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0831B1 - 방독 마스크 - Google Patents

방독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0831B1
KR101730831B1 KR1020160150025A KR20160150025A KR101730831B1 KR 101730831 B1 KR101730831 B1 KR 101730831B1 KR 1020160150025 A KR1020160150025 A KR 1020160150025A KR 20160150025 A KR20160150025 A KR 20160150025A KR 101730831 B1 KR101730831 B1 KR 101730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shield
port frame
conductive
wearer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산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to KR1020160150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08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독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착용자의 안면을 투시가능하게 차폐하는 페이스 쉴드; 상기 페이스 쉴드의 전성유닛 결합 홀에 고정되는 포트 프레임; 상기 페이스 쉴드나 상기 포트 프레임에 결합되어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유닛; 상기 포트 프레임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음성을 전이시키는 전성유닛; 상기 전성유닛이나 상기 포트 프레임에 고정되는 노즈콘; 및 상기 노즈콘에서 배기되는 호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전성유닛을 통해 착용자의 음성을 명확히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독 마스크{RESPIRATOR}
본 발명은 방독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안면을 보호하도록 안면에 밀착상태로 착용되어 공기 속에 있는 유해 물질의 흡입을 방지하는 방독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화재를 진압하는 소방관은 화재현장에서 공기 공급장치를 통해 공기를 공급받는다. 이러한 공기 공급장치는 소방관의 등에 배낭형태로 적재된 공기통의 공기를 소방관의 안면에 착용된 마스크로 공급한다.
이러한 마스크는 소방관의 안면을 투시가능하게 차폐하면서 공기호흡기의 공기를 소통시키므로 소방관을 유독가스로부터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선행기술의 마스크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1153호에 개시된 화상방지용 공기호흡기용 마스크가 있다.
선행기술의 마스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안면을 보호하는 안면부(20)에 투시창(22)이 설치되고, 공기호흡기의 산소통과 연결되는 호흡장치(30)가 투시창(22)의 하부에 설치되며, 안면부(20)의 둘레에 조임끈(24)이 구비되어 머리에 밀착상태로 착용되는 구성이다.
이에 따라, 착용자는 호흡장치(30)를 통해 호흡하면서 투시창(22)을 통해 시야가 확보된 상태로 이동하면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선행기술의 마스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시창(22)이 안면부(20)의 전방만을 투시가능하게 차폐하므로 시야확보가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투시창(22)을 통해 전방의 시야만이 확보될 뿐 하부의 시야확보가 불가능하므로 고개를 숙여서 하부를 바라보아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계단이나 장애물이 있는 현장에서 작업자에게 위험을 초래하며, 특히 화재현장과 같이 연기에 의해 시야확보가 어려운 경우 더욱 위험과 번거로움을 초래하고 있다. 여기서, 선행기술의 마스크는 투시창(22)이 넓게 형성되어 어느 정도는 하부의 시야확보가 제공되고 있으나, 투시창(22)이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기 때문에 하부의 시야가 굴절되어 상이 흐려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마스크는 소방관의 안면을 전체적으로 차폐하면서 음성만을 외부로 전이시키므로 전술한 보호역할뿐만 아니라 소방 업무시 필요한 의사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중요한 역활도 수행한다. 선행기술의 마스크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2-219185호에 개시된 방호 마스크용 전성유닛가 있다.
선행기술의 전성유닛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와 뚜껑(2) 사이에 전성막(4)이 끼워지고, 종래의 방호 마스크용 전성유닛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8)와 뚜껑(7)의 외주부 부군에 끼워맞춤 기구와 기밀화 기구를 갖는 구성으로, 이러한 구성은 전성막(9)에 대한 장력 부여 기구를 갖는 구조이다. 이때, 전성유닛의 뚜껑(7)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이 꺽여지는 구조의 환상 리브 형상(16)을 통해 전성막(9)에 적당의 장력을 부여한다.
그러나, 종래의 방호 마스크용 전성유닛는 뚜껑(9)의 내면에 정해진 부분만이 꺽임되면서 전성막(9)을 정해진 깊이만큼만 누르는 단순구조로, 전성막(9)을 눌러 정해진 텐션만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전성막이 이룰 수 있는 텐션상태를 용이하게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방호 마스크용 전성유닛는 착용자가 원하는 전성막(9)의 텐션상태로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A, 20-2010-0001153(2010.02.03) JP, A, 10-2002-0219185(2002.08.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안면에 착용되어 공기호흡기에 연결됨에 따라 착용자의 안면을 호흡가능하게 보호하면서, 마스크 본체를 투시가능하게 차폐하는 렌즈를 통해 마스크 본체의 전방 시야는 물론 마스크 본체의 하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방독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방독 마스크를 착용한 착용자의 음성을 방독 마스크의 외부로 전이시켜 음성을 전달할 수 있는 방독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착용자의 음성을 전이시키는 전성 필름의 텐션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방독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실시예로, 착용자의 안면을 투시가능하게 차폐하고, 일측에 구멍형태의 전성유닛 결합 홀이 마련된 페이스 쉴드; 상기 페이스 쉴드의 전성유닛 결합 홀에 관통상태로 고정되고, 착용자의 음성이 상기 페이스 쉴드의 외부로 배출되는 음향공이 마련된 포트 프레임; 상기 페이스 쉴드나 상기 포트 프레임에 결합되어 외부의 공기를 상기 페이스 쉴드의 내부로 공급하는 급기유닛; 상기 포트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페이스 쉴드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페이스 쉴드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착용자의 음성을 전이시키는 전성유닛; 상기 전성유닛이나 상기 포트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페이스 쉴드의 내부에서 착용자의 코와 입을 차폐하고, 공기가 흡기되는 흡기구 및 호기가 배기되는 배기구를 갖는 노즈콘; 및 상기 노즈콘의 상기 배기구에서 배기되는 호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유닛;을 포함하여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쉴드는 예컨대,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되고, 시야 확보를 위한 투시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투시공의 둘레를 따라 홈형태의 끼움테가 마련되는 고무면체; 상기 고무면체의 끼움테에 결합되어 상기 투시공을 투시가능하게 차폐하고 착용자의 안면을 전체적으로 차폐하는 투시면체; 상기 투시면체의 테두리를 상기 끼움테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하면서 상기 투시면체를 상기 고무면체로부터 분리가능하게 고정하는 클램프; 및 상기 고무면체에 마련되어 착용자의 안면에 고무면체를 밀착시키는 조임 끈;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투시면체나 상기 고무면체는 상기 전성유닛 결합 홀이 형성되어 상기 전성유닛 결합 홀을 통해 상기 포트 프레임이 설치될 수 있다. 또, 상기 투시면체나 상기 고무면체는 정화통 결합 홀이 형성되어 상기 급기유닛의 정화통 연결구 및 정화통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시면체는 외측면에 보호 필름이 설치되어 보호필름에 의해 외측면이 보호될 수도 있다.
상기 포트 프레임은 예컨대, 상기 투시면체나 상기 고무면체에 형성된 전성유닛 결합 홀의 내면에 걸림되는 어깨부; 및 상기 어깨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전성유닛 결합 홀을 통해 투시면체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포트 프레임은 상기 어깨부의 그 외주면을 따라 상기 노즈콘이 끼움 고정되는 결속테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포트 프레임은 상기 돌출부의 측면에 후크가 형성될 경우 상기 투시면체에 형성된 전성유닛 결합 홀과 후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트 프레임은 상기 전성유닛 결합 홀의 테두리를 실링하는 실링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전성유닛은 예컨대, 상기 포트 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착용자의 음성이 통과하도록 전면에 구멍형태의 홀이 복수로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전면을 차폐하여 상기 바디의 홀을 통과하는 착용자의 음성만을 전이시키는 전성 필름; 및 상기 전성 필름을 상기 바디에 고정하고, 상기 전성 필름의 텐션을 조절하여 긴장시키는 긴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급기유닛은 예컨대, 상기 페이스 쉴드나 상기 포트 프레임에 관통상태로 마련되는 암나사 형태의 정화통 연결구; 및 상기 정화통 연결구에 체결되어 정화된 공기를 상기 페이스 쉴드의 내부로 제공하는 정화통;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배기유닛은 예컨대, 상기 포트 프레임에 구멍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페이스 쉴드와 연통되는 오리피스; 및 상기 오리피스를 차폐하면서 상기 페이스 쉴드 내부에서 발생된 착용자의 호기를 상기 페이스 쉴드의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밸브;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포트 프레임은 착용자가 내쉬는 숨을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장치가 구비된다.
상기 긴장수단은 예컨대,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와 상기 전성 필름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환형태의 가스켓; 상기 바디에 끼움상태로 고정되면서 상기 전성 필름의 테두리를 가압하여 상기 전성 필름을 상기 가스켓에 압착상태로 고정시키는 필름고정부재; 및 상기 필름고정부재에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전성 필름의 일부분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전성 필름의 텐션을 유지시키는 텐션조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상기 포트 프레임은 볼트가 관통하는 체결 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 홀에 대응하여 상기 전성유닛에 보스가 형성되어 상기 포트 프레임과 상기 전성유닛이 상기 볼트에 의해 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포트 프레임은 전면을 통기 가능하게 차폐하여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프레임 커버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전술한 상기 전성유닛은 전술한 바와 달리, 예컨대 상기 포트 프레임과 연통되는 중공을 형성하고 상기 중공의 선단 외면을 따라 원형의 단면을 갖는 걸림턱이 형성된 전성 몸체; 상기 전송 몸체에 형성된 걸림턱의 외면을 따라 컬링되어 결속되는 전성 커버; 및 상기 전성 몸체와 전성 커버 사이에 개재되어 전성 커버가 컬링되는 것에 따라 연부가 당겨져 긴장하는 전성 필름;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상기 정화통 연결구는 예컨대, 상기 투시면체에 형성된 정화통 결합 홀의 외면에 걸림되며 투시면체의 외부와 내부가 연통되도록 중공이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투시면체의 내부로 인입되어 투시면체의 내부에 위치한 체결 링과 결속되는 인입부; 및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인입부와 대향하여 상기 투시면체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정화통과 결속되는 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투시면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흐르지 않게 차단하는 흡기밸브가 상기 중공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인입부는 그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인입돌기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체결 링은 그 내주면에 상기 인입돌기와 대응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베요넷(Bayonet) 결속되되, 상기 걸림돌기에 상기 인입돌기가 안치되는 안치홈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인입돌기가 진입하는 선단에 상기 안치홈보다 높게 돌출된 스토퍼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토퍼는 인입돌기의 진입을 안내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연장부는 그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결속날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와 결속되는 정화통은 상기 연장부가 삽입되어 연통되는 장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장착부는 내주면에 상기 결속날개에 대응하는 장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착홈 또는 결속날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가 장착부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것에 따라 결속날개와 장착홈이 압입되어 결속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전술한 상기 보호 필름은 탄성 복원력을 갖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가장자리에 외측을 향하는 장착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장착 돌기는 전술한 상기 클램프와 상기 투시면체 사이에 개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전술한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프레임 커버와 인접한 가장자리가 상기 프레임 커버 및 상기 투시면체 사이에 개재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독 마스크에 의하면, 페이스 쉴드 내부에 마련되는 전성 유닛의 긴장수단을 통해 전성 필름을 용이하게 항시 긴장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착용자의 음성을 명확히 전달할 수 있다.
특히, 전성 유닛의 텐션조절부재를 조작하여 전성 필름의 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장기간 사용으로 전성 필름의 장력이 약화될 경우 전성 필름의 장력을 다시 조절하여 긴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성 유닛이 바디를 통해 포트 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므로 기존에 사용중인 방독 마스크에도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또, 포트 프레임에 급기유닛의 정화통 연결구가 구비될 경우 포트 프레임에 급기유닛의 정화통을 결합할 수 있으므로 정화된 공기를 사실상 직접적으로 착용자의 비강 및 구강에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기유닛의 배기밸브를 통해 착용자의 호기만을 페이스 쉴드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아울러,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된 고무면체의 전방을 차폐하는 투시면체가 전면적에 걸쳐 투명하게 구성될 경우, 착용자의 전방 시야 및 하부 시야를 넓게 확보할 수 있다.
게다가, 투시면체의 양측에 정화통이 설치될 경우 어느 하나의 정화통이 작동불능의 상태가 되더라도 정상 작동하는 정화통을 통해 착용자가 용이하게 숨을 쉴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전성유닛 및 전성 커버가 포트 프레임과 볼트 결속에 의해 고정되고, 포트 프레임이 투시면체에 형성된 전성유닛 결합 홀과 후크 결속되는 구조로 구성될 경우, 전성유닛과 전성 커버 및 포트 프레임을 모듈화시켜 간편하고 신속하게 투시면체의 전성유닛 결합 홀에 조립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정화통 연결구가 체결 링과 회전 조작에 의해 결속되는 구조로 구성될 경우, 정화통의 설치 및 교체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화재진압, 유독가스 유출과 같은 위급한 상황에서 정화통이 작동불능 상태가 되더라도 신속하게 정화통을 투시면체로부터 신속하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기호흡기용 풀 페이스 마스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방호 마스크용 전성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를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방호 마스크용 전성유닛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방호 마스크용 전성유닛의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방독 마스크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전성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단면상태를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방독 마스크의 일부 단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전성유닛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풀 페이스 타입의 방독 마스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방독 마스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방독 마스크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방독 마스크의 포트 프레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전성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2에 도시된 전성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2에 도시된 포트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2에 도시된 정화통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1에 도시된 방독 마스크에 보호 필름이 장착되는 것을 도시한 사사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방독 마스크의 정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B-B선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독 마스크는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스 쉴드(30), 포트 프레임(40), 급기유닛(50), 전성유닛(60), 노즈콘(70) 및 배기유닛(80)을 포함한다.
페이스 쉴드(30)는 착용자의 안면을 투시가능하게 차폐하는 구성요소로,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상태로 착용된다. 이에 따라, 페이스 쉴드(30)는 착용자의 눈, 코, 입 즉, 안면을 외부와 격리시킨다.
페이스 쉴드(30)는 도 6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면체(100), 투시면체(300) 및 클램프(60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고무면체(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시면체(300)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어 투시면체(300)와 일체를 이루며, 투시면체(300)와 함께 착용자의 안면을 차폐한다. 투시면체(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눈부위 만을 차폐하도록 구성되거나,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안면 대부분을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클램프(600)는 도 6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으로 구성되어 고무면체(100)를 투시면체(300)에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링형 고정 테(프레임)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클램프(600)는 후술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페이스 쉴드(3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구멍형태로 관통형성되는 전성유닛 결합 홀(310)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페이스 쉴드(30)는 전성유닛 결합 홀(310)을 통해 내부가 외부와 연통된다. 이러한 페이스 쉴드(30)는 전성유닛 결합 홀(310)에 의해 후술되는 포트 프레임(40)이 관통상태로 용이하게 장착된다.
포트 프레임(40)은 페이스 쉴드(30)에 전성유닛(60) 및 급기유닛(50)을 연결시키는 구성요소이다. 포트 프레임(40)은 도 9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스 쉴드(30)의 고무면체(100)나 투시면체(300)의 일측에 관통상태로 고정되어 도 6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스 쉴드(30)의 전방에 설치된다.
포트 프레임(4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형성된 중공의 내부로 후술하는 전성유닛(60) 및 급기유닛(50)이 결합되고, 타측에 후술하는 배기유닛(80)이 결합된다. 이에 따라, 포트 프레임(40)은 전술한 페이스 쉴드(30)에 급기유닛(50) 및 배기유닛(80)을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포트 프레임(40)은 급기유닛(50) 및 배기유닛(80)을 통해 페이스 쉴드(30)의 착용자를 호흡하게 한다.
포트 프레임(4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정화통(53)이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와 달리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정화통(900)이 장착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포트 프레임(40)은 도 6, 도 9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일부분에 착용자의 음성을 외부로 배출하는 음향공(41)이 마련된다. 이러한 포트 프레임(40)은 도 9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451)을 갖는 프레임 커버(450)가 설치되어 전면이 통기 가능하게 차폐될 수 있다. 따라서, 포트 프레임(40)은 전술한 페이스 쉴드(30)의 착용자가 발산하는 음성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프레임 커버(450)에 의해 전면이 보호된다.
한편, 급기유닛(50)은 외부의 공기를 페이스 쉴드(30) 내부로 공급하는 구성요소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포트 프레임(40)에 결합되는 정화통 연결구(51) 및 정화통(53)으로 구성된다.
정화통 연결구(51)는 후술하는 정화통(53)을 포트 프레임(40)에 연결시키는 구성요소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 프레임(40)에 관통상태로 형성된 중공에 암나사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정화통 연결구(51)는 후술하는 정화통(53)의 수나사 부분이 나사 결합됨에 따라 정화통(53)이 고정된다.
정화통 연결구(51)는 전술한 바와 같이 포트 프레임(40)에 마련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후술되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페이스 쉴드(30)에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술한 정화통(53)은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구성요소로, 정화된 공기를 페이스 쉴드(30)나 후술하는 노즈콘(70)의 내부로 공급한다.
한편, 급기유닛(50)은 흡기밸브(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기밸브(55)는 페이스 쉴드(30)나 노즈콘(70)의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흡기만을 허용하는 구성요소이다. 흡기밸브(55)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 프레임(40)이나 노즈콘(70)에 설치된다. 이러한, 흡기밸브(55)는 얇은 막의 다이어프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흡기밸브(55)는 호기시 페이스 쉴드(30)나 노즈콘(70)의 내부 공기압에 의해 펼쳐지면서 밸브시트를 차폐하여 호기가 외부로 배기되는 것을 차단하고, 착용자의 흡기시 흡입력에 의해 절곡되면서 밸브시트를 개방하여 정화된 공기가 페이스 쉴드(30)나 노즈콘(70)의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흡기밸브(55)는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품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성유닛(60)은 전술한 페이스 쉴드(30) 내부에서 발생되는 착용자의 음성을 외부로 전달하는 구성요소로,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 프레임(40)에 형성된 중공에 결합되어 페이스 쉴드(30)의 내부, 즉 고무면체(100)나 투시면체(300)의 내부에 마련된다. 이러한, 전성유닛(6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61), 전성 필름(63) 및 긴장수단(65)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바디(61)는 후술하는 전성 필름(63)을 페이스 쉴드(30)의 내부에 장착시키는 구성요소로,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으로 형성되고, 포트 프레임(40)에 형성된 중공의 내측에 나사 결합방식 등을 통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바디(61)는 본 발명의 포트 프레임(40)에 용이하게 결합되는 것은 물론, 기존에 사용중인 방독 마스크 등의 내부에 이와 같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바디(61)는 전면에 구멍형태의 홀(61a)이 복수로 마련된다. 이에 따라, 바디(61)는 페이스 쉴드(3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착용자의 음성을 홀(61a)을 통해 후술되는 전성 필름(63)에 전달한다.
전성 필름(63)은 착용자의 음성을 전이시키는 구성요소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바디(61)의 전면을 차폐하는 상태로 바디(61)에 고정된다. 이러한, 전성 필름(63)은 막 형태의 연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전성 필름(63)은 바디(61)의 홀(61a)을 통과하는 공기는 차단하고, 페이스 쉴드(30)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착용자의 음성만을 페이스 쉴드(30)의 외부로 전이시킨다. 여기서, 전성 필름(63)을 통해 전이되는 착용자의 음성은 전술한 포트 프레임(40)의 음향공(41)을 통해 페이스 쉴드(30)의 외부로 배출된다.
긴장수단(65)은 전성 필름(63)을 긴장시키는 구성요소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켓(65a), 필름고정부재(65b) 및 텐션조절부재(65c)를 포함한다.
가스켓(65a)은 바디(61)와 전성 필름(63) 사이를 기밀시키는 구성요소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의 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가스켓(65a)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61)에 구비되어 내측에 끼움상태로 고정된다. 이에 따라, 가스켓(65a)은 후술하는 필름고정부재(65b)에 의해 가압되면서 전성 필름(63)에 압착상태를 이루므로 바디(61)와 전성 필름(63) 사이의 틈을 차단하면서 기밀상태를 이룬다.
필름고정부재(65b)는 전성 필름(63)을 바디(61)에 고정시키는 구성요소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암나사가 형성된다. 이러한, 필름고정부재(65b)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바디(61)의 내측으로 끼움되어 고정되면서, 끝단이 전성 필름(63)의 테두리 둘레를 가압한다. 이때, 필름고정부재(65b)는 전성 필름(63)의 테두리를 가압함에 따라 전성 필름(63)의 테두리 둘레가 가스켓(65a)에 압착상태를 이룬다. 이에 따라, 필름고정부재(65b)는 바디(61)에 끼워져 고정됨과 동시에 전성 필름(63)을 바디(61)에 고정시키고, 이때 바디(61)와 전성 필름(63) 사이를 기밀한다.
필름고정부재(65b)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반구형의 결합돌기가 형성된다. 필름고정부재(65b)는 도 9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바디(61)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에 전술한 결합돌기가 억지끼움됨에 따라 바디(61)의 내측에 고정된다.
텐션조절부재(65c)는 전성 필름(63)의 텐션상태를 조절하는 구성요소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다. 이러한, 텐션조절부재(65c)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필름고정부재(65b)의 암나사에 외주면의 수나사가 나사결합되므로 나선운동에 의해 전진하거나 후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텐션조절부재(65c)는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진할 경우, 전성 필름(63)의 테두리 부분을 가압하여 전성 필름(63)을 팽팽하게 긴장시킨다. 반대로, 텐션조절부재(65c)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진할 경우 전성 필름(63)의 가압력을 저하시켜서 전성 필름(63)의 긴장상태를 완화시킨다. 즉, 텐션조절부재(65c)는 나선운동에 의해 전성 필름(63)의 텐션상태를 조절한다.
한편, 텐션조절부재(65c)는 조절부(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절부(66)는 텐션조절부재(65c)를 회전시키는 구성요소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션조절부재(65c)의 내측에 마련된다. 이러한, 조절부(66)는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형태로 구성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별도의 조절도구가 진입되는 구멍형태의 홀(61a)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조절부(66)는 홀(61a)의 내부로 삽입되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을 통해 텐션조절부재(65c)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전성유닛(60)은 기밀패킹(65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밀패킹(65d)은 바디(61) 및 포트 프레임(40) 사이를 기밀시키는 구성요소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태의 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기밀패킹(65d)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 프레임(40)의 중공 내측에 형성된 단턱에 끼움상태로 고정된다. 이에 따라, 기밀패킹(65d)은 포트 프레임(40)에 체결되는 바디(61)에 의해 가압되면서 압착상태를 이루므로 바디(61)와 포트 프레임(40)에 형성된 중공 사이의 틈을 차단하면서 기밀상태를 이룬다.
한편, 노즈콘(70)은 착용자의 코와 입을 차폐하는 구성요소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스 쉴드(30)의 내부에 마련된다. 이러한, 노즈콘(7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전성유닛(60)의 바디(61)에 끼움상태로 고정되거나, 후술되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 프레임(40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노즈콘(70)은 페이스 쉴드(30)의 내부에서 착용자의 코와 입을 차폐하여 격리시킨다. 이러한, 노즈콘(70)은 착용자의 코와 입에서 발생되는 호기를 차단하여 페이스 쉴드(30)의 투시면체(300)에 김이 서리는 것을 방지한다.
노즈콘(7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흡기되는 흡기구(71) 및 공기가 호기가 배기되는 배기구(73)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노즈콘(70)은 흡기구(71)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착용자에게 급기하고, 배기구(73)를 통해 착용자의 호기를 외부로 배기한다.
다른 한편, 배기유닛(80)은 전술한 배기구(73)에서 배기되는 호기를 페이스 쉴드(30)의 외부로 배기하는 구성요소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리피스(81) 및 배기밸브(83)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오리피스(81)는 후술되는 배기밸브(83)를 포트 프레임(40)에 연결시키는 구성요소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 프레임(40)의 일측에 구멍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오리피스(81)는 상기 페이스 쉴드(30)와 연통된다.
배기밸브(83)는 오리피스(81)를 개폐하는 구성요소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오리피스(81)를 차폐하는 상태로 포트 프레임(40)에 설치된다. 이러한, 배기밸브(83)는 얇은 막의 다이어프램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배기밸브(83)는 페이스 쉴드(30) 내부에서 발생되는 착용자의 호기만을 페이스 쉴드(30)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기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배기밸브(83)는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품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독 마스크에 의하면 내부에 마련되는 전성 유닛의 긴장수단을 통해 전성 필름을 용이하게 항시 긴장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착용자의 음성을 명확히 전달할 수 있다.
특히, 전성 유닛의 텐션조절부재를 통해 전성 필름의 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장기간 사용으로 전성 필름의 장력이 약화될 경우 전성 필름의 장력을 다시 조절하여 긴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성 유닛이 포트 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므로 기존에 사용중인 방독 마스크에도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또, 포트 프레임에 급기유닛의 정화통 연결구가 구비될 경우 포트 프레임에 급기유닛의 정화통을 결합할 수 있으므로 정화된 공기를 사실상 직접적으로 착용자의 비강 및 구강에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기유닛의 배기밸브를 통해 착용자의 호기만을 페이스 쉴드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1 내지 도 2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방독 마스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설명에 있어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한다.(단, 도면 부호는 구조적 차이점을 알 수 있도록 상이하게 기재함)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독 마스크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스 쉴드(30)의 투시면체(300)가 착용자의 안면을 전체적으로 차폐하도록 구성되고, 페이스 쉴드(30)의 고무면체(100)가 링형태로 구성되어 투시면체(300)의 테두리에 설치된다. 이때, 고무면체(100)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테로 이루어진 클램프(600)에 의해 투시면체(300)의 테두리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고무면체(1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 끈(700)이 설치된다. 이러한 조임 끈(700)은 페이스 쉴드(30)가 안면 착용된 후 당겨질 경우 고무면체(100)를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시킨다.
투시면체(300) 및 고무면체(100)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노즈콘(200)이 설치된다. 이러한 노즈콘(200)은 착용자의 비강 및 구강을 격리시키는 것으로써, 전술한 실시예의 노즈콘(70)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투시면체(300)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성유닛(800) 및 정화통(900)이 장착된다.
이상과 같은 내용을 부연하자면, 고무면체(100)는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되어 착용자의 눈, 코, 입을 외부와 단절시킨다. 고무면체(1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야 확보를 위한 투시공(110)이 관통 형성되고, 투시공(110)의 둘레를 따라 홈형태의 끼움테(120)가 마련되어 후술되는 바와 같이 투시면체(300)에 결합된다. 고무면체(100) 및 노즈콘(200)은 착용자의 안면 굴곡에 밀착될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고무로 이루어진다.
투시면체(3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테(120)에 테두리가 끼워진 상태로 고무면체(100)에 결합되어 고무면체(100)의 투시공(110)을 투시가능하게 차폐하고, 착용자의 안면을 전체적으로 차폐한다.
투시면체(3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포트 프레임(400) 및 정화통 연결구(500)의 설치를 위한 전성유닛 결합 홀(310) 및 정화통 결합 홀(320)이 형성된다. 투시면체(300)는 전체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전방 시야는 물론 고무면체(100)의 하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투시면체(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클램프(600)에 의해 고무면체(100)에 고정된다. 고무면체(100)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투시공(110)의 둘레를 따라 홈형태의 끼움테(120)가 마련되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시면체(300)의 테두리가 끼움테(120)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러한 클램프(600)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면체(100)에 형성된 끼움테(120)에 부합하는 형상을 갖는 띠의 형상을 갖는다. 클램프(600)는 예컨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절개된 링형태로 형성되어 선단과 기단이 마주한 상태에서 고정볼트에 의해 선단과 기단이 결속되는 구조를 갖는다. 하지만, 클램프(6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반체형으로 형성되어 고정볼트에 의해 하나로 결속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고무면체(1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테(120)가 투시면체(300)의 테두리와 클램프(600)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클램프(600)의 선단과 기단을 고정볼트로 결속시켜 조이는 것에 의해 투시면체(30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고무면체(10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이 가능하도록 조임 끈(700)이 마련된다. 이러한 조임 끈(700)은 고무면체(100)에 부착된 연결고리(130)와 연결되어 조임 끈(700)을 잡아당기는 것에 따라 조임 끈(700)의 길이가 조절되어 고무면체(100)를 착용자의 두상 크기에 맞게 조임 끈(700)의 길이를 조절하여 고무면체(100)를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시키게 된다.
이때, 조임 끈(700)은 고무와 같은 탄성력이 발휘되는 재질로 이루어져 더욱 견고하게 고무면체(100)를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시킬 수도 있다.
한편, 투시면체(300)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성유닛 결합 홀(310)에 포트 프레임(400)이 설치되고, 포트 프레임(400)에 전성유닛(800)이 설치된다. 즉, 전성유닛(800)은 착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말을 할 경우 음성을 마스크의 외부로 전달하도록 투시면체(300)에 설치된다.
전성유닛(800)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성 몸체(810), 전성 커버(820) 및 전성 필름(830)으로 구성되어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전성유닛(60)과 다소 상이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전성유닛(800)을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전성 몸체(810)는 포트 프레임(400)과 연통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중공의 선단 외면을 따라 원형의 단면을 갖는 걸림턱(814)이 형성된다.
또한, 전성 커버(82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성 몸체(810)에 형성된 걸림턱(814)의 외면을 따라 컬링되어 결속되며, 전성 필름(830)은 전성 몸체(810)와 전성 커버(820) 사이에 개재되어 전성 커버(820)가 전성 몸체(810)의 걸림턱(814)을 컬링하는 것에 따라 그 연부가 당겨져 긴장하게 된다.
이렇게, 전성 몸체(810)에 걸림턱(814)이 형성되고, 걸림턱(814)의 외면에 부합하게 전성 커버(820)가 컬링되면, 도 16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성 몸체(810)와 전성 커버(820) 사이에 개재된 전성 필름(830)이 당겨지면서 긴장하게 되어 착용자가 말하는 것에 따라 전성 필름(830)에 떨림이 발생하여 마스크의 외부로 음성을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한편, 포트 프레임(400)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시면체(300)의 중앙 하부에 형성된 전성유닛 결합 홀(310)에 설치된다. 이러한 포트 프레임(40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부(410), 돌출부(420)로 구성된다.
어깨부(41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시면체(300)에 형성된 전성유닛 결합 홀(310)의 내면에 걸림되도록 전성유닛 결합 홀(310)의 직경보다 큰 면적을 형성하게 된다. 돌출부(420)는 어깨부(410)에 일체로 형성되고, 전성유닛 결합 홀(310)을 통해 투시면체(30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돌출부(420) 및 어깨부(410)는 마스크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중공이 형성되며, 중공에 전술한 전성유닛(800)의 전성 몸체(810)가 삽입식으로 장착된다.
이때, 포트 프레임(400)은 도 14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가 관통하는 체결 홀(424)이 형성되고, 체결 홀(424)에 대응하여 전성 몸체(810)에 보스(812)가 형성된다. 따라서, 포트 프레임(400)과 전성 몸체(810)는 볼트에 의해 결속될 수 있다.
이러한 포트 프레임(400)의 어깨부(41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면을 따라 노즈콘(200)이 끼움 고정되는 결속테(412)가 형성되어 포트 프레임(400)이 투시면체(300)에 설치고정된 후 투시면체(300)의 내부로 돌출된 어깨부(410)의 결속테(412)에 노즈콘(200)을 끼워 고정하게 됨으로써, 노즈콘(200)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포트 프레임(40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내쉬는 숨을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밸브(430)가 설치되어 착용자가 내쉬는 숨을 마스크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하는 한편 마스크의 외부가 배기밸브(430)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단속하게 된다. 이러한 배기밸브(430)는 예를 들어 얇은 막의 다이어프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42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시면체(300)와 포트 프레임(400)의 결속을 위한 후크(422)가 형성된다. 후크(422)는 돌출부(420)의 측면에 형성되어 투시면체(300)에 형성된 전성유닛 결합 홀(310)과 후크 결합된다. 이때, 전성유닛 결합 홀(310)과 포트 프레임(400)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사이에 기밀을 위한 실링부재(440)가 개재된다.
또한, 포트 프레임(40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전성 몸체(810), 전성 커버(820) 및 전성 필름(830)으로 구성된 전성유닛(800)이 설치된다. 포트 프레임(400)은 도 14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성유닛(800)을 포트 프레임(400)에 설치하기 위해 볼트가 관통되는 체결 홀(424)이 형성된다. 그리고, 전성유닛(800)의 전성몸체(810)는 전술한 체결 홀(424)에 대응하여 보스(812)가 형성된다. 따라서, 포트 프레임(400)과 전성유닛(800)은 볼팅으로 결속된다.
포트 프레임(400)은 도 12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커버(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커버(450)는 포트 프레임(400)의 전면을 후술되는 장공(451), 즉 음향공을 통해 통기 가능하게 차폐하여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프레임 커버(45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성유닛(800), 포트 프레임(400), 배기밸브(43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게 된다. 이때, 프레임 커버(450)는 복수의 장공(451)을 통해 전성유닛(800)으로부터 전달된 음성 및 배기밸브(430)를 통해 배기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이러한 프레임 커버(450)는 도 12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에 의해 포트 프레임(400)에 결속된다. 하지만, 프레임 커버(450)는 후크와 같은 결속수단이 구비될 경우 포트 프레임(400)에 후크 결속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후크는 프레임 커버(450) 및/또는 포트 프레임(400)에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급기유닛(50)의 정화통 연결구(5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시면체(300)에 설치된 포트 프레임(400)을 중심으로 양측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 투시면체(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성유닛 결합 홀(310)을 중심으로 정화통 결합 홀(320)이 양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정화통 연결구(500)는 양측의 정화통 결합 홀(320)에 의해 투시면체(30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정화통 연결구(500)는 예컨대,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달리 지지부(510), 인입부(520) 및 연장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510)는 투시면체(300)에 형성된 정화통 결합 홀(320)의 외면에 걸림되며, 투시면체(300)의 외부와 내부가 연통되도록 중공을 갖는다.
인입부(520)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510)와 일체로 형성되며, 투시면체(300)의 내부로 인입되어 투시면체(300)의 내부에 위치한 체결 링(530)과 결속된다. 이러한 체결 링(5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통 결합 홀(320)의 지름보다 큰 지름을 갖는다. 이에 따라, 정화통 결합 홀(320)은 연부가 정화통 연결구(500)의 지지부(510)와 체결 링(530) 사이에 개재된 상태를 이룬다.
연장부(540)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510)와 일체로 형성된다. 연장부(540)는 인입부(520)와 대향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투시면체(3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정화통(900)과 결속된다.
한편, 전술한 지지부(51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에 투시면체(3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기되는 것을 차단하는 흡기밸브(512)가 구비된다. 즉, 지지부(510)는 전술한 급기유닛(50)의 흡기밸브(55)가 구비된다. 이러한 흡기밸브(512)는 예를 들어 얇은 막의 다이어프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인입부(520)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인입돌기(521)가 형성된다.
또, 체결 링(530)은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면에 인입돌기(521)와 대응하는 걸림돌기(531)가 형성되어 베요넷(Bayonet) 방식으로 결속된다. 이때, 인입돌기(521)와 걸림돌기(531)는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체결 링(530)을 인입부(520)와 결합시켰을 때 체결 링(530)의 걸림돌기(531)가 인입부(520) 사이를 통과하게 되며, 이렇게 걸림돌기(531)가 인입돌기(521)를 통과한 후 체결 링(530)을 회전시키는 것에 따라 걸림돌기(531)와 인입돌기(521)가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특히, 베요넷 방식으로 결속되는 걸림돌기(531)는 인입돌기(521)가 안치되는 안치홈(531a)을 형성하여 인입돌기(521)가 걸림돌기(531)와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되었을 때 안치홈(531a)에 인입돌기(521)가 안치되어 체결 링(530)과 정화통 연결구(500)가 무단으로 결속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걸림돌기(531)는 도 17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5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돌기(531)는 인입돌기(521)가 진입하는 선단이 안치홈(531a)보다 높게 돌출됨에 따라 스토퍼(533)가 구비된다.
이때, 스토퍼(533)는 도 17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돌기(521)의 진입을 안내하는 경사면(533a)을 형성하여 정화통 연결구(500)와 체결 링(530)이 결속되기 위해 회전할 때 인입돌기(521)가 경사면(533a)을 원활하게 타고 넘어 결속되며, 정화통 연결구(500)와 체결 링(530)이 완전히 결속되었을 때는 스토퍼(533)에 인입부(520)가 걸림되어 무단으로 결속이 해제되지 않게 단속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정화통 연결구(500)와 체결 링(530)이 결속될 때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가스켓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통 연결구(500) 및 체결 링(530) 사이에 개재된다.
한편, 인입부(520)와 대향하여 투시면체(300)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는 연장부(540)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속날개(541)가 형성된다. 그리고, 연장부(540)와 결속되는 정화통(900)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540)가 삽입되어 연통되는 장착부(910)가 형성된다.
그리고, 장착부(910)의 내주면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날개(541)에 대응하는 장착홈(912)이 형성된다. 이때, 장착홈(912) 또는 결속날개(54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연장부(540)가 장착부(910)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것에 따라 결속날개(541)와 장착홈(912)이 압입되어 결속을 더욱 견고히 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정화통(900)이 정화통 연결구(500)와 결속될 때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가스켓이 정화통(900)과 정화통 연결구(500) 사이에 개재되어 외부 공기가 정화통과 정화통 연결구(500) 사이를 통해 마스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방독 마스크는,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된 고무면체(100)의 전방을 차폐하는 투시면체(300)가 전면적에 걸쳐 투명하게 이루어져 착용자의 전방 시야 및 하부 시야를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착용자의 전방 시야 및 하부 시야가 넓게 확보된 구조를 갖는 투시면체(300)의 양측에 정화통(900)이 설치되어 어느 하느의 정화통(900)이 작동불능의 상태가 되더라도 정상 작동하는 정화통(900)을 통해 착용자가 용이하게 숨을 쉴 수 있다.
또한, 전성유닛(800) 및 전성 커버(820)가 포트 프레임(400)과 볼트 결속에 의해 고정되고, 포트 프레임(400)은 투시면체에 형성된 전성유닛 결합 홀(310)과 후크 결속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전성유닛(800), 전성 커버(820), 포트 프레임(400)을 모듈화시켜 간편하고 신속하게 투시면체의 전성유닛 결합 홀(310)에 조립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정화통 연결구(500)가 체결 링(530)과 회전 조작에 의해 결속되는 구조를 갖게 되어 정화통(900)의 설치 및 교체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화재진압, 유독가스 유출과 같은 위급한 상황에서 정화통(900)이 작동불능 상태가 되더라도 신속하게 정화통(900)을 투시면체(300)로부터 신속하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정화통 연결구(500)의 연장부(540)에 형성된 결속날개(541)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540)의 끝단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결속날개(541)가 도 18의 원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결속날개(541)가 분할되어 구성되면 결속날개(541)가 길게 하나로 형성된 것에 비해 우수한 탄성력을 얻을 수 있어 장착홈(912)과 결속날개(541)의 압입력이 향상되어 정화통(900)과 정화통 연결구(500)를 더욱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느 하나의 결속날개(541)가 파손되더라도 분할된 다른 결속날개(541)가 장착홈(912)과 결속되어 정화통(900)과 정화통 연결구(500)를 안정적으로 결속시킬 수 있다.
또한, 투시면체(300)에 긁힘이 발생하지 않도록 투시면체(300)의 전면에 보호 필름(330)이 마련된다. 이를 도 19 내지 도 2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투시면체(30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리적 충격에 의해 긁힘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호 필름(330)이 마련된다. 보호 필름(330)은 투시면체(300)의 외측면에 위치하여 물리적 충격이 직접적으로 투시면체(300)에 가해지는 것을 차단하여 투시면체(300)에 긁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보호 필름(330)은 PET 필름의 표면에 경도 향상을 위한 코팅이 실시되거나 유분의 이물질에 의해 보호 필름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PET 필름의 표면에 내유성 코팅 처리를 실시한 올레포빅(oleo-phobic) 필름이거나 또는 강화유리 필름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 필름(330)은 탄성 복원력을 갖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착용자가 고무면체(100)를 안면에 착용했을 때 투명한 투시면체(300)와 보호 필름(330)을 통해 전방을 주시할 수 있다.
한편, 보호필름(330)은 투시면체(300)의 외측면에 설치되도록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에 외측을 향하는 장착 돌기(331)가 형성된다. 이러한 장착 돌기(331)는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600)와 투시면체(300)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된다.
이때, 보호 필름(33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 복원력이 발휘되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가장자리에 장착 돌기(331)가 형성되어 상기 장착 돌기(331)가 클램프(600)와 투시면체(300)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즉, 보호 필름(330)은 평상시 탄성 복원력에 의해 긴장하여 펼쳐진 상태를 갖게 되지만 투시면체(300)에 장착하기 위해 각각의 장착 돌기(331)들을 클램프(600)와 투시면체(300) 사이에 개재시킬 때 구부러지면서 투시면체(300)의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보호 필름(330)은 투시면체(300)에서 분리시, 장착 돌기(331)가 클램프(600) 및 투시면체(300) 사이에서 이탈된다. 즉, 보호 필름(330)은 장착 돌기(331)의 이탈만으로도 투시면체(300)에서 분리된다. 이때, 호보 필름(330)은 탄성 복원력에 의해 펼쳐지므로 용이하게 분리된다.
한편, 클램프(600)는 상기와 같이 장착 돌기(331)가 클램프(600)와 투시면체(300) 사이에 개재될 때 장착 돌기(331)가 삽입되는 위치를 착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식별표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램프(60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돌기(331)가 삽입되는 부분이 고무면체(10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형태를 갖거나 또는 장착 돌기(331)가 삽입되는 부분의 외측면에 화살표와 같은 도형을 표시하여 착용자로 하여금 장착 돌기(331)의 삽입 위치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보호 필름(330)은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돌기(331) 이외의 프레임 커버(450)와 인접한 가장자리가 고정될 수 있도록, 인접 가장자리가 프레임 커버(450) 및 투시면체(300) 사이에 개재된다. 이를 위해, 보호 필름(330)은 도 19에 도시되 바와 같이 프레임 커버(450)와 인접한 가장자리가 프레임 커버(450)의 외측면에 부합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인접 가장자리가 오목한 홈형태로 형성된다. 프레임 커버(450)는 장착 돌기(331)가 클램프(600)와 투시면체(300) 사이에 개재되는 것처럼, 프레임 커버(450)와 인접한 보호 필름(330)의 가장자리가 도 21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커버(450) 및 투시면체(300) 사이게 개재되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투시면체(300)에 보호 필름이 마련되면, 투시면체(300)에 직접적인 긁힘이 발생하지 않아 착용자가 선명한 시야를 확보하기 쉽고, 파손된 보호 필름(330)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30 : 페이스 쉴드 31 : 전성유닛 결합 홀
40 : 포트 프레임 41 : 음향공
50 : 급기유닛 51 : 정화통 연결구
53 : 정화통 55 : 흡기밸브
60 : 전성유닛 61 : 바디
63 : 전성 필름 65 : 긴장수단
65a : 가스켓 65b : 필름고정부재
65c : 텐션조절부재 65d : 기밀패킹
66 : 조절부 70 : 노즈콘
71 : 흡기구 73 : 배기구
80 : 배기유닛 81 : 오리피스
83 : 배기밸브
100 : 고무면체 110 : 투시공
120 : 끼움테 200 : 노즈콘
300 : 투시면체 310 : 전성유닛 결합 홀
320 : 정화통 결합 홀 330 : 보호 필름
331 : 장착 돌기 400 : 포트 프레임
410 : 어깨부 412 : 결속테
420 : 돌출부 422 : 후크
424 : 체결 홀 430 : 배기밸브
440 : 실링부재 450 : 프레임 커버
500 : 정화통 연결구 510 : 지지부
512 : 흡기밸브 520 : 인입부
521 : 인입돌기 530 : 체결 링
531 : 걸림돌기 531a : 안치홈
533 : 스토퍼 533a : 경사면
540 : 연장부 541 : 결속날개
600 : 클램프 700 : 조임 끈
800 : 전성유닛 810 : 전성 몸체
812 : 보스 814 : 걸림턱
820 : 전성 커버 830 : 전성 필름
900 : 정화통 910 : 장착부
912 : 장착홈

Claims (12)

  1. 착용자의 안면을 투시가능하게 차폐하고, 일측에 구멍형태의 전성유닛 결합 홀이 마련된 페이스 쉴드;
    상기 페이스 쉴드의 전성유닛 결합 홀에 관통상태로 고정되고, 착용자의 음성이 상기 페이스 쉴드의 외부로 배출되는 음향공이 마련된 포트 프레임;
    상기 페이스 쉴드나 상기 포트 프레임에 결합되어 외부의 공기를 상기 페이스 쉴드의 내부로 공급하는 급기유닛;
    상기 포트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페이스 쉴드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페이스 쉴드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착용자의 음성을 전이시키는 전성유닛;
    상기 전성유닛이나 상기 포트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페이스 쉴드의 내부에서 착용자의 코와 입을 차폐하고, 공기가 흡기되는 흡기구 및 호기가 배기되는 배기구를 갖는 노즈콘; 및
    상기 노즈콘의 상기 배기구에서 배기되는 호기를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성유닛은,
    상기 포트 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착용자의 음성이 통과하도록 전면에 구멍형태의 홀이 복수로 형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전면을 차폐하여 상기 바디의 홀을 통과하는 착용자의 음성만을 전이시키는 전성 필름; 및
    상기 전성 필름을 상기 바디에 고정하고, 상기 전성 필름의 텐션을 조절하여 긴장시키는 긴장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급기유닛은,
    상기 페이스 쉴드나 상기 포트 프레임에 관통상태로 마련되는 암나사 형태의 정화통 연결구; 및
    상기 정화통 연결구에 체결되어 정화된 공기를 상기 페이스 쉴드의 내부로 제공하는 정화통;을 포함하며,
    상기 정화통 연결구는,
    상기 페이스 쉴드에 형성되는 정화통 결합 홀의 외면에 걸림되며, 상기 페이스 쉴드의 외부와 내부가 연통되도록 중공이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페이스 쉴드의 내부로 인입되어 투시면체의 내부에 위치한 체결 링과 결속되는 인입부; 및
    상기 지지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인입부와 대향하여 상기 페이스 쉴드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정화통과 결속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중공은 상기 페이스 쉴드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흐르지 않게 차단하는 흡기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 마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수단은,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바디와 상기 전성 필름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환형태의 가스켓;
    상기 바디에 끼움상태로 고정되면서 상기 전성 필름의 테두리를 가압하여 상기 전성 필름을 상기 가스켓에 압착상태로 고정시키는 필름고정부재; 및
    상기 필름고정부재에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전성 필름의 일부분을 가압함에 따라 상기 전성 필름의 텐션을 유지시키는 텐션조절부재;를 포함하는 방독 마스크.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는 그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인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 링은 그 내주면에 상기 인입돌기와 대응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베요넷(Bayonet) 결속되되,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인입돌기가 안치되는 안치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 마스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인입돌기가 진입하는 선단에 상기 안치홈보다 높게 돌출된 스토퍼를 형성하되 상기 스토퍼는 인입돌기의 진입을 안내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 마스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그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결속날개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와 결속되는 정화통은,
    상기 연장부가 삽입되어 연통되는 장착부가 형성되되, 상기 장착부의 내주면은 상기 결속날개에 대응하는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홈 또는 결속날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가 장착부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것에 따라 결속날개와 장착홈이 압입되어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 마스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유닛은,
    상기 포트 프레임에 구멍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페이스 쉴드와 연통되는 오리피스; 및
    상기 오리피스를 차폐하면서 상기 페이스 쉴드 내부에서 발생된 착용자의 호기를 상기 페이스 쉴드의 외부로 배기하는 배기밸브;를 포함하는 방독 마스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프레임은,
    상기 페이스 쉴드에 형성된 전성유닛 결합 홀의 내면에 걸림되는 어깨부; 및
    상기 어깨부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전성유닛 결합 홀을 통해 상기 페이스 쉴드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어깨부는 그 외주면을 따라 상기 노즈콘이 끼움 고정되는 결속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 마스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프레임은,
    상기 돌출부의 측면에 후크가 형성되어 상기 페이스 쉴드에 형성된 전성유닛 결합 홀과 후크 결합되고,
    상기 포트 프레임은,
    상기 전성유닛 결합 홀의 테두리를 실링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 마스크.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프레임은, 볼트가 관통하는 체결 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 홀에 대응하여 전성유닛에 보스가 형성되어 상기 포트 프레임과 상기 전성유닛이 상기 볼트에 의해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 마스크.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 프레임은,
    상기 전성유닛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프레임 커버;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 마스크.
KR1020160150025A 2016-11-11 2016-11-11 방독 마스크 KR101730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025A KR101730831B1 (ko) 2016-11-11 2016-11-11 방독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025A KR101730831B1 (ko) 2016-11-11 2016-11-11 방독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0831B1 true KR101730831B1 (ko) 2017-04-27

Family

ID=58702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025A KR101730831B1 (ko) 2016-11-11 2016-11-11 방독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08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6385B1 (ko) * 2017-07-18 2018-11-08 에스지생활안전 주식회사 방독면 정화통의 체결 및 분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9529A (ja) * 1998-12-28 2000-07-11 Koken Ltd 面体取り付け用伝声器
KR200335505Y1 (ko) * 2003-09-18 2003-12-06 주식회사 산청 방독면 전성배기유닛
KR101649706B1 (ko) * 2016-04-01 2016-08-19 주식회사 산청 양압식과 음압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호흡장치용 급기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9529A (ja) * 1998-12-28 2000-07-11 Koken Ltd 面体取り付け用伝声器
KR200335505Y1 (ko) * 2003-09-18 2003-12-06 주식회사 산청 방독면 전성배기유닛
KR101649706B1 (ko) * 2016-04-01 2016-08-19 주식회사 산청 양압식과 음압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 호흡장치용 급기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6385B1 (ko) * 2017-07-18 2018-11-08 에스지생활안전 주식회사 방독면 정화통의 체결 및 분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0604B1 (ko) 풀 페이스 타입의 방독 마스크
US11738219B2 (en) Respirator mask for CBRN or other protection
RU2642776C2 (ru) Респираторная маска с приемной камерой чистого воздуха
CA2988933C (en) Face mask assembly
US8028700B2 (en) Full face flexible oxygen mask for use with flight helmets
KR101536265B1 (ko) 두건형 방독면
US5690095A (en) Emergency escape breathing apparatus
CA2484647C (en) Respirator assembly
CA2751207C (en) Respirator kit and contoured plenum therefor
US11266861B2 (en) Face mask assembly
EA202090818A1 (ru) Полнолицевой респиратор
KR101730831B1 (ko) 방독 마스크
KR101536264B1 (ko) 두건형 방독면
KR101513859B1 (ko) 두건형 방독면
US20070113846A1 (en) Facepiece for a respirator for high performance fixed-wing aircraft crew protection
KR102339309B1 (ko) 공기호흡기용 풀 페이스 마스크
US20210267288A1 (en) Full face mask with head harness receiving channel
US20210106852A1 (en) Full face mask with head harness receiving channel
RU2377038C1 (ru) Панорамная маска с кольцевым мембранным клапаном
KR20130115534A (ko) 의사소통이 용이한 밀폐 마스크
KR102568711B1 (ko) 공기 정화 방독면
US11751615B1 (en) Second-skin respirator cover
KR200237647Y1 (ko) 방독면의 고정밴드 지지대 구조
US6615833B2 (en) Mask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