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776B1 - 방독면용 취수유닛 - Google Patents

방독면용 취수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776B1
KR101478776B1 KR1020140087618A KR20140087618A KR101478776B1 KR 101478776 B1 KR101478776 B1 KR 101478776B1 KR 1020140087618 A KR1020140087618 A KR 1020140087618A KR 20140087618 A KR20140087618 A KR 20140087618A KR 101478776 B1 KR101478776 B1 KR 101478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water intake
intake pipe
exhaus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7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기
Original Assignee
김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기 filed Critical 김종기
Priority to KR1020140087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87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776B1/ko
Priority to PCT/KR2015/007177 priority patent/WO2016006960A1/ko
Priority to TW104122648A priority patent/TWI564051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2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6Storage or supply of water for drinking purp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독면를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의 음료 취수를 매우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턱부분이 접촉됨을 방지하여 그 사용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독면용 취수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방독면용 취수유닛은 배기유닛을 관통하여 상기 배기유닛의 내외부로 연장된 취수관; 상기 취수관의 단부에 마련된 접속 커넥터; 및 배기커버의 하부에 하향 돌출되게 동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접속 커넥터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공간을 가진 포켓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독면용 취수유닛{DRINKING UNIT FOR GAS MASK}
본 발명은 방독면용 취수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독면를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의 음료 취수를 매우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턱부분이 접촉됨을 방지하여 그 사용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독면용 취수유닛에 관한 것이다.
널리 주지된 바와 같이, 방독면은 착용자의 안면에 착용되어 오염지역의 유독가스로부터 인체를 보호한다. 이러한 방독면은 마스크에 결합된 정화통을 통해 정화된 공기를 착용자의 호흡기에 제공한다. 따라서, 착용자는 오염지역에서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다.
이러한 방독면은 안면부를 밀폐하는 상부에 투시창이 마련되고, 측방에는 공기탱크나 정화통 등이 설치되며, 하부 중앙부에 배기밸브를 가진 배기유닛이 마련되고, 배기유닛에는 배기커버가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배기유닛에 인접한 일측에는 착용자가 음료수를 취할 수 있는 취수유닛이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출원인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독면에 장착되는 방독면용 취수유닛을 대한민국특허청에 특허등록(등록 제486891호, 방독면의 취수구 결합구조,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한 바가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 1에 따른 취수유닛(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유닛(21)이 설치된 방독면(GM)의 하부에 수직으로 장착되며, 캡(7)이 분리된 하단으로 연결관(9)이 연결됨에 따라 연결관(9)을 통해 미도시된 수통의 물을 방독면(GM)의 내부로 공급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취수유닛(10)은 연결관(9)이 분리될 경우 하단을 캡(7)으로 차폐할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따른 취수유닛(10)은 내부고정링 및 외장하우징의 단턱)이 조립되어야 방독면(GM)에 고정되므로 제조공정이나 조립공정이 다소 불편하다.
또한, 특허문헌1에 의한 취수유닛(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독면(GM)의 하단에 장착되므로 방독면(GM)을 착용한 상태로 연결관(9)을 연결하기가 다소 불편할 뿐만 아니라 연결관(9)이 정확하게 연결되었는지를 확실하게 확인하기가 다소 불편하다.
또한, 특허문헌1에 의한 취수유닛(10)은 방독면(GM)의 내부에 수직으로 장착되므로 착용자의 안면이 수용되는 방독면(GM)의 내부 수용공간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코부분이나 턱부분에 빈번하게 접촉된다.
이에 본 발명의 출원인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독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방독면용 취수유닛을 대한민국특허청에 특허등록(등록 제0941018호, 방독면의 취수유닛, 이하 '특허문헌 2'라 함)한 바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 2에 따른 취수유닛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독면(GM)에 연결되는 취수관(50), 이 취수관(50)에 연결되는 취수밸브(60), 방독면(GM)의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밸브포켓(72) 등을 가진다. 취수관(50)은 배기유닛(21)의 외주면에 감겨지고, 밸브포켓(72)은 방독면(GM)의 성형시에 방독면(GM)의 하단에 동일체로 성형되며, 밸브포켓(72)은 방독면(GM)의 일부분에 원형의 홈 구조로 형성되어 취수밸브(60)가 억지끼움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특허문헌 2에 의한 취수유닛은 방독면(GM)의 하단에 밸브포켓(72)이 내측으로 돌출된 구조로 성형됨에 따라 방독면의 내부 수용공간이 여전히 확보되지 못하여 착용자의 착용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턱 또는 코 등이 밸브포켓(72)과 접촉하여 착용자에게 이물감을 주므로 그 사용편의성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KR 10-0486891 B1(2005.05.04) KR 10-0941018 B1(2010.02.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배기유닛에 결합되는 배기커버에 취수용 접속커넥터 및 취수관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방독면의 내부 수용공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방독면의 착용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코 또는 턱이 접촉됨이 방지되어 그 사용편의성을 증진되는 방독면용 취수유닛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기커버가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배기유닛에 인접하여 설치된 방독면용 취수유닛에 있어서,
상기 배기유닛을 관통하여 상기 배기유닛의 내외부로 연장된 취수관;
상기 취수관의 단부에 마련된 접속 커넥터; 및
상기 배기커버에 하향 돌출되게 동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접속 커넥터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공간을 가진 포켓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포켓부는 그 측벽에 절개틈새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탄성변형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접속 커넥터의 일측 외주면에는 걸림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탄성변형부의 단부에는 걸림돌기가 결합공간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탄성변형부의 걸림돌기가 상기 접속 커넥터의 걸림홈에 걸림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 커넥터의 일측에는 손잡이부가 일체로 마련되고, 손잡이부를 파지하여 접속 커넥터를 포켓부로부터 보다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취수관은 배기유닛의 내측으로 연결된 내측 취수관과, 배기유닛의 외측으로 연결된 외측 취수관을 가지고,
상기 내측 취수관 및 외측 취수관은 음료수의 취수흐름을 단속하는 취수밸브에 분리가능하게 접속되며, 상기 취수밸브는 상기 내측 취수관 및 외측 취수관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취수밸브는 배기유닛과 배기커버 사이에 은폐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취수밸브는 내부에 밸브유로를 가진 밸브바디와, 상기 밸브바디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밸브바디의 밸브유로를 개폐하는 밸브부재와, 상기 밸브부재의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밸브부재를 회전시키도록 조작하는 조작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부재는 밸브공 및 소통로를 가지고, 상기 밸브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밸브공 및 소통로는 상기 밸브유로와 소통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기유닛의 일측에 상기 취수밸브가 장착되는 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에 대응하는 상기 배기커버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밸브부재의 일단 및 조작레버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조작레버의 조작단부는 상기 배기유닛 및 배기커버의 가장자리에서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홈에 인접하여 한 쌍의 스토퍼부가 상기 조작레버의 회동각을 규제하도록 마련되고, 이에 조작레버의 조작 및 취수밸브의 개폐작동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배기유닛은 상기 외측 취수관이 감겨지는 감김홈을 가진 릴이 동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배기커버의 가장자리는 상기 배기유닛의 감김홈을 부분적으로 은폐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김홈의 단면은 상기 외측 취수관의 단면에 대응하는 원호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촉 커넥터가 수용되는 포켓부가 배기커버의 하부에 하향 돌출되게 성형됨에 따라 방독면의 안착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독면 착용 시에 착용자의 코 또는 턱 등과의 접촉이 방지되고, 이를 통해 착용자의 사용편의성이 대폭 증진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변형부의 걸림돌기가 접속 커넥터의 걸림홈에 걸림결합됨으로써 결합공간에 결합된 접속 커넥터가 임의 외력에 의해 쉽게 빠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측 취수관 및 외측 취수관이 취수밸브에 분리가능하게 접속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취수관의 조립을 매우 간편하게 할 수 있고, 특히 취수밸브를 배기유닛과 배기커버 사이에 은폐하도록 설치함으로써 그 외관미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밸브바디에 대해 회전하는 밸브부재에 의해 취수밸브의 개폐가 이루어짐에 따라 취수밸브의 개폐작동을 매우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그 조작편의성이 대폭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밸브부재를 조작하는 조작레버는 그 조작단부가 배기유닛과 배기커버의 가장자리에서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됨으로써 밸브부재의 회전조작을 보다 간편하고 안정되게 수행할 수 있고, 더불어 취수밸브의 노출이 최소화됨으로써 그 외관미가 대폭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측 취수관이 릴의 감김홈에 감겨짐으로써 외측 취수관을 안정되게 보관할 수 있고, 더불어 외측 취수관의 유동으로 인한 파손 내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감김홈의 단면이 원호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외측 취수관이 감김홈에 감겨진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하여 외부 이탈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예에 따른 종래기술의 방독면용 취수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다른예에 따른 종래기술의 방독면용 취수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독면용 취수유닛이 장착된 방독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독면용 취수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본 방독면용 취수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용 취수유닛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용 취수유닛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B-B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C-C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화살표 D방향에서 바라본 포켓부의 이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E-E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3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독면용 취수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방독면용 취수유닛은, 방독면(GM)의 배기유닛(50)을 관통하여 설치된 취수관(10)과, 취수관(11)의 단부에 마련된 접속 커넥터(20)와, 배기유닛(5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배기커버(55)에 동일체로 마련되어 접속 커넥터(20)가 분리가능하게 수용되는 포켓부(30)를 포함한다.
방독면(GM)은 그 상부에 투시창(2)이 마련되고, 그 측방에는 공기탱크 또는 정화통(3)이 설치되며, 투시창(2)의 하부에는 체크밸브와 같은 배기밸브(51)를 가진 배기유닛(50)이 설치된다. 그리고, 배기유닛(50)의 전면에는 배기커버(55)가 체결구 등을 통해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방독면용 취수유닛(10)은 배기유닛(50) 및 배기커버(55)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고, 이에 취수유닛(10)을 방독면(GM)에 조립하여 고정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수유닛(10)을 방독면(GM)에 고정할 때 부품을 생략할 수 있으며, 취수유닛(10)을 방독면(GM)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취수관(11)은 배기유닛(50)을 관통하여 배기유닛(50)의 내외부로 연장되고, 특히 취수관(11)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유닛(50)의 내측으로 연장된 내측 취수관(11a) 및 배기유닛(50)의 외측으로 연결된 외측 취수관(11b)을 가지고, 내측 취수관(11a) 및 외측 취수관(11b)은 취수밸브(40)에 분리가능하게 접속되며, 이러한 취수밸브(40)의 개폐에 의해 음료수의 취수 흐름이 단속될 수 있다.
취수밸브(40)는 내측 취수관(11a) 및 외측 취수관(11b) 사이에 설치되고, 특히, 내측 취수관(11a) 및 외측 취수관(11b)은 고무 등과 같이 탄력성 호스로 이루어져 취수밸브(40)에 수밀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취수밸브(4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유닛(50)과 배기커버(55) 사이에 은폐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내측 취수관(11a) 및 외측 취수관(11b)이 취수밸브(40)에 조립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취수관(11)의 조립구조를 매우 간편하게 할 수 있고, 특히 취수밸브를 배기유닛과 배기커버 사이에 은폐하도록 설치함으로써 그 외관미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취수밸브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밸브유로(41a)를 가진 밸브바디(41)와, 밸브바디(41)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밸브바디(41)의 밸브유로(41a)를 개폐하는 밸브부재(42)와, 밸브부재(42)의 일단에 마련되어 밸브부재(42)를 회전시키도록 조작하는 조작레버(43)를 포함한다.
밸브바디(41)는 중공부를 가진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밸브바디(41)의 일측에 제1접속돌출부(43)가 형성된다. 제1접속돌출부(43)의 내부에는 밸브유로(41a)가 형성되고, 밸브바디(41)의 제1접속돌출부(46)에는 외측 취수관(11b)의 일단이 기밀하게 접속됨으로써 외측 취수관(11b)을 통해 공급된 음료수가 밸브바디(41)의 밸브유로(41a) 내로 유입된다.
밸브부재(42)는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밸브바디(41)의 내경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밸브부재(42)의 일측 외주면에는 밸브공(42a)이 형성되고, 밸브공(42a)은 밸브부재(42)의 회전에 의해 밸브바디(41)의 밸브유로(41a)와 소통가능한 밸브부재(42)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밸브부재(42)는 그 내부에 밸브공(42a)과 소통하는 소통로(42b)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밸브부재(42)의 일측에는 배기유닛(50)의 이면으로 돌출된 제2접속돌출부(47)가 형성된다. 제2접속돌출부(47)에는 내측 취수관(11a)의 일단이 기밀하게 접속됨으로써 밸브부재(42)의 소통로(42b)를 통해 공급되는 음료수가 내측 취수관(11a)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밸브바디(41)에 대해 회전하는 밸브부재(42)에 의해 취수밸브(40)의 개폐가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취수밸브(40)의 개폐작동을 매우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그 조작편의성이 대폭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유닛(50)의 일측에는 취수밸브(40)가 장착되는 장착공(52)이 형성되고, 장착공(52)에 대응하는 배기커버(55)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밸브부재(42)의 일단 및 조작레버(43)가 안착되는 안착홈(56)이 형성된다.
조작레버(43)의 일단은 밸브부재(42)의 일단에 연결되어 배기유닛(50) 및 배기커버(55) 사이에서 은폐되고, 조작레버(43)의 타단에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조작할 수 있는 조작단부가 마련된다. 이러한 조작레버(43)의 조작단부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유닛(50) 및 배기커버(55)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안착홈(56)에 인접하여 한 쌍의 스토퍼부(56a, 56b)가 형성되며, 이러한 스토퍼부(56a, 56b)에 의해 조작레버(43)의 회전각이 일정 범위 내로 규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밸브부재(42)를 조작하는 조작레버(43)는 그 조작단부가 배기유닛(50)과 배기커버(55)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됨으로써 밸브부재(42)의 회전조작을 보다 간편하고 안정되게 수행할 수 있고, 더불어 취수밸브(40)의 외부 노출이 최소화됨으로써 그 외관미가 대폭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밸브바디(41)의 내경면에는 도 8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밀봉돌기(41c)가 내경방향으로 돌출되어 밸브부재(42)의 홈부에 기밀하게 밀착될 수 있고, 밸브바디(41)의 외경면에는 제2밀봉돌기(41d)가 외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장착공(52)의 홈부에 기밀하게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밀봉돌기(41c, 41d)에 의해 밸브바디(41)는 밸브부재(42) 및 장착공(52) 사이에서 그 밀보성이 확보됨으로써 음료수의 누설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밀봉돌기(41c, 41d) 대신에 밀봉링이 밸브바디(41)의 내경면 및 외경면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그 밀봉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
접속 커넥터(20)는 취수관(11) 특히, 외측 취수관(11b)의 단부에 마련되고, 이러한 접속 커넥터(20)는 음료통의 연결관(미도시)이 접속됨으로써 음료통의 음료수를 취수관(11)을 통해 취수할 수 있다. 또한, 접속 커넥터(20)의 내부에는 음료통 내로 음료수가 역류됨을 방지하는 체크밸브가 내장될 수도 있다.
접속 커넥터(20)의 일단에는 접속돌출구(25)가 외측으로 돌출하고, 접속 커넥터(20)의 접속돌출구(25)에는 취수관(11) 특히, 외측 취수관(11b)의 단부가 밀봉적으로 접속된다.
포켓부(30)는 배기커버(55) 또는 배기유닛(50)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포켓부(30)에 접속 커넥터(2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포켓부(30)는 배기커버(55)의 하부에 하향으로 돌출되게 마련되고, 특히 포켓부(30)는 배기커버(55)의 하단에서 연장된 하나 이상의 연결리브(35)를 통해 배기커버(55)의 하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포켓부(30) 및 연결리브(35)는 배기커버(55)의 성형 시에 동일체로 형성된다.
포켓부(30)는 그 내부에 결합공간(31)이 형성되고, 이 결합공간(31)은 접속 커넥터(20)의 외면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이에, 포켓부(30)의 결합공간(31)에 접속 커넥터(20)가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촉 커넥터(2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포켓부(30)가 배기커버(55)의 하부에 하향 돌출되게 성형됨에 따라 방독면의 안착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독면 착용 시에 착용자의 턱부분과 접촉됨이 방지되고, 이를 통해 착용자의 사용편의성이 대폭 증진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포켓부(30)는 그 측벽에 탄성변형부(32)가 소정 형상의 절개틈새(33)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이러한 탄성변형부(32)는 절개틈새(33)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절개틈새(33)는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ㄷ"자형태, 그외에 "U"자 형태, 원호 형태 등과 같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접속 커넥터(20)의 일측 외주면에 절개틈새(33)가 부분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탄성변형부(32)가 형성된다.
접속 커넥터(20)의 일측 외주면에는 걸림홈(24)이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탄성변형부(32)의 단부에는 걸림돌기(34)가 결합공간(31)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에 접속 커넥터(20)가 포켓부(30)의 결합공간(31)에 끼워지면 탄성변형부(32)의 걸림돌기(34)가 접속 커넥터(20)의 걸림홈(24)에 걸림결합됨으로써 접속 커넥터(20)가 결합공간(31)에서 임의 외력에 의해 쉽게 빠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접속 커넥터(20)의 일측에는 손잡이부(28)가 일체로 마련되고, 이러한 손잡이부(28)를 파지하여 접속 커넥터(20)를 포켓부(30)로부터 보다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배기커버(55)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경질재로 이루어져 포켓부(30)의 결합공간(31)을 보다 정밀하고 간편하게 성형할 수 있고, 더불어 포켓부(30)의 결합공간(31)에 대한 접속 커넥터(20)의 착탈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배기유닛(50)의 전방 가장자리에는 외측 취수관(11b)이 감겨지는 감김홈(61)을 가진 릴(60)이 동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외측 취수관(11b)이 릴(60)의 감김홈(61)에 감겨짐으로써 외측 취수관(11b)을 안정되게 보관할 수 있고, 더불어 외측 취수관(11b)의 유동으로 인한 파손 내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감김홈(61)의 단면은 도 9의 확대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외측 취수관(11b)의 단면에 대응하는 원호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릴(60)에 대응하는 배기커버(55)의 가장자리(55a)는 릴(60)의 감김홈(61)을 부분적으로 은폐하도록 배치되고, 이를 통해 감김홈(61)에 감겨지는 외측 취수관(11b)의 부분적인 은폐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감김홈(61)의 단면이 원호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외측 취수관(11b)이 감김홈(61)에 감겨진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하여 외부 이탈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0: 방독면용 취수유닛 11: 취수관
11a: 내측 취수관 11b: 외측 취수관
20: 접속 커넥터 24: 걸림홈
28: 손잡이부 30: 포켓부
31: 결합공간 32: 탄성변형부
33: 절개틈새 34: 걸림돌기
40: 취수밸브 41: 밸브바디
41a: 밸브유로 42: 밸브부재
42a: 밸브공 42b: 소통로
50: 배기유닛 55: 배기커버
60: 릴 61: 감김홈

Claims (6)

  1. 배기커버가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배기유닛에 인접하여 설치된 방독면용 취수유닛에 있어서,
    상기 배기유닛을 관통하여 상기 배기유닛의 내외부로 연장된 취수관;
    상기 취수관의 단부에 마련된 접속 커넥터; 및
    상기 배기커버에 동일체로 성형되고, 상기 접속 커넥터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포켓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용 취수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켓부는 그 측벽에 절개틈새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탄성변형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접속 커넥터의 일측 외주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변형부에는 걸림돌기가 결합공간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탄성변형부의 걸림돌기가 상기 접속 커넥터의 걸림홈에 걸림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용 취수유닛.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취수관은 배기유닛의 내측으로 연결된 내측 취수관과, 배기유닛의 외측으로 연결된 외측 취수관을 가지고,
    상기 내측 취수관 및 외측 취수관은 음료수의 취수흐름을 단속하는 취수밸브에 분리가능하게 접속되며, 상기 취수밸브는 상기 내측 취수관 및 외측 취수관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용 취수유닛.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취수밸브는 배기유닛과 배기커버 사이에 은폐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용 취수유닛.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취수밸브는 내부에 밸브유로를 가진 밸브바디와, 상기 밸브바디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밸브바디의 밸브유로를 개폐하는 밸브부재와, 상기 밸브부재에 마련되어 상기 밸브부재를 회전시키도록 조작하는 조작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부재는 밸브공 및 소통로를 가지고, 상기 밸브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밸브공 및 소통로는 상기 밸브유로와 소통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용 취수유닛.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배기유닛의 일측에 상기 취수밸브가 장착되는 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공에 대응하는 상기 배기커버에는 상기 밸브부재의 일단 및 조작레버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조작레버의 조작단부는 상기 배기유닛 및 배기커버에서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용 취수유닛.
KR1020140087618A 2014-07-11 2014-07-11 방독면용 취수유닛 KR101478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618A KR101478776B1 (ko) 2014-07-11 2014-07-11 방독면용 취수유닛
PCT/KR2015/007177 WO2016006960A1 (ko) 2014-07-11 2015-07-10 방독면용 취수유닛
TW104122648A TWI564051B (zh) 2014-07-11 2015-07-13 防毒面罩用取水單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618A KR101478776B1 (ko) 2014-07-11 2014-07-11 방독면용 취수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8776B1 true KR101478776B1 (ko) 2015-01-05

Family

ID=52587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7618A KR101478776B1 (ko) 2014-07-11 2014-07-11 방독면용 취수유닛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478776B1 (ko)
TW (1) TWI564051B (ko)
WO (1) WO20160069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05905B1 (en) * 2020-05-01 2021-02-02 Robert M. Dettore Mask for drinking a beverag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2063U (ko) * 1996-10-25 1998-07-15 이건 방독면의 음료 취수용 빨대
KR19980020321U (ko) * 1996-10-11 1998-07-15 이건 방독면
KR101180666B1 (ko) * 2010-06-28 2012-09-07 삼공물산 주식회사 방독면용 음료취수구
US8640693B2 (en) * 2010-10-27 2014-02-04 Dräger Safety AG & Co. KGaA Gas mask with a drink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891B1 (ko) * 2003-07-29 2005-05-04 주식회사 산청 방독면의 취수구 결합구조
US20050072422A1 (en) * 2003-09-17 2005-04-07 Wolfe Leslie A. Pressurized drinking system
US20050126566A1 (en) * 2003-09-26 2005-06-16 Stone Gary R. Adaptor for use with drinking tube on protective mask
KR100941018B1 (ko) * 2009-05-29 2010-02-10 주식회사 산청 방독면용 취수유닛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0321U (ko) * 1996-10-11 1998-07-15 이건 방독면
KR19980022063U (ko) * 1996-10-25 1998-07-15 이건 방독면의 음료 취수용 빨대
KR101180666B1 (ko) * 2010-06-28 2012-09-07 삼공물산 주식회사 방독면용 음료취수구
US8640693B2 (en) * 2010-10-27 2014-02-04 Dräger Safety AG & Co. KGaA Gas mask with a drink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607579A (zh) 2016-03-01
TWI564051B (zh) 2017-01-01
WO2016006960A1 (ko) 2016-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77558B (zh) 潜水面罩
RU2724570C1 (ru) Маска для подводного плавания, имеющая корпус, оснащенный устройством удаления выдыхаемого воздуха, содержащим обратный клапан
EP2165739B1 (en) Full face respirator mask
US20150107596A1 (en)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
JP6290930B2 (ja) 清浄空気吸入室を有する呼吸用マスク
US10220224B2 (en) Switchable exhale filter system
US11554275B2 (en) Full face respirator
ES2769596T3 (es) Respiradores
CA2946685A1 (en) Diving mask with integrated snorkel
ATE524221T1 (de) Filterungsoberflächenmaske mit einem unidirektionalen ventil mit einer steifen, erwartungstreuen und flexiblen klappe
CN102791334A (zh) 具有敞开端口的面罩
JP2007216949A (ja) 水中潜水器具用弁機構
US20210086882A1 (en) Diving mask enabling pressure equalisation at the ears
WO2009066833A1 (en) Respiratory unit for gas masks and self-locking/unlocking device for respirator cartridge mounted to the same
KR102003109B1 (ko) 캡 유닛 및 음료용 용기
CN103813833A (zh) 包括闭锁机构的呼吸组件
KR100914303B1 (ko) 방독면용 셀프실링 흡기유니트
CN113386928A (zh) 具有改进的水和呼吸空气排出系统的水下面罩
KR101478776B1 (ko) 방독면용 취수유닛
US10258911B2 (en) Portable water purifier
CN105722544A (zh) 用于患者界面面罩的卡入式弯管
KR101028785B1 (ko) 조임튜브가 구비된 산소호흡기
KR101180666B1 (ko) 방독면용 음료취수구
KR101517445B1 (ko) 방독면용 정화통 장착구조
JP2009273964A (ja) 吐出容器の外気導入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