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6264B1 - 두건형 방독면 - Google Patents

두건형 방독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264B1
KR101536264B1 KR1020150052605A KR20150052605A KR101536264B1 KR 101536264 B1 KR101536264 B1 KR 101536264B1 KR 1020150052605 A KR1020150052605 A KR 1020150052605A KR 20150052605 A KR20150052605 A KR 20150052605A KR 101536264 B1 KR101536264 B1 KR 101536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exhaust valve
ring
strap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산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to KR1020150052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62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264B1/ko
Priority to PCT/KR2016/003825 priority patent/WO2016167531A1/ko
Priority to TW105111625A priority patent/TWI583426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4Gas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2Assembling eyepieces, lenses or vision-correction means in or on gas-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건형 방독면에 관한 것으로, 안면 렌즈가 정면에 구비된 두건과, 상기 두건의 내측 하단부에 형성되어 머리 전체를 외부와 격리시키는 차단막과, 상기 두건의 내측면에 마련되며 착용자의 코와 입을 두건 내부에서 격리시키는 노우즈 마스크와, 착용자의 입에 대응하여 상기 두건의 정면에 마련되는 배기밸브 커버와, 상기 노우즈 마스크를 관통하여 상기 배기밸브 커버와 체결되는 배기밸브 연결구 유닛과, 상기 배기밸브 연결구 유닛과 배기밸브 커버 사이에 설치되는 배기밸브와, 상기 배기밸브 커버를 중심으로 상기 두건의 정면 양측에 마련되는 정화통과, 상기 노우즈 마스크를 관통하여 상기 정화통과 체결되는 정화통 연결구 유닛 및 상기 정화통 연결구 유닛과 연결되어 긴장되면서 상기 두건을 압박하여 상기 노우즈 마스크를 착용자의 입과 코에 밀착시키는 웨빙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밸브 연결구 유닛 및 정화통 연결구 유닛은 서로 별개로 분리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건형 방독면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두건형 방독면{HOOD TYPE GAS MASK}
본 발명은 두건형 방독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두건형 방독면에 관한 것이다.
방독면은 공기 속에 있는 유해 물질의 흡입을 막고 안면을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것으로 그 구조에 따라 풀 페이스형, 하프 페이스형, 두건형으로 구별될 수 있다.
풀 페이스형 방독면은 착용자의 얼굴 전체에 밀착되어 주변 공기가 들어오는 것을 막아주는 전안부(facepiece), 착용자가 전방을 주시할 수 있게 전안부에 형성되는 안면 렌즈(visor), 전안부에 구비되어 오염된 공기를 여과하는 정화통(cartridge), 정화통에 설치되어 공기를 전안부로 들어가게 하고 착용자가 내뱉는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막아주는 흡기 밸브(inhalation valve), 착용자가 내뱉는 공기가 전안부의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전안부에 구비되는 배기 밸브(exhalation valve), 전안부를 착용자의 얼굴에 밀착시키도록 착용자의 머리 뒷부분을 감싸는 조절끈(head harness)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풀 페이스형 방독면은 착용자에게 넓은 시야를 제공하며 착용자의 격력한 동작에도 방독면이 벗겨지지 않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소방, 군사용 등에 사용된다.
또한, 하프 페이스형 방독면은 앞서 설명한 풀 페이스형과 유사하지만 착용자의 입과 코만을 외부와 격리시키는 노우즈 마스크(nosemask)에 정화통, 흡기 밸브, 배기 밸브, 조절끈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하프 페이스형 방독면은 탄광, 화학 공장, 건설 현장 등과 같은 대기 중 분진 밀도가 높은 곳에서 활동하는 작업자가 착용하기에 적합한 구조를 갖는다.
한편, 두건형 방독면은 주로 지하철, 백화점 등과 같은 다수의 민간인이 모이는 장소에 비치되어 화재와 같은 비상 상황 시 대피 및 구난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전문적인 훈련을 받지 않는 일반인도 쉽게 착용할 수 있도록 착용자의 머리 전체를 감싸는 주머니 형태의 두건에 안면 렌즈, 노우즈 마스크, 정화통, 흡기 밸브, 배기 밸브, 조절끈이 설치된다.
이러한 두건형 방독면에 대한 선행기술을 도 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두건형 방독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선행기술에 따른 두건형 방독면은 두건(1)에 안면 렌즈(2)가 설치되고, 두건(1)에 형성된 통기공(3)에 정화통(4)이 설치된다. 또한, 두건(1)의 내부에 착용자의 머리가 출입하고 머리와 외부를 격리시키는 링 형태의 차단막(5)이 형성되며, 착용자의 입과 코를 격리시키는 노우즈 마스크를 밀착시키는 조절끈(6)이 구비된다.
또한, 정화통(4)과 두건(1)을 영구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통기공(3)과 정화통(4)은 금속밴드(7)에 의해 고정되는데, 이때 정화통(4)은 관 형태의 돌출부(4a)가 형성되어 두건(1)의 통기공(3)에 삽입된 후 돌출부(4a)가 두건(1)의 내부에 형성된 노우즈 마스크(8)와 연결된다.
이러한 선행기술에 따른 두건형 방독면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정 장소에 비치되는 것으로 방독면이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접어 보관하게 된다. 이를 위해, 두건은 아라미드 원단 등의 내열성 방열재로 이루어져 두건을 접어 그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착용자가 낮은 저항으로 호흡할 수 있도록 오염된 공기의 정화량을 증가시키고, 정화통이 본연의 역활을 수행하지 못하더라도 또 다른 정화통이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켜 착용자가 호흡할 수 있도록 두건에 2개의 정화통이 마련되는 방독면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2개의 정화통이 마련되는 방독면은 정화통이 안정적으로 두건에 고정될 수 있게 판의 형상을 갖는 정화통 고정 플레이트가 두건에 구비된다. 또한, 정화통 고정 플레이트의 중앙에 배기 밸브가 설치되고, 배기 밸브를 중심으로 정화통 고정 플레이트의 양측에 정화통이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정화통 고정 플레이트에 2개의 정화통이 마련되는 두건형 방독면은 정화통 고정 플레이트가 굽혀지지 않는 플레이트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방독면을 착용했을 때 착용자의 안면에 노우즈 마스크가 밀착되지 않아 착용자로 하여금 이질감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머리에 맞게 조절끈을 조절하더라도 정화통 고정 플레이트가 착용자의 안면 형상에 맞게 변형되지 않아 노우즈 마스가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되지 않아 오염된 공기가 정화통을 거치지 않고 착용자의 안면과 노우즈 마스크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 유입될 위험이 있다.
또한, 정화통 고정 플레이트가 굽혀지지 않기 때문에 방독면 보관시 정화통 고정 플레이트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없어 결국 방독면 전체에 대한 부피를 감소시키는데 제한이 있어 방독면 보관시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고, 따라서 정해진 공간에 보다 많은 수의 방독면을 비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정화통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일정 주기마다 정화통을 교체해야 하지만 선행기술에 따른 방독면은 금속밴드에 의해 두건과 정화통이 영구 고정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정화통만을 교체할 수 없고, 따라서 방독면 전체를 새것으로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출원인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허출원 제10-2014-0140885호의 "두건형 방독면"을 출원하여 2015년 3월 11일자로 특허등록결정된 바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선행기술은 정화통 연결구 유닛이 노우즈 마스크를 관통하여 정화통 결속 링과 조립되고, 정화통 결속 링을 관통한 정화통 연결구 유닛의 장착부가 정화통의 인입홀에 체결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두건의 정면에 마련된 복수의 정화통 연결구 유닛 및 배기밸브 연결구 유닛이 별개로 분할되어 방독면의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정화통 연결구 유닛과 정화통의 결속이 느슨해지는 문제가 있어 느슨해진 틈새로 외부 공기가 방독면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정화통이 정화통 연결구 유닛으로부터 의도치 않게 분리될 우려가 있다.
KR B 10-1301444(2013.08.2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2개의 정화통을 갖는 두건형 방독면을 보관할 때 방독면의 부피를 최소화시켜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두건형 방독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착용자가 두건를 착용했을 때 간편하게 조절끈을 조작하여 두건을 착용자의 머리에 밀착시킬 수 있는 두건형 방독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정화통 고정 플레이트에 정화통이 기밀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손쉽게 정화통을 분리할 수 있는 두건형 방독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노우즈 마스크, 두건, 정화통 고정 플레이트가 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두건형 방독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안면 렌즈(110)가 정면에 구비된 두건(100);
상기 두건(100)의 내측 하단부에 형성되어 머리 전체를 외부와 격리시키는 차단막(107);
상기 두건(100)의 내측면에 마련되며 착용자의 코와 입을 두건 내부에서 격리시키는 노우즈 마스크(200);
착용자의 입에 대응하여 상기 두건의 정면에 마련되는 배기밸브 커버(400);
상기 노우즈 마스크(200)를 관통하여 상기 배기밸브 커버(400)와 체결되는 배기밸브 연결구 유닛(410);
상기 배기밸브 연결구 유닛(410)과 배기밸브 커버(400) 사이에 설치되는 배기밸브(420);
상기 배기밸브 커버(400)를 중심으로 상기 두건(100)의 정면 양측에 마련되는 정화통(500);
상기 노우즈 마스크(200)를 관통하여 상기 정화통(500)과 체결되는 정화통 연결구 유닛(510); 및
상기 정화통 연결구 유닛(510)과 연결되어 긴장되면서 상기 두건(100)을 압박하여 상기 노우즈 마스크(200)를 착용자의 입과 코에 밀착시키는 웨빙(600);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밸브 연결구 유닛(410) 및 정화통 연결구 유닛(510)은 서로 별개로 분리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화통 연결구 유닛(510)은,
상기 두건(100) 및 노우즈 마스크(200)를 관통하며 상기 정화통(500)과 연통되는 연통 홀(511)이 형성된 관통부(512);
상기 관통부(512)의 일측에 형성되되 관통부(512)보다 큰 지름을 갖고 상기 노우즈 마스크(20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513);
상기 관통부(512)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정화통(500)에 형성된 돌출부(501)의 인입 홀(502)에 삽입되는 장착부(514); 및
상기 두건(100)을 관통한 관통부(512)에 결속되며 상기 웨빙(600)과 연결되는 정화통 결속 링(530);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512)는,
상기 밀착부(513)와 대향하는 부분에 상기 정화통 결속 링(530)을 압입하는 압입턱(512a)이 형성되고, 상기 압입턱(512a)과 대응하여 정화통 결속 링(530)의 연부에 탄성력이 발휘되는 걸림턱(531)이 형성되어 상기 압입턱(512a)과 걸림턱(531)이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정화통(500)은
상기 돌출부(501)의 둘레를 따라 가압돌기(504)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돌기(504)와 마주하는 정화통 결속 링(530)의 일면에 실링부재(520)가 안치되는 안치홈(532)이 형성되어 상기 정화통(500)이 상기 정화통 연결구 유닛(510)과 체결되었을 때 상기 가압돌기(504)가 실링부재(520)를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배기밸브 연결구 유닛(410)은,
상기 두건(100) 및 노우즈 마스크(200)를 관통하며 상기 배기밸브 커버(400)와 연통되는 소통 홀(431a)이 형성되며 그 내부에 배기밸브(420)가 설치된 소통부(431);
상기 소통부(431)의 일측에 형성되되 소통부(431)보다 큰 지름을 갖고 상기 노우즈 마스크(20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숄더부(432); 및
상기 소통부(431)의 외주면에 형성된 후크(431b)와 결속되는 걸림단부(442)가 내주면에 형성되며, 외주면에 상기 배기밸브 커버(400)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단턱(404)과 결속되는 걸림단차(445)가 형성된 배기밸브 결속 링(440);을 포함하고,
상기 웨빙(600)은,
상기 두건(100)의 배면을 착용자의 후두부에 밀착시키도록 두건(100)의 배면 하부에 마련되며 양 끝단에 각각 록커(630)가 구비되고 상기 정화통 연결구 유닛(510)을 향해 연장된 연결끈(610); 및
상기 두건(100)의 배면 상부에서 상기 정화통 연결구 유닛(510)을 향해 연장되되 양 끝단이 각각 상기 정화통 결속 링(530)에 형성된 연결고리(534)를 관통하여 상기 록커(630)에 구속되는 조절끈(620);을 포함하며,
상기 두건(100)은,
상기 웨빙(600)의 상기 조절끈(620)이 관통상태로 끼워지는 고리형태의 구멍을 제공하여 상기 조절끈(620)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1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웨빙(600)은,
상기 조절끈(620)의 양 끝단이 상기 록커(630)를 통해 상기 연결끈(610)과 연결됨에 따라 상기 조절끈(620)의 당김에 의해 상기 연결끈(610)이 당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배기밸브 커버(400)를 상기 배기밸브 결속 링(44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배기밸브 커버(400)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되는 걸림단턱(404); 및
상기 배기밸브 결속 링(44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단턱(404)이 걸려서 결속되는 걸림단차(445);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단턱(404)은,
상기 걸림단차(445)에 걸리는 단부가 반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착탈가능하게 상기 배기 밸브 결속 링(440)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장착부(514)의 외주면 및 상기 인입 홀(502)의 내주면은 각각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장착부 결속돌기(514a) 및 인입 홀 결속돌기(502a)가 형성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건형 방독면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장착부 결속돌기(514a)는 선단에 걸림홈(514b)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514b)과 대응하여 상기 인입 홀 결속돌기(502a)의 선단에 걸림돌기(502b)가 형성되어 장착부 결속돌기(514a)와 인입 홀 결속돌기(502a)가 서로 맞물렸을 때 걸림돌기(502b)가 걸림홈(514b)에 걸림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웨빙(600)은,
상기 조절끈(620)과 상기 연결끈(610)이 탄력을 갖는 띠형태의 탄성밴드로 구성되고,
상기 조절끈(620)의 단부에 형성되어 손가락이 끼워지는 신축성을 갖는 탄성재 고무링(621);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끈(610)은 두건(100)의 배면 하부에서 상기 정화통 결속 링(530)을 향해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조절끈(620)은 두건(100)의 배면 상부에서 상기 정화통 결속 링(530)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연결끈(610)과 조절끈(620)은 각각 제1고정부(120a)와 제2고정부(120b)에 의해 지지되되,
상기 제1고정부(120a)가 마련된 연결끈(610)은 두건(100)과 재봉(102)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120a) 및 제2고정부(120b)는,
상기 두건(100)의 배면에 형성된 절개선(101a)이 서로 마주하여 열융착되고 두건(100)의 외측면으로 접혀지는 날개(101); 및
상기 날개(101)의 상부에 연결끈(610)과 조절끈(620)이 각각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두건(100)의 배면에 형성된 날개(101)를 따라 형성되는 심테이프(12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면 렌즈(110)는 일부분의 접힘이 가능한 부위를 제공하는 접힘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접힘수단은 상기 안면 렌즈(110) 일부분의 강성을 선형태로 약화시켜 안면 렌즈(110)가 접힘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록커(630)는
상기 연결고리(534)에 편축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부에 스파이크(631a)가 마련된 연결편(631);
상기 연결편(631)에 끼워진 상태로 일측이 연결편(631)에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조절끈(620)이 내측으로 삽입되어 타측에 절곡상태로 감기며, 조절끈(620)이 당겨지면서 발생되는 조절끈(620)의 인장력에 의해 연결편(631)이 편축회전함에 따라 일측을 중심으로 타측이 편축회전되면서 타측에 감겨진 조절끈을 연결편(631)의 스파이크(631a)에 밀착시켜서 연결편(631)과 함께 조절끈(620)을 파지하는 파지링(632); 및
상기 파지링(632)의 일측을 상기 연결편(631)에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633);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633)은
상기 파지링(632)의 일측이 위치하는 상기 연결편(631)의 일측면 양측에 경사턱(633a) 및 이 경사턱(633a)과 직각을 이루는 직선턱(633b)을 형성하여, 억지끼움에 의해 상기 경사턱(633a)을 통과하여 경사턱(633a) 및 직선턱(633b)의 사이로 삽입되는 상기 파지링(632)의 일측이 경사턱(633a) 및 직선턱(633b)에 걸려서 상기 연결편(631)의 일측면에 유동가능하게 구속되도록 구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두건형 방독면에 의하면, 두건의 정면에 마련된 복수의 정화통 연결구 유닛 및 배기밸브 열결구 유닛이 별개로 분할된 구조를 갖기 때문에 방독면의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방독면의 부피를 최소화시켜 방독면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상자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어 포장에 따른 경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안면 렌즈에 접힘선이 형성됨으로써, 두건을 착용자가 착용했을 때 안면 렌즈가 착용자의 얼굴 굴곡에 부합하게 굽혀지므로써, 착용자의 눈과 안면 렌즈가 가까워져 그 만큼 시야 확보가 용이하다.
또한, 착용자가 두건을 착용했을 때 웨빙의 조절끈을 잡아당기는 것에 따라 두건의 배면이 착용자의 후두부에 밀착되어 착용자가 방독면을 착용한 상태에서 과격한 행동을 취하더라도 방독면이 착용자의 머리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어 착용자의 활동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특히, 접힘선이 안면 렌즈의 중앙에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안면 렌즈를 중앙의 접힘선을 중심으로 절첩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의 얼굴 굴곡에 부합하게 굽힐 수 있다.
그리고, 두건에 웨빙의 조절끈이 관통상태로 끼워지는 고정부가 마련됨에 따라 조절끈이 두건에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조절끈의 양 끝단이 록커를 통해 연결끈과 연결됨에 따라 조절끈의 당김에 의해 연결끈을 당길 수 있다.
또한, 걸림단턱 및 걸림단차로 구성되어 배기밸브 커버를 배기밸브 결속 링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재에 의하여 배기밸브 커버가 배기밸브 결속 링에서 분리되고, 특히 걸림단턱의 단부가 반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므로 배기밸브 커버의 분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분해 후 청소가 쉽다.
게다가, 웨빙의 조절끈이 탄성밴드로 구성되므로 탄성밴드에 의해 탄성이 확보되고, 이에 더하여 조절끈의 단부에 걸고리가 구성되므로 손가락을 끼워서 조절끈을 용이하게 당길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걸고리가 탄성재 고무링을 구성될 경우 걸고리에 탄성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두건형 방독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두건형 방독면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두건형 방독면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두건형 방독면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두건형 방독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두건형 방독면의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의 B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두건형 방독면 중 록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두건형 방독면 중 록커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두건형 방독면 중 제1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두건형 방독면 중 제2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두건형 방독면 중 정화통의 조립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두건형 방독면 중 정화통의 조립 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두건형 방독면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두건형 방독면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두건형 방독면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두건형 방독면은 굽혀질 수 있게 접힘선(112)이 형성된 안면 렌즈(110), 정면에 안면 렌즈(110)가 구비되는 두건(100), 두건(100)의 내측에 마련되는 노우즈 마스크(200), 착용자의 입에 대응하여 두건(100)의 정면에 마련되는 배기밸브 커버(400), 노우즈 마스크(200)의 내측에서 배기밸브 커버(400)와 체결되는 배기밸브 연결구 유닛(410), 배기밸브 연결구 유닛(410)과 배기밸브 커버(400) 사이에 설치되는 배기밸브(420), 배기밸브 커버(400)를 중심으로 두건(100)의 정면 양측에 마련되는 정화통(500), 노우즈 마스크(200)의 내측에서 정화통(500)과 체결되는 정화통 연결구 유닛(510), 정화통 연결구 유닛(510)과 연결되어 두건(100)을 착용자의 머리에 밀착시키는 웨빙(600)으로 구성된다.
부연하자면, 두건(100)은 착용자의 머리를 밀봉식으로 차폐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하부에 차단막(107)이 형성된 주머니의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두건(100)은 화기를 반사하도록 하는 알루미늄이 코팅되거나 화기를 차단하는 내열성의 방열재 원단(예: 아라미드나 알루미늄 코팅 난연원단 등)으로 이루어진다.
두건(100)의 내부에 형성된 차단막(107)은 고무와 같은 탄성력을 갖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착용자가 두건(100)을 머리에 착용할 때 차단막(107)에 형성된 개구(미도시)를 통해 착용자의 머리가 진입하게 되며, 두건(100)을 착용한 후에는 차단막(107)이 착용자의 목 부위와 긴밀하게 접촉되어 두건(100)의 내부와 외부가 격리된다.
또한, 두건(100)의 정면에는 착용자가 전방을 주시할 수 있도록 안면 렌즈(110)가 형성된다. 이때, 안면 렌즈(110)는 두건(100)을 접어 보관 및 휴대할 때 안면 렌즈(110)가 두건(100)과 함께 접혀지면서 방독면의 전체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게 안면 렌즈(110) 일부분이 접힘이 가능한 부위를 제공하는 접힘수단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접힘수단은 상기 안면 렌즈(110) 일부분의 강성을 선형태로 약화시켜 안면 렌즈(110)가 접힘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이러한 접힘수단은 접힘선(112)을 포함한다.
이러한 접힘선(112)은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접힘선(112)이 형성된 부분이 안면 렌즈(110)의 다른 부분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가요성(구부려지거나 휘어지는 성질)을 갖게 된다.
이때, 안면 렌즈(110)에 형성되는 접힘선(112)은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면 렌즈(110)의 중앙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상하방향으로 가로질러 형성되거나 또는 안면 렌즈(110)의 상단과 하단 중앙에서 서로를 향해 연장되는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즉, 안면 렌즈(110)는 접힘선(112)이 도 2에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횡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안면 렌즈(110)에 형성되는 접힘선(112)은 안면 렌즈(110)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두건의 내측에 해당하는 면) 중 어느 한 면에 형성되거나 양면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면 렌즈(110)에 접힘선(112)이 형성되면, 두건을 접을 때 안면 렌즈(110)도 함께 접을 수 있어 방독면의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보관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건(100)을 착용자가 착용했을 때 안면 렌즈(110)가 착용자의 얼굴 굴곡에 부합하게 굽혀지므로써, 착용자의 눈과 안면 렌즈(110)가 가까워져 그 만큼 시야 확보가 용이하다.
특히, 안면 렌즈(110)는 접힘선(112)이 도 2에 파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일직선으로 형성될 경우, 접힘선(112)에 의해 도 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일직선의 홈이 중앙에 형성되므로 중앙을 중심으로 접첩된다. 따라서, 안면 렌즈(110)는 착용자의 얼굴 굴곡에 부합하게 굽혀진다.
그리고, 두건의 정면에 형성된 안면 렌즈(110)의 하부로 정화통(500) 및 배기밸브 커버(400)가 설치되는 두건측 정화통 관통홀(105)과 두건측 배기밸브 관통홀(103)이 형성된다.
이때, 두건측 배기밸브 관통홀(103)은 착용자의 입에 대응하도록 두건(100)의 정면 하부에 형성되며, 두건측 배기밸브 관통홀(103)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두건측 정화통 관통홀(105)이 형성된다.
노우즈 마스크(200)는 두건(100)의 내부에서 착용자의 코와 입을 격리시켜 호흡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착용자의 안면 굴곡에 밀착될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방열 고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노우즈 마스크(200)는 앞서 설명한 두건(100)에 형성된 두건측 배기밸브 관통홀(103)과 두건측 정화통 관통홀(105)과 동일 축선을 갖는 마스크측 배기밸브 관통홀(203)과 마스크측 정화통 관통홀(205)이 형성되고, 두건(100)의 내측면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두건(100)에 형성된 두건측 배기밸브 관통홀(103)에는 배기밸브 커버(400) 및 배기밸브 연결구 유닛(410)이 설치되며 두건측 정화통 관통홀(105)에는 정화통 및 정화통 연결구 유닛(510)이 설치된다. 이를 도 4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두건형 방독면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두건형 방독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두건형 방독면의 평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배기밸브 커버(400)는 착용자의 입에 대응하여 두건(100)의 정면에 형성된 두건측 배기밸브 관통홀(103)과 동일 축선을 갖도록 위치되어 노우즈 마스크(200)의 내측에 구비된 배기밸브 연결구 유닛(410)과 체결되며, 배기밸브 연결구 유닛(410)은 소통부(431), 숄더부(432), 배기밸브 결속 링(440)으로 구성된다.
배기밸브 커버(400)는 그 표면에 다수의 통기 포트(402)가 형성되어 배기밸브(420)를 통해 배출된 공기가 통기 포트(402)를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또한, 배기밸브 커버(400)의 내주면에는 걸림단턱(404)이 형성되어 배기밸브 결속 링(440)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단차(445)와 결속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처럼 배기밸브 커버(400)와 배기밸브 결속 링(440)이 걸림단턱(404)과 걸림단차(445)에 의해 결속되는 구조를 갖게 되면 배기밸브 커버(400)의 분해가 용이해져 청소가 쉬워지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전술한 걸림단턱(404) 및 걸림단차(445)는 배기밸브 커버(400)를 배기밸브 결속 링(44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재이다. 이러한 결합부재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걸림단차(445)에 걸리는 돌출된 걸림단턱(404)의 단부가 반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됨(도 8 참조)에 따라 배기밸브 커버(400)를 배기밸브 결속 링(44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두건(100)의 정면에 배기밸브 커버(400)가 위치될 때 배기밸브 커버(400)와 두건(100) 사이에 배기밸브 결속 링(440)이 설치되는데, 배기밸브 결속 링(440)은 노우즈 마스크(200)와 두건(100)을 관통하는 소통부(431)에 의해 결속된다.
즉, 소통부(431)는 두건(100) 및 노우즈 마스크(200)를 관통할 수 있게 관의 형태를 갖고 그 내부에 배기밸브 커버(400)와 연통되는 소통홀(431a)이 형성되며 그 내부에 배기밸브(420)가 설치된다. 이때, 배기밸브(420)는 소통부(431)에 지지되어 착용자의 내쉬는 숨에 따라 배기밸브(420)가 개방되는 탄성이 있는 얇은 막의 형태를 갖는다.
또한, 소통부(431)의 일측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통부(431)보다 큰 지름을 갖고 노우즈 마스크(20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숄더부(432)가 형성되어 소통부(431)가 노우즈 마스크(200)의 내측에서 마스크측 배기밸브 관통홀(203)과 두건측 배기밸브 관통홀(103)을 소통부(431)가 관통하게 된다. 그리고, 두건(100)의 전방으로 돌출된 소통부(431)의 외주면에 형성된 후크(431b)가 배기밸브 결속 링(440)에 형성된 걸림단부(442)와 결속된다.
또한, 배기밸브 결속 링(440)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단차(445)는 배기밸브 커버(400)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단턱(404)과 결속된다. 이때, 배기밸브 커버(400)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단턱(404)은 그 단면이 반원형을 갖도록 함으로써, 배기밸브 결속 링(440)의 걸림단차(445)와 원활하게 착탈될 수 있다.
한편, 정화통(500)은 두건(100)의 정면에 설치되는 배기밸브 커버(400)를 중심으로 양측에 설치되는데, 정화통(500)은 정화통 본체(500a)와 정화통 커버(500b)로 이루어지며, 정화통 본체(500a)의 내부에는 오염된 외부 공기를 정화시켜 노우즈 마스크(200)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게 다공판, 여과지, 활성탄 등과 같은 여과제가 구비된다.
그리고, 정화통(500)은 정화통 본체(500a)의 타측에 마스크측 정화통 관통홀(305)과 연통되는 인입 홀(502)이 형성된 돌출부(501)가 마련되어 노우즈 마스크(200)의 내측에 구비된 정화통 연결구 유닛(510)과 체결된다. 이와 같이 정화통 본체(500a)와 체결되는 정화통 연결구 유닛(510)을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도 6의 A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정화통 연결구 유닛(510)은 두건 및 노우즈 마스크(200)를 관통하며 정화통(500)과 연결되는 연통 홀(511)이 형성된 관통부(512)와, 관통부(512)의 일측에 형성되되 관통부(512)보다 큰 지름을 갖고 노우즈 마스크(20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513)와, 관통부(512)의 타측에 형성되며 정화통 본체(500a)에 형성된 돌출부(501)의 인입 홀(502)에 삽입되는 장착부(514) 및 두건(100)을 관통한 관통부(512)에 결속되며 웨빙(600)과 연결되는 정화통 결속 링(530)으로 구성된다.
관통부(512)는 원기둥의 형상을 갖고 그 내부에 정화통(500)과 연통되는 연통 홀(511)이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부(512)는 두건(100)과 노우즈 마스크(200)에 각각 형성된 두건측 정화통 관통홀(105), 마스크측 정화통 관통홀(205)을 관통하게 된다. 또한, 관통부(512)의 일측에는 밀착부(513)가 형성되는데, 밀착부(513)는 관통부(512)보다 큰 지름을 갖고 노우즈 마스크(20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장착부(514)는 관통부(512)의 타측에 형성되며 정화통(500)에 형성된 돌출부(501)의 인입 홀(502)에 삽입되는데 이때, 장착부(514)의 외주면 및 인입 홀(502)의 내주면은 도 5의 원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장착부 결속돌기(514a) 및 인입 홀 결속돌기(502a)가 형성되어 장착부 결속돌기(514a)와 인입 홀 결속돌기(502a)가 서로 맞물려 정화통(500)과 정화통 연결구 유닛(510)을 체결하게 된다.
부연하자면, 장착부 결속돌기(514a)는 장착부(514)의 외주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시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인입 홀 결속돌기(502a)는 인입 홀(502)의 내주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시계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정화통 연결구 유닛(510)을 정화통(500)에 조립하기 위해 장착부 결속돌기(514a)를 인입 홀 결속돌기(502a) 사이에 위치하도록 정화통 연결구 유닛(510)의 장착부(514)를 정화통(500)의 인입 홀(502)에 삽입시킨 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장착부 결속돌기(514a)가 인입 홀 결속돌기(502a)에 안내되면서 나사 체결된다.
이때, 장착부 결속돌기(514a)와 인입 홀 결속돌기(502a)는 각각 장착부(514)의 외주면과 인입 홀(502)의 내주면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정화통 연결구 유닛(510)의 장착부(514)를 정화통(500)의 인입 홀(502)에 삽입한 후에 일정 각도만 회전시켜 정화통(500)과 정화통 연결구 유닛(510)을 신속하게 체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관통부(512)는 밀착부(513)와 대향하는 부분에 정화통 결속 링(530)을 압입하는 압입턱(512a)이 형성되며, 압입턱(512a)은 밀착부(513)와 대향하는 부분 즉, 관통부(512)와 장착부(514)의 경계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갖게 된다.
또한, 압입턱(512a)에 대응하는 걸림턱(531)이 정화통 결속 링(530)의 연부에 형성되어 관통부(512)와 정화통 결속 링(530)이 결속되고, 밀착부(513)와 압입턱(512a) 사이에 노우즈 마스크(200), 두건(100)이 개재된다.
이처럼, 관통부(512)와 정화통 결속 링(530)에 각각 압입턱(512a)과 걸림턱(531)이 형성되면 억지끼움에 의해 관통부(512)와 정화통 결속 링(530)을 원터치 체결할 수 있어 신속하게 관통부(512)와 정화통 결속 링(530)을 조립할 수 있다.
이때, 정화통 결속 링(530)에는 두건(10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밀착부(513)와 마주하는 면에 요철(533)이 형성되어 밀착부(513)와 정화통 결속 링(530) 사이에 두건(100)이 개재되면 요철(533)이 두건을 밀착부(513)를 향해 가압하여 두건(100)을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한편, 정화통(500)이 정화통 연결구 유닛(510)에 체결된 후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분리되며 정화통(500)과 정화통 연결구 유닛(510)이 체결되었을 때 정화통(500)과 마주하는 정화통 결속 링(320) 간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게 정화통(500)과 정화통 결속 링(530)에는 각각 실링부재(520)와 가압돌기(504)가 구비된다.
즉, 정화통(500)과 정화통 결속 링(530)에 구비되는 실링부재(520)와 가압돌기(50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통(500)은 돌출부(501)의 둘레를 따라 가압돌기(504)가 형성되며, 정화통 결속 링(530)은 가압돌기(504)와 마주하는 부분에 실링부재(520)가 안치되는 안치홈(532)이 형성된다
이때, 실링부재(520)는 탄성 복원력을 갖으며 유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링(O-ring)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화통 결속 링(530)의 안치홈(503)에 실링부재(520)가 마련되고, 정화통(500)의 돌출부(501) 둘레에 가압돌기(504)가 형성되면 정화통(500)이 정화통 결속 링(530)과 체결되었을 때 가압돌기(504)가 실링부재(520)를 압박하게 되어 정화통(500)과 정화통 결속 링(530) 간의 기밀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정화통 결속 링(530)에는 웨빙(600)과 연결되는 연결고리(534)가 형성되어 웨빙(600)을 착용자가 잡아당기는 것에 따라 노우즈 마스크(200)를 착용자의 코와 입에 밀착시켜 착용자의 활동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러한 웨빙을 도 9 및 도 10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두건형 방독면 중 록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두건형 방독면 중 록커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웨빙(600)은 연결끈(610)과 조절끈(620)으로 구성되는데, 연결끈(610)은 두건(100)의 배면을 착용자의 후두부에 밀착시키도록 두건(100)의 배면 하부에 마련되며 양 끝단에 각각 록커(630)가 구비되며 정화통 연결구 유닛(510)을 향해 연장된다.
이러한 조절끈(620)과 연결끈(610)은 탄력을 갖는 띠형태의 탄성밴드로 구성되며, 연결끈(610)은 두건(100)의 배면 하부에서 정화통 결속 링(530)을 향해 수평하게 배치되고, 조절끈(620)은 두건(100)의 배면 상부에서 상기 정화통 결속 링(530)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또한, 조절끈(620)은 두건(100)의 배면 상부에서 정화통 연결구 유닛(510)을 향해 연장되되 양 끝단이 각각 정화통 결속 링(530)에 형성된 연결고리(534)를 관통하여 록커(630)에 구속되어 조절끈(620)을 착용자가 잡아당기는 것에 따라 조절끈(620)이 두건(100)의 배면을 착용자의 후두부에 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조절끈(620)은 예를 들어 띠형태의 탄성밴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절끈(620)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록커(630)에 의해 연결끈(610)과 연결된다. 따라서, 웨빙(600)은 조절끈(620)에 연결끈(610)이 연결됨에 따라 조절끈(620)의 당김에 의해 연결끈(610)도 당겨진다.
이렇게, 연결끈(610)과 조절끈(620)을 연결하게 되는 록커(630)는 조절끈(620)의 양단을 록킹하거나 언록킹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나 구조가 실시될 수 있으나 예컨데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편(631)과 파지링(632) 및 고정수단(633)으로 구성될 수 있다.
부연하자면, 연결편(631)은 정화통 결속 링(530)에 형성된 연결고리(534)에 편축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고 타단부에 스파이크(631a)가 마련된다.
즉, 연결편(631)은 정화통 결속 링(530)에 형성된 연결고리(534)에 편축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부에 스파이크(631a)가 마련된다. 이러한, 연결편(631)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끈(610)의 타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연결부(635)가 형성되고, 연결부(635)와 반대되는 자유단에는 착용자가 조절끈(620)의 가압을 손가락으로 해제하도록 팁(364)이 형성된다.
또한, 파지링(632)은 연결편(631)에 끼워진 상태로 일측이 연결편(631)에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고정되고, 조절끈(620)이 내측으로 삽입되어 타측에 절곡상태로 감기며, 조절끈(5)이 당겨지면서 발생되는 조절끈(620)의 인장력에 의해 연결편(631)이 편축회전함에 따라 일측을 중심으로 타측이 편축회전되면서 타측에 감겨진 조절끈(620)을 연결편(631)의 스파이크(631a)에 밀착시켜서 연결편(631)과 함께 조절끈(620)을 파지한다.
이러한, 파지링(632)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에 절곡상태로 감기는 조절끈(62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관형태의 슬리브(636)가 삽입되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조절끈(620)의 끝단에는 착용자가 손가락을 끼워 조절끈을 잡아당기는 고무링(621)이 구비되어 착용자가 용이하게 조절끈(620)을 찾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고무링(621)은 손가락이 끼워지는 걸고리로서, 탄성재의 고무로 구성되므로 신축성을 갖는다.
한편, 고정수단(633)은 파지링(632)의 일측을 연결편(631)에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수단(633)은 파지링(632)의 일측이 위치하는 연결편(631)의 일측면 양측에 경사턱(633a) 및 이 경사턱(633a)과 직각을 이루는 직선턱(633b)을 형성하여 억지끼움에 의해 경사턱(633a)을 통과하여 경사턱(633a) 및 직선턱(633b)의 사이로 삽입되는 파지링(632)의 일측이 경사턱(633a) 및 직선턱(633b)에 걸려서 연결편(631)의 일측면에 유동가능하게 구속시키는 구성이 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록커(630)는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편(631)에 조절끈(620)과 함께 삽입된 파지링(632)이 삽입된 상태에서 조절끈(620)이 당겨지면서 발생되는 조절끈(620)의 인장력에 의해 연결편(631)이 편축회전함에 따라 연결편(631)의 스파이크(631a)가 파지링(632)에 조절끈(620)을 가압하므로, 조절끈(620)의 인장력만으로 조절끈(620)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록커(630)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으로 팁(364)을 외측으로 미는 경우 연결편(631)이 편축회전함에 따라 스파이크(631a)가 파지링(632)에서 이격되어 가압이 해제하므로 조절끈(620)을 풀 수 있다.
한편, 두건(100)은 고정부(120)가 마련되어 연결끈(610)과 조절끈(620)이 두건(100)에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부는 연결끈을 지지하는 제1고정부와 조절끈을 지지하는 제2고정부로 구성된다. 이를 도 11a 및 도 11b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두건형 방독면 중 제1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고정부(120a)는 날개(101) 및 심테이프(122)로 구성되는데, 날개(101)는 두건(100)의 배면에 형성된 절개선(101a)이 서로 마주하여 열융착되고 두건(100)의 외측면으로 접혀짐으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날개(101)의 상부에 연결끈(610)이 위치한 상태에서 심테이프(122)가 두건(100)의 배면에 형성된 날개(101)를 따라 형성되어 심테이프(122)와 두건(100) 사이로 연결끈(610)이 개재된다.
이와 같이 심테이프(122)가 날개(101)를 따라 형성되면 날개(101)를 통해 두건(100)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기밀하게 차단하게 되며, 두건(100)으로부터 연결끈(610)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심테이프(122)가 연결끈(610)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제1고정부(120a)에 의해 지지되는 연결끈(610)은 두건(100)과 완전히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연결끈(610)은 날개(101)와 재봉되어 고정되고, 재봉된 연결끈(610)의 상부로 심테이프(122)가 날개(101)를 따라 형성된다.
한편,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두건형 방독면 중 제2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고정부(120b)는 제1고정부(120a)와 마찬가지로 날개(101) 및 심테이프(122)로 구성되는데, 날개(101)는 두건(100)의 배면에 형성된 절개선(101a)이 서로 마주하여 열융착되고 두건(100)의 외측면으로 접혀짐으로써 형성된다.
그리고, 날개(101)의 상부에 조절끈(620)이 위치한 상태에서 심테이프(122)가 두건(100)의 배면에 형성된 날개(101)를 따라 형성되어 심테이프(122)와 두건 사이로 조절끈(620)이 개재된다. 이와 같이 심테이프(122)가 날개를 따라 형성되면 날개(101)를 통해 두건(100)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기밀하게 차단하게 되며, 두건(100)으로부터 조절끈(620)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심테이프(122)가 조절끈(620)을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고정부(120)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건(100)에 연결끈(610) 및 조절끈(620)이 관통상태로 끼워지는 고리형태의 구멍을 제공하여 웨빙(600)이 두건(100)에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두건형 방독면에 의하면 안면 렌즈(110)에 접힘선(112)이 형성되고, 배기밸브 커버(400)를 중심으로 양측에 정화통(500)이 독립적으로 마련됨으로써, 흡입 저항이 낮아 호흡하기 편하며, 접힘선(112)을 중심으로 접힘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복수의 정화통 연결구 유닛(510) 및 배기밸브 연결구 유닛(410)이 별개로 분할되므로 두건(100)이 용이하게 접히므로 방독면의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특히, 서랍에 보관가능(종래에 캐비넷에 보관)하고 휴대가 용이하다.
이와 같이, 방독면의 부피를 최소화시키게 되면 방독면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상자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어 포장에 따른 경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록커(630)에 의해 웨빙(600)의 연결끈(610)과 조절끈(620)이 연결되어 록커(630)의 조작만으로 간단하게 두건(100)을 착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용자가 두건(100)을 착용했을 때 웨빙(600)의 조절끈(620)을 잡아당기는 것에 따라 두건(100)의 배면이 착용자의 후두부에 밀착되어 착용자가 방독면을 착용한 상태에서 과격한 행동을 취하더라도 방독면이 착용자의 머리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어 착용자의 활동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안면 렌즈(110)에 접힘선(112)이 형성됨으로써, 두건(100)을 착용자가 착용했을 때 안면 렌즈(110)가 착용자의 얼굴 굴곡에 부합하게 굽혀지므로써, 착용자의 눈과 안면 렌즈(110)가 가까워져 그 만큼 시야 확보가 용이하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정화통과 정화통 연결구의 체결을 쉽고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장착부 결속돌기(514a)에 걸림홈(514b)이 형성되고, 인입 홀 결속돌기(502a)에 걸림돌기(502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도 12 및 도 1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두건형 방독면 중 정화통의 조립 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두건형 방독면 중 정화통의 조립 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장착부 결속돌기(514a)와 인입 홀 결속돌기(502a)가 체결 후에 체결상태가 무단으로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장착부 결속돌기(514a)는 선단에 걸림홈(514b)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514b)과 대응하여 인입 홀 결속돌기(502a)의 선단에 걸림돌기(502b)가 형성되어 장착부 결속돌기(514a)와 인입 홀 결속돌기(502a)가 서로 맞물렸을 때 걸림돌기(502b)가 걸림홈(514b)에 걸림된다.
이때, 인입 홀 결속돌기(502a)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돌기(502b)는 후크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예를 들어 걸림돌기(502b)는 시계방향에서 반시계방향으로 갈수록 단차가 커지는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정화통(500)이 무단으로 정화통 연결구(51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장착부 결속돌기(514a)는 기단에 인입 홀 결속돌기(502a)의 걸림돌기(502b)를 안내하는 가이드면(514c)이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면(514c)은 장착부 결속돌기(514a)의 이면에서 장착부(514) 끝단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정화통 연결구(510)의 장착부(514)를 정화통(500)의 인입 홀(502)에 삽입시킨 후 체결되도록 회전시킬 때 인입 홀 결속돌기(502a)가 가이드면(514c)을 따라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어 정화통(500)과 정화통 연결구(510)의 체결을 쉽고 신속하게 할 수 있다.
100 : 두건 101 : 날개
102 : 재봉 103 : 두건측 배기밸브 관통홀
105 : 두건측 정화통 관통홀 110 : 안면 렌즈
112 : 접힘선 120 : 고정부
121 : 고정밴드 122 : 심테이프
200 : 노우즈 마스크 203 : 마스크측 배기밸브 관통홀
205 : 마스크측 정화통 관통홀
400 : 배기밸브 커버 402 : 통기 포트
404 : 걸림단턱 431 : 소통부
431a : 소통홀 431b : 후크
432 : 숄더부 410 : 배기밸브 연결구 유닛
420 : 배기밸브 440 : 배기밸브 결속 링
442 : 걸림단부 445 : 걸림단차
500 : 정화통 504 : 가압돌기
530 : 정화통 결속 링 531 : 걸림턱
532 : 안치홈 533 : 요철
534 : 연결고리 500a : 정화통 본체
500b : 정화통 커버 501 : 돌출부
502 : 인입 홀 502a : 인입 홀 결속돌기
503 : 안치홈 510 : 정화통 연결구 유닛
512 : 관통부 513 : 밀착부
514 : 장착부 514a : 장착부 결속돌기
520 : 실링부재 600 : 웨빙
610 : 연결끈 620 : 조절끈
621 : 고무링 630 : 록커
631 : 연결편 631a : 스파이크
632 : 파지링 366 : 고정수단
633a : 경사턱 633b : 직선턱

Claims (6)

  1. 안면 렌즈(110)가 정면에 구비된 두건(100);
    상기 두건(100)의 내측 하단부에 형성되어 머리 전체를 외부와 격리시키는 차단막(107);
    상기 두건(100)의 내측면에 마련되며 착용자의 코와 입을 두건 내부에서 격리시키는 노우즈 마스크(200);
    착용자의 입에 대응하여 상기 두건의 정면에 마련되는 배기밸브 커버(400);
    상기 노우즈 마스크(200)를 관통하여 상기 배기밸브 커버(400)와 체결되는 배기밸브 연결구 유닛(410);
    상기 배기밸브 연결구 유닛(410)과 배기밸브 커버(400) 사이에 설치되는 배기밸브(420);
    상기 배기밸브 커버(400)를 중심으로 상기 두건(100)의 정면 양측에 마련되는 정화통(500);
    상기 노우즈 마스크(200)를 관통하여 상기 정화통(500)과 체결되는 정화통 연결구 유닛(510); 및
    상기 정화통 연결구 유닛(510)과 연결되어 긴장되면서 상기 두건(100)을 압박하여 상기 노우즈 마스크(200)를 착용자의 입과 코에 밀착시키는 웨빙(600);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밸브 연결구 유닛(410) 및 정화통 연결구 유닛(510)은 서로 별개로 분리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화통 연결구 유닛(510)은,
    상기 두건(100) 및 노우즈 마스크(200)를 관통하며 상기 정화통(500)과 연통되는 연통 홀(511)이 형성된 관통부(512);
    상기 관통부(512)의 일측에 형성되되 관통부(512)보다 큰 지름을 갖고 상기 노우즈 마스크(20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밀착부(513);
    상기 관통부(512)의 타측에 형성되며 상기 정화통(500)에 형성된 돌출부(501)의 인입 홀(502)에 삽입되는 장착부(514); 및
    상기 두건(100)을 관통한 관통부(512)에 결속되며 상기 웨빙(600)과 연결되는 정화통 결속 링(530);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512)는,
    상기 밀착부(513)와 대향하는 부분에 상기 정화통 결속 링(530)을 압입하는 압입턱(512a)이 형성되고, 상기 압입턱(512a)과 대응하여 정화통 결속 링(530)의 연부에 탄성력이 발휘되는 걸림턱(531)이 형성되어 상기 압입턱(512a)과 걸림턱(531)이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정화통(500)은
    상기 돌출부(501)의 둘레를 따라 가압돌기(504)가 형성되며, 상기 가압돌기(504)와 마주하는 정화통 결속 링(530)의 일면에 실링부재(520)가 안치되는 안치홈(532)이 형성되어 상기 정화통(500)이 상기 정화통 연결구 유닛(510)과 체결되었을 때 상기 가압돌기(504)가 실링부재(520)를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배기밸브 연결구 유닛(410)은,
    상기 두건(100) 및 노우즈 마스크(200)를 관통하며 상기 배기밸브 커버(400)와 연통되는 소통 홀(431a)이 형성되며 그 내부에 배기밸브(420)가 설치된 소통부(431);
    상기 소통부(431)의 일측에 형성되되 소통부(431)보다 큰 지름을 갖고 상기 노우즈 마스크(20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숄더부(432); 및
    상기 소통부(431)의 외주면에 형성된 후크(431b)와 결속되는 걸림단부(442)가 내주면에 형성되며, 외주면에 상기 배기밸브 커버(400)의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단턱(404)과 결속되는 걸림단차(445)가 형성된 배기밸브 결속 링(440);을 포함하고,
    상기 웨빙(600)은,
    상기 두건(100)의 배면을 착용자의 후두부에 밀착시키도록 두건(100)의 배면 하부에 마련되며 양 끝단에 각각 록커(630)가 구비되고 상기 정화통 연결구 유닛(510)을 향해 연장된 연결끈(610); 및
    상기 두건(100)의 배면 상부에서 상기 정화통 연결구 유닛(510)을 향해 연장되되 양 끝단이 각각 상기 정화통 결속 링(530)에 형성된 연결고리(534)를 관통하여 상기 록커(630)에 구속되는 조절끈(620);을 포함하며,
    상기 두건(100)은,
    상기 웨빙(600)의 상기 조절끈(620)이 관통상태로 끼워지는 고리형태의 구멍을 제공하여 상기 조절끈(620)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1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웨빙(600)은,
    상기 조절끈(620)의 양 끝단이 상기 록커(630)를 통해 상기 연결끈(610)과 연결됨에 따라 상기 조절끈(620)의 당김에 의해 상기 연결끈(610)이 당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배기밸브 커버(400)를 상기 배기밸브 결속 링(44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배기밸브 커버(400)의 내주면에 돌출형성되는 걸림단턱(404); 및
    상기 배기밸브 결속 링(44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단턱(404)이 걸려서 결속되는 걸림단차(445);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단턱(404)은,
    상기 걸림단차(445)에 걸리는 단부가 반원형의 단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착탈가능하게 상기 배기 밸브 결속 링(440)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장착부(514)의 외주면 및 상기 인입 홀(502)의 내주면은 각각 나선형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장착부 결속돌기(514a) 및 인입 홀 결속돌기(502a)가 형성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건형 방독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웨빙(600)은,
    상기 조절끈(620)과 상기 연결끈(610)이 탄력을 갖는 띠형태의 탄성밴드로 구성되고,
    상기 조절끈(620)의 단부에 형성되어 손가락이 끼워지는 신축성을 갖는 탄성재 고무링(621);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끈(610)은 두건(100)의 배면 하부에서 상기 정화통 결속 링(530)을 향해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조절끈(620)은 두건(100)의 배면 상부에서 상기 정화통 결속 링(530)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연결끈(610)과 조절끈(620)은 각각 제1고정부(120a)와 제2고정부(120b)에 의해 지지되되,
    상기 제1고정부(120a)가 마련된 연결끈(610)은 두건(100)과 재봉(102)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건형 방독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120a) 및 제2고정부(120b)는
    상기 두건(100)의 배면에 형성된 절개선(101a)이 서로 마주하여 열융착되고 두건(100)의 외측면으로 접혀지는 날개(101); 및
    상기 날개(101)의 상부에 연결끈(610)과 조절끈(620)이 각각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두건(100)의 배면에 형성된 날개(101)를 따라 형성되는 심테이프(1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건형 방독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면 렌즈(110)는 일부분의 접힘이 가능한 부위를 제공하는 접힘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접힘수단은 상기 안면 렌즈(110) 일부분의 강성을 선형태로 약화시켜 안면 렌즈(110)가 접힘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건형 방독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커(630)는
    상기 연결고리(534)에 편축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부에 스파이크(631a)가 마련된 연결편(631);
    상기 연결편(631)에 끼워진 상태로 일측이 연결편(631)에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조절끈(620)이 내측으로 삽입되어 타측에 절곡상태로 감기며, 조절끈(620)이 당겨지면서 발생되는 조절끈(620)의 인장력에 의해 연결편(631)이 편축회전함에 따라 일측을 중심으로 타측이 편축회전되면서 타측에 감겨진 조절끈을 연결편(631)의 스파이크(631a)에 밀착시켜서 연결편(631)과 함께 조절끈(620)을 파지하는 파지링(632); 및
    상기 파지링(632)의 일측을 상기 연결편(631)에 편축회전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6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건형 방독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633)은
    상기 파지링(632)의 일측이 위치하는 상기 연결편(631)의 일측면 양측에 경사턱(633a) 및 이 경사턱(633a)과 직각을 이루는 직선턱(633b)을 형성하여, 억지끼움에 의해 상기 경사턱(633a)을 통과하여 경사턱(633a) 및 직선턱(633b)의 사이로 삽입되는 상기 파지링(632)의 일측이 경사턱(633a) 및 직선턱(633b)에 걸려서 상기 연결편(631)의 일측면에 유동가능하게 구속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건형 방독면.
KR1020150052605A 2015-04-14 2015-04-14 두건형 방독면 KR101536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605A KR101536264B1 (ko) 2015-04-14 2015-04-14 두건형 방독면
PCT/KR2016/003825 WO2016167531A1 (ko) 2015-04-14 2016-04-12 두건형 방독면
TW105111625A TWI583426B (zh) 2015-04-14 2016-04-14 頭罩式防毒面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605A KR101536264B1 (ko) 2015-04-14 2015-04-14 두건형 방독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6264B1 true KR101536264B1 (ko) 2015-07-13

Family

ID=53793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605A KR101536264B1 (ko) 2015-04-14 2015-04-14 두건형 방독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536264B1 (ko)
TW (1) TWI583426B (ko)
WO (1) WO201616753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916A (ko) * 2017-09-20 2019-03-28 (주)한국유닉스 방독면 수용의 가방형 배낭
KR20200076032A (ko) 2018-12-19 2020-06-29 주식회사 호신 통신 연결구조를 갖는 두건형 방독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79420A1 (en) * 2020-06-05 2021-12-0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Navy Filtering face mask and respira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0904U (ko) * 1996-12-31 1997-06-18 삼공물산주식회사 어린이용 방독면
KR19980021301U (ko) * 1996-10-19 1998-07-15 이건 방독면 보호두건
KR20050028482A (ko) * 2003-09-18 2005-03-23 주식회사 산청 조립식 정화통체결구를 갖는 방독면
KR20080107253A (ko) * 2007-06-05 2008-12-10 박재철 착용이 용이하고 기밀성이 향상된 방독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444B1 (ko) * 2013-01-16 2013-08-28 주식회사 산청 두건형 방독면의 정화통 고정유닛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1301U (ko) * 1996-10-19 1998-07-15 이건 방독면 보호두건
KR970020904U (ko) * 1996-12-31 1997-06-18 삼공물산주식회사 어린이용 방독면
KR20050028482A (ko) * 2003-09-18 2005-03-23 주식회사 산청 조립식 정화통체결구를 갖는 방독면
KR20080107253A (ko) * 2007-06-05 2008-12-10 박재철 착용이 용이하고 기밀성이 향상된 방독 마스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916A (ko) * 2017-09-20 2019-03-28 (주)한국유닉스 방독면 수용의 가방형 배낭
KR102050325B1 (ko) * 2017-09-20 2019-12-02 (주)한국유닉스 방독면 수용의 가방형 배낭
KR20200076032A (ko) 2018-12-19 2020-06-29 주식회사 호신 통신 연결구조를 갖는 두건형 방독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67531A1 (ko) 2016-10-20
TWI583426B (zh) 2017-05-21
TW201701924A (zh) 2017-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6265B1 (ko) 두건형 방독면
US6971386B2 (en) Personal respirator
JP6018072B2 (ja) 農薬防霧マスク
EP2988834B1 (en) Respirator mask for cbrn or other protection
CN105792897B (zh) 适用于连接滤芯与呼吸器的卡口连接器
KR101700604B1 (ko) 풀 페이스 타입의 방독 마스크
US8276582B2 (en) Respirator assembly
BR112017026465B1 (pt) Máscara facial
US11123583B2 (en) Emergency aircraft passenger oxygen respirator
WO2009038315A1 (en) Filter-replaceable gas mask
US10265553B2 (en) Protective hood
JP2018504205A (ja) 呼吸装置
KR101536264B1 (ko) 두건형 방독면
KR20200052217A (ko) 필터의 교체가 용이한 공기 여과용 필터부 및 이를 구비하는 마스크
KR101513859B1 (ko) 두건형 방독면
EA038730B1 (ru) Полнолицевой респиратор
KR200237646Y1 (ko) 방독면용 보호두건의 가스유입방지구조
KR101070194B1 (ko) 접착식 두건형 방독면
KR101278436B1 (ko) 방독면
KR101070198B1 (ko) 화생방용 두건형 방독면
US20220395710A1 (en) Negative Pressure Respirator Assembly
KR101070193B1 (ko) 다기능 두건형 방독면
KR101730831B1 (ko) 방독 마스크
KR102339309B1 (ko) 공기호흡기용 풀 페이스 마스크
RU2377038C1 (ru) Панорамная маска с кольцевым мембранным клапан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