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1018B1 - 방독면용 취수유닛 - Google Patents

방독면용 취수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1018B1
KR100941018B1 KR1020090047370A KR20090047370A KR100941018B1 KR 100941018 B1 KR100941018 B1 KR 100941018B1 KR 1020090047370 A KR1020090047370 A KR 1020090047370A KR 20090047370 A KR20090047370 A KR 20090047370A KR 100941018 B1 KR100941018 B1 KR 100941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valve
gas mask
gas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7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산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to KR1020090047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10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1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1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2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4Couplings; Supporting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6Storage or supply of water for drinking purp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재 방독면에 결합되어 수통과 연결되는 취수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방독면의 내부로 연결되는 연질의 취수관; 상기 취수관의 단부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수통과 연결된 연결관에 타단부가 결합되며, 내부에 체크밸브가 마련되어 연결관으로 공급되는 수통의 물을 역류가 방지되는 상태로 취수관에 공급하는 취수밸브 및; 상기 취수밸브를 상기 방독면에 착탈식으로 고정하는 밸브홀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취수밸브가 밸브홀더에 의해 착탈식으로 방독면에 장착되므로 취수밸브를 방독면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이 편리하다.
고무, 연결, 분리, 착탈, 고정

Description

방독면용 취수유닛 { DRINKING UNIT FOR GAS MASK }
본 발명은 방독면용 취수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 하게는 고무재 방독면에 장착된 상태로 수통의 물을 방독면의 내부로 공급하는 방독면용 취수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독면은 연막이나 중독성이 있는 화학작용제, 생물학작용제, 방사능작용제 등이 흡입되거나 부착되지 않도록 얼굴을 보호하는 도구이다. 이러한 방독면은 전쟁 이외에도 탄광이나 공장에서도 쓰이고 있다. 탄광이나 공장은 유독가스나 증기, 유독성 미립자 등이 배출되기 때문에 이런 오염된 환경에 대한 방어를 위해 방독면이 이용된다. 또 소화작업, 폭동진압용으로 소방관이나 경찰관이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우리나라는 2003년에 대구에서 일어난 지하철 화재사고를 계기로 지하철 역사와 차량 안에도 방독면을 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독면은 고무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안면부와, 안면부에 연결된 정화통, 그리고 휴대주머니로 이루어져 있다. 정화통은 유독가스를 깨끗한 공기로 정화하는 곳이다. 이러한 정화통은 유독가스를 화학적으로 흡착하거나 분해하는 흡수제가 들어 있으며, 미립자물질을 물리적으로 걸러내는 필터나 여과지도 들어 있다. 어느 작용제를 막느냐에 따라 그 작용제를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흡수제를 사용하지만 군용 방독면에서는 어떤 작용제가 사용될지 예측할 수 없으므로 광범위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특수처리된 활성탄을 흡수제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독면에 장착되는 방독면용 취수유닛을 대한민국특허청에 특허등록(등록 제486891호, 방독면의 취수구 결합구조)한 바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취수유닛(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성배기구(21)가 설치된 방독면(GM)의 하부에 수직으로 장착되며, 캡(7)이 분리된 하단으로 연결관(9)이 연결됨에 따라 연결관(9)을 통해 미도시된 수통의 물을 방독면(GM)의 내부로 공급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취수유닛(10)은 연결관(9)이 분리될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을 캡(7)으로 차폐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취수유닛(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고정링(3) 및 외장하우징(2)의 단턱(2b)이 조립되어야 방독면(GM)에 고정되므로 제조공정이나 조립공정이 다소 불편하다.
또, 종래기술에 의한 취수유닛(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독면(GM)의 하단에 장착되므로 방독면(GM)을 착용한 상태로 연결관(9)을 연결하기가 다소 불편할 뿐만 아니라 연결관(9)이 정확하게 연결되었는지를 확실하게 확인하기가 다소 불편하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취수유닛(10)은 방독면(GM)의 내부에 수직으로 장착되므로 착용자의 안면이 수용되는 방독면(GM) 내부의 수용공간을 감소시킬 뿐만 아 니라, 착용자의 비강이나 구강에 종종 접촉된다.
본 발명은 방독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서 필요에 따라 방독면에서 분리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방독면용 취수유닛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특히, 방독면의 하단에 수평상태로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방독면용 취수유닛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 설정된 크기의 외력에 의해서만 방독면에서 분리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방독면용 취수유닛을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방독면으로 장착을 안내하는 요소가 마련되고, 이에 더하여 일부분을 착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착탈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더 나아가 수통의 물을 방독면의 내부로 공급하는 관을 방독면에 분리가능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 마련된 방독면용 취수유닛을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방독면용 취수유닛은, 고무재 방독면에 결합되어 수통과 연결되는 취수유닛에 있어서, 상기 방독면의 내부로 연결되는 연질의 취수관; 상기 취수관의 단부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수통과 연결된 연결관에 타단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체크밸브가 마련되어 연결관으로 공급되는 수통의 물을 역류가 방지되는 상태로 취수관에 공급하는 취수밸브 및; 상기 취수밸브를 상기 방독면에 착탈식으로 고정하는 밸브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홀더는 예컨대, 상기 취수밸브가 억지끼움으로 끼워지는 내경을 가지며, 상기 방독면에 동일체로 형성되는 밸브포켓 및; 상기 밸브포켓에 끼워진 상기 취수밸브의 일부분을 구속하여 취수밸브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예컨대, 상기 밸브포켓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되는 돌기형태의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와 대응하는 형태로 상기 취수밸브에 형성되고, 스토퍼가 삽입되어 안착상태로 걸리는 홈형태의 스토퍼시트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취수밸브는, 상기 밸브포켓으로 삽입되는 단부를 밸브포켓의 입구에 센터링시키면서 밸브포켓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더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더는 예컨대, 상기 취수밸브의 단부에 형성되어 취수밸브의 단부측 외경을 축소시키는 경사면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취수밸브는, 상기 밸브포켓에 대한 마찰력을 강화시키는 논슬립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취수밸브는, 상기 밸브홀더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취수관을 상기 방독면에 착탈가능한 상태로 고정하는 패스너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다.
상기 패스너는 예컨대, 상기 방독면에 동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취수관이 감기면서 억지끼움되는 끼움홈을 갖는 릴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릴은, 상기 취수관이 유입되는 상기 끼움홈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되어 끼움홈에 끼워진 취수관의 이탈을 억제하는 이탈억제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방독면용 취수유닛은, 취수밸브가 밸브홀더에 의해 착탈식으로 방독면에 장착되므로, 종래와 같이 취수밸브를 방독면에 조립하여 고정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수밸브를 방독면에 고정시는 부품을 생략할 수 있으며, 취수밸브를 방독면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취수밸브가 방독면에 수평형성된 밸브홀더의 밸브포켓에 끼워져서 고정되므로, 취수밸브가 착용자의 비강이나 구강과 접촉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안면이 수용되는 방독면의 수용공간을 종래 보다 실질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취수밸브가 방독면에서 이탈된 상태로 수통의 연결관과 연결되므로 취수밸브에 용이하게 연결관을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관의 연결상태를 육안으로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밸브포켓에 형성된 스토퍼가 취수밸브에 형성된 스토퍼시트에 걸려서 고정되므로, 착용자가 설정된 크기의 힘으로 당길 경우에만 밸브포켓에서 취수밸브를 꺼낼 수 있다. 따라서, 취수밸브가 밸브포켓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수밸브를 밸브포켓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아울러, 취수밸브의 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되므로 취수밸브를 밸브포켓의 입구에 용이하게 센터링시켜서 삽입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게다가, 취수밸브의 장착시 취수밸브에 마련된 손잡이가 방독면의 외측으로 노출되므로 손잡이를 이용하여 밸브포켓에 삽입된 취수밸브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더 나아가, 취수밸브에 논슬립이 마련될 경우 논슬립이 취수밸브에 마찰력을 제공하므로 취수밸브가 밸브포켓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에 더하여, 취수관을 패스너의 릴에 감아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취수관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수관이 유동하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특히, 릴의 취수관이 유입되는 부위에 이탈억제돌기를 마련할 경우 릴에 감긴 취수관이 릴에서 이탈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방독면용 취수유닛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방독면용 취수유닛이 장착된 방독면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취수밸브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취수유닛이 장착된 방독면의 일부분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방독면용 취수유닛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방독면(GM)에 연결되는 취수관(50) 및 이 취수관(50)에 연결되는 취수밸브(60), 그리고 이 취수밸브(60)를 방독면(GM)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밸브홀더를 포함한다.
취수관(50)은 연질재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패스너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성배기구(21)의 외주면에 감겨서 고정된다. 이러한 취수관(50)은 방수성이 우수한 연질의 고무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취수밸브(60)는 후술되는 밸브홀더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방독면(GM)의 하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취수밸브(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관(50)의 단부가 연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취수밸브(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취수밸브(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관(50)의 단부가 끼워져서 결합되는 니플(62)을 일단부에 갖는다. 또, 취수밸브(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판상의 손잡이(64)를 갖는다.
취수밸브(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부에 비딩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홈형태의 스토퍼시트(60a)를 갖는다. 또, 취수밸브(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에 경사면(60b)이 형성된다. 따라서, 취수밸브(60)는 단부측의 외경이 다른 부위의 외경 보다 좁게 축소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전술한 스토퍼시트(60a)는 전술한 밸브홀더의 일부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그리고, 전술한 경사면(60b)은 취수밸브(60)의 단부를 후술되는 밸브포켓(72)의 입구에 센터링시키면서 취수밸브(60)를 밸브포켓(72)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더이다.
한편, 취수밸브(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으로 미도시된 수통의 연결관(9)이 결합된다. 이때, 연결관(9)은 연결측의 단부가 취수밸브(60)의 타단으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다른 한편, 취수밸브(60)는 내부에 미도시된 체크밸브가 마련된다. 이러한 체크밸브는 연결관(9)으로 유입되는 수통의 물을 취수관(50)에 공급한다. 즉, 체크밸브는 취수관(50)으로 공급되는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취수관(50)은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성배기구(21)의 외주면에 감기면서 고정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성배기구(21)의 외주면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취수관(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가 취수밸브(60)의 니플(62)에 끼워짐에 따라 취수밸브(60)의 일단부에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취수밸브(60)는 전술한 밸브홀더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방독면(GM)의 하단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러한 취수밸브(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니플(62)에 취수관(50)의 단부가 결합된 상태로 방독면(GM)의 하단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취수밸브(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64)가 방독면(GM)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밸브홀더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방독면(GM)의 하단부에 수평상태로 형성되어 취수밸브(60)가 억지끼움되는 밸브포켓(72)을 갖는다. 물론, 밸브포켓(72)은 방독 면(GM)의 성형시 방독면(GM)의 하단에 동일체로 형성된다. 즉, 밸브포켓(72)은 방독면(GM)의 일부분이 구멍형태로 성형됨에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밸브포켓(72)은 취수밸브(60)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방독면(GM)의 하단부에 수평상태로 형성된다.
또한, 밸브홀더는 확대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72a) 및 스토퍼시트(60a)로 이루어진 이탈방지수단을 갖는다. 스토퍼(72a)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포켓(72)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물론, 스토퍼(72a)는 방독면(GM)의 성형시 형성된다. 그리고, 스토퍼시트(60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72a)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취수밸브(60)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스토퍼(72a)는 확대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밸브(60)가 밸브포켓(72)에 억지끼움으로 압입될 경우 스토퍼시트(60a)에 삽입되어 안착된다. 즉, 스토퍼(72a)는 스토퍼시트(60a)에 삽입되어 걸린다.
한편, 취수관(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GM)에 마련된 릴(92)에 감겨서 고정된다. 이러한 릴(9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성배기구(21)의 외주면에 동일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릴(92)은 취수관(50)을 전성배기구(21)의 외주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패스너이다. 이러한 릴(92)은 확대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관(50)이 억지끼움으로 끼워지는 끼움홈(92a)을 갖는 전성배기구(21)의 단부측 플랜지이다. 즉, 릴(92)은 전성배기구(21)의 외주면에 형성된 끼움홈(92a)을 갖는 플랜지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방독면용 취수유닛의 작용을 첨부된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취수관(50)은 평상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성배기구(21)의 외주면에 감긴상태로 보관된다. 물론, 취수관(50)은 취수밸브(60)에 단부가 결합된 상태로 보관된다. 그리고, 취수밸브(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방독면(GM)의 하단부에 삽입된 상태로 보관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취수밸브(60)는 착용자가 미도시된 수통의 물을 취수할 경우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포켓(72)에서 이탈된다. 이때, 취수밸브(60)는 손잡이(64)가 착용자에 의해 파지된 상태로 당겨짐에 따라 밸브포켓(72)에서 이탈된다. 이렇게, 밸브포켓(72)에서 이탈될 경우 취수관(50)은 취수밸브(60)가 하부로 이동하도록 전성배기구(21)의 릴(92)에서 풀린다.
취수밸브(60)는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포켓(72)에서 이탈된 후 타단부에 수통(미도시)과 연결된 연결관(9)이 결합된다. 이러한 취수밸브(60)는 연결관(9)을 통해 유입되는 물을 역류가 방지되는 상태로 취수관(50)에 공급한다. 따라서, 착용자는 취수관(50)을 빨면서 수통의 물을 마실 수 있다.
한편, 취수가 완료되면, 취수관(50)은 다시 릴(92)에 감긴다. 이때, 취수관(50)은 확대도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92)의 끼움홈(92a)에 억지끼움으로 끼워져서 고정된다.
이렇게, 취수관(50)이 릴(92)에 고정되면 취수밸브(60)는 다시 밸브포켓(72)으로 삽입되어 보관된다. 이때, 확대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밸브(60)에 형 성된 경사면(60b)은 취수밸브(60)의 단부를 밸브포켓(72)의 단부에 센터링시키면서 취수밸브(60)의 단부를 밸브포켓(72)의 내측으로 안내한다. 따라서, 취수밸브(60)는 경사면(60b)에 의해 밸브포켓(72)으로 용이하게 삽입된다. 물론, 취수밸브(60)는 경사면(60a)에 의해 단부의 외경이 축소형성됨에 따라 밸브포켓(72)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된다.
이러한 취수밸브(60)는 밸브포켓(72)에 완전하게 삽입될 경우 확대도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의 스토퍼시트(60a)에 스토퍼(72a)가 안착된다. 즉, 스토퍼시트(60a)는 스토퍼(72a)가 걸린다. 이러한 스토퍼(72a)는 스토퍼시트(60a)에 걸리면서 취수밸브(60)가 밸브포켓(72)에서 이탈되는 것을 억제한다. 따라서, 취수밸브(60)는 사용자가 취수밸브(60)를 잡아당기지 않을 경우에는 밸브포켓(7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한편, 밸브포켓(72)은 방독면(GM)의 일부분이므로, 즉 방독면(GM)과 동일한 고무재이므로 취수밸브(60)의 삽입시 탄성변형하면서 약간 확장된다. 그리고, 밸브포켓(72)은 취수밸브(60)의 삽입이 완료되면 수축되면서 다시 원형복원된다. 따라서, 취수밸브(60)는 밸브포켓(72)에 꽉 끼워져서 고정된다.
다른 한편, 첨부된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취수유닛의 일부분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취수유닛은 모든 구성이 전술한 취수유닛과 동일하고, 다만 도시된 바와 같은 논슬립(65) 및 이탈억제돌기(92b)가 마련된 것이 전술한 실시예와 다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러한 차이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확대도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밸브(60)는 표면에 논슬립(65)이 마련된다. 논슬립(65)은 고무재 페인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밸브(60)의 표면에 부분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논슬립(65)은 자체 마찰력을 통해 취수밸브(60)가 밸브포켓(7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취수밸브(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논슬립(65)이 부분적으로 마련되므로 밸브포켓(72)에 삽입이 가능하다. 즉, 취수밸브(60)는 논슬립(65)이 마련되어도 밸브포켓(72)에 자유롭게 삽입된다. 하지만, 취수밸브(60)는 밸브포켓(72)에 삽입된 후 논슬립(65)에 의해 밸브포켓(72)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한편, 확대도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92)은 취수관(50)이 유입되는 끼움홈(92a)의 내측면에 이탈억제돌기(92b)가 돌출형성된다. 이탈억제돌기(92b)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탈억제돌기(92b)는 끼움홈(92a)에 끼워진 취수관(50)의 이탈을 억제한다.
취수관(50)은 이탈억제돌기(92b)가 반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므로 끼움홈(92a)에 용이하게 삽입된다. 하지만, 취수관(50)은 유동시 이탈억제돌기(92b)에 걸리므로 끼움홈(92a)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방독면용 취수유닛은, 취수밸브(60)가 밸브홀더에 의해 착탈식으로 방독면(GM)에 장착되므로, 종래와 같이 취수밸브를 방독면에 조립하여 고정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수밸브(60)를 방 독면(GM)에 고정시는 부품을 생략할 수 있으며, 취수밸브(60)를 방독면(GM)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특히, 취수밸브(60)가 방독면(GM)에 수평형성된 밸브홀더의 밸브포켓(72)에 끼워져서 고정되므로, 취수밸브(60)가 착용자의 비강이나 구강과 접촉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안면이 수용되는 방독면(GM)의 수용공간을 종래 보다 실질적으로 확장시킬 수 있다.
또, 취수밸브(60)가 방독면(GM)에서 이탈된 상태로 수통(미도시)의 연결관(9)과 연결되므로 취수밸브(60)에 용이하게 연결관(9)을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관(9)의 연결상태를 육안으로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밸브포켓(72)에 형성된 스토퍼(72a)가 취수밸브(60)에 형성된 스토퍼시트(60a)에 걸려서 고정되므로, 착용자가 설정된 크기의 힘으로 당길 경우에만 밸브포켓(72)에서 취수밸브(60)를 꺼낼 수 있다. 따라서, 취수밸브(60)가 밸브포켓(72)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수밸브(60)를 밸브포켓(72)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아울러, 취수밸브(60)의 단부에 경사면(60b)이 형성되므로 취수밸브(60)를 밸브포켓(72)의 입구에 용이하게 센터링시켜서 삽입할 수 있다.
게다가, 취수밸브(60)의 장착시 취수밸브(60)에 마련된 손잡이(64)가 방독면(GM)의 외측으로 노출되므로 손잡이(64)를 이용하여 밸브포켓(72)에 삽입된 취수밸브(60)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더 나아가, 취수밸브(60)에 논슬립(65)이 마련될 경우 논슬립(65)이 취수밸 브(60)에 마찰력을 제공하므로 취수밸브(60)가 밸브포켓(72)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더하여, 취수관(50)을 패스너의 릴(92)에 감아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취수관(50)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수관(50)이 유동하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릴(92)의 취수관(50)이 유입되는 부위에 이탈억제돌기(92b)를 마련할 경우 릴(92)에 감긴 취수관(50)이 릴(92)에서 이탈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방독면용 취수유닛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취수유닛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방독면용 취수유닛이 장착된 방독면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취수밸브의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취수유닛이 장착된 방독면의 일부분을 도시한 종단면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취수유닛의 일부분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호 설명>
50 : 취수관
60 : 취수밸브
62 : 손잡이
72 : 밸브포켓
92: 릴

Claims (8)

  1. 고무재 방독면(GM)에 결합되어 수통과 연결되는 취수유닛에 있어서,
    상기 방독면(GM)의 내부로 연결되는 연질의 취수관(50);
    상기 취수관(50)의 단부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수통과 연결된 연결관(9)에 타단부가 결합되며, 내부에 체크밸브가 마련되어 연결관(9)으로 공급되는 수통의 물을 역류가 방지되는 상태로 취수관(50)에 공급하는 취수밸브(60); 및
    상기 취수밸브(60)를 상기 방독면(GM)에 착탈식으로 고정하는 밸브홀더를 포함하는 방독면용 취수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홀더는,
    상기 취수밸브(60)가 억지끼움으로 끼워지는 내경을 가지며, 상기 방독면(GM)에 동일체로 형성되는 밸브포켓(72); 및
    상기 밸브포켓(72)에 끼워진 상기 취수밸브(60)의 일부분을 구속하여 취수밸브(6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포함하는 방독면용 취수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밸브포켓(72)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되는 돌기형태의 스토퍼(72a); 및
    상기 스토퍼(72a)와 대응하는 형태로 상기 취수밸브(60)에 형성되고, 스토 퍼(72a)가 삽입되어 안착상태로 걸리는 홈형태의 스토퍼시트(60a)를 포함하는 방독면용 취수유닛.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밸브(60)는,
    상기 밸브포켓(72)으로 삽입되는 단부를 밸브포켓(72)의 입구에 센터링시키면서 밸브포켓(72)의 내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더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더는,
    상기 취수밸브(60)의 단부에 형성되어 취수밸브(60)의 단부측 외경을 축소시키는 경사면(60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용 취수유닛.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밸브(60)는,
    상기 밸브포켓(72)에 대한 마찰력을 강화시키는 논슬립(65)을 더 포함하는 방독면용 취수유닛.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밸브(60)는,
    상기 밸브홀더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손잡이(64)를 더 포함하는 방독면용 취수유닛.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수관(50)을 상기 방독면(GM)에 착탈가능한 상태로 고정하는 패스너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패스너는,
    상기 방독면(GM)에 동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취수관(50)이 감기면서 억지끼움되는 끼움홈(92a)을 갖는 릴(9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용 취수유닛.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릴(92)은,
    상기 취수관(50)이 유입되는 상기 끼움홈(92a)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되어 끼움홈(92a)에 끼워진 취수관(50)의 이탈을 억제하는 이탈억제돌기(92b)를 더 포함하는 방독면용 취수유닛.
KR1020090047370A 2009-05-29 2009-05-29 방독면용 취수유닛 KR100941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370A KR100941018B1 (ko) 2009-05-29 2009-05-29 방독면용 취수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370A KR100941018B1 (ko) 2009-05-29 2009-05-29 방독면용 취수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1018B1 true KR100941018B1 (ko) 2010-02-10

Family

ID=42083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7370A KR100941018B1 (ko) 2009-05-29 2009-05-29 방독면용 취수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10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36656A (zh) * 2012-11-22 2015-09-23 株式会社山凊 防毒面具
CN105056420A (zh) * 2015-09-11 2015-11-18 刘建 消防员紧急供气装置
WO2016006960A1 (ko) * 2014-07-11 2016-01-14 김종기 방독면용 취수유닛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2227Y1 (ko) 1996-10-11 1999-07-15 이건 방독면
KR200241505Y1 (ko) 1998-06-16 2001-12-28 김종기 방독마스크
KR100486891B1 (ko) 2003-07-29 2005-05-04 주식회사 산청 방독면의 취수구 결합구조
JP2007175238A (ja) 2005-12-27 2007-07-12 Koken Ltd 防護マス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2227Y1 (ko) 1996-10-11 1999-07-15 이건 방독면
KR200241505Y1 (ko) 1998-06-16 2001-12-28 김종기 방독마스크
KR100486891B1 (ko) 2003-07-29 2005-05-04 주식회사 산청 방독면의 취수구 결합구조
JP2007175238A (ja) 2005-12-27 2007-07-12 Koken Ltd 防護マスク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36656A (zh) * 2012-11-22 2015-09-23 株式会社山凊 防毒面具
WO2016006960A1 (ko) * 2014-07-11 2016-01-14 김종기 방독면용 취수유닛
CN105056420A (zh) * 2015-09-11 2015-11-18 刘建 消防员紧急供气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57617B1 (en)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
ES2240928T3 (es) Racor rapido para la conexion amovible de dos conducciones.
RU2169595C2 (ru) Способ (вариант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от вдыхания дыма при чрезвычайных ситуациях
JP2009532116A (ja) フルフェース形呼吸用保護装置
KR100941018B1 (ko) 방독면용 취수유닛
KR101536265B1 (ko) 두건형 방독면
KR101873011B1 (ko) 물을 이용한 필터마스크
JP2008535571A (ja) 密封形フィルタを利用する携帯用空気浄化システム
JP2007216949A (ja) 水中潜水器具用弁機構
US4090511A (en) Mouthpiece valve for escape breathing apparatus
FR2781163A1 (fr) Cagoule de sauvetage
US10105557B1 (en) Valve/connection system to prevent downstream contamination from an upstream source while replacing filters
KR20160056220A (ko) 공기호흡기 면체에 결합되는 여과필터 장착용 커넥터
KR101513859B1 (ko) 두건형 방독면
KR101536264B1 (ko) 두건형 방독면
GB2426712A (en) Breathing mask with valve module
KR101607577B1 (ko) 방독면이 장착된 분사기
JP2019514610A (ja) フィルタカートリッジを呼吸マスクのマスクに接続するためのアダプタ
KR101478776B1 (ko) 방독면용 취수유닛
KR102412017B1 (ko) 산소 호흡기용 수납 주머니
KR102412014B1 (ko) 비상탈출용 산소 호흡기
KR101904301B1 (ko) 방독면
US20030192536A1 (en) Personal containment system with isolated blower
CN106659918B (zh) 防毒面具用净化筒安装结构
JP6726794B1 (ja) 呼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