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7395Y1 - 방독면의 흡기밸브 - Google Patents

방독면의 흡기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7395Y1
KR200177395Y1 KR2019980001128U KR19980001128U KR200177395Y1 KR 200177395 Y1 KR200177395 Y1 KR 200177395Y1 KR 2019980001128 U KR2019980001128 U KR 2019980001128U KR 19980001128 U KR19980001128 U KR 19980001128U KR 200177395 Y1 KR200177395 Y1 KR 2001773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valve
gas
mask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11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5552U (ko
Inventor
이건
Original Assignee
이건
삼공물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건, 삼공물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건
Priority to KR20199800011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7395Y1/ko
Publication of KR199900355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5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73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73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4Gas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9/00Cartridges with absorbing substances for respiratory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생방전용 또는 기타 유독성 가스로부터 인체를 보호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방독면에 관한 것으로, 외부 흡입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정화통(14)과, 이 정화통(14)을 거쳐 정화된 외부공기가 마스크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는 흡기밸브(I)와, 착용자의 호흡가스가 마스크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는 배기밸브(O)를 구비한 방독면에 있어서, 상기 흡기밸브(I)는 원통형의 밸브몸체(20)와, 이 밸브몸체(20)의 내주면 상에서 외측으로 볼록하게 좌우로 만곡 형성된 밸브시트(21)와, 이 밸브시트(21)의 내측 곡면을 따라 밀착되는 흡기막(22)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원통형 밸브몸체(20)의 내주면 상에서 좌우로 만곡된 밸브시트(21)를 구비하고 이 밸브시트(21)의 내측면에 흡기막(22)을 설치하여 상하 방향으로의 직립성을 부여함으로써, 방독면을 장기간 사용함에 따른 흡기막(22)의 노화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흡기막(22)의 상부 처짐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밸브시트(21)와 흡기막(22)이 완전 밀착되어 호흡가스가 정화통(14)의 내부로 스며들지 않게 됨으로써 정화통(14)의 사용 수명을 현저히 연장할 수 있게 한 방독면의 흡기밸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독면의 흡기밸브
본 고안은 화생방전용 또는 기타 유독성 가스로부터 인체를 보호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방독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기간 사용시에도 흡기막의 처짐변형을 방지하여 흡기계통을 통한 호흡가스의 누출을 방지함으로써 정화통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방독면의 흡기밸브에 관한 것이다.
방독면은 화학전이나 생물학전 또는 핵전쟁과 같은 위급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인체에 치명적인 손상을 주게 되는 각종 유독가스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현재까지 다양한 형태의 방독면 들이 제안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독면의 일예를 들면, 안면부에 밀착되는 마스크 본체와, 이 마스크 본체의 상부 좌우측에 배치된 투시창과, 이 투시창의 하부에 설치되어 외부로 음성전달을 원활히 하기위한 전성판(傳聲板) 및 착용자의 호흡가스가 마스크 본체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는 배기밸브와, 상기 전성판의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 흡입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정화통과, 이 정화통을 거쳐 정화된 외부공기가 마스크 본체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는 흡기밸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성판의 일측에는 경우에 따라서 방독면 착용자가 휴대한 수통과 연결할 수 있는 음료 취수구가 설치되기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공기의 흡입 및 배출계통을 분리하여 형성하게 되는 경우, 마스크 본체 내부의 밀폐성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즉, 오염된 외부공기는 흡기밸브를 통해 정화된 상태로 인체에 공급되고, 호흡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등의 가스는 별도의 배기밸브를 통해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종래 흡기밸브(I)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밸브몸체(120)와, 이 밸브몸체(120)의 내주면 일단을 가로질러 차단하는 복수의 리브(121b)가 방사상으로 형성된 밸브시트(121)와, 이 밸브시트(121)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흡기막(12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몸체(120)의 외주면 양단에는 마스크 본체에 끼움 고정하기 위한 고정용 환턱(120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리브(121b)가 교차되는 중심부의 외측에는 상기 흡기막(122)을 고정하기 위한 결합돌기(121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기막(122)은 유연성있는 합성고무재 또는 실리콘 등으로 제작되고, 그 두께는 공기유동저항을 감안하여 대략 0.15∼0.4mm 정도로 얇게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종래 방독면의 공기 흡입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착용자가 숨을 들이 마실 때 그 흡입력에 의해 외부공기가 정화통(미도시) 내부로 빨려 들어오게 되고, 이 정화통을 통과하면서 각종 유해 성분이 여과된 정화공기는 상기 밸브몸체(120)의 내부로 진입한 후, 착용자의 흡입력에 의해 개방된 흡기막(122)과 밸브몸체(120) 사이의 틈새를 통해 마스크 본체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호흡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착용자가 숨을 내쉴 때는 그 호흡가스의 압력에 의해 흡기막(122)이 밸브몸체(120) 쪽으로 가압되고, 상기 흡기막(122)은 리브(121b)에 밀착 지지되면서 출로를 차단하게 되어 별도의 통로, 즉, 배기밸브를 통해 배기된다.
한편, 상기 배기밸브 내에는 상기 흡입밸브(I)와는 반대로 마스크 본체 외측에 배기막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착용자가 호흡시에 상기 흡입밸브(I)에 대한 역동작을 실행하며 개방 또는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흡기밸브(I)는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점차 흡기막(122)이 노화되어 탄성을 잃게 됨으로써 수직 설치된 상기 흡기막(122)의 상부가 도 6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의 내측 방향으로 처지게 되고, 이 상태가 지속되면서 흡기막(122)의 형상이 변형되어, 착용자가 숨을 내쉴 때에도 밸브시트(121)와 흡기막(122) 사이에 여전히 틈새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호흡가스가 밸브시트(121)와 흡기막(122) 사이의 틈새를 통해 정화통 내부로 누출됨으로써 상기 정화통의 정화기능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장기간 사용시에도 흡기막의 처짐변형을 방지하여 흡기계통을 통한 호흡가스의 누출을 방지함으로써 정화통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된 방독면의 흡기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방독면의 흡기밸브를 외측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흡기밸브 내에 적용된 흡기막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흡기밸브를 적용한 방독면의 일례에 대한 종단면도,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방독면 흡기밸브의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I ; 흡기밸브 O ; 배기밸브
10 ; 마스크 본체 11, 12 ; 통공
13 ; 고정링 14 ; 정화통
15 ; 홀더 16 ; 패킹
17 ; 배기막 20 ; 밸브몸체
20a ; 고정용 환턱 21 ; 밸브시트
21a ; 림 21b ; 리브
21c ; 결합돌기 22 ; 흡기막
22a ; 결합구멍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방독면의 흡기밸브는 외부 흡입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정화통과, 이 정화통을 거쳐 정화된 외부공기가 마스크 본체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는 흡기밸브와, 착용자의 호흡가스가 마스크 본체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는 배기밸브를 구비한 방독면에 있어서, 상기 흡기밸브는 원통형의 밸브몸체와, 이 밸브몸체의 내주면 상에서 외측으로 볼록하게 좌우로 만곡 형성된 밸브시트와, 이 밸브시트의 내측 곡면을 따라 밀착되는 흡기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방독면의 흡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은 본 고안의 흡기밸브를 외측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A-A선 단면도, 도 3은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흡기밸브 내에 적용된 흡기막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흡기밸브를 적용한 방독면의 일례에 대한 종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흡기밸브가 적용되는 방독면은 안면부에 밀착되는 마스크 본체(10)와, 이 마스크 본체(10) 전면부의 통공(11)에 설치되어 외부 흡입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정화통(14)과, 이 정화통(14)을 거쳐 정화된 외부공기가 마스크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는 흡기밸브(I)와, 상기 마스크 본체(10) 저면부의 통공(12)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호흡가스가 마스크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는 배기밸브(O)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마스크 본체(10) 저면부의 통공(12)에 설치되는 배기밸브(O)의 내부에는 배기막(17)이 내장되어 있어, 착용자가 숨을 내쉴 때 그 호흡가스가 상기 배기막(17)을 밀어 내면서 배출되고, 숨을 들이 마실 때는 상기 배기막(17)도 함께 흡인되면서 진입로를 밀폐함으로써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마스크 본체(10) 전면부의 통공(11)에는 상기 정화통(14)을 착탈시켜주는 홀더(15) 및 상기 흡기밸브(I)를 고정하기 위한 연성 금속재의 고정링(13)이 개재된다. 즉, 상기 고정링(13)의 일단에 형성된 플랜지부에 밀착되도록 홀더(15)와 패킹(16)을 순차적으로 밀어 넣은 후, 플랜지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고정링(13)의 다른 일단을 상기 통공(11)의 외측으로부터 삽입하고, 그 삽입단을 확관 가공하여 플랜지부를 형성함으로써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흡기밸브(I)는 원통형의 밸브몸체(20)와, 이 밸브몸체(120)의 외주면 양단에 형성된 고정용 환턱(120a)과, 상기 밸브몸체(20)의 내주면 상에서 외측으로 볼록하게 좌우로 만곡 형성된 밸브시트(21)와, 이 밸브시트(21)의 내측 곡면을 따라 밀착되는 흡기막(2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시트(21)는 좌우로 만곡된 원형상의 림(21a)이 상기 밸브몸체(20)의 내주면 상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림(21a)을 가로질러 연결하는 다수의 리브(21b)가 동일 곡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리브(21b)가 교차되는 중심부의 내측에는 상기 흡기막(22)을 고정하기 위한 결합돌기(21c)가 형성된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밸브몸체(20)와 밸브시트(21)를 분리형으로 하여 밸브시트(21)를 밸브몸체(20) 내에 삽입한 후 접착할 수도 있다.
상기 흡기밸브(I)는 흡기막(22)이 착용자의 안면을 향하도록 배치한 후, 마스크 본체(10)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상기 고정링(13)의 내부로 밸브몸체(20)를 압입하여, 그 고정링(13)의 양단에 상기 고정용 환턱(20a)이 걸려지게 됨으로써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방독면의 공기 흡입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착용자가 숨을 들이 마실 때 그 흡입력에 의해 외부공기가 정화통(14) 내부로 빨려 들어오게 되고, 이 정화통(14)을 통과하면서 각종 유해 성분이 여과된 정화공기는 상기 밸브몸체(20)의 내부로 진입한 후, 착용자의 흡입력에 의해 개방된 흡기막(22)의 틈새를 통해 마스크 본체(10)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호흡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밸브시트(21)는 좌우로 만곡된 형상을 이루므로 이 밸브시트(21)에 설치된 흡기막(22)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좌우로 만곡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러한 형상은 곡률 방향에 해당하는 좌우측에 대한 유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반면, 원통 방향에 해당하는 상하측에 대해서는 직립성을 유지하게 되므로 외부공기의 흡입시 또는 장기간 사용시에도 처짐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착용자가 숨을 내쉴 때는 그 호흡가스의 압력에 의해 흡기막(22)의 좌우측이 밸브몸체(20) 쪽으로 가압되고, 상기 흡기막(22)은 리브(21b)에 밀착 지지되면서 출로를 차단하게 되어 별도의 통로를 통해 배기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독면의 흡기밸브 구조는 상기 배기밸브(O)에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및 작용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본 고안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방독면의 흡기밸브(I)는 원통형 밸브몸체(20)의 내주면 상에서 좌우로 만곡된 밸브시트(21)를 구비하고 이 밸브시트(21)의 내측면에 흡기막(22)을 설치하여 상하 방향으로의 직립성을 부여함으로써, 방독면을 장기간 사용함에 따른 흡기막(22)의 노화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흡기막(22)의 상부 처짐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밸브시트(21)와 흡기막(22)이 완전 밀착되어 호흡가스가 정화통(14)의 내부로 스며들지 않게 됨으로써 정화통(14)의 수명을 현저히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외부 흡입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정화통(14)과, 이 정화통(14)을 거쳐 정화된 외부공기가 마스크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는 흡기밸브(I)와, 착용자의 호흡가스가 마스크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는 배기밸브(O)를 구비한 방독면에 있어서, 상기 흡기밸브(I)는 원통형의 밸브몸체(20)와, 이 밸브몸체(20)의 내주면 상에서 외측으로 볼록하게 좌우로 만곡 형성된 밸브시트(21)와, 이 밸브시트(21)의 내측 곡면을 따라 밀착되는 흡기막(2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의 흡기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시트(21)는 좌우로 만곡된 원형상의 림(21a)이 상기 밸브몸체(20)의 내주면 상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림(21a)을 가로질러 연결하는 다수의 리브(21b)가 동일 곡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리브(21b)가 교차되는 중심부의 내측에는 상기 흡기막(22)을 고정하기 위한 결합돌기(21c)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의 흡기밸브.
KR2019980001128U 1998-02-03 1998-02-03 방독면의 흡기밸브 KR2001773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128U KR200177395Y1 (ko) 1998-02-03 1998-02-03 방독면의 흡기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128U KR200177395Y1 (ko) 1998-02-03 1998-02-03 방독면의 흡기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552U KR19990035552U (ko) 1999-09-15
KR200177395Y1 true KR200177395Y1 (ko) 2000-05-01

Family

ID=19531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1128U KR200177395Y1 (ko) 1998-02-03 1998-02-03 방독면의 흡기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739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3957B1 (ko) * 2003-06-24 2006-09-19 티알더블유 오토모티브 유.에스. 엘엘씨 플랩형 차량 캐빈 배출 장치
KR101150346B1 (ko) 2010-06-25 2012-06-08 삼공물산 주식회사 방독면용 흡기밸브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093B1 (ko) * 2006-02-17 2007-05-21 이세찬 안면 마스크의 배기장치
KR101967165B1 (ko) * 2017-11-13 2019-04-09 에스지생활안전 주식회사 방독면의 정화통 공기 흡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3957B1 (ko) * 2003-06-24 2006-09-19 티알더블유 오토모티브 유.에스. 엘엘씨 플랩형 차량 캐빈 배출 장치
KR101150346B1 (ko) 2010-06-25 2012-06-08 삼공물산 주식회사 방독면용 흡기밸브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552U (ko) 199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99222B1 (en) Respirator valve
US7849856B2 (en) Respirator valve
AU2002303617A1 (en) Respirator valve
KR200446949Y1 (ko) 배기밸브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
US6860267B2 (en) Self-sealing filter connection and gas mask filter assembly incorporating the same
US4454893A (en) Low-noise diaphragm for use in exhalation valve
AU2002252726A1 (en) Respirator valve
CN106267614B (zh) 在鼻罩上具备排气阀的除微尘呼吸机
RU2374125C2 (ru) Клапанный механизм для подводного водолазного снаряжения
US20050102986A1 (en) Self-sealing protection filter port
JP2007529254A5 (ko)
WO2009066833A1 (en) Respiratory unit for gas masks and self-locking/unlocking device for respirator cartridge mounted to the same
KR100914303B1 (ko) 방독면용 셀프실링 흡기유니트
KR200177395Y1 (ko) 방독면의 흡기밸브
KR200142443Y1 (ko) 방독면용 흡기막의 개방간격 유지장치
CN101184535A (zh) 用在水下呼吸装置中的呼气阀
KR100966464B1 (ko) 착용이 용이하고 기밀성이 향상된 방독 마스크
CN212235683U (zh) 一种口罩呼吸阀
KR200496060Y1 (ko) 호흡 마스크용 공기정화 아답터
CN209984825U (zh) 一种多功能面罩
CN111905287A (zh) 空气过滤器
KR20210121981A (ko) 마스크용 배기밸브 장치
CN117412792A (zh) 防护性呼吸面罩及其止回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