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309B1 - 공기호흡기용 풀 페이스 마스크 - Google Patents

공기호흡기용 풀 페이스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9309B1
KR102339309B1 KR1020200163762A KR20200163762A KR102339309B1 KR 102339309 B1 KR102339309 B1 KR 102339309B1 KR 1020200163762 A KR1020200163762 A KR 1020200163762A KR 20200163762 A KR20200163762 A KR 20200163762A KR 102339309 B1 KR102339309 B1 KR 102339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eat
window
wearer
protrusion
coup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3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김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디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디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디펜스
Priority to KR1020200163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3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호흡기용 풀 페이스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착용자의 입 주변을 포함하는 안면을 덮도록 배치되고 결합공이 형성되는 투시창과, 결합공에 결합하고 공기통과 연결되어 공기통과 투시창 내측 공간 간의 유로를 제공하는 통기 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착용자에게 확장된 시야를 제공함으로써, 화재 현장에서 착용자가 고개를 숙이지 않고도 하부측 바닥측의 시야 확보가 가능하게 하여 안전하고 용이한 인명 구조 또는 화재 진압 작업을 수행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공기호흡기용 풀 페이스 마스크{Full face mask for 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공기호흡기용 풀 페이스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입 주변을 포함하는 안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투시창에 공기통과 연결되는 통기 유닛을 직접 결합하도록 형성되어, 착용자에게 확장된 시야를 제공하는 공기호흡기용 풀 페이스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화재를 진압하는 소방관은 화재현장에서 공기 공급장치를 통해 공기를 공급받는다. 이러한 공기 공급장치는 소방관의 등에 등지게(backpack) 형태로 적재된 공기통의 공기를 소방관의 안면에 착용된 마스크로 공급한다. 이러한 마스크는 소방관의 안면을 투시 가능하게 차폐하면서 공기호흡기의 공기를 공급시키므로 소방관을 유독가스로부터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종래의 통상적인 공기호흡기용 마스크는 착용자의 안면을 보호하는 안면부에 투시창을 설치하고 공기호흡기의 공기통과 연결되는 호흡장치가 안면부 하부에 설치되며 안면부 하단부에 조임 연결밴드을 배치하여 사용자가 안면부를 착용 후 조임 연결밴드를 조여 안면을 차폐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공기호흡기용 마스크에서 투시창은 착용자의 눈과 입주변에만 배치되고 착용자는 이러한 투시창을 통해 시야가 확보된 상태로 이동하며 구조 또는 화재 진압 작업을 수행하는데, 투시창을 통해 확보되는 시야가 매우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특히, 화재 현장에는 계단 또는 하부측의 장애물이 상당수 존재하기에 소방관은 화재 현장에서의 인명 구조 또는 화재 진압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하부측 바닥을 확인하며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데 종래의 공기호흡기용 마스크의 구조는 하부의 시야 확보가 불가능하므로 바닥측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고개를 숙여서 하부를 바라보아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0808호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착용자의 입 주변을 포함하는 안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투시창에 공기통과 연결되는 통기 유닛을 직접 결합하도록 형성되어, 착용자에게 확장된 시야를 제공하는 공기호흡기용 풀 페이스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통기 유닛이 결합하는 투시창의 결합공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결합 돌출부를 형성하며 결합공에 결합하는 통기 유닛의 밸브 시트 외주면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실링이 결합 돌출부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투시창과 통기 유닛의 결합시 다중 실링 구조를 형성하도록 하는 공기호흡기용 풀 페이스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밸브 시트를 결합공에 결합시킬 때 결합 돌출부에 걸린 상태로 결합하는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걸림턱과, 걸림턱이 결합 돌출부에 걸린 상태로 밸브 시트의 몸체를 잡아당길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당김 와이어가 밸브 시트에 구비되어, 별도의 지그와 같은 도구 없이도 밸브 시트를 투시창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공기호흡기용 풀 페이스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호흡기용 풀 페이스 마스크는, 착용자의 입 주변을 포함하는 안면을 덮도록 배치되고 결합공이 형성되는 투시창과, 결합공에 결합하고 공기통과 연결되어 공기통과 투시창 내측 공간 간의 유로를 제공하는 통기 유닛을 포함한다.
이때, 투시창은 결합공 둘레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기 유닛은 결합공에 억지끼움 결합하는 밸브 시트를 포함하고,
결합 돌출부의 내주면과 접하는 밸브 시트의 외주면에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의 실링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밸브 시트는 결합 돌출부의 일부 구간에 걸린 상태로 억지끼움 결합이 수행 가능하도록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밸브 시트는 결합공에 결합된 상태에서 걸림턱과 함께 결합 돌출부를 개재하는 이탈방지턱을 더 포함하고, 이탈방지턱은 걸림턱이 결합 돌출부에 걸린 상태로 억지끼움 결합 수행이 가능하도록 걸림턱과 대면하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밸브 시트는 걸림턱이 결합 돌출부에 걸린 상태에서 밸브 시트의 몸체를 투시창 외측 방향으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당김 와이어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호흡기용 풀 페이스 마스크는 투시창 둘레가 삽입되도록 일측 둘레에 삽입부가 형성되고 타측 둘레에 착용자의 안면 피부에 밀착하는 밀착부가 형성되어 투시창 내측 공간의 기밀을 형성하는 실링틀과, 삽입부에 투시창 둘레가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부와 투시창 둘레간을 밀착 고정시키는 고정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틀은 삽입부의 상측 구간이 삽입되는 상부틀과 삽입부의 하측 구간이 삽입되는 하부틀을 포함하고, 상부틀과 하부틀은 삽입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호 결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착용자의 입 주변을 포함하는 안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투시창에 공기통과 연결되는 통기 유닛을 직접 결합하도록 형성되어 착용자에게 확장된 시야를 제공함으로써, 화재 현장에서 착용자가 고개를 숙이지 않고도 바닥측의 시야 확보가 가능하므로 안전하고 용이한 인명 구조 또는 화재 진압 작업을 수행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통기 유닛이 결합하는 투시창의 결합공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결합 돌출부를 형성하며 결합공에 결합하는 통기 유닛의 밸브 시트 외주면에 배치되는 일측 둘레 다중실링이 결합 돌출부의 내주면에 밀착하여 투시창과 통기 유닛의 결합시 다중 실링 구조를 형성하므로, 경성(硬性)의 투시창에 통기 유닛을 결합하여도 견고한 기밀을 유지하고 일부 부분 실링이 파손되거나 또는 밀림 등이 발생하여도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밸브 시트를 결합공에 결합시킬 때 결합 돌출부에 걸린 상태로 결합하는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걸림턱과, 걸림턱이 결합 돌출부에 걸린 상태로 밸브 시트의 몸체를 잡아당길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당김 와이어가 밸브 시트에 구비되어 별도의 지그와 같은 도구 없이도 밸브 시트를 투시창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세척을 위한 통기 유닛 탈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호흡기용 풀 페이스 마스크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호흡기용 풀 페이스 마스크의 각 구성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시트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시창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시트를 투시창에 결합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시창과 실링틀 그리고 고정틀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호흡기용 풀 페이스 마스크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호흡기용 풀 페이스 마스크의 각 구성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호흡기용 풀 페이스 마스크(이하, '마스크'라 한다.)는 착용자에게 확장된 시야를 제공하기 위해, 투시창(10)이 착용자의 입 주변을 포함하는 안면을 덮도록 배치된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착용자의 입 주변을 포함하는 안면 전체를 덮도록 배치되는 투시창(10)과, 투시창(10)에 직접 결합하고 공기통과 연결되어 공기통과 투시창 내측 공간 간의 유로를 제공하는 통기 유닛(20)과, 일측 둘레에 투시창(10) 둘레가 삽입되고 타측 둘레가 착용자의 안면 피부에 밀착하여 투시창(10)과 안면 사이의 공간에 기밀을 형성하는 실링틀(30), 그리고 실링틀(30)에 투시창(10) 둘레가 삽입된 상태를 밀착 고정시키는 고정틀(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에서 착용자에게 시야를 제공하는 투시창(10)이 안면 전체를 덮도록 배치되고 통기 유닛(20)이 투시창(10)에 직접 결합하므로, 종래의 투시창이 안면 상단부만을 덮도록 배치되는 공기호흡기용 마스크에 비하여 착용자에게 확장된 시야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하측을 향해 확장된 시야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화재 현장에서 착용자가 고개를 숙이지 않고도 바닥측의 시야 확보가 가능하므로 안전하고 용이한 인명 구조 또는 화재 진압 작업을 수행 가능하게 한다.
이때, 통기 유닛(20)이 투시창(10)에 직접 결합 가능하도록 투시창(10)에는 통기 유닛(20)이 결합하는 결합공(11)이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통기 유닛(20)은 투시창의 결합공(11)에 억지끼움 결합하는 밸브 시트(21)와, 밸브 시트(21)의 외측에 결합하는 시트 커버(22)와, 밸브 시트(21)와 시트 커버(22) 간의 기밀 형성을 위한 시트 씰(23), 그리고 착용자의 입과 코 주변에 밀착하고 투시창(10) 내측 공간 중에 착용자의 입과 코 주변 공간을 분리하는 구비 마스크(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밸브 시트(21)는 결합공(11)을 통해 투시창(10)에 결합 배치되며, 시트 커버(22)는 투시창(10) 외측에서 밸브 시트(21)에 결합된다. 이때, 밸브 시트(21)와 시트 커버(22) 간은 볼트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밸브 시트(21)와 시트 커버(22)의 결합시 기밀 형성을 위한 시트 씰(23)이 개재될 수 있다. 그리고 구비 마스크(24)는 투시창(10) 내측에서 밸브 시트(21)에 체결된다.
공기통으로부터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 호스는 시트 커버(22)를 관통하여 밸브 시트(2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통기 유닛(20)은 공기통으로부터 공기공급 호스를 통해 공급된 공기를 착용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 유로와 착용자의 날숨이 외부로 배출되는 날숨 유로를 분리하여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공급 유로는 시트 커버(22), 밸브 시트(21), 투시창(10) 내측 공간을 거처 구비 마스크(24) 내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공기통으로부터 공급된 공기는 시트 커버(22), 밸브 시트(21)를 거쳐 투시창(10) 내측 공간으로 유입되고 투시창(10) 내측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는 구비 마스크(24)에 형성되는 들숨 체크밸브(241)를 통해 구비 마스크(24) 내측으로 제공되어 착용자가 들어마실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들숨 체크밸브(241)는 투시창(10) 내측 공간으로부터 구비 마스크(24) 내측 방향으로 유입되는 유로는 개방하지만 구비 마스크(24) 내측에서 투시창(10) 내측 공간을 향해 배출되는 유로는 차단하도록 형성되어, 착용자의 날숨이 투시창(10) 내측 공간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반면에, 날숨 유로는 구비 마스크(24) 내측으로부터 밸브 시트(21) 및 시트 커버를 통해 외부로 형성될 수 있다. 착용자의 날숨은 들숨 체크밸브(241)에 의해 차단되어 투시창(10) 내측 공간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밸브 시트(21) 및 시트 커버(22)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데 밸브 시트(21)가 형성하는 날숨 유로 상에는 날숨 체크밸브(212)가 배치되어 날숨 방향의 유로는 개방하지만 날숨 유로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은 차단할 수 있다.
도 3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시트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시창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5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시트를 투시창에 결합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와 (b)를 참조하면 밸브 시트(21)에는 사운드 증폭모듈(211), 날숨 체크밸브(212), 실링(213), 걸림턱(214), 이탈방지턱(215), 당김 와이어(216) 및 허드(hud) 고정 프레임(217)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운드 증폭모듈(211)은 착용자의 입과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얇은 판의 떨림을 통해 착용자의 음성을 증폭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날숨 체크밸브(2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날숨 유로 상에 배치되어 날숨 방향 유로는 개방하고 날숨 유로를 통해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실링(213)은 밸브 시트(21)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개 배치되며, 다수개의 실링(213)은 서로 간에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잠시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투시창(10)은 결합공(11) 둘레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결합 돌출부(1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돌출부(12)는 결합공(11)의 내주면 면적을 확장한다. 밸브 시트(21)는 결합공(11)에 억지끼움 결합되어 외주면이 결합공(11)의 내주면에 접하는 상태가 되는데, 이격 배치된 다수개의 실링(213)은 결합공(11)의 확장된 내주면과 밸브 시트(21)의 외주면 간에 개재된 상태가되어 다중 실링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다중 실링 구조는 경성(硬性)의 투시창에 통기 유닛을 결합하여도 견고한 기밀을 유지하고 일부 실링이 파손되거나 또는 밀림 등이 발생하여도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밸브 시트(21)는 밸브 시트(21) 외주면 상단부에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214)이 결합 돌출부(12)의 일부 구간에 걸린 상태로 억지끼움 결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턱(215)은 밸브 시트(21)의 몸체가 결합공(11)에 결합된 상태에서 걸림턱(214)과 함께 결합 돌출부(12)를 개재함으로써 결합된 상태가 임의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의 (a)와 (b)를 참조하여 밸브 시트(21)를 결합공(11)에 억지끼움 결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밸브 시트(21)를 투시창(10)의 내측에 위치시킨 후 도 5의 (a)와 같이 걸림턱(214)을 포함한 밸브 시트(21)의 일부가 결합공(11)을 통해 투시창(10) 외측으로 빠져나온 상태로 걸림턱(214)이 결합 돌출부의 일부 구간(a)에 걸린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걸림턱(214)이 결합 돌출부(12)에 걸린 상태가 되도록 밸브 시트(21)를 결합공에 배치시켜도 이탈방지턱(215)이 결합공(11)에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탈방지턱(215)의 걸림턱(214)과 대면하는 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시트(21)의 하단부를 투시창(10) 외측 방향으로 잡아당겨 밸브 시트(21)가 결합공(11)에 억지끼움 결합되도록 하는데, 이때, 별도의 지그를 통해 밸브 시트(21)의 하단부를 잡아당길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밸브 시트(21)에 구비되는 당김 와이어(216)를 잡아당겨 밸브 시트(21)의 몸체 하단부를 투시창(10) 외측 방향으로 잡아당길 수 있다.
이러한 걸림턱(214)과 당김 와이어(216)는 별도의 지그와 같은 도구 없이도 밸브 시트(21)를 투시창(10)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세척을 위한 통기 유닛(20)의 탈착을 용이하게 한다.
허드 고정 프레임(217)은 공기통 내부의 기압 정보를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출력하는 허드를 투시창(10) 내부 공간에 장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밸브 시트(21)가 결합공(11)에 억지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투시창(10)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착용자 안면과의 원근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형성하여 허드에 구비되는 고정 클립이 결합 가능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시창과 실링틀 그리고 고정틀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실링틀(30)과 고정틀(40)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실링틀(30)은 투시창(10) 둘레가 삽입되도록 일측 둘레에 삽입부(31)가 형성되고 타측 둘레에 착용자의 안면 피부에 밀착하는 밀착부(32)가 형성된다.
이러한 실링틀(30)은 투시창(10)이 삽입 결합하고 착용자의 안면 피부에 밀착한 상태에서 투시창(10) 내부 공간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데, 이때, 투시창(10)의 둘레가 삽입부(31)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투시창(10) 둘레와 삽입부(31) 간의 기밀을 형성하도록 고정틀(40)은 삽입부(31)에 투시창 둘레가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부(31)와 투시창(10) 둘레간을 밀착 고정시키도록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틀(40)은 삽입부(31)의 상측 구간이 삽입되는 상부틀(41)과 삽입부(31)의 하측 구간이 삽입되는 하부틀(42)로 분리 가능하고, 상부틀(41)과 하부틀(42)은 삽입부(31)가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 볼트(b)와 너트(b)에 의해 상호 결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틀(40)의 상부틀(41)과 하부틀(42)로의 분리, 결합 구조는 투시창(10), 실링틀(30), 고정틀(40)의 분리 및 결합을 용이하게 하여 각 구성의 세척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에는 밀착부(32)를 착용자 안면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밀착 상태를 유지하는 착용 스트랩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착용 스트랩은 고정틀(4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투시창
11: 결합공
12: 결합 돌출부
20: 통기 유닛
21: 밸브 시트
211: 사운드 증폭모듈
212: 날숨 체크밸브
213: 실링
214: 걸림턱
215: 이탈방지턱
216: 당김 와이어
217: 허드 고정 프레임
22: 시트 커버
23: 시트 씰
24: 구비 마스크
241: 들숨 체크밸브
30: 실링틀
31: 삽입부
32: 밀착부
40: 고정틀
41: 상부틀
42: 하부틀
s: 스트랩

Claims (8)

  1. 착용자의 입 주변을 포함하는 안면을 덮도록 배치되고 결합공이 형성되는 투시창; 및
    상기 결합공에 결합하고 공기통과 연결되어 상기 공기통과 상기 투시창 내측 공간 간의 유로를 제공하는 통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투시창은 상기 결합공 둘레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통기 유닛은 상기 결합공에 억지끼움 결합하는 밸브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시트는 상기 결합 돌출부의 일부 구간에 걸린 상태로 상기 억지끼움 결합이 수행 가능하도록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밸브 시트는 상기 걸림턱이 상기 결합 돌출부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밸브 시트의 몸체를 상기 투시창 외측 방향으로 잡아당길 수 있도록 형성되는 당김 와이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호흡기용 풀 페이스 마스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출부의 내주면과 접하는 상기 밸브 시트의 외주면에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의 실링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호흡기용 풀 페이스 마스크.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는 상기 결합공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과 함께 상기 결합 돌출부를 개재하는 이탈방지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턱은 상기 걸림턱이 상기 결합 돌출부에 걸린 상태로 상기 억지끼움 결합 수행이 가능하도록 상기 걸림턱과 대면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호흡기용 풀 페이스 마스크.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창 둘레가 삽입되도록 일측 둘레에 삽입부가 형성되고 타측 둘레에 착용자의 안면 피부에 밀착하는 밀착부가 형성되어 상기 투시창 내측 공간의 기밀을 형성하는 실링틀; 및
    상기 삽입부에 상기 투시창 둘레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와 상기 투시창 둘레간을 밀착 고정시키는 고정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호흡기용 풀 페이스 마스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은 상기 삽입부의 상측 구간이 삽입되는 상부틀과 상기 삽입부의 하측 구간이 삽입되는 하부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틀과 상기 하부틀은 상기 삽입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호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호흡기용 풀 페이스 마스크.

KR1020200163762A 2020-11-30 2020-11-30 공기호흡기용 풀 페이스 마스크 KR102339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762A KR102339309B1 (ko) 2020-11-30 2020-11-30 공기호흡기용 풀 페이스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762A KR102339309B1 (ko) 2020-11-30 2020-11-30 공기호흡기용 풀 페이스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9309B1 true KR102339309B1 (ko) 2021-12-15

Family

ID=78865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3762A KR102339309B1 (ko) 2020-11-30 2020-11-30 공기호흡기용 풀 페이스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93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881B1 (ko) * 2023-06-30 2024-01-23 주식회사 케이디펜스 유선 허드를 구비하는 공기호흡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9794A (ja) * 2007-10-04 2009-04-30 Koken Ltd 呼吸用保護具
KR100993497B1 (ko) * 2010-05-11 2010-11-10 (주)씨앤투스 방진 마스크
KR101210808B1 (ko) 2012-04-12 2012-12-11 주식회사 산청 공기호흡기용 풀페이스 마스크
JP2013172779A (ja) * 2012-02-23 2013-09-05 Koken Ltd 呼吸用保護具
KR101700604B1 (ko) * 2016-04-01 2017-01-31 주식회사 산청 풀 페이스 타입의 방독 마스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9794A (ja) * 2007-10-04 2009-04-30 Koken Ltd 呼吸用保護具
KR100993497B1 (ko) * 2010-05-11 2010-11-10 (주)씨앤투스 방진 마스크
JP2013172779A (ja) * 2012-02-23 2013-09-05 Koken Ltd 呼吸用保護具
KR101210808B1 (ko) 2012-04-12 2012-12-11 주식회사 산청 공기호흡기용 풀페이스 마스크
KR101700604B1 (ko) * 2016-04-01 2017-01-31 주식회사 산청 풀 페이스 타입의 방독 마스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881B1 (ko) * 2023-06-30 2024-01-23 주식회사 케이디펜스 유선 허드를 구비하는 공기호흡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0095A (en) Emergency escape breathing apparatus
US8276582B2 (en) Respirator assembly
US20140190476A1 (en) Seal for full face mask
CN102791334B (zh) 具有敞开端口的面罩
KR101700604B1 (ko) 풀 페이스 타입의 방독 마스크
KR101787486B1 (ko) 밀폐성이 개선된 안면부 여과식 마스크
KR102386181B1 (ko) 코 지지 연장부를 갖는 호흡 마스크
TWI583427B (zh) 頭罩式防毒面具
JP6571936B2 (ja) 呼吸保護マスク
JP2004520995A5 (ko)
US11123583B2 (en) Emergency aircraft passenger oxygen respirator
US10265553B2 (en) Protective hood
US20050268907A1 (en) Integrated respirator
KR102339309B1 (ko) 공기호흡기용 풀 페이스 마스크
US5645046A (en) Breathing equipment
KR101750660B1 (ko) 산소호흡기
TWI583425B (zh) 頭巾形防毒面罩
KR101210808B1 (ko) 공기호흡기용 풀페이스 마스크
KR102402676B1 (ko) 무선 허드를 구비하는 공기호흡기용 풀페이스 마스크
TW201701924A (zh) 頭罩式防毒面具
KR20100001153U (ko)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 마스크
KR20180000473U (ko) 분리형 보호복이 구비된 송기 마스크
US20070113846A1 (en) Facepiece for a respirator for high performance fixed-wing aircraft crew protection
KR101730831B1 (ko) 방독 마스크
KR20130115534A (ko) 의사소통이 용이한 밀폐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