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505Y1 - 방독면 전성배기유닛 - Google Patents

방독면 전성배기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505Y1
KR200335505Y1 KR20-2003-0029612U KR20030029612U KR200335505Y1 KR 200335505 Y1 KR200335505 Y1 KR 200335505Y1 KR 20030029612 U KR20030029612 U KR 20030029612U KR 200335505 Y1 KR200335505 Y1 KR 2003355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saliva
exhaust valve
unit
uni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96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산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to KR20-2003-00296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5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5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5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4Gas helm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독면의 전성배기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에는 음성을 전달하는 전성판 및 음성확성기를 갖는 유닛몸체와; 유닛몸체의 후방에 일체로 고정되고, 전방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전성판 및 상기 배기밸브와 마주하는 전성구 및 배기구를 가지며, 일측면에는 정화통에서 정화된 공기를 착용자에게 공급하는 흡기밸브를 갖는 코틀막;으로 이루어진 방독면의 전성배기유닛에 있어서, 상기 유닛몸체는 하부 내측 중앙에 착용자의 타액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배기막을 갖는 배기밸브를 형성하고, 그 전방에는 복수개의 배기포트가 형성된 별개의 배기밸브보호커버를 고정설치하되, 배기밸브보호커버의 하단부 중앙에는 하방이 개방된 타액배출구를 관통 형성하여, 배기밸브를 통과한 타액이 배기밸브보호커버를 지나 곧바로 그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타액배출구가 형성됨에 따라 방독면을 착용한 상태로 타액을 뱉어도 타액이 배기밸브를 통과한 후 방독면 외부로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방독면 전성배기유닛 { VOICE TRANSMISSION AND EXHAUSTION UNIT FOR GAS MASK }
본 고안은 방독면의 전성배기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방독면 착용자의 타액을 전성부와 배기부로 이루어진 전성배기유니트의 배기부를 통하여 배출할 수 있는 방독면 전성배기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독면은 화학전이나 생물학전, 방사능전 등의 위급상황에서 발생되는 유독성 오염물질이 인체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안면에 착용하며, 이를 착용함으로써 사람은 오염지역에서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다.
이러한 방독면은 첨부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며,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방독면 전성배기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성배기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출원인(주식회사 산청의 대표 김 종기)이 본 고안의 출원에 앞서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하여, 2000년 12월 16일자로 등록받은 등록번호 20-215086호(명칭: 방독마스크용 음료수흡입수단의 흡입호스 인출장치)에 기재된 방독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방독면은, 안면에 착용되는 연질 고무재의 안면마스크(10)와, 안면마스크(10)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어 외부를 투시하는 투시렌즈(2)와, 투시렌즈(2)의 하부 양측에 구비되어 정화통(5)이 체결되는 정화통체결구(6)와, 안면마스크(10)의 투시렌즈(2) 하부측에 관통 형성된 전성배기구(12)에 고정장착되는 전성배기유닛(2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전성배기유닛(20)은 안면마스크(10)의 전성배기구(12)에 삽입되어 외주면이 벨트클램프(20a)로 클램핑되고, 음성전달용 전성판(23: 도면에 도시된 전성판 전방의 암나사부에는 통상적으로 미도시된 음성확성기가 체결됨)과 공기 배기용체크밸브식 배기밸브(24)가 상부와 하부에 각각 마련된 유닛몸체(21) 및, 유닛몸체(21)의 후방에 고정되어 착용자의 코와 입을 커버링하면서 일측에 마련된 체크밸브식 흡기밸브(36)로 정화통(5)의 흡입공기를 공급하는 코틀막(3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유닛몸체(21)의 양측에는 안면마스크(10)의 내측을 향하는 취수관(26a)을 갖는 음료공급용 취수구(26) 및, 취수관(26a)을 전후진 시키는 취수관조절레버(28)가 구비되며, 취수관조절레버(28)는 후방에 연결된 편심경사돌기(28a')를 갖는 회전캠(28a)과, 회전캠(28a)의 편심경사돌기(28a')와 일측이 밀착상태로 고정되고, 타측은 취수관(26a)과 연결된 취수관유동링크(28b)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취수관조절레버(28)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취수관조절레버(28)를 회전시키면 회전캠(28a)이 연동 회전하면서 경사돌기(28a')를 회전시켜 취수관유동링크(28b)를 전후진시킨다.
그러면, 취수관(26a)은 취수관유동링크(28b)의 전후진에 의하여 착용자의 구강에 근접되거나 이격되며, 착용자는 취수관(26a)이 근접되면 용이하게 취수할 수 있다.
물론, 취수구(26)에는 미도시된 수통과 연결된 연결관이 결합되어야 한다.
한편, 전성판(23)은 유닛몸체(21)의 상부에 형성된 전성판삽입공(22) 후방으로 삽입되며, 전단부는 전성판삽입공(22)의 내측에 돌출형성된 걸림턱(22a)에 걸리고, 후단부는 전성판삽입공(22)의 후단에 체결고정되는 전성판지지커버(23a)에 의하여 지지 고정됨으로써 내장된다.
그리고, 배기밸브(24)는 유닛몸체(21)의 하부에 형성된 밸브포트(24c)에 배기막(F)이 고정됨으로로써 형성되고, 배기막(F)의 전방 외측에는 배기밸브(24)를 보호하는 배기포트(24a)를 갖는 배기밸브보호커버(24b)가 고정된다.
즉, 배기밸브보호커버(24b)는 배기막(F)의 전방 외측에 해당하는 유닛몸체(21)의 전방 하부에 고정된다.
이때, 배기밸브(24) 및 배기밸브보호커버(24b)는 전술된 취수구(26)로 인하여 도 1과 같이 유닛몸체(21)의 하부 일측으로 편심된 상태를 이룬다.
한편, 코틀막(30)은 전성판지지커버(23a)가 유닛몸체(21)의 전성판삽입공(22)에 결합될때 상부에 형성된 전성구(32) 테두리가 그 사이에 끼워져 도 2와 같이 결합된다.
이러한 코틀막(30)은 원형 구멍인 전성구(32)가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는 전성구 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원형구멍인 배기구(34)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성배기유닛(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성부(22)와 배기부(24), 그리고 취수구(26) 및 취수관조절레버(28)가 일체로 구성되므로, 착용자는 음성전달과 배기를 동시에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취수관조절레버(28)를 조작하여 취수구(26)로 용이하게 취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성배기유닛(20)이 장착된 방독면을 착용하면 내부의 습기 및 온기로 인하여 착용자는 땀을 흘리게 될 뿐만 아니라, 침이나 콧물과 같은 타액이 발생된다.
하지만, 착용자는 배기밸브(24) 및 배기밸브보호커버(24b)가 유닛몸체(21)에서 편심상태를 이룸에 따라 타액을 뱉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즉, 배기밸브(24) 및 배기밸브보호커버(24b)가 편심상태를 이루므로 타액을 뱉으면 타액이 배기밸브(24)로 배출되지 않고, 취수구(26)와 배기밸브(24) 사이의 유닛몸체(21) 후방에 묻게 된다.
만약, 타액이 배기밸브(24)로 배출되더라도 배기막(F)을 통과한 타액은 배기밸브보호커버(24b)의 자체 두께로 형성된 하부 단턱(P)의 장애로 인하여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배기밸브보호커버(24b)의 후방 하단부에 묻게 된다.
또한, 착용자가 뱉은 타액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면 타액이 전성판지지커버(23a)에 고정된 코틀막(30)의 하부로 역류하여 고이게 된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 의한 전성배기유닛(20)은 회전캡(28a)과 연결된 취수관조절레버(28)와, 취수관유동링크(28b) 및 취수관(26a)을 갖는 취수구(26)가 모두 구비됨에 따라 그 조립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그 폭(W)이 넓게 형성되므로 안면마스크(10)의 내측으로 유닛몸체(21)가 돌출되어 착용자의 구강이 유닛몸체(21)와 충돌하는 사용상의 불편한 문제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취수구 및 그 관련부품을 배제하여 전성배기유닛의 폭이 종래 보다 좁게 형성되고, 착용자가 타액을 뱉을 경우 타액이 유도되어 배기밸브커버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전성 및 배기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방독면 전성배기유닛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목적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방독면 전성배기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성배기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방독면 전성배기유닛을 장착한 방독면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딘 전성배기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방독면에 장착된 본 고안에 의한 방독면 전성배기유닛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안면마스크 12 : 전성배기구
20 : 전성배기유닛 21 : 유닛몸체
30 : 코틀막 34 : 배기구
121 : 그루브 124 : 배기밸브
124b: 배기밸브보호커버 125 : 타액배출구
132 : 타액유도관
이와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상부에는 음성을 전달하는 전성판(23) 및 음성확성기를 갖는 유닛몸체(21)와; 유닛몸체(21)의 후방에 일체로 고정되고, 전방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전성판(23) 및 상기 배기밸브(24)와 마주하는 전성구(32) 및 배기구(34)를 가지며, 일측면에는 정화통(5)에서 정화된 공기를 착용자에게 공급하는 흡기밸브(36)를 갖는 코틀막(30);으로 이루어진 방독면의 전성배기유닛(20)에 있어서, 상기 유닛몸체(21)는 하부 내측 중앙에 착용자의 타액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배기막(F)을 갖는 배기밸브(124)를 형성하고, 그 전방에는 복수개의 배기포트(124a)가 형성된 별개의 배기밸브보호커버(124b)를 고정설치하되, 배기밸브보호커버(124b)의 하단부 중앙에는 하방이 개방된 타액배출구(125)를 관통 형성하여, 배기밸브(124)를 통과한 타액이 배기밸브보호커버(124b)를 곧바로 지나 그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 전성배기유닛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방독면 전성배기유닛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설명에 있어서 종래와 동일한 기술적 사상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방독면 전성배기유닛을 장착한 방독면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딘 전성배기유닛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방독면에 장착된 본 고안에 의한 방독면 전성배기유닛의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도 3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방독면 전성배기유닛(20)은, 상부 양측에 투시렌즈(2)가 형성되고, 하부 양측에 정화통(5)이 정화통흡기밸브(5b)와 함께 나사결합(5a, 6a)되는 한쌍의 정화통체결구(6)를 갖는 안면마스크(10)의 투시렌즈(2) 하부에 장착된다.
이때, 취수관을 갖는 취수구(26, 2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안면마스크(10)의 하부에 관통고정되거나, 한쌍의 정화통연결구(6) 중 어느 하나에 고정장착되며, 도면상의 부호 C는 정화통연결구(6)에 장착되는 취수구(26') 고정용 커버이다.
여기서,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본 고안에 의한 방독면 전성배기유닛(20)을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본 고안에 의한 전성배기유닛(20)은 안면마스크(10)의 투시렌즈(2) 하부에 돌출형성된 전성배기구(12)에 삽입된 후, 전성배기구(12)의 외주면에 감기는 벨트클램프(20a)에 의하여 클램핑된다.
이러한 전성배기유닛(20)은 후방 및 전방에 전성판(23) 및 미도시된 음성확성기가 내장되거나 체결고정되는 전성판삽입공(22)을 상부에 가지며, 그 하부에는 플랙시블한 배기막(F)이 밸브포트(124c)에 고정설치되는 체크밸브식 배기밸브(124)를 갖는 유닛몸체(21)를 포함한다.
이때, 배기밸브(124)는 착용자의 구강과 최대한 근접하도록 유닛몸체(21)의 하단부 내측 중앙에 형성하여 착용자가 용이하게 타액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전방에는 배기밸브(124)를 보호하는 복수개의 배기포트(124a)가 형성된 별개의 배기밸브보호커버(124b)를 고정장착하되, 유닛몸체(21)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그 내측으로 삽입하여 고정장착한다.
물론, 배기밸브보호커버(124b)를 배기밸브(124)의 전방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유닛몸체(21)의 하부에 고정하여야 하며, 도시된 바와 같은 볼트나 나사와 같은 체결구(126)를 이용하여 유닛몸체(21)에 고정장착한다.
이러한 체결구(126)를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밸브보호커버(124b)의 양측에서 체결할 경우, 배기밸브보호커버(124b)는 체결구(126)를 축으로 하여 상·하단이 회전할 수 있으므로, 유닛몸체(21)의 내주면에 배기밸브보호커버(124b)를 지지하는 지지턱(11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지지턱(110)은 배기밸브보호커버(124b)의 두께에 대응되는 깊이 만큼 유닛몸체(21)의 내측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 지지턱(110)이 유닛몸체(21)의 내측에 형성됨으로써 배기밸브보호커버(124b)는 유닛몸체(21)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한편, 배기밸브보호커버(124b)의 하단부 중앙에는 배기밸브(124)를 통과한 타액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방이 개방된, 즉 하부면이 개방된 형태의 타액배출구(125)를 형성한다.
그러면, 타액배출구(125)와 배기밸브(124)의 하단부는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배기밸브(124)를 통과한 타액은 타액배출구(125)로 곧바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타액배출구(125)와 배기밸브(124)가 일직선을 이루는 유닛몸체(21)의 전방 하부, 즉 배기밸브(124)의 하단부와 마주하는 유닛몸체(21)의 전방 하부에는 타액이 한곳에 집중되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은 그루브(121)를 형성한다.
계속해서, 전성배기유닛(20)은 유닛몸체(21)의 후방에 일체로 고정되고, 전방의 상부와 하부에 유닛몸체(21)의 전성판(23) 및 배기밸브(24)와 서로 마주하는 전성구(32) 및 배기구(34)를 가지며, 일측에는 정화통(5)에서 유입되는 정화 공기를 착용자에게 공급하는 체크밸브식 흡기밸브(36, 36')를 갖는 코틀막(30)을 포함한다.
이러한 코틀막(30)의 흡기밸브(36, 36')는 착용자가 오른손잡이인지 왼손잡이인지에 따라 36 이나 36'의 위치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다.
한편, 유닛몸체(21)의 전성판삽입공(22) 내측에는 돌출된 걸림턱(22a)이 형성되며, 전성판(23)은 전성판삽입공(22)의 후방으로 삽입되어 이 걸림턱(22a)에 전단부가 걸리고, 후단부는 전성판삽입공(22)의 후방에서 체결고정되는 전성판지지커버(23a)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고정된다.
이러한 유닛몸체(21)의 전성판지지커버(23a) 결합시 그 후방에서 코틀막(30)도 유닛몸체(21)에 일체로 고정되며, 코틀막(30)은 전방 상부에 형성된 전성구(32)의 테두리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몸체(21)의 배면과 전성판지지커버(23a)의 후단부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고정된다.
이때, 코틀막(30)의 배기구(34)에는 착용자가 배출하는 타액이 구강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방으로 돌출된 관모양의 타액유도관(132)을 연장형성하되, 타액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유닛몸체(21)의 배기밸브(124) 후단부와 밀착되도록 연장형성하고, 타액이 배기밸브(124)로 유도되도록 그 내경을배기밸브(124)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형성한다.
그러면, 타액유도관(13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밸브(124)의 후단과 직접 연결된 관 형태를 취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전성배기유닛(20)은 착용자가 코틀막(30)의 내부에서 타액을 뱉으면, 그 타액은 배출력에 의하여 코틀막(30)의 타액유도관(132)을 경유한 후 배기밸브(124)의 배기막(F)을 통과한 다음, 배기밸브보호커버(124b)의 타액배출구(125)로 배출된다.
이때, 타액은 배기밸브(124)가 구강에 근접한 유닛몸체(21)의 하부 중앙에 형성됨에 따라 일직선으로 배출되며, 타액배출구(125)의 하방이 개방됨에 따라 배기밸브보호커버(124b)에 타액이 걸리거나 뭍지 않는다.
한편, 타액배출구로(125) 배출되지 못한 일부 잔여 타액은 타액유도관(132)을 따라 흘러, 배기밸브(124)를 지나, 유닛몸체(21)의 그루브(121)에 집중된 후 배기밸브보호커버(124b)의 타액배출구(125)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전성배기유닛(20)은 배기밸브보호커버(124b)에 하부면이 개방된 타액배출구(125)가 형성되어, 방독면을 착용한 상태에서 타액을 방독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배기밸브(124)가 유닛몸체(21)의 하부 중앙에 형성됨에 따라 용이하게 타액을 배출할 수 있으며, 착용자가 뱉은 타액이 코틀막(30)의 타액유도관(132)을 통해 배출되므로 타액이 코틀막(30)의 하부로 유출되지 않고 오히려 배기밸브(124)로 유도되어 원활하게 배출된다.
또한, 잔여 타액이 존재하여도 유닛몸체(21)의 그루브(121)로 집중되어 배출되므로, 잔여 타액을 모두 배출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방독면 전성배기유닛은, 방독면을 착용한 상태로 타액을 뱉어도 타액이 유도되면서 방독면 외부로 배출되며, 취수구 및 그 관련부품이 유닛몸체에 구성되지 않으므로 유닛몸체의 폭을 줄일 수 있어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잔여 타액이 발생하여도 잔여 타액이 유닛몸체의 그루브에 집중되어 배출되므로 방독면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상부에는 음성을 전달하는 전성판(23) 및 음성확성기를 갖는 유닛몸체(21)와; 유닛몸체(21)의 후방에 일체로 고정되고, 전방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전성판(23) 및 상기 배기밸브(24)와 마주하는 전성구(32) 및 배기구(34)를 가지며, 일측면에는 정화통(5)에서 정화된 공기를 착용자에게 공급하는 흡기밸브(36)를 갖는 코틀막(30);으로 이루어진 방독면의 전성배기유닛(20)에 있어서,
    상기 유닛몸체(21)는 하부 내측 중앙에 착용자의 타액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배기막(F)을 갖는 배기밸브(124)를 형성하고, 그 전방에는 복수개의 배기포트(124a)가 형성된 별개의 배기밸브보호커버(124b)를 고정설치하되, 배기밸브보호커버(124b)의 하단부 중앙에는 하방이 개방된 타액배출구(125)를 관통 형성하여, 배기밸브(124)를 통과한 타액이 배기밸브보호커버(124b)를 곧바로 지나 그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 전성배기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밸브(124)의 하단부와 마주하는 상기 유닛몸체(21)의 전방 하부에는 상기 배기밸브(124)를 통과한 타액이 한곳에 집중되어 상기 배기밸브보호커버(124b)의 타액배출구(125)로 배출되도록 그루브(12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 전성배기유닛.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틀막(30)의 배기구(32)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관모양의 타액유도관(132)을 연장 형성하되, 타액유도관(132)이 상기 유닛몸체(21)의 배기밸브(24) 후단부와 밀착되도록 연장형성하고, 그 내경이 상기 배기밸브(24)의 외경에 대응하도록 형성하여, 착용자가 배출한 타액이 코틀막(30)의 하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배기밸브(24)로 유도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 전성배기유닛.
KR20-2003-0029612U 2003-09-18 2003-09-18 방독면 전성배기유닛 KR2003355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612U KR200335505Y1 (ko) 2003-09-18 2003-09-18 방독면 전성배기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612U KR200335505Y1 (ko) 2003-09-18 2003-09-18 방독면 전성배기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505Y1 true KR200335505Y1 (ko) 2003-12-06

Family

ID=49341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9612U KR200335505Y1 (ko) 2003-09-18 2003-09-18 방독면 전성배기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505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604B1 (ko) * 2016-04-01 2017-01-31 주식회사 산청 풀 페이스 타입의 방독 마스크
KR101730831B1 (ko) * 2016-11-11 2017-04-27 주식회사 산청 방독 마스크
KR200486429Y1 (ko) * 2017-11-01 2018-05-16 주식회사 산청 방독면용 확성기
KR20180133492A (ko) * 2016-04-15 2018-12-14 스코트 테크놀로지즈, 인크. 보이스미터에 의해 유지되는 안면마스크 노우즈컵
KR20200138860A (ko) * 2019-06-03 2020-12-11 주식회사 티앤테크 확성기 기능을 구비한 방진 마스크
KR102234853B1 (ko) * 2020-09-16 2021-04-01 양경호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WO2022025501A1 (ko) * 2020-07-28 2022-02-03 주식회사 이보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604B1 (ko) * 2016-04-01 2017-01-31 주식회사 산청 풀 페이스 타입의 방독 마스크
KR20180133492A (ko) * 2016-04-15 2018-12-14 스코트 테크놀로지즈, 인크. 보이스미터에 의해 유지되는 안면마스크 노우즈컵
KR102492537B1 (ko) * 2016-04-15 2023-01-27 스코트 테크놀로지즈, 인크. 보이스미터에 의해 유지되는 안면마스크 노우즈컵
KR101730831B1 (ko) * 2016-11-11 2017-04-27 주식회사 산청 방독 마스크
KR200486429Y1 (ko) * 2017-11-01 2018-05-16 주식회사 산청 방독면용 확성기
KR20200138860A (ko) * 2019-06-03 2020-12-11 주식회사 티앤테크 확성기 기능을 구비한 방진 마스크
KR102197818B1 (ko) 2019-06-03 2021-01-04 주식회사 티앤테크 확성기 기능을 구비한 방진 마스크
WO2022025501A1 (ko) * 2020-07-28 2022-02-03 주식회사 이보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KR102234853B1 (ko) * 2020-09-16 2021-04-01 양경호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0246A (en) Snorkel valve assembly
RU2724570C1 (ru) Маска для подводного плавания, имеющая корпус, оснащенный устройством удаления выдыхаемого воздуха, содержащим обратный клапан
US5771885A (en) Exercise filter
US6089225A (en) System and method to prevent the transmission of pathogenic entities between the multiple users of second stage regulators
DE60204909D1 (de) Atemschutzmaske, die ein ausatmungsventil benutzt, das eine flexible, mehrschichtige klappe hat
JPH0656081A (ja) ダイビングフェイスマスク
JP2007216949A (ja) 水中潜水器具用弁機構
RU2005112738A (ru) Противогаз
KR200335505Y1 (ko) 방독면 전성배기유닛
KR101820846B1 (ko) 물필터 마스크
CN113386928A (zh) 具有改进的水和呼吸空气排出系统的水下面罩
KR100914303B1 (ko) 방독면용 셀프실링 흡기유니트
KR200395267Y1 (ko) 레저용 마스크
KR20200114183A (ko) 마스크용 날숨배출장치
KR20050013690A (ko) 방독면의 취수구 결합구조
KR200321106Y1 (ko) 휴대용 비상 호흡기
ES2280148T3 (es) Sistema submarino de descarga de aire/mezcla gaseosa
KR200331617Y1 (ko) 방독면의 취수구 결합구조
KR200142447Y1 (ko) 방독면의 음료 취수용 빨대
KR200241505Y1 (ko) 방독마스크
KR200142443Y1 (ko) 방독면용 흡기막의 개방간격 유지장치
TWI564051B (zh) 防毒面罩用取水單元
RU2776764C1 (ru) Портативное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дохранения от респираторных вирусов
KR200154880Y1 (ko) 어린이용 방독면
KR20210121981A (ko) 마스크용 배기밸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