구비되되 상기 초음파 진동자(410)와 이격되어 구비된 진동소통공(330); 을 포함하는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와,
상기 본체(40) 바닥면 중앙에는 램프(401)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수위조절센서(402)가 구비되며 상기 수위조절센서(402)와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물통(50)과 소통가능하도록 개구된 상태에서 오버플로우판(403)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40)의 외주면 양측에는 투광판(404)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투광판(404)의 상측에는 손잡이(405)가 구비되며 반대 외주면에는 디스플레이부(40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와,
상기 송풍수단부(310)는 상기 본체(40) 바닥면에 개구된 상태에서 끝단에는 팬(311)이 구비된 관 형상으로 상측면 소정의 위치에 송풍공(312)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와,
상기 유입공(420)에는 배관(421)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배관(421) 끝단에는 모터펌프(422)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펌프(422)의 타단에는 상기 물통(50) 내부로 관통하는 펌핑관(423)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펌핑관(423) 끝단에는 내부에 이물질 흡착용 돌이 다수개 구비되어 있는 걸름망(44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와,
상기 물통(50)의 외주면 소정의 위치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정수 수용표시창(500)이 구비되어 있고 바닥면에는 호차(50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를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대용량임과 동시에 물통이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고 수증기의 토출부재가 상부에 구비됨으로서 하부에 구비된 물통에 수용된 정수를 상측으로 업그레이드하여 토출부재를 통해 토출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거실이나 사무실 등 비교적 큰 공간 전체에 수증기가 고르게 토출토록 하여 실내의 가습효과를 골고루 전체적으로 향상시키고 그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하며, 물통에 수용된 정수가 장기간 수용됨에 따른 오염 또는 이물질 발생에 따른 토출된 수증기로 인한 실내 공간의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토출부재의 다양성으로 인해 실내 공간 어느 곳이나 고르게 수증기가 토출 가능하도록 하여 실내 전체에 가습역할을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수행가능하도록 하고, 물통에 정수를 수용시 본체와 분리를 하되 별도로 물통을 운반 또는 이동함에 있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함으로서 노약자나 여성등이 손쉽고 편리하게 물통에 정수를 수용 가능하도록 하여 물통만 이동 및 운반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에서 토출부재와 커버체 및 본체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에서 토출유도부재와 본체이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에서 토출유도부재를 저면에서 본 저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의 결합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에서 물통으로 부터 정수가 본체로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의 작동 상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인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에서 토출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및 확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인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에서 토출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및 확대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인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에서 토출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및 확대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인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에서 토출부재와 커버체 및 본체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에서 토출유도부재와 본체이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에서 토출유도부재를 저면에서 본 저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에서 물통으로 부터 정수가 본체로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의 작동 상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인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에서 토출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및 확대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인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에서 토출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및 확대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인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에서 토출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및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본 발명은 크게 토출부재(10), 커버체(20), 토출유도부재(30), 본체(40), 물통(50)으로 나눌 수 있는 바,
우선 상기 토출부재(1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일측에 토출공(100)이 하나 이상 천공된 구조이며, 이와 같은 구조가 본 발명의 토출부재(10)의 기본형이라 볼 수 있으며,
한편, 상기 커버체(2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으로서 상기 토출부재(10)가 착탈 가능하도록 중앙에 삽입공(200)이 천공된 구조이다.
상기 커버체(20)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40)으로 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일측에 돌출된 연장 돌부 또는 연장 돌출부가 구비되더라도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상기 토출부재(10)를 계속하여 설명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부재(10)은 상기 삽입공(200)에 착탈 가능하도록 중공상태의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와 일체로 구비된 것으로 일측으로 연장되어 끝단에 제1 토출공(121)이 천공된 메인 토출구(120)와 상기 메인 토출구(120)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일측으로 연장되어 끝단에 제2 토출공(131)이 천공된 보조 토출구(130)로 구성된 다른 실시예의 토출부재(10)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토출구(130)가 메인 토출구(120)를 축으로 360도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제1 토출공(121)과 다른 방향으로 제2 토출공(131)을 통해 수증기가 토출 가능하도록 하여 사방에 골고루 수증기의 토출을 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부재(10)는 상기 삽입공(200)에 착탈 가능하도록 중공상태의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 상부에 외주면으로 확개된 외통체(140)와 상기 외통체(140) 내측에는 상기 삽입공(200)과 소통되는 제3 토출공(151)이 수직으로 천공된 내통체(150)로 구성된 구조도 본 발명에 속하며,
더 나아가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출부재(10)는 상기 삽입공(200)에 착탈 가능하도록 중공상태의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상부 사방으로 중공상태의 분기관(160)과 상기 분기관(160)마다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상태의 토출관(170)으로 구성되어 사방으로 수증기의 분사 또는 분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토출유도부재(3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증기를 토출공(100)으로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토출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으로서,
중앙에는 상기 삽입공(200)과 소통되는 배출공(300)이 구비되며 상기 배출공(300) 양측에는 저면이 개구되고 상면은 연장된 상태에서 폐쇄되어 상기 송풍수단부(310)가 체결되는 체결홈(320)이 형성되어 있고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통공(331)이 천공된 상태에서 사각 모서리 내측으로 각각 구비되되 상기 초음파 진동자(410)와 이격되어 구비된 진동소통공(330)이 형성된 구조이다.
다음 도 2 내지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40)은 상기 토출유도부재(30)가 착탈 가능하도록 수용공간(40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용공간(400) 바닥면 중앙을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외주면에 초음파 진동자(410)가 구비되어 있고 바닥면 일측에 물통(50)에 수용된 정수가 유입가능하도록 유입공(420)이 천공되어 있고 양측에 송풍수단부(430)가 구비된 것이며,
상기 송풍수단부(310)는 상기 본체(40) 바닥면에 개구된 상태에서 끝단에는 팬(311)이 구비된 관 형상으로 상측면 소정의 위치에 송풍공(312)이 천공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유입공(420)에는 배관(421)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배관(421) 끝단에는 모터펌프(422)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펌프(422)의 타단에는 상기 물통(50) 내부로 관통하는 펌핑관(423)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펌핑관(423) 끝단에는 내부에 이물질 흡착용 돌이 다수개 구비되어 있는 걸름망(44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40) 바닥면 중앙에는 램프(401)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수위조절센서(402)가 구비되며 상기 수위조절센서(402)와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물통(50)과 소통가능하도록 개구된 상태에서 오버플로우판(403)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40)의 외주면 양측에는 투광판(404)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투광판(404)의 상측에는 손잡이(405)가 구비되며 반대 외주면에는 디스플레이부(40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다음, 상기 물통(5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40) 하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물통(50)의 외주면 소정의 위치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정수 수용표시창(500)이 구비되어 있고 바닥면에는 호차(501)이 형성되어 있어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50)에 정수를 정수 수용표시창(500)을 통해 적정량을 수납한 상태에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406)에서 조작하여 작동하면 모터펌프(422)가 물통(50) 수용된 정수를 펌핑관(423)을 통해 펌핑하되 이때 걸름망(440)에 수납된 흡착용 돌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 흡착된 상태에서 오로지 정수만이 펌핑관(423)을 통해 상기 배관(421)을 거쳐 본체(40) 바닥면에 구비된 유입공(420)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유입된 정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판 진동자(410)의 진동 효과로 정수 즉, 물의 미립자가 튀어나가게 되며 이와 같이 튕겨진 정수 미립자는 상기 토출유도부재(30)의 통공(331) 특히 진동소통공(330)을 통해 토출유도부재(30) 내부로 유입되고 이와 같이 유입된 정수 미립자는 팬(311)을 통해 발생된 바람이 송풍공(312)을 통해 상기 토출유도부재(30)으로 유입되어 상기 정수 미립자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부재(10)의 토출공(100), 제1 내지 제 3 토출공((121, 131, 151)로 수증기가 공기중에 뿜어져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때, 램프(401)에서 발산되는 빛은 투광판(404)을 통해 본체(40) 외부로 투광되어 무드등의 역할도 수행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유입공(420)을 통해 본체(40) 바닥면에 유입된 정수의 량의 수위를 상기 디스플레이부(406)로 표출 가능하도록 수위조절센서(402)가 구비된 것이며 수위가 높을 경우 자연스럽게 오버플로우 가능하도록 상기 오버플로우판(403)이 구비되어 상기 오버플로우판(403)을 넘은 정수는 상기 물통(50)으로 재 유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 및 작용에 의한 본 발명은,
대용량임과 동시에 물통이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고 수증기의 토출부재가 상부에 구비됨으로서 하부에 구비된 물통에 수용된 정수를 상측으로 업그레이드하여 토출부재를 통해 토출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거실이나 사무실 등 비교적 큰 공간 전체에 수증기가 고르게 토출토록 하여 실내의 가습효과를 골고루 전체적으로 향상시키고 그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를 발휘하며, 물통에 수용된 정수가 장기간 수용됨에 따른 오염 또는 이물질 발생에 따른 토출된 수증기로 인한 실내 공간의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토출부재의 다양성으로 인해 실내 공간 어느 곳이나 고르게 수증기가 토출 가능하도록 하여 실내 전체에 가습역할을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수행가능하도록 하고, 물통에 정수를 수용시 본체와 분리를 하되 별도로 물통을 운반 또는 이동함에 있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함으로서 노약자나 여성등이 손쉽고 편리하게 물통에 정수를 수용 가능하도록 하여 물통만 이동 및 운반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10 : 토출부재 20 : 커버체
30 : 토출유도부재 40 : 본체
50 : 물통 100 : 토출공
110 : 몸체 120 : 메인 토출구
121 : 제1 토출공 130 : 보조 토출구
131 : 제2 토출공 140 : 외통체
150 : 내통체 151 : 제3 토출공
160 : 분기관 170 : 토출관
200 : 삽입공 300 : 배출공
310 : 송풍수단부 311 : 팬
312 : 송풍공 320 : 체결홈
330 : 진동소통공 331 : 통공
400 : 수용공간 401 : 램프
402 : 수위조절센서 403 : 오버플로우판
404 : 투광판 405 : 손잡이
406 : 디스플레이부 410 : 초음파 진동자
420 : 유입공 421 : 배관
422 : 모터펌프 423 : 펌핑관
440 : 걸름망 500 : 정수 수용표시창
501 : 호차

Claims (9)

  1. 상면 일측에 토출공(100)이 하나 이상 천공된 토출부재(10);
    상기 토출부재(10)가 착탈 가능하도록 중앙에 삽입공(200)이 천공된 커버체(20);
    수증기를 토출공(100)으로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토출 가능하도록 구비된 토출유도부재(30);
    상기 토출유도부재(30)가 착탈 가능하도록 수용공간(40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용공간(400) 바닥면 중앙을 기준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외주면에 초음파 진동자(410)가 구비되어 있고 바닥면 일측에 물통(50)에 수용된 정수가 유입가능하도록 유입공(420)이 천공되어 있고 양측에 송풍수단부(430)가 구비된 본체(40);
    상기 본체(40) 하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 물통(50);
    을 포함하는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재(10)는,
    상기 삽입공(200)에 착탈 가능하도록 중공상태의 몸체(110);
    상기 몸체(110)와 일체로 구비된 것으로 일측으로 연장되어 끝단에 제1 토출공(121)이 천공된 메인 토출구(120);
    상기 메인 토출구(120)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일측으로 연장되어 끝단에 제2 토출공(131)이 천공된 보조 토출구(130);
    를 포함하는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재(10)는,
    상기 삽입공(200)에 착탈 가능하도록 중공상태의 몸체(110);
    상기 몸체(110) 상부에 외주면으로 확개된 외통체(140);
    상기 외통체(140) 내측에는 상기 삽입공(200)과 소통되는 제3 토출공(151)이 수직으로 천공된 내통체(150);
    를 포함하는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재(10)는,
    상기 삽입공(200)에 착탈 가능하도록 중공상태의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상부 사방으로 중공상태의 분기관(160);
    상기 분기관(160)마다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상태의 토출관(170);
    을 포함하는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유도부재(30)는,
    중앙에는 상기 삽입공(200)과 소통되는 배출공(300);
    상기 배출공(300) 양측에는 저면이 개구되고 상면은 연장된 상태에서 폐쇄되어 상기 송풍수단부(310)가 체결되는 체결홈(320);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통공(331)이 천공된 상태에서 사각 모서리 내측으로 각각 구비되되 상기 초음파 진동자(410)와 이격되어 구비된 진동소통공(330);
    을 포함하는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40) 바닥면 중앙에는 램프(401)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수위조절센서(402)가 구비되며 상기 수위조절센서(402)와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물통(50)과 소통가능하도록 개구된 상태에서 오버플로우판(403)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40)의 외주면 양측에는 투광판(404)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투광판(404)의 상측에는 손잡이(405)가 구비되며 반대 외주면에는 디스플레이부(406)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수단부(310)는 상기 본체(40) 바닥면에 개구된 상태에서 끝단에는 팬(311)이 구비된 관 형상으로 상측면 소정의 위치에 송풍공(312)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공(420)에는 배관(421)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배관(421) 끝단에는 모터펌프(422)가 구비되며 상기 모터펌프(422)의 타단에는 상기 물통(50) 내부로 관통하는 펌핑관(423)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펌핑관(423) 끝단에는 내부에 이물질 흡착용 돌이 다수개 구비되어 있는 걸름망(44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50)의 외주면 소정의 위치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정수 수용표시창(500)이 구비되어 있고 바닥면에는 호차(50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






KR1020200152484A 2020-11-16 2020-11-16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 KR102500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484A KR102500340B1 (ko) 2020-11-16 2020-11-16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2484A KR102500340B1 (ko) 2020-11-16 2020-11-16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6454A true KR20220066454A (ko) 2022-05-24
KR102500340B1 KR102500340B1 (ko) 2023-02-14

Family

ID=81806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2484A KR102500340B1 (ko) 2020-11-16 2020-11-16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3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02021A (zh) * 2022-09-30 2022-12-23 安徽华生机电集团有限公司 一种茶叶发酵机加湿发生器结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5832U (ko) * 1985-11-20 1987-06-01
JPH06183253A (ja) * 1992-12-21 1994-07-05 Iirudo Kinoshita:Kk 車載用加湿器
KR200447569Y1 (ko) 2008-03-26 2010-02-05 고예지 분리세척이 용이한 가습기
KR200455952Y1 (ko) 2011-05-06 2011-10-05 최연규 가습기
KR101180598B1 (ko) 2009-08-23 2012-09-06 안석환 분리형 초음파 가습기
KR101381948B1 (ko) 2013-09-13 2014-04-15 주식회사 디엠월드 가습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5832U (ko) * 1985-11-20 1987-06-01
JPH06183253A (ja) * 1992-12-21 1994-07-05 Iirudo Kinoshita:Kk 車載用加湿器
KR200447569Y1 (ko) 2008-03-26 2010-02-05 고예지 분리세척이 용이한 가습기
KR101180598B1 (ko) 2009-08-23 2012-09-06 안석환 분리형 초음파 가습기
KR200455952Y1 (ko) 2011-05-06 2011-10-05 최연규 가습기
KR101381948B1 (ko) 2013-09-13 2014-04-15 주식회사 디엠월드 가습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02021A (zh) * 2022-09-30 2022-12-23 安徽华生机电集团有限公司 一种茶叶发酵机加湿发生器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0340B1 (ko) 202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3142B2 (en) Personal portable humidifier-type air cleaner, and case and water tank thereof
CN113994153B (zh) 加湿净化器
KR200476833Y1 (ko) 공기정화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가습기
KR102560978B1 (ko) 가습겸용 공기청정기
KR20220066454A (ko) 상향 토출식 대용량 가습기
KR101916886B1 (ko) 가습기
JP2000505540A (ja) 空気の加湿・洗浄装置
KR101925667B1 (ko) 가습기능을 구비하는 습식 공기청정기
JP2000225310A (ja) 空気循環洗浄装置
JP2015206497A (ja) 空気清浄機
US6931755B1 (en) Dehumidifier as effected by moisture exchange
KR102128790B1 (ko) 동축반전팬을 구비한 초음파 가습기
KR20110128440A (ko) 공기 청정 가습기
KR0122400Y1 (ko) 공기청정기능이 구비된 자연증발식 가습기
KR20200137279A (ko) 적심필터형 공기청정기
JP2007040571A (ja) 加湿装置
JP3115357U (ja) 加湿装置
JP6487298B2 (ja) 便器の脱臭装置
CN111397056B (zh) 加湿器及加湿空气净化器
CN111735128B (zh) 一种加湿净化器
US10596292B2 (en) Compact aromatic diffuser and method of use
KR200291824Y1 (ko) 공기청정기
KR102458899B1 (ko) 가습기능이 구비된 자연식 공기 청정기
KR20210051764A (ko) 스마트 환기시스템
KR101574079B1 (ko) 송풍펜을 이용하여 가습량을 조절하는 부직포가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