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165B1 - 방독면의 정화통 공기 흡기 장치 - Google Patents

방독면의 정화통 공기 흡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165B1
KR101967165B1 KR1020170150323A KR20170150323A KR101967165B1 KR 101967165 B1 KR101967165 B1 KR 101967165B1 KR 1020170150323 A KR1020170150323 A KR 1020170150323A KR 20170150323 A KR20170150323 A KR 20170150323A KR 101967165 B1 KR101967165 B1 KR 101967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membrane
intake valve
air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0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기현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에스지생활안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지생활안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지생활안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0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165B1/ko
Priority to PCT/KR2018/013787 priority patent/WO201909385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4Gas helme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5/00Gas separation
    • Y10S55/33Gas mask canis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독면으로부터 정화통이 제거되어도 방독면 내부로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독면의 정화통 공기 흡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방독면과 정화통 사이에 장착되는 흡기 밸브; 상기 흡기 밸브에 지지되고 자체 복원력을 가지며 외부 압력에 의해 변형하면서 상기 흡기 밸브를 개폐하는 곡면 형상의 흡기막; 상기 흡기막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체크로드; 및 상기 체크로드의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체크로드와 상기 흡기 밸브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방독면의 정화통 공기 흡기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방독면의 정화통 공기 흡기 장치{CANISTER AIR INTAKE APPARATUS OF GAS MASK}
본 발명은 정화통 공기 흡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독면으로부터 정화통이 제거되어도 방독면 내부로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독면의 정화통 공기 흡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독면(gas mask)은 착용자의 안면에 착용되어 연막이나 중독성이 있는 유독 가스 등이 흡입되거나 부착되지 않도록 안면을 보호하는 도구로서, 탄광이나 공장과 같이 유독 가스나 증기, 유독성 미립자 등이 배출되는 오염된 환경에서 사용되고, 소화 작업이나 폭동 진압용으로 소방관이나 경찰관이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방독면은 고무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안면부와, 안면부에 연결된 정화통으로 구성되며, 미사용시에는 휴대주머니에 수납된 상태로 보관된다.
방독면은 안면부에 연결되는 정화통으로 오염된 공기를 정화할 수 있고, 안면부 내부로 공급된 공기를 사용자가 흡입한 후 배기구를 통하여 사용자의 호흡기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배출한다.
이와 같은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정화통에 연결되는 흡기 장치는, 정화통의 필터를 통과한 정화된 공기가 흡기 밸브를 통해 내부로 인입될 때 흡기 밸브에 인접하는 박막에 압력이 가해져 박막이 변형되어 개방됨으로써 공기가 안면부 내부로 공급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흡기 장치는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박막을 변형시키면서 공기를 유입시키므로 오염된 공기가 안면부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어 오염된 지역에서 정화통을 교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다른 흡기 장치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안면부를 개방하므로 반복 사용할 경우 스프링의 탄성이 약화되면서 개폐 효율이 저하되고, 스프링 외에도 흡기막, 고무판, 실링부재 등 다양한 부품이 필요하여 구조물이 복잡해지고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방독면으로부터 정화통이 제거되어도 방독면 내부로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독면의 정화통 공기 흡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화통 제거시 스프링의 탄성과 변형 가능한 흡기막을 통해 이중으로 흡기막을 흡기 밸브에 밀착시켜 공기의 흐름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방독면의 정화통 공기 흡기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곡면 형상의 흡기막을 적용하여 고무판, 실링 부재 등의 부품을 삭제함에 따라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스프링 또는 흡기막의 계속적인 사용에 따라 스프링 또는 흡기막의 탄성이 약화되더라도 상호 보완할 수 있는 방독면의 정화통 공기 흡기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방독면과 정화통 사이에 장착되는 흡기 밸브; 상기 흡기 밸브에 지지되고 자체 복원력을 가지며 외부 압력에 의해 변형하면서 상기 흡기 밸브를 개폐하는 곡면 형상의 흡기막; 상기 흡기막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체크로드; 및 상기 체크로드의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체크로드와 상기 흡기 밸브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방독면의 정화통 공기 흡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기 밸브는 돌출 형성되어 상기 흡기막의 외측을 지지하는 외측 지지부; 상기 외측 지지부의 내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흡기막의 내측을 지지하는 내측 지지부; 및 상기 내측 지지부의 내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내부 공간에서 상기 탄성 부재의 일부를 수용하는 탄성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기막은 중심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중심의 상부에서 상기 체크로드와 연결하기 위한 체결구를 포함하는 흡기 중심부; 및 상기 흡기 중심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흡기 외측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기막은 상기 흡기 중심부와 상기 흡기 외측부의 경계면 하부에서 상기 흡기 밸브의 내측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외부 압력에 따라 상기 경계면이 상기 내측 지지부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형상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기막은 상기 경계면의 상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내측 지지부는 상기 돌출 형성되는 경계면의 상부 형상에 대응하도록 하부가 오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체크로드는 상기 흡기막에 연결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흡기 밸브의 일측을 관통하고 상기 탄성 부재의 중심에 위치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흡기막의 변형에 따라 상기 흡기 밸브의 외측으로 밀려나는 이탈 방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의 정화통 공기 흡기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방독면으로부터 정화통이 제거되어도 방독면 내부로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정화통 제거시 스프링의 탄성과 변형 가능한 흡기막을 통해 이중으로 흡기막을 흡기 밸브에 밀착시켜 공기의 흐름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곡면 형상의 흡기막을 적용하여 고무판, 실링 부재 등의 부품을 삭제함에 따라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스프링 또는 흡기막의 계속적인 사용에 따라 스프링 또는 흡기막의 탄성이 약화되더라도 상호 보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화통 공기 흡기 장치를 방독면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의 정화통 공기 흡기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의 정화통 공기 흡기 장치의 개폐에 따라 공기가 흡기되는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방독면의 정화통 공기 흡기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화통 공기 흡기 장치를 방독면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의 정화통 공기 흡기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의 정화통 공기 흡기 장치의 개폐에 따라 공기가 흡기되는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화통 공기 흡기 장치(100)는 방독면(10)과 정화통(20) 사이에 장착되어 정화통(20)에서 정화된 공기를 방독면(10)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는 장치에 해당한다.
정화통 공기 흡기 장치(100)는 정화통(20)의 체결에 따라 압력 가해지면 특정 형상으로 변형하는 흡기막(120)에 의해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통로가 개방되어 정화된 공기를 방독면(10) 내부로 유입할 수 있다.
또한, 정화통 공기 흡기 장치(100)는 정화통(20)이 분리되면 흡기막(120)의 탄성과 스프링(140)의 탄성에 의해서 흡기막(120)의 형상이 복원되고, 외부 공기의 유입을 방지하여 방독면(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정화통 공기 흡기 장치(100)는 방독면(10)과 정화통(20) 사이에 장착되는 흡기 밸브(110), 흡기 밸브(110)에 지지되고 자체 복원력을 가지며 외부 압력에 의해 변형하면서 흡기 밸브(110)를 개폐하는 곡면 형상의 흡기막(120), 흡기막(120)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체크로드(130), 및 체크로드(130)의 둘레에 배치되어 체크로드(130)와 흡기 밸브(11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140)를 포함한다.
흡기 밸브(110)는 일면이 방독면(10)에 연결된 상태에서 타면이 정화통(20)에 연결되고, 방독면(10)과 정화통(20) 각각에 연결되는 구조는 끼워 맞춤, 나사 결합 등 다양한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흡기 밸브(110)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흡기막(120), 체크로드(130), 및 탄성 부재(140)에 의해 관통홀이 개폐됨에 따라 정화통(20)에서 정화된 공기를 방독면(10)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흡기 밸브(110)는 흡기막(120), 체크로드(130), 및 탄성 부재(140)와의 연결을 위해 돌출 형성되는 외측 지지부(111), 내측 지지부(112), 탄성 수용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 지지부(111)는 방독면(10)과 연결되는 흡기 밸브(110)의 상부면으로부터 제1 반경을 가지도록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흡기막(120)의 외측을 지지할 수 있다.
내측 지지부(112)는 방독면(10)과 연결되는 흡기 밸브(110)의 상부면으로부터 제1 반경보다 작은 제2 반경을 가지도록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흡기막(120)의 내측을 지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흡기막(120)의 내측은 아래에서 설명할 흡기 중심부(121)와 흡기 외측부(122) 사이의 경계면(BD)에 해당하는 것으로, 정화통(20)의 결합에 따라 흡기 중심부(121)에 압력이 가해지면 흡기 중심부(121)와 흡기 외측부(122) 사이의 경계면(BD)을 지지하면서 눌러줌에 따라 흡기막(120)의 형상 변형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흡기막(120) 설명시 다시 언급한다.
일 실시예에서, 내측 지지부(112)는 흡기막(120)의 경계면(BD) 상부가 지지면(내측 지지부(112의 최하단면))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면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흡기막(120)의 경계면(BD)의 상부가 돌출 형성되어 흡기막(120)의 경계면(BD)의 돌출된 상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는 흡기막(120)의 경계면(BD)이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정화통(20)의 결합에 따른 압력에 의해 흡기막(120)의 경계면(BD)이 내측 지지부(112)의 내측이나 외측으로 엇나갈 수 있어 흡기막(120)의 형상 변형에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흡기막(120)의 경계면(BD)을 내측 지지부(112)에 끼우듯이 돌기와 오목부를 형성하면 흡기막(120)의 경계면(BD)이 내측 지지부(112)의 내측이나 외측으로 엇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 수용부(113)는 방독면(10)과 연결되는 흡기 밸브(110)의 상부면으로부터 제2 반경보다 작은 제3 반경을 가지도록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서 탄성 부재(14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탄성 수용부(113)는 외측 지지부(111)와 내측 지지부(112)보다 덜 돌출되어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정화통(20)의 결합에 따라 흡기막(120)에 의해 눌러져 이동하는 체크로드(130)의 이동 공간(MS)을 마련할 수 있다.
탄성 수용부(113)는 내부 공간에서 탄성 부재(140)의 일부를 수용함에 따라 탄성 부재(140)의 압축 및 팽창시(복원시) 안정적인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흡기막(120)은 흡기 밸브(110)와 체크로드(130)에 지지 및 연결되고 자체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의 연질 소재로 이루어진다. 흡기막(120)은 정화통(20) 체결시 정화통(20)의 끝단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형상 변형하고, 이러한 변형에 따라 흡기 밸브(110)를 개방시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흡기막(120)은 중심부가 돌출 형성되는 대략 챙모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돌출 형상의 흡기 중심부(121)와 돌출 형상의 주변을 둘러싸는 흡기 외측부(1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흡기 중심부(121)는 흡기 밸브(110)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하향되도록 중심이 돌출 형성되고, 중심의 상부에서 중공을 가지는 일정 반경의 격벽으로 체결구(121-1)가 형성되어 체크로드(130)와 끼움 결합할 수 있다.
흡기 중심부(121)는 정화통(20)의 체결시 방독면(10) 방향으로 눌러지게 되어 정화통(20) 방향으로 말려 올라가는 흡기 외측부(122)의 형상 변화에 따라 흡기 밸브(110)를 개방하고, 체결구(121-1)에 연결되는 체크로드(130)를 방독면(10) 방향으로 밀어 흡기 밸브(110)의 다수의 관통홀로 정화통(20)에서 정화된 공기를 방독면(10)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흡기 외측부(122)는 흡기 중심부(12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흡기 밸브(110)의 외측 지지부(11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흡기 외측부(122)는 흡기 중심부(121)가 눌러지게 되면 정화통(20) 방향, 즉 하방으로 하향하는 형상 변형하여 외측 지지부(111)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흡기막(120)은 흡기 중심부(121)와 흡기 외측부(122)의 경계면(BD) 하부에서 흡기 밸브(110)의 내측 지지부(112)에 의해 지지되고, 흡기 중심부(121)가 눌러지게 되면 정화통(20) 방향, 즉 하방으로 하향하는 형상 변형하여 외측 지지부(111)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흡기막(120)은 경계면(BD)의 상부가 돌출 형성되고, 돌출 형상에 대응하도록 오목 형성되는 내측 지지부(112)에 의해 내측 지지부(112)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체크로드(130)는 흡기막(120)에 연결되어 외부 압력에 따라 흡기막(120)에 의해 상하 이동하면서 흡기막(120)이 흡기 밸브(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체크로드(130)는 헤드부(131), 연장부(132), 및 이탈 방지부(133)로 이루어질 수 있다.
헤드부(131)는 흡기막(120)에 연결되고, 흡기막(120)의 체결구(121-1)에 대응하는 홈을 형성하여 체결구(121-1)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부(131)는 단면이 대략 삼지창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132)는 헤드부(131)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흡기 밸브(110)의 중심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관통할 수 있다. 연장부(132)는 탄성 부재(140)의 중심에서 기둥을 이루어 탄성 부재(140)의 압축 및 팽창시 탄성 부재(140)의 안정적인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탈 방지부(133)는 연장부(132)의 상부에 연결되고, 흡기 밸브(110)의 최상단의 외측에 구비할 수 있다. 이탈 방지부(133)는 흡기 밸브(110)의 최상단 외측에서 흡기 밸브(110)의 중심에 형성되는 관통홀보다 크게 형성되어 흡기막(120)과 탄성 부재(140)의 압축 및 팽창시에도 흡기막(120)을 흡기 밸브(110)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탄성 부재(140)는 체크로드(130)의 연장부(132) 둘레를 감싸면서 배치되어 체크로드(130)와 흡기 밸브(110)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탄성 부재(140)는 스프링과 같은 압축과 팽창이 가능한 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정화통(20)의 체결시 압축되고 정화통(20)의 분리시 원 상태로 팽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화통 공기 흡기 장치(100)는 탄성을 가지는 흡기막(120)과 탄성 부재(140)를 모두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흡기막(120)의 탄성력 저하 또는 탄성 부재(140)의 탄성력 저하가 발생했을 때 탄성을 상호 보완할 수 있으며, 이중으로 작용하는 탄성에 의한 폐쇄에 따라 흡기 밸브(110)의 밀폐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정화통 공기 흡기 장치(100)에 정화통(20)의 체결시 흡기막(120)은 흡기 중심부(121)가 방독면(10) 방향으로 눌러지게 되어 형상적 특징 및 내측 지지부(112)의 지지에 따라 흡기 외측부(122)와 경계면(BD)이 각각 외측 지지부(111)와 내측 지지부(112)로부터 떨어지게 되고, 이에 흡기 밸브(110)를 개방(O1, O2)할 수 있다.
또한, 흡기막(120)은 흡기 중심부(121)의 눌러짐에 따라 체결구(121-1)에 연결되는 체크로드(130)를 방독면(10) 방향으로 밀게 되고, 탄성 부재(140)를 함께 압축하여 흡기막(120)에 가해지는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렇게 흡기 밸브(110)의 구조적 특징과 흡기막(120) 및 탄성 부재(140)의 탄성에 의해 흡기 밸브(110)를 개방(O1, O2)하여 정화통(20)에서 정화된 공기를 방독면(10)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이후 정화통 공기 흡기 장치(100)로부터 정화통(20)의 분리시 흡기막(120)을 누르는 힘이 사라지게 되어 흡기막(120)과 탄성 부재(140)의 탄성에 의해 흡기막(120)의 변형되었던 형상이 원래 상태로 돌아오게 되고, 체크로드(130) 역시 원 위치로 돌아와 개방되었던 흡기 밸브(110)의 공간(O1, O2)이 다시 폐쇄되어 외부 오염된 공기가 방독면(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정화통 공기 흡기 장치
110: 흡기 밸브
120: 흡기막
130: 체크로드
140: 탄성 부재
10: 방독면
20: 정화통

Claims (6)

  1. 방독면과 정화통 사이에 장착되는 흡기 밸브;
    상기 흡기 밸브에 지지되고 자체 복원력을 가지며 외부 압력에 의해 변형하면서 상기 흡기 밸브를 개폐하고, 중심이 돌출 형성되는 흡기 중심부와 상기 흡기 중심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흡기 외측부로 이루어지는 곡면 형상의 흡기막;
    상기 흡기막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체크로드; 및
    상기 체크로드의 둘레에 배치되어 상기 체크로드와 상기 흡기 밸브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 밸브는 돌출 형성되어 상기 흡기막의 외측을 지지하는 외측 지지부, 상기 외측 지지부의 내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흡기막의 내측을 지지하는 내측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기막은 상기 흡기 중심부와 상기 흡기 외측부의 경계면 하부에서 상기 흡기 밸브의 내측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경계면의 상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내측 지지부는 상기 돌출 형성되는 경계면의 상부 형상에 대응하도록 하부가 오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의 정화통 공기 흡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밸브는
    상기 내측 지지부의 내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내부 공간에서 상기 탄성 부재의 일부를 수용하는 탄성 수용부를 포함하는
    방독면의 정화통 공기 흡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 중심부는
    상기 돌출 형성되는 중심의 상부에서 상기 체크로드와 연결하기 위한 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의 정화통 공기 흡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막은
    상기 외부 압력에 따라 상기 경계면이 상기 내측 지지부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형상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의 정화통 공기 흡기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로드는
    상기 흡기막에 연결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흡기 밸브의 일측을 관통하고 상기 탄성 부재의 중심에 위치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와 연결되고 상기 흡기막의 변형에 따라 상기 흡기 밸브의 외측으로 밀려나는 이탈 방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의 정화통 공기 흡기 장치.
KR1020170150323A 2017-11-13 2017-11-13 방독면의 정화통 공기 흡기 장치 KR101967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323A KR101967165B1 (ko) 2017-11-13 2017-11-13 방독면의 정화통 공기 흡기 장치
PCT/KR2018/013787 WO2019093854A1 (ko) 2017-11-13 2018-11-13 방독면의 정화통 공기 흡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0323A KR101967165B1 (ko) 2017-11-13 2017-11-13 방독면의 정화통 공기 흡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7165B1 true KR101967165B1 (ko) 2019-04-09

Family

ID=66167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323A KR101967165B1 (ko) 2017-11-13 2017-11-13 방독면의 정화통 공기 흡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67165B1 (ko)
WO (1) WO20190938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235828A1 (en) * 2022-01-26 2023-07-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Valve for respiratory mask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3267A (ja) * 2000-04-18 2004-02-05 エイヴォン ラバー アンド プラスティックス,インク. 自己密封フィルター接続部およびそれを取り入れたガスマスクおよびフィルター組立体
KR20090053529A (ko) * 2007-11-23 2009-05-27 주식회사 산청 방독면용 셀프실링 흡기유니트
KR20090008082U (ko) * 2008-02-04 2009-08-07 김향은 배기밸브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
KR20120000331A (ko) * 2010-06-25 2012-01-02 삼공물산 주식회사 방독면용 흡기밸브 유닛
KR101301444B1 (ko) * 2013-01-16 2013-08-28 주식회사 산청 두건형 방독면의 정화통 고정유닛
JP2014161356A (ja) * 2013-02-21 2014-09-08 Shigematsu Works Co Ltd 呼吸用保護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395Y1 (ko) * 1998-02-03 2000-05-01 이건 방독면의 흡기밸브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3267A (ja) * 2000-04-18 2004-02-05 エイヴォン ラバー アンド プラスティックス,インク. 自己密封フィルター接続部およびそれを取り入れたガスマスクおよびフィルター組立体
KR20090053529A (ko) * 2007-11-23 2009-05-27 주식회사 산청 방독면용 셀프실링 흡기유니트
KR20090008082U (ko) * 2008-02-04 2009-08-07 김향은 배기밸브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
KR20120000331A (ko) * 2010-06-25 2012-01-02 삼공물산 주식회사 방독면용 흡기밸브 유닛
KR101301444B1 (ko) * 2013-01-16 2013-08-28 주식회사 산청 두건형 방독면의 정화통 고정유닛
JP2014161356A (ja) * 2013-02-21 2014-09-08 Shigematsu Works Co Ltd 呼吸用保護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93854A1 (ko) 2019-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3518B2 (en) Unidirectional respirator valve
US7849856B2 (en) Respirator valve
JP4746247B2 (ja) 自己密封フィルター接続部およびそれを取り入れたガスマスクおよびフィルター組立体
KR200446949Y1 (ko) 배기밸브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
US7101412B2 (en) Self-sealing protection filter port
AU2002303617A1 (en) Respirator valve
AU2002252726A1 (en) Respirator valve
WO2017070352A1 (en) Respirator mask with voice transmittal feature
GB2564408A (en) Anti-pollution mask
KR101967165B1 (ko) 방독면의 정화통 공기 흡기 장치
JP3756571B2 (ja) 呼吸用保護装置の正圧/負圧アダプタ
KR101956509B1 (ko) 화재 방독 마스크
KR102000336B1 (ko) 긴급 대피용 마스크 패키지 및 그의 사용 방법
KR102280478B1 (ko) 미세먼지 방지 투챔버 마스크
JP2010099138A (ja) 簡易呼吸装置
KR101842232B1 (ko) 조작을 통한 수분 배출기능을 구비하는 마스크
KR20190002492U (ko) 공기정화기능을 구비한 방독면
KR101859673B1 (ko) 자동 수분 배출기능을 구비하는 마스크
WO2022253609A1 (en) Protective respiratory mask and check valve for the same
CN111905287A (zh) 空气过滤器
CN108472519A (zh) 用于紧急逃生呼吸设备的自动开启吸入阀
JPH0735298U (ja) 半開放式呼吸装置の呼吸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