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0666B1 - 방독면용 음료취수구 - Google Patents

방독면용 음료취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0666B1
KR101180666B1 KR1020100060984A KR20100060984A KR101180666B1 KR 101180666 B1 KR101180666 B1 KR 101180666B1 KR 1020100060984 A KR1020100060984 A KR 1020100060984A KR 20100060984 A KR20100060984 A KR 20100060984A KR 101180666 B1 KR101180666 B1 KR 101180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straw
intake pipe
drink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633A (ko
Inventor
지영만
Original Assignee
삼공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공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공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0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0666B1/ko
Publication of KR20120000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4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gasproof shelt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6Storage or supply of water for drinking purp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잠금장치가 구비된 방독면용 음료취수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방독면용 음료취수구는 수통과 체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한 취수관과, 방독면의 내부 설치되며 취수관과 연결되는 취수 빨대와, 취수관과 취수 빨대를 연결하며 취수관과 취수 빨대 사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잠금장치 및 연결부와 수통 사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잠금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독면용 음료취수구{Drink intake pipe for a gas mask}
본 발명은 음료취수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이중 잠금장치가 구비된 방독면용 음료취수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방독면의 음료취수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독면을 착용한 상태에서 음용하기 위한 음료취수구의 잠금장치를 보완하여 오염지역에서 음료 취수시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독면의 음료취수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독면은 전투부대가 화학작용제 오염지역에서 임무 수행시 오염공기를 정화하여 호흡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착용하는 것으로, 정면에는 호흡을 위한 공기배출통로 및 대화시 음성을 전달하는 음성진동배기판이 구성되며, 양측에는 각각 오염지역에서의 공기호흡이 가능하도록 정화통과 수통 내의 음료 취수를 위한 음료취수구가 구비된다.
종래의 음료취수구는 사용시 수통과 연결되는 연결부가 수통의 입구와 나사결합되어 체결되는 구성을 취하고 있으며, 종래의 연결부에는 수통과 나사체결이 완료된 경우에만 취수 빨대를 개방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음료취수구는 오염지역에서 연결부가 파손될 경우, 취수 빨대를 통해 외부 오염 공기가 방독면의 내부로 흡입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염지역에서 음료취수구가 파손되더라도 외부 오염 공기가 방독면의 내부로 침투되지 않도록 이중 잠금장치가 구비된 방독면용 음료취수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통과 체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한 취수관; 상기 방독면의 내부 설치되며 상기 취수관과 연결되는 취수 빨대; 상기 취수관과 취수 빨대를 연결하며 상기 취수관과 취수 빨대 사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잠금장치; 및 상기 연결부와 수통 사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잠금장치;를 포함하는 방독면용 음료취수구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잠금장치는 상기 취수 빨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취수관과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취수 빨대는 상기 취수관에 마주하게 음료가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은 상기 취수 빨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취수관과 선택적으로 소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잠금장치는, 상기 방독면에 고정설치되며 그 내부로 상기 취수 빨대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취수관이 고정되게 체결된 체결부; 상기 체결부에 삽입된 상기 취수 빨대의 일측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취수 빨대를 회전시키는 레버; 및 상기 취수관과 마주하게 상기 취수 빨대에 형성되며 상기 취수관과 선택적으로 소통되어 음료가 유입되는 유입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취수 빨대는 상기 취수관과 직교하게 상기 체결부에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버는 상기 취수관을 통해 음료가 상기 유입공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취수관과 상기 유입공을 소통시키는 개방위치와 상기 유입공으로 상기 음료가 비전달되도록 상기 취수관을 폐쇄하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상기 취수 빨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2잠금장치는, 제1스프링에 의해 상기 연결부의 외측으로 탄성지지되는 제1가동핀으로 상기 연결부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가동밸브; 및 제2스프링에 의해 상기 수통의 외측으로 탄성지지되는 제2가동핀으로 상기 수통의 입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가동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가동핀은 상기 연결부의 입구를 개폐하도록 방사상 연장되게 형성된 제1플랜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플랜지부는 상기 연결부의 입구와의 사이를 밀봉하는 제1패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스프링은 일측 말단이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 형성된 단차부에 지지되고 타측 말단은 상기 제1플랜지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가동밸브는, 상기 수통의 입구에 나사체결되는 하우징부; 상기 수통의 입구를 막도록 상기 하우징부에 일체로 구비된 중공형 마개부; 및 상기 마개부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제2스프링의 일측 말단을 지지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부는 그 외주면에 상기 수통의 음료가 유입되도록 관통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가동핀은 상기 마개부를 개폐하도록 방사상 연장되게 형성된 제2플랜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스프링은 일측 말단이 상기 스토퍼부에 지지되고 타측 말단은 상기 제2플랜지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독면용 음료취수구에 따르면, 취수 빨대와 취수관 사이에 구비된 제1잠금장치와 취수관과 수통을 연결하는 연결부와 수통 사이에 구비된 제2잠금장치를 통해, 오염 공기의 흡입을 원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음료취수구가 설치된 방독면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음료취수구의 배면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잠금장치를 부분 확대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부분 확대 사시도; 및
도 4는 도 3의 제1잠금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잠금장치를 부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 및
도 6은 도 5의 제2잠금장치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독면용 음료취수구(100)는 취수관(110), 연결부(120), 취수 빨대(130), 제1잠금장치(140) 및 제2잠금장치(150)를 포함하며, 방독면(10)의 전성배기부(11)의 일측에 설치된다.
취수관(110)은 수통(20)에 저장된 음료를 취수 빨대(130)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연질의 실리콘 또는 합성고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취수관(110)의 일측 말단에는 취수관(110)과 수통(20)의 입구를 연결하는 연결부(120)가 일체 구비되며, 타측 말단은 취수관(110)과 취수 빨대(130)를 체결하는 체결부(141)에 삽입체결된다.
연결부(120)는 취수관(110)과 수통(20)의 입구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부(120)는 수통(20)의 입구에 나사체결 또는 끼움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120)는 수통(20)과의 체결 이전에 취수관(110)을 폐쇄하되, 수통(20)과 완전히 체결될 시 취수관(110)을 개방할 수 있도록 제2잠금장치(150)가 구비될 수 있다.
취수 빨대(130)는 방독면(10)을 착용하는 사용자에게 취수관(110)을 통해 수통(20)의 음료를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 말단이 취수관(110)의 체결부(141)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결합된다.
여기서, 체결부(141)에 삽입되는 취수 빨대(130)에는 취수관(110)으로부터 음료가 유입되는 유입공(143)이 형성되며, 취수 빨대의 말단은 제1잠금장치(140)의 레버(142)와 결합되어 레버(142)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입공(143)은 제1잠금장치(140)의 레버(142)가 개방위치로 회전되면 취수관(110)과 대면하여 소통되며, 레버(142)가 폐쇄위치로 회전되면 취수관(110)으로부터 벗어나 취수관(110)과 비 소통될 수 있다.
또한, 취수 빨대(130)는 "L"자 모양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취수 빨대(130)는 레버(142)가 폐쇄위치에 있을 경우, 음료유출구(131)가 외측으로 배치되며, 레버(142)가 개방위치에 있을 경우 음료유출구(131)는 사용자의 입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잠금장치(140)는 취수관(110)과 취수 빨대(130) 사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의 제1잠금장치(140)는 취수 빨대(130)와 취수관(110)이 체결되는 체결부(141), 취수 빨대(130)와 일체로 결합되어 취수 빨대(130)를 회전시키는 레버(142) 및 취수 빨대(130)에 형성된 유입공(14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부(14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수 빨대(130)와 취수관(110)이 서로 직교하게 체결되도록 단면이 "T"자 모양을 갖도록 형성되며, 그 내부에 "T"자 모양의 체결공이 형성된다.
체결부(141)는 취수 빨대(13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취수관(110)과는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취수 빨대(130)의 유입공(143)은 취수관(110)과 마주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버(142)는 체결부(141)를 관통하여 결합된 취수 빨대(130)의 말단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사용자에 의해 개방위치와 폐쇄위치에서 회전될 수 있다.
유입공(143)은 레버(142)에 의한 취수 빨대(130)의 회전시, 취수관(110)과 선택적으로 소통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잠금장치(140)는 취수 빨대(130)와 취수관(110) 사이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레버(142)가 폐쇄위치에 위치하면, 유입공(143)과 취수관(110) 사이가 폐쇄되어 취수관(110)을 통한 음용이 차단되며, 레버(142)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어 유입공(143)과 취수관(110)이 소통될 경우 취수관(110)을 통한 음용이 가능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잠금장치(150)는 취수관(110)과 수통(2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의 제2잠금장치(150)는 연결부(120)에 구비된 제1가동밸브(151)와 수통(20)의 입구에 구비된 제2가동밸브(152)로 구성된다.
제1가동밸브(151)는 제1가동핀(151a), 제1패킹(151b) 및 제1스프링(151d)으로 구성되며, 제1가동핀(151a)은 연결부(120)의 내부에 선형 이동 가능하게 삽입설치되고, 제1패킹(151b)은 제1가동핀(151a)과 함께 이동되도록 제1가동핀(151a)의 제1플랜지부(151c)에 일체로 구비되어 연결부(120)의 입구를 개폐한다. 제1스프링(151d)은 제1가동핀(151a)을 연결부(120)의 입구 쪽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일측 말단은 연결부(120)의 내측 바닥부에 지지되고 타측 말단은 제1플랜지부(151c)를 탄성 지지한다.
제2가동밸브(152)는 내부 하우징(152a), 외부 하우징(152b), 제2가동핀(152c) 및 제2스프링(152d)으로 구성되며, 내부 하우징(152a)은 수통(20)의 입구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체결된다. 외부 하우징(152b)은 내부 하우징(152a)의 회측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체결되며, 중앙부위에 수통(20)의 입구를 폐쇄하는 마개부(152e)를 구비한다.
마개부(152e)는 수통(20)의 입구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중공체로 형성되며, 외부 하우징(152b)과 일체로 결합되어 수통(20)을 폐쇄한다. 여기서 마개부(152e)는 수통(20)으로부터 음료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외주면을 따라 결합된 제2패킹(152f)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제2패킹(152f)은 고무링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마개부(152e)는 그 내부에 제2가동핀(152c)이 선형 이동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제2가동핀(152c)을 수통(20)의 입구 외측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2스프링(152d)의 일측 말단을 지지하는 스토퍼부(152g)를 구비한다.
스토퍼부(152g)는 제2가동핀(152c)이 선형 이동 가능하도록 제2가동핀(152c)의 말단이 삽입되는 삽입공(152h)을 구비하며, 수통(20)의 음료가 유입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관통되게 형성된 관통홀(152i)을 다수 구비한다. 즉, 수통(20)의 음료는 스토퍼부(152g)의 관통홀(152i)을 통해 스토퍼부(152g)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2가동핀(152c)은 마개부(152e)에 상하 선형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중공체인 마개부(152e)의 입구를 막도록 방사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제2플랜지부(152j)를 구비한다. 제2플랜지부(152j)는 일측면이 마개부(152e)의 입구를 개폐하며 타측면은 제2스프링(152d)에 의해 수통(20)의 입구 외측으로 탄성지지된다.
제2스프링(152d)은 스토퍼부(152g)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2가동핀(152c)을 수통(20)의 외측으로 탄성지지하며, 일측 말단은 스토퍼부(152g)에 지지되고 타측 말단은 제2가동핀(152c)의 제2플랜지부(152j)를 탄성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2잠금장치(150)의 구동방식은 도 5 및 도 6을 참조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잠금장치(150)의 제1가동밸브(151)와 제2가동밸브(152)는 서로 분리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제1가동밸브(151)의 제1스프링(151d)이 제1가동핀(151a)을 탄성지지하여, 연결부(120)는 제1패킹(151b)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마찬가지로, 제2가동밸브(152)의 제2스프링(152d)이 제2가동핀(152c)을 탄성지지하여 마개부(152e)의 입구는 제2가동핀(152c)의 제2플랜지부(152j)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로 인해 관통홀(152i)에 의해 스토퍼부(152g)의 내측으로 유입된 음료가 수통(20)의 외부로 배출됨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잠금장치(150)의 제1가동밸브(151)가 제2가동밸브(152)에 결합되어 취수관(110)과 수통(20)이 서로 소통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제1가동밸브(151)의 제1가동핀(151a)은 제2가동핀(152c)에 의해 압박되어 연결부(120)의 내부로 삽입되며, 이로 인해 제1패킹(151b)과 내경부의 단차부 사이에 틈새가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2가동밸브(152)의 제2가동핀(152c)은 제1가동핀(151a)에 의해 압박되어 마개부(152e)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이로 인해 제2플랜지부(152j)와 마개부(152e)의 입구 사이에 틈새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틈새를 통해 관통홀(152i)을 통해 스토퍼부(152g)의 내부로 유입된 음료가 제1가동밸브(151)를 통해 취수관(11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2가동밸브(152)는 제1가동밸브(151)의 제1가동핀(151a)에 의해 제2가동핀(152c)이 압박되는 경우, 제2가동핀(152c)이 수통(20)의 내측으로 선형 이동되어 제2플랜지부(152j)가 마개부(152e)의 입구를 개방하며, 이로 인해 스토퍼부(152g)의 관통홀(152i)을 통해 스토퍼부(152g)의 내부로 유입된 음료가 마개부(152e)를 통해 연결부(12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본 발명의 방독면용 음료취수구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변경 및 다양한 변형실시예가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더불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방독면 11 : 전성배기부
100 : 음료취수구 110 : 취수관
120 : 연결부 130 : 취수 빨대
131 : 음료유출구 140 : 제1잠금장치
141 : 체결부 142 : 레버
143 : 유입공 150 : 제2잠금장치
151 : 제1가동밸브 152 : 제2가동밸브

Claims (12)

  1. 방독면의 내부로 음료를 전달하는 방독면용 음료취수구에 있어서,
    수통과 체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한 취수관;
    상기 방독면의 내부 설치되며 상기 취수관과 연결되는 취수 빨대;
    상기 취수관과 취수 빨대를 연결하며 상기 취수관과 취수 빨대 사이를 개폐하는 제1잠금장치; 및
    상기 연결부와 수통 사이를 개폐하는 제2잠금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1잠금장치는 상기 취수 빨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취수관과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용 음료취수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취수 빨대는 상기 취수관에 마주하게 음료가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공은 상기 취수 빨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취수관과 선택적으로 소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용 음료취수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잠금장치는,
    상기 방독면에 고정설치되며, 내부로 상기 취수 빨대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취수관이 고정되게 체결된 체결부; 상기 체결부에 삽입된 상기 취수 빨대의 일측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취수 빨대를 회전시키는 레버; 및 상기 취수관과 마주하게 상기 취수 빨대에 형성되며 상기 취수관과 소통되어 음료가 유입되는 유입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용 음료취수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취수 빨대는 상기 취수관과 직교하게 상기 체결부에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용 음료취수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취수관을 통해 음료가 상기 유입공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취수관과 상기 유입공을 소통시키는 개방위치와 상기 유입공으로 상기 음료가 비전달되도록 상기 취수관을 폐쇄하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상기 취수 빨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용 음료취수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잠금장치는,
    제1스프링에 의해 상기 연결부의 외측으로 탄성지지되는 제1가동핀으로 상기 연결부의 입구를 개폐하는 제1가동밸브; 및
    제2스프링에 의해 상기 수통의 외측으로 탄성지지되는 제2가동핀으로 상기 수통의 입구를 개폐하는 제2가동밸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용 음료취수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가동핀은 상기 연결부의 입구를 개폐하도록 방사상 연장되게 형성된 제1플랜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플랜지부는 상기 연결부의 입구와의 사이를 밀봉하는 제1패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용 음료취수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링은 일측 말단이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 형성된 단차부에 지지되고 타측 말단은 상기 제1플랜지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용 음료취수구.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가동밸브는,
    상기 수통의 입구에 나사체결되는 하우징부; 상기 수통의 입구를 막도록 상기 하우징부에 일체로 구비된 중공형 마개부; 및 상기 마개부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제2스프링의 일측 말단을 지지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부는 외주면에 상기 수통의 음료가 유입되도록 관통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용 음료취수구.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가동핀은 상기 마개부를 개폐하도록 방사상 연장되게 형성된 제2플랜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용 음료취수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스프링은 일측 말단이 상기 스토퍼부에 지지되고 타측 말단은 상기 제2플랜지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용 음료취수구.
KR1020100060984A 2010-06-28 2010-06-28 방독면용 음료취수구 KR101180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984A KR101180666B1 (ko) 2010-06-28 2010-06-28 방독면용 음료취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984A KR101180666B1 (ko) 2010-06-28 2010-06-28 방독면용 음료취수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633A KR20120000633A (ko) 2012-01-04
KR101180666B1 true KR101180666B1 (ko) 2012-09-07

Family

ID=45608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984A KR101180666B1 (ko) 2010-06-28 2010-06-28 방독면용 음료취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06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776B1 (ko) * 2014-07-11 2015-01-05 김종기 방독면용 취수유닛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776B1 (ko) * 2014-07-11 2015-01-05 김종기 방독면용 취수유닛
WO2016006960A1 (ko) * 2014-07-11 2016-01-14 김종기 방독면용 취수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633A (ko) 201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41560B2 (ja) 液漏れを防止する飲料容器用の蓋
TWI487648B (zh) Beverage containers
JP2012527258A5 (ko)
TW201741205A (zh) 吸管杯
AU2016221966C1 (en) Adapter having a media separation membrane for a breast shield
MX2009006152A (es) Ensamble formador de espuma, espumador comprimible y dispositivo de suministro.
PL1652813T3 (pl) Kranik do nalewania płynów z pojemnika
JP2005133944A (ja) ホースエンド噴射器アセンブリ
CN109862864B (zh) 喂食瓶装置
JP6268377B1 (ja) 蓋体及び液体収容容器
US20160355085A1 (en) Valve device
US20150231035A1 (en) Vented liquid container
KR101180666B1 (ko) 방독면용 음료취수구
KR102428939B1 (ko)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JP2019025320A (ja) 抗鼓腸乳首の構造
KR20120002011U (ko) 스포이드형 용기
JP2013233957A (ja) 噴霧装置における液漏れ防止構造
US10919676B2 (en) Lid with ventilation system
KR101478776B1 (ko) 방독면용 취수유닛
KR100486891B1 (ko) 방독면의 취수구 결합구조
TWI638669B (zh) Nasal suction device
KR100745124B1 (ko) 유체저장조 및 이를 이용한 가습기
TW201910218A (zh) 可攜式氣泡水瓶
KR101933634B1 (ko) 휴대용 정수 물병
JP2011131052A (ja) 二開口式哺乳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