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303B1 - 방독면용 셀프실링 흡기유니트 - Google Patents

방독면용 셀프실링 흡기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303B1
KR100914303B1 KR1020070120403A KR20070120403A KR100914303B1 KR 100914303 B1 KR100914303 B1 KR 100914303B1 KR 1020070120403 A KR1020070120403 A KR 1020070120403A KR 20070120403 A KR20070120403 A KR 20070120403A KR 100914303 B1 KR100914303 B1 KR 100914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mber
intake unit
flow hole
sealing
uni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0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3529A (ko
Inventor
김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86102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1430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산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산청
Priority to KR1020070120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303B1/ko
Priority to CN200880117477.0A priority patent/CN101873877B/zh
Priority to PCT/KR2008/000759 priority patent/WO2009066833A1/en
Priority to TR2010/04117T priority patent/TR201004117T2/xx
Publication of KR20090053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3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4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gasproof shel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독면용 셀프실링 흡기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마스크몸체의 장착홀에 고정되고, 유동공을 갖는 지지판을 가지며, 정화통이 결합되는 흡기유니트몸체; 상기 정화통에서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유동하면서 유동공을 실링하는 제1실링부재; 상기 정화통의 결합력에 의해 유동하면서 상기 유동공을 실링하는 제2실링부재 및; 상기 흡기유니트몸체를 마스크몸체에 조립식으로 견고하게 고정하는 체결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1 및 제2실링부재가 유동공을 실링하면서 오염된 공기의 흡입을 방지한다.
실링, 오염, 공기, 흡입, 방지

Description

방독면용 셀프실링 흡기유니트{a self-sealling aspirator for gas mask}
본 발명은 정화통과 연결되는 마스크몸체의 장착홀에 장착되어 정화통으로부터 정화된 공기를 흡기하는 방독면용 셀프실링 흡기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독면은 유해가스 등이 존재하는 현장에서 착용자에게 유독성가스의 흡입을 방지하고자 사용되는 것으로 연질고무재의 마스크와, 마스크의 상부양측에 구비되어 외부를 투시하는 투시렌즈와, 투시렌즈의 하부양측에 구비되어 정화통이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정화통체결구와, 마스크의 투시렌즈 하부측에 관통된 배기구로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정화통체결구측에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별도의 정화통이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정화통체결구를 통해 마스크 내부로 공급된 공기를 사용자가 흡입한 후 배기구를 통하여 사용자의 호흡기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배출한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흡입장치가 등록실용신안 제241506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도1a,b에서와 같이, 일측 하부에 흡기밸브 설치공(11)이 형성된 마스크면체(1)의 내부에 코와 입이 위치되는 내부면체(2)가 조립되고, 상기 흡기밸브 설치공(11)에는 간격유지구(3)가 설치된 흡기밸브(5)가 그 내부로 부터 외부를 향해 끼워져서 상기 간격유지구(3)에 의해 상기 마스크면체(1)와 상기 내부면체(2)가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간격유지구(3)는 원형 몸체(31) 상면에 다수개의 통공(32)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다수개의 지지살(33)이 등간격으로 중앙 하부에 향해 각각 경사 형성되고, 상기 몸체(31)의 외주연에는 상기 지지살(33)과 일치되는 위치에 다수의 지지편(34)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31)의 하부 중앙에는 밸브(7)가 끼움공(72)에 의해 끼워져 고정된다.
더하여, 상기 마스크면체(1)에 연결되는 밸브체(7)는 밸브하우징(6)의 내경측에 나사부(6a)가 구비되어 정화필터(8)가 결합되며, 상기 정화필터(8)를 통과한 정화된 공기가 흡기밸브(4)를 이루는 밸브체(7)의 분할된 통공(71)을 통해 내부로 인입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밸브체(7) 상면에 당접되도록 박막(5)이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흡기장치는, 정화필터(8)를 통과한 정화된 공기가 흡기밸브(4)를 이루는 밸브체(7)의 분할된 통공(71)을 통해 내부로 인입될 때 밸브체(7) 상면에 당접되는 박막(5)에 압력이 가해져 박막(5)이 변형되어 지지살(33)의 각 하부면에 닿아 개방되므로써 공기가 마스크면체(1)의 내부에 공급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흡기장치는, 배기가 방지토록 설치되는 박막(5)구조에 의해 정화필터(8)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흡기시 흡기밸브 설치공(11)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가 그 압력에 의해 박막(5)을 변형시키면서 유입되므로 오염된 공기가 마스크면체(1)의 내부에 유입됨으로써 오염된 지역에서 정화통을 교환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연질재로 이루어지면서 흡기만이 가능한 하나의 박막(5) 손상시 이를 보환하는 별도의 장치가 구비되지 사용자에 의한 배기가 배기구가 아닌 박막(5)을 통하여 정화통으로 배기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원활한 배기가 힘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중의 구조를 통하여 정화통의 미 장착시에도 흡입구를 완벽하게 밀폐할 수 있으므로 외부에서의 오염공기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정화통의 연결시 흡입구를 정확하게 개방할 수 있으며, 특히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기밀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동시에정화통의 결합시에만 개방할 수 있으므로 오염된 지역에서 정화통의 교체가 가능하도할 뿐만 아니라, 실링부재를 상호 보완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기밀성을 높일 수 있는 방독면용 셀프실링 흡기유니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화통과 연결되는 마스크몸체의 장착홀에 장착되어 정화통으로부터 정화된 공기를 흡기하는 흡기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몸체의 장착홀에 관통상태로 고정되고, 공기가 소통되는 유동공을 갖는 지지판이 마련되어, 이 지지판을 통해 장착홀을 폐쇄적으로 차폐하며, 상기 정화통이 결합되는 흡기유니트몸체; 상기 흡기유니트몸체의 지지판에 고정되어 흡기유니트몸체와 일체를 이루고, 흡기유니트몸체에 결합된 상기 정화통에서 상기 유동공으로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유동하면서 상기 지지판의 유동공을 개방하며, 공기의 흡입이 중단되면 유동공으로의 배기가 방지되도록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유동공을 차폐하여 1차적으로 실링하는 제1실링부재; 상기 제1실링부재와 함께 상기 흡기유니트몸체에 고정되고, 흡기유니트몸체에 결합되는 상기 정화통의 결합력에 의해 유동하면서 상기 지지판의 유동공을 개방하며, 정화통이 흡기유니트몸체에서 분리되어 결합력이 상실됨에 따라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배기가 방지되도록 상기 제1실링부재 및 유동공을 한꺼번에 차폐하여 2차적으로 실링하는 제2실링부재 및; 상기 제2실링부재 및 제1실링부재가 고정된 상기 흡기유니트몸체에 체결되어 흡기유니트몸체를 마스크몸체에 조립식으로 견고하게 고정하는 체결링;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실링부재는 예컨대, 상기 흡기유니트몸체의 지지판에 일부분이 고정된 상태로 상기 유동공으로 소통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변형하면서 유동공을 개폐하는 연질재의 박막;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제2실링부재는 예컨대, 상기 제1실링부재 및 유동공의 차폐가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정화통의 가압력에 의해 유동하면서 상기 제1실링부재와 함께 상기 유동공을 개폐하는 개폐판 및; 상기 개폐판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지지구는, 상기 개폐판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판에 관통상태로 고정되는 고정보스; 상기 고정보스에 고정되어 일측을 통해 상기 개폐판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개폐판의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타측을 상기 고정보스에 결합된 상태로 지지하여 고정보스로부터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결합구;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흡기유니트몸체의 유동공으로 소통되는 공기를 상기 마스크몸체를 착용한 착용자의 호흡기측으로 유도하는 개방부가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2실링부재를 통기가능한 상태로 차폐하여 보호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2실링부재나 상기 흡기유니트몸체 적어도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제2실링부재의 기밀성을 보완하는 기밀성 보완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기밀성 보완부재는 예컨대, 상기 흡기유니트몸체의 지지판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2실링부재와 밀착하는 밀착돌기 및, 제2실링부재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상기 지지판과 밀착하는 밀착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실링부재 및 제2실링부재가 정화통의 미 장착시 흡입구를 완벽하게 밀폐하므로 외부에서의 오염공기유입을 방지할 수 있고, 정화통의 연결시 흡입구가 정확하게 개방되며, 특히 탄성지지구의 스프링 탄성력에 의해 기밀성을 증가시켜서 오염공기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실링부재를 상호 보완적으로 동작시켜서 기밀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오염된 지역에서 정화통을 안전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에 장착되는 호흡기 유니트를 도시한 요부 분해도 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호흡기 유니트의 결합상태 단면도 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호흡기 유니트의 정화통 장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흡기유니트(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유니트몸체(350) 및 체결링(310), 그리고 후술되는 제1실링부재(330) 및 제2실링부재(3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술한 흡기유니트몸체(3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몸체(100)의 장착홀(110)에 결합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며, 공기가 소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동공(353a)이 형성된 지지판(353)을 갖는다. 그리고, 전술한 체결링(3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환상으로 형성된다. 또, 전술한 제1실링부재(3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박막으로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제2실링부재(3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포핏형태로 형성되며, 후술되는 밀착부재(373)가 테두리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실링부재(370)는 도시된 바와 같은 탄성지지구(360)에 의해 후술되는 바와 같이 유동가능한 상태로 흡기유니트몸체(350)에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흡기유니트(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부(410)가 일측에 마련된 커버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커버부재(400)는 개방부(410)에 의해 일부분이 관통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흡기유니트몸체(3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몸체(100)의 외측에서 장착홀(110)에 관통상태로 고정된다. 이러한 흡기유니트몸체(3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홀(110)에 장착되면서 유동공(353a)이 형성된 지지판(353)을 통해 장착홀(110)을 폐쇄적으로 차폐한다. 즉, 장착홀(110)은 흡기유니트몸체(350)에 의해 차폐된다.
흡기유니트몸체(3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의 플랜지(350a)가 마스크몸체(100)의 외측에 걸린 상태로 체결링(310)이 체결됨에 따라 장착홀(1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물론, 체결링(3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몸체(100)의 내측에서 흡기유니트몸체(350)에 체결된다. 이때, 체결링(310)은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적 특성에 의해 억지끼워맞춤으로 흡기유니트몸체(350)에 체결된다. 따라서, 흡기유니트몸체(350)는 체결링(310)에 의해 마스크몸체(100)에 조립식으로 고정된다.
흡기유니트몸체(3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353)의 중앙부에 밀착요부(353c)가 돌출형성되며, 아울러 지지판(353)의 중앙부에 지지홀(353b)이 관통형성된다.
제1실링부재(3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가 밀착요부(353c)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즉, 제1실링부재(330)는 중앙부가 밀착요부(353c)의 측방 외주면에 형성된 홈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따라서, 제1실링부재(330)는 지지판(353)에 고정된 상태로 지지판(353)에 형성된 유동공(353a)을 차폐한다.
제2실링부재(3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지지구(360)에 의해 지지판(353)에 탄력적으로 고정된다. 즉, 제2실링부재(370)는 탄성지지구(360)에 의해 자체적인 유동이 가능한 상태로 지지판(353)에 고정된다. 이러한 탄성지지구(360)는 제2실링부재(370)를 구성하는 일부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제2실링부재(370)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실링부재(370)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링부재(330)와 함께 유동공(353a)을 개폐하는 개폐판(370a) 및; 이 개폐판(370a)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구(36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제2실링부재(370)는 개폐판(370a) 및 탄성지지구(36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탄성지지구(360)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판(370a)에 연결되는 고정보스(361); 이 고정보스(361)에 끼워지는 스프링(365) 및; 전술한 고정보스(361)에 결합되는 결합구(367);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실링부재의 구성요소들을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개폐판(370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링부재(330) 및 유동공(353a)의 차폐가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고, 지지판(353)에 밀착되면서 실질적으로 제1실링부재(330)를 차폐한다. 즉, 개폐판(370a)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링부재(330)와 중첩된 상태를 이루면서 지지판(353)의 유동공(353a)을 이중으로 밀폐한다.
고정보스(361)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판(370a)에 연결되어 지지판(353)에 관통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고정보스(36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요부(353c)의 중앙에 형성된 지지홀(353b)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그리고, 고정보스(36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유니트(35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후술되는 정화통(500)을 향한다.
스프링(365)은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보스(361)에 고정된 상태로 일측을 통해 개폐판(370a)을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개폐판(370a)은 스프링(365)의 탄성력에 의해 유동이 가능하다.
결합구(367)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보스(361)의 단부에 결합되어 스프링(365)의 타측을 지지한다. 따라서, 스프링(365)은 고정보스(361)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이러한 결합구(367)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보스(361)에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커버부재(4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링부재(370)를 차폐하여 보호한다. 물론, 커버부재(400)는 개방부(410)를 통해 통기가능한 상태로 제2실링부재를 보호한다. 이때, 커버부재(4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링(310)에 조립식으로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커버부재(4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부(410)가 일측에 편심형성됨에 따라 지지판(353)의 유동공(353a)으로 흡기되는 공기를 마스크몸체(100)의 착용자 호흡기측(코쪽)으로 유도한다.
다른 한편, 제1실링부재(330) 및 제2실링부재(3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유니트몸체(350)의 지지판(353)에 형성된 유동공(353a)을 차폐하여 흡기유니트(300)를 기밀상태로 밀폐한다. 즉, 흡기유니트(300)는 제1 및 제2실링부재(330, 370)에 의해 기밀을 유지한다. 이때, 제1실링부재(330)는 유동공(353a)으로의 배기가 방지되도록 유동공(353a)을 1차적으로 실링하며, 제2실링부재(370)는 유동공(353a)으로의 배기가 방지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링부재(330)와 함께 유동공(353a)을 차폐하여 유동공(353a)을 2차적으로 실링한다.
또 다른 한편, 흡기유니트몸체(350)나 제2실링부재(370)는 기밀성을 보완하는 기밀성 보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밀성 보완부재는 흡기유니트몸체(350)나 제2실링부재(3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즉, 기밀성 보완부재는 흡기유니트몸체(350)에 마련되거나, 이와 달리 제2실링부재(370)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이와 또 달리 흡기유니트몸체(350) 및 제2실링부재(370)에 모두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술한 기밀성 보완부재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유니트몸체(350)의 지지판(353)에 돌출형성되어 제2실링부재(370)와 밀착하는 밀착돌기(353d)로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밀착돌기(353d)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링부재(370)에 밀착되면서 유동공(353a)을 실링한다. 따라서, 제2실링부재(370)는 밀착돌기(353d)에 의해 기밀성이 향상된다.
이와 달리, 전술한 기밀성 보완부재는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링부재(370)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지지판(353)과 밀착하는 밀착부재(373)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밀착부재(37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링부재(370)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되는 연질재의 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밀착부재(37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353)에 안착되면서 유동공(353a)을 실링한다. 따라서, 제2실링부재(370)는 밀착부재(373)에 의해 기밀성이 향상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기유니트(300)는, 마스크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장착홀(110)의 둘레에 체결링(310) 및 흡기유니트몸체(350)가 결합됨에 따라 장착홀(110)을 기밀상태로 실링할 수 있다.
즉, 상기 마스크몸체(100)는 체결링(310) 및 흡기유니트몸체(350)가 억지낌움에 의해 결합되면서 장착홀(110)을 밀봉하므로 외부의 오염공기가 마스크몸체(10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삭제
여기서, 상기 흡기유니트(300)는, 반드시 체결링(310)과 흡기유니트몸체(350)의 조립구조가 아니어도 좋으며 마스크몸체(100)와 기밀성이 유지된다면 흡기유니트몸체(350)로만 이루어져도 된다.
그리고, 상기 흡기유니트몸체(350)는 다수의 유동공(353a)을 갖는 지지판(353)이 일체로 형성되어 호흡시 외부의 공기가 내부에 유입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353)의 유동공(353a)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통이 미 장착될 경우 지지판(353)에 밀착요부(353c)에 고정된 제1실링부재(330)에 의해 폐쇄되어 실링된다. 이때, 제1실링부재(330)는 일종의 체크밸브역할을 하면서 마스크몸체 내부의 배기(공기)가 유동공(353a)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계속하여, 상기 제1실링부재(3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통(500)의 장착시 정화통(500)에서 유동공(353a)으로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유동하면서 유동공(353a)을 개방하여 정화된 공기의 흡기를 허용한다. 물론, 제1실링부재(330)는 공기의 흡입이 중단될 경우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유동공(353a)을 다시 차폐한다.
그리고, 상기 제2실링부재(3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통이 미 장착될 경우 유동공(353a)으로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제1실링부재(330) 및 유동공(353a)을 한꺼번에 차폐하여 실링한다. 이러한 제2실링부재(370)는 유동공(353a)을 차폐하면서 제1실링부재(330)를 자연적으로 실링한다. 이때, 제2실링부재(370)는 제1실링부재(330)와 함께 유동공(353a)을 중복적으로 차폐하면서 제1실링부재(330)의 실링성을 보완한다.
그러나, 제2실링부재(37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화통(500)이 장착될 경우 정화통(500)의 결합력에 의해 유동하면서 유동공(353a)을 개방한다. 이때, 제2실링부재(370)는 정화통(500)이 탄성지지구(360)의 결합구(367)를 통해 돌출상태의 고정보스(361)를 압입함에 따라 유동한다. 즉, 제2실링부재(370)는 탄성지지구(360)의 탄성력에 의해 유동한다. 따라서, 정화통(500)에서 흡입되는 공기는 마스크몸체(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물론, 제2실링부재(370)는 정화통(500)이 분리되어 결합력이 상실될 경우 탄성지지구(360)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여 유동공(353a)을 실링한다. 이에 따라, 제2실링부재(370)는 외부로부터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더하여, 커버부재(400)는 상기 제2실링부재(370)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개방부(410)를 통해 갖는 커버부재(400)에 의해 사용자의 코쪽으로만 유도한다. 따라서, 커버부재(400)는 공기가 렌즈에 유입됨으로써 발생되는 렌즈의 시계불량을 방지한다.
또한, 밀착부재(373)는 밀착돌기(353d)에 밀착되면서 공기의 소통을 방지한다.
도1a,b는 각각 종래의 호흡장치를 도시한 외관도 및 요부 분해도 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에 장착되는 호흡기 유니트를 도시한 요부 분해도 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호흡기 유니트의 결합상태 단면도 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호흡기 유니트의 정화통 장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마스크몸체 110...장착홀
300...흡기유니트 310...체결링
350...흡기유니트몸체 353...지지판
360...탄성지지구

Claims (5)

  1. 정화통과 연결되는 마스크몸체(100)의 장착홀(110)에 장착되어 정화통으로부터 정화된 공기를 흡기하는 흡기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몸체(100)의 장착홀(110)에 관통상태로 고정되고, 공기가 소통되는 유동공(353a)을 갖는 지지판(353)이 마련되어, 이 지지판(353)을 통해 장착홀(110)을 폐쇄적으로 차폐하며, 상기 정화통이 결합되는 흡기유니트몸체(350);
    상기 흡기유니트몸체(350)의 지지판(353)에 고정되어 흡기유니트몸체(350)와 일체를 이루고, 흡기유니트몸체(350)에 결합된 상기 정화통에서 상기 유동공(353a)으로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유동하면서 지지판(353)의 상기 유동공(353a)을 개방하며, 공기의 흡입이 중단되면 유동공(353a)으로의 배기가 방지되도록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유동공(353a)을 차폐하여 1차적으로 실링하는 제1실링부재;
    상기 제1실링부재와 함께 상기 흡기유니트몸체(350)에 고정되고, 흡기유니트몸체(350)에 결합되는 상기 정화통(500)의 결합력에 의해 유동하면서 상기 지지판(353)의 유동공(353a)을 개방하며, 정화통(500)이 흡기유니트몸체(350)에서 분리되어 결합력이 상실됨에 따라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배기가 방지되도록 상기 제1실링부재 및 유동공(353a)을 한꺼번에 차폐하여 2차적으로 실링하는 제2실링부재; 및
    상기 제2실링부재 및 제1실링부재가 고정된 상기 흡기유니트몸체(350)에 체결되어 흡기유니트몸체(350)를 마스크몸체(100)에 조립식으로 견고하게 고정하는 체결링(310);을 포함하는 방독면용 셀프실링 흡기유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링부재는,
    상기 흡기유니트몸체(350)의 지지판(353)에 일부분이 고정된 상태로 상기 유동공(353a)으로 소통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변형하면서 유동공(353a)을 개폐하는 연질재의 박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용 셀프실링 흡기유니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실링부재는,
    상기 제1실링부재 및 유동공(353a)의 차폐가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정화통의 가압력에 의해 유동하면서 상기 제1실링부재와 함께 상기 유동공(353a)을 개폐하는 개폐판(370a); 및
    상기 개폐판(370a)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구(360);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지지구(360)는,
    상기 개폐판(370a)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판(353)에 관통상태로 고정되는 고정보스(361);
    상기 고정보스(361)에 고정되어 일측을 통해 상기 개폐판(370a)을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개폐판(370a)의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스프링(365); 및
    상기 스프링(365)의 타측을 상기 고정보스(361)에 결합된 상태로 지지하여 고정보스(361)로부터 스프링(365)의 이탈을 방지하는 결합구(367);를 포함하는 방독면용 셀프실링 흡기유니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유니트몸체(350)의 유동공(353a)으로 소통되는 공기를 상기 마스크몸체(100)를 착용한 착용자의 호흡기측으로 유도하는 개방부(410)가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2실링부재를 통기가능한 상태로 차폐하여 보호하는 커버부재(400);를 더 포함하는 방독면용 셀프실링 흡기유니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실링부재나 상기 흡기유니트몸체(3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제2실링부재의 기밀성을 보완하는 기밀성 보완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밀성 보완부재는,
    상기 흡기유니트몸체(350)의 지지판(353)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2실링부재와 밀착하는 밀착돌기(353d) 및, 제2실링부재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상기 지지판(353)과 밀착하는 밀착부재(37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독면용 셀프실링 흡기유니트.
KR1020070120403A 2007-11-23 2007-11-23 방독면용 셀프실링 흡기유니트 KR100914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403A KR100914303B1 (ko) 2007-11-23 2007-11-23 방독면용 셀프실링 흡기유니트
CN200880117477.0A CN101873877B (zh) 2007-11-23 2008-02-05 防毒面具
PCT/KR2008/000759 WO2009066833A1 (en) 2007-11-23 2008-02-05 Respiratory unit for gas masks and self-locking/unlocking device for respirator cartridge mounted to the same
TR2010/04117T TR201004117T2 (tr) 2007-11-23 2008-02-05 Gaz maskesi.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403A KR100914303B1 (ko) 2007-11-23 2007-11-23 방독면용 셀프실링 흡기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529A KR20090053529A (ko) 2009-05-27
KR100914303B1 true KR100914303B1 (ko) 2009-08-28

Family

ID=40861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0403A KR100914303B1 (ko) 2007-11-23 2007-11-23 방독면용 셀프실링 흡기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3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346B1 (ko) 2010-06-25 2012-06-08 삼공물산 주식회사 방독면용 흡기밸브 유닛
KR101333490B1 (ko) 2012-11-21 2013-11-28 삼공물산 주식회사 방독면
WO2016024711A1 (ko) * 2014-08-13 2016-02-18 김종기 노즈 마스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445B1 (ko) * 2014-08-28 2015-05-06 김종기 방독면용 정화통 장착구조
KR101524217B1 (ko) * 2014-12-16 2015-05-29 삼공물산 주식회사 공기흐름전환 방독면
US10576313B2 (en) * 2016-03-09 2020-03-03 Shigematsu Works Co., Ltd. Detachable connector
KR101967165B1 (ko) * 2017-11-13 2019-04-09 에스지생활안전 주식회사 방독면의 정화통 공기 흡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3267A (ja) * 2000-04-18 2004-02-05 エイヴォン ラバー アンド プラスティックス,インク. 自己密封フィルター接続部およびそれを取り入れたガスマスクおよびフィルター組立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3267A (ja) * 2000-04-18 2004-02-05 エイヴォン ラバー アンド プラスティックス,インク. 自己密封フィルター接続部およびそれを取り入れたガスマスクおよびフィルター組立体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346B1 (ko) 2010-06-25 2012-06-08 삼공물산 주식회사 방독면용 흡기밸브 유닛
KR101333490B1 (ko) 2012-11-21 2013-11-28 삼공물산 주식회사 방독면
WO2016024711A1 (ko) * 2014-08-13 2016-02-18 김종기 노즈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529A (ko) 200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4303B1 (ko) 방독면용 셀프실링 흡기유니트
TWI541046B (zh) Respiratory protection
RU2724570C1 (ru) Маска для подводного плавания, имеющая корпус, оснащенный устройством удаления выдыхаемого воздуха, содержащим обратный клапан
US10166417B2 (en) Respirator having an integrated oronasal mask
AU2002303617B2 (en) Respirator valve
EP2165739B1 (en) Full face respirator mask
US10173082B2 (en) Combined exhale and inlet valve for respirator
KR101163509B1 (ko) 방독면
JP2007529254A5 (ko)
WO2009066833A1 (en) Respiratory unit for gas masks and self-locking/unlocking device for respirator cartridge mounted to the same
KR101873011B1 (ko) 물을 이용한 필터마스크
ZA200608636B (en) Respirators
KR101150346B1 (ko) 방독면용 흡기밸브 유닛
CN113386928A (zh) 具有改进的水和呼吸空气排出系统的水下面罩
KR200177395Y1 (ko) 방독면의 흡기밸브
KR101478776B1 (ko) 방독면용 취수유닛
CN212678459U (zh) 一种具有呼吸阀的口罩
KR200496060Y1 (ko) 호흡 마스크용 공기정화 아답터
KR940006886Y1 (ko) 방진 방독 마스크
KR20210121981A (ko) 마스크용 배기밸브 장치
TW201429516A (zh) 單向閥及具單向閥之呼吸器
TWM456826U (zh) 單向閥及具單向閥之呼吸器
KR970006799Y1 (ko) 일체형 통기식 양압 밸브장치
CN111905287A (zh) 空气过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11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2088;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20725

Effective date: 20230330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200011807;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30530

Effective date: 2024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