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853B1 -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 Google Patents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853B1
KR102234853B1 KR1020200119099A KR20200119099A KR102234853B1 KR 102234853 B1 KR102234853 B1 KR 102234853B1 KR 1020200119099 A KR1020200119099 A KR 1020200119099A KR 20200119099 A KR20200119099 A KR 20200119099A KR 102234853 B1 KR102234853 B1 KR 102234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mask
coupled
coupling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경호
Original Assignee
양경호
주식회사 이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경호, 주식회사 이보 filed Critical 양경호
Priority to KR1020200119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8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853B1/ko
Priority to PCT/KR2021/009199 priority patent/WO202202550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12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ultimedia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 착용자의 음성에 의해 진동하여 음성을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마스크에 용이하게 착탈하여 교환 또는 세척하여 사용할 수 있는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는, 마스크의 설치공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마스크의 설치공 전방에 결합되는 링 형태의 홀더; 상기 홀더의 전방에 결합되어 홀더의 개구부를 통해 전달되는 마스크 착용자의 음파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막; 상기 홀더의 전방에 결합되면서 상기 진동막의 테두리 부분을 홀더의 테두리 부분에 대해 고정하는 링 형태의 클램프유닛; 및, 상기 홀더의 개구부 및 마스크의 설치공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링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홀더의 후방에서 결합되면서 홀더를 마스크의 설치공의 주변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Sound Transmitting Device for Mask}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음성에 의해 진동하면서 음성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한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는, 개인이 가스, 증기, 에어로졸(예를 들어, 먼지, 안개 및/또는 생물학적 작용제)과 같은 위험한 물질에 노출되는 환경에서 사용된다. 마스크는 저렴한 일회용 마스크부터, 교체가능한 여과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재사용가능한 마스크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유형을 갖는다.
통상의 마스크는 착용자의 입 전체를 가리기 때문에 사용자의 음성이 마스크에 부딪혀 음파가 외부로 정확하게 전달되지 않아 착용자의 스피치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없게 하는 경향이 있어서 사람 간의 소통을 어렵게 만든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국내 공개특허 10-2018-0115670호에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음파에 응답하여 진동하도록 구성된 음성 전달 멤브레인을 갖는 음성 전달 특징부를 구비한 호흡기 마스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호흡기 마스크에 구비되는 음성 전달 멤브레인은 두께가 얇은 평면으로 이루어지며, 얇은 천이나 직물로 이루어진 마스크에 적용할 경우 음성 전달을 명확하게 하는데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115670호(2018.10.23.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스크 착용자의 음성에 의해 진동하여 음성을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마스크에 용이하게 착탈하여 교환 또는 세척하여 사용할 수 있는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는, 마스크의 설치공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마스크의 설치공 전방에 결합되는 링 형태의 홀더; 상기 홀더의 전방에 결합되어 홀더의 개구부를 통해 전달되는 마스크 착용자의 음파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막; 상기 홀더의 전방에 결합되면서 상기 진동막의 테두리 부분을 홀더의 테두리 부분에 대해 고정하는 링 형태의 클램프유닛; 및, 상기 홀더의 개구부 및 마스크의 설치공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링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홀더의 후방에서 결합되면서 홀더를 마스크의 설치공의 주변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홀더는 U형 단면을 갖는 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링 형태의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전단부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마스크의 전방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통기공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홀더베이스와, 상기 홀더베이스의 외측 단부에 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와 홀더베이스와 플랜지부가 이루는 공간에 사용자의 호흡시 유입 되거나 배출되는 공기중의 유해물질을 여과시키는 필터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의 후단부는 마스크의 전방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되어 공기가 플랜지부의 후단부와 마스크 전방면 사이를 통해 유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에는 필터유닛과 연통되는 복수의 연통공이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의 결합부에 제1나사산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유닛에 상기 제1나사산부에 나선 결합되는 제2나사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의 테두리 부분 외주면에 수나사산부가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유닛의 내주면에 상기 수나사부에 나선 결합되는 암나사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의 외주면에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유닛의 내주면에 상기 홀더의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가 탄력적으로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결합돌기 또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는, 상기 홀더와 진동막의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어 클램프유닛이 홀더의 테두리에 결합될 때 진동막의 테두리를 홀더에 대해 탄력적으로 지지하면서 진동막을 홀더의 면에 대해 일정 거리 이격시키는 탄성 재질의 가스켓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의 개구부 내주면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줄어드는 원추형의 구멍 형태로 형성되는 집음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링 형태의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후단부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마스크의 전방면에 연접하는 홀더베이스와, 상기 홀더베이스의 외측 단부에 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의 결합부에 제1나사산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유닛에 상기 제1나사산부에 나선 결합되는 제2나사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크 본체의 소정 부위(예를 들어 착용자의 입술과 대응하는 중앙부)에 음파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막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발성을 할 때 음파에 의해 진동막이 원활하게 진동하게 되므로 진동막에 의해 외부로 명확한 음성을 전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음성 전달장치는 진동막이 구비된 홀더를 고정유닛에 나선 결합 방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시킴으로써 음성전달장치를 마스크에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으므로 음성 전달장치를 새것으로 교체하거나 세척한 후 다시 마스크에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진동막이 홀더의 홀더베이스에 대해 일정 거리 이격되고, 홀더베이스에 통기공이 관통되게 형성되면, 사용자가 호흡을 할 때 공기가 통기공 및 그 후방에 설치되는 필터유닛을 통해 유동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감염의 염려없이 편하게 호흡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음성 전달장치의 고정유닛 또는 홀더에 소리를 집음하는 집음부가 원추형으로 형성될 경우, 진동막의 진동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음성을 더욱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가 적용된 마스크의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마스크의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음성 전달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를 구성하는 홀더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를 구성하는 홀더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를 후술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마스크(1)는 미세먼지나 가스, 에어로졸 등을 차단할 수 있는 유연한 직물이나 종이, 또는 수지로 된 마스크 본체(2)와, 마스크 본체(2)를 착용자의 귀 또는 후두부에 걸수 있는 끈(3)을 포함한다. 마스크 본체(2)의 중앙부에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형의 설치공(4)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4)에는 착용자의 음성을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한 음성 전달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설치공(4)는 마스크 본체(2)의 중앙부에 형성될 필요는 없고 마스크 본체(2)의 중앙에서 양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편심된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음성 전달장치는 상기 마스크 본체(2)의 설치공(4)의 주변부에 나선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고정유닛(100)과 홀더(200)와 진동막(300)과 클램프유닛(400) 및 필터유닛(500)을 포함한다.
고정유닛(100)은 마스크 본체(2)의 설치공(4)과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원형 링 형태로 이루어지며, 개구부(101)의 주변부에 상기 홀더(200)의 나선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제2나사산부(110)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2나사산부(110)는 수나사부로 이루어진다.
고정유닛(100)의 개구부(101)의 바로 후방에는 홀더(200)의 개구부(201)와 연통되는 집음부(120)를 구비한다. 상기 집음부(120)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줄어드는 원추형의 구멍 형태로 되어, 사용자의 발성에 의해 생성된 음파를 전방의 진동막(300) 쪽으로 집중함으로써 진동막(300)이 더욱 원활하게 진동할 수 있도록 하는 집음 기능을 한다.
상기 홀더(200)는 사용자의 음성을 외부로 명확하게 전달하는 작용을 하는 진동막(300)을 마스크 본체(2)에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마스크 본체(2)의 전방에서 고정유닛(100)에 결합되며, 그 전방에 진동막(300)과 클램프유닛(400)이 결합된다.
상기 홀더(200)는 중앙에 개구부(201)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U'형 단면을 갖는 링 형태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홀더(200)는 마스크 본체(2)의 설치공(4)과 연통되는 개구부(201)가 형성된 링 형태의 결합부(210)와, 상기 결합부(210)의 전단부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마스크 본체(2)의 전방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는 홀더베이스(220)와, 상기 홀더베이스(220)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복수의 통기공(221)을 포함한다. 상기 홀더베이스(220)의 외측 단부에는 필터유닛(500)의 외측면을 가리는 플랜지부(230)가 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210)와 홀더베이스(220)와 플랜지부(230)는 대략 'U'형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결합부(210)의 내주면에는 고정유닛(100)의 제2나사산부(110)와 나선 결합되는 제1나사산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1나사산부(211)는 암나사부 형태로 이루어진다. 결합부(210)의 내경은 마스크 본체(2)의 설치공(4)의 내경과 대체로 동일하거나 그 보다 약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200)를 마스크 본체(2)의 설치공(4)의 전방에 배치시킨 후 마스크 본체(2)의 설치공(4)의 후방에서 고정유닛(100)의 제2나사산부(110)를 결합부(210)의 제1나사산부(211)에 맞추고 조이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홀더(200)와 고정유닛(100)이 서로 결합되면서 마스크 본체(2)의 전방면과 후방면 각각에 밀착 고정된다.
그리고 고정유닛(100)과 홀더(200)를 이전과는 반대 방향(풀리는 방향)으로 상대 회전시키면 결합부(210)의 제1나사산부(211)가 제2나사산부(110)에서 풀리면서 고정유닛(100)과 홀더(200)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결합부(210)와 홀더베이스(220)와 플랜지부(230)는 U형 형태를 갖는데, 마스크 본체(2)의 전방에 설치될 때 홀더베이스(220)가 마스크 본체(2)의 설치공(4)의 주변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어 홀더(200)에 필터유닛(500)이 설치되는 공간이 마련된다. 홀더(200)의 외주면을 이루는 플랜지부(230)는 공기의 유출입을 위해 후단부가 마스크 본체(2)의 전방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지만,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복수의 연통공(232)이 형성되거나,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무수히 많은 미세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다공성 통기부(23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홀더(200)의 플랜지부(230)의 외주면에는 클램프유닛(400)과의 결합을 위한 수나사산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홀더(200)의 플랜지부(230) 외주면에 결합돌기(202)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클램프유닛(400)의 내주면에 상기 홀더(200)의 결합돌기(202)가 탄력적으로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결합홈(402)을 형성하여 클램프유닛(400)을 홀더(200)의 테두리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물론 이와 반대로 홀더(200)의 플랜지부(230) 외주면에 결합홈을 오목하게 형성하고, 상기 클램프유닛(400)의 내주면에 상기 홀더(200)의 결합홈에 탄력적으로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형성하여 클램프유닛(400)을 홀더(200)의 테두리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진동막(300)은 홀더(200)의 직경과 대체로 일치하거나 그 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갖는 얇은 원반 형태의 막으로 되어 홀더(200)의 홀더베이스(220)의 전방에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집음부(120)를 통해 전달되는 마스크 착용자의 음파에 의해 진동함으로써 착용자의 음성을 외부로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진동막(300)과 홀더베이스(220)가 일정 거리 이격됨으로써 사용자가 호흡할 때 공기가 진동막(300)과 홀더베이스(220) 사이를 통해서 통기공(221)을 원활하게 이동하여 사용자가 편안하게 호흡할 수 있게 된다.
진동막(300)은 전술한 것과 같이 클램프유닛(400)에 의해 테두리 부분이 홀더(200)의 테두리 부분에 고정될 수 있는데, 이 때 진동막(300)의 테두리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며 진동막(300)이 홀더베이스(220)에 대해 일정 거리 이격될 수 있도록 홀더(200)의 홀더베이스(220)의 끝단부와 진동막(300)의 테두리 사이에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탄성 재질의 가스켓링(250)을 배치하여, 클램프유닛(400)이 홀더(200)의 전단부 테두리에 결합될 때 진동막(300)의 테두리 부분을 홀더(200)에 대해 탄력적으로 밀착 지지할 수 있다.
진동막(300)은 착용자의 음성에 의해 원활하게 진동할 수 있도록 얇은 천이나 수지 재질의 필름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진동막(300)은 음파에 의한 진동폭을 증가시키도록 중심부에 외부로(전방으로) 볼록한 돔 형태의 진동유도부(310)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진동막(300)이 단순한 평면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중앙부에 원형 돔 형태의 진동유도부(310)가 형성된 원반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음파에 의한 진동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진동막(300)은 진동유도부(31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 즉, 진동유도부(310)와 테두리 부분 사이 부분이 단순한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진동유도부(310)와 테두리 부분 사이에 주름부(320)가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주름부(320)는 이 실시예에서와 같이 복수개가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반경방향을 따라 주름진 웨이브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클램프유닛(400)에 의해 홀더(200)의 홀더베이스(220)에 가압되어 고정되는 진동막(300)의 테두리 부분과 주름부(320) 사이에는 진동막(300)의 진동을 더욱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경계요철(330)이 전방으로 볼록하거나 오목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클램프유닛(400)은 대략 'ㄱ'자형 단면을 갖는 원형 링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주면에 상기 홀더(200)의 수나사산부(231)에 나선 결합되는 암나사산부(41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홀더(200)의 전방에 가스켓링(250)과 진동막(300)을 정렬한 후 클램프유닛(400)의 암나사산부(410)를 홀더(200)의 수나사산부(231)에 맞춘 후 회전시키면 클램프유닛(400)이 홀더(200)에 나선 결합되면서 가스켓링(250)과 진동막(300)의 테두리 부분이 홀더(200)와 클램프유닛(400)에 고정된다. 물론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홀더(200)의 플랜지부(230) 외주면에 결합돌기(202)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클램프유닛(400)의 내주면에 결합홈(402)을 형성하여 결합돌기(202)와 결합홈(402) 간의 결합에 의해 클램프유닛(400)을 홀더(200)의 테두리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도 있다.
상기 필터유닛(500)은 사용자가 호흡을 할 때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와 사용자에게서 배출되는 공기 중의 유해 성분, 예를 들어 미세먼지나 바이러스를 여과하여 제거함으로써 감염 예방 및 건강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마스크 음성 전달장치는 마스크 본체(2)의 소정 부위, 특히 착용자의 입술과 대응하는 중앙부에 음파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막(300)이 홀더(200)에 의해 착탈이 용이하게 설치되고, 고정유닛(100)에 음성을 집음하는 집음부(120)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발성을 할 때 집음부(120)를 통해 전달되는 음파에 의해 진동막(300)이 원활하게 진동하게 되므로 마스크 외부로 명확하게 음성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홀더(200)의 결합부(210)에 형성된 제1나사산부(211)와 고정유닛(100)의 제2나사산부(110)를 상대 회전시켜 홀더(200)를 고정유닛(100)에 용이하게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홀더(200)를 새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하거나 홀더(200)를 세척한 후 다시 고정유닛(100)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진동막(300)이 홀더(200)의 홀더베이스(220)에 대해 일정 거리 이격되고, 홀더베이스(220)에 통기공(221)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홀더베이스(220)와 마스크 본체(2)의 전방면 사이에 필터유닛(500)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호흡을 할 때 공기가 통기공(221)과 필터유닛(500)을 통해 유동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감염의 염려없이 편하게 호흡할 수 있다.
도 8은 마스크 음성 전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실시예의 마스크 음성 전달장치는 고정유닛(100)과 가스켓링(250), 진동막(300), 클램프유닛(400)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지만, 홀더(200)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U형 단면을 갖는 홀더(200)를 뒤집어서 장착한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의 홀더(200)는 개구부(201)가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210)의 내주면에 고정유닛(100)의 제2나사산부(110)와의 결합을 위한 제1나사산부(211)가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부(210)의 후단부에 홀더베이스(220)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마스크 본체(2)의 전방면과 밀착된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홀더(200)의 플랜지부(230) 외주면에 결합돌기(202)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클램프유닛(400)의 내주면에 상기 홀더(200)의 결합돌기(202)가 탄력적으로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결합홈(402)을 형성하여 클램프유닛(400)을 홀더(200)의 테두리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물론 이와 다르게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실시예와 같이 클램프유닛(400)의 내주면에 암나사산부(410)를 형성하고, 플랜지부(230)의 외주면에 수나사산부(231)를 형성하여 홀더(200)와 클램프유닛(400)을 결합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홀더(200)의 결합부(210) 내주면에 암나사부의 기능을 하는 제1나사산부(211)가 형성되고, 고정유닛(100)의 전방부에 결합부(210)의 제1나사산부(211)에 나선 결합되는 제2나사산부(110)가 형성되었지만,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결합부(210)가 후방으로 연장되고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제1나사산부(211)가 수나사부 구조로 이루어지고, 고정유닛(100)의 개구부(101)의 내주면에 제2나사산부(110)가 암나사부 구조로 형성되어 홀더(200)와 고정유닛(100)을 서로 결합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집음부(260)가 홀더(200)의 개구부(20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 : 마스크 2 : 마스크 본체
3 : 끈 4 : 설치공
100 : 고정유닛 110 : 제2나사산부
200 : 홀더 201 : 개구부
202 : 결합돌기 210 : 결합부
211 : 제1나사산부 220 : 홀더베이스
230 : 플랜지부 231 : 수나사산부
250 : 가스켓링 300 : 진동막
310 : 진동유도부 320 : 주름부
330 : 경계요철 400 : 클램프유닛
402 : 결합홈 410 : 암나사산부
500 : 필터유닛

Claims (12)

  1. 마스크의 설치공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U형 단면을 갖는 링 형태로 이루어지고, 마스크의 설치공 전방에 결합되는 링 형태의 홀더;
    상기 홀더의 전방에 결합되어 홀더의 개구부를 통해 전달되는 마스크 착용자의 음파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막;
    상기 홀더의 전방에 결합되면서 상기 진동막의 테두리 부분을 홀더의 테두리 부분에 대해 고정하는 링 형태의 클램프유닛; 및,
    상기 홀더의 개구부 및 마스크의 설치공과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링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홀더의 후방에서 결합되면서 홀더를 마스크의 설치공의 주변부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링 형태의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전단부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마스크의 전방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통기공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홀더베이스와, 상기 홀더베이스의 외측 단부에 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와 홀더베이스와 플랜지부가 이루는 공간에 사용자의 호흡시 유입 되거나 배출되는 공기중의 유해물질을 여과시키는 필터유닛이 설치된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의 후단부는 마스크의 전방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되어 공기가 플랜지부의 후단부와 마스크 전방면 사이를 통해 유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도록 된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에는 필터유닛과 연통되는 복수의 연통공이 관통되게 형성된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결합부에 제1나사산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유닛에 상기 제1나사산부에 나선 결합되는 제2나사산부가 형성된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테두리 부분 외주면에 수나사산부가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유닛의 내주면에 상기 수나사산부에 나선 결합되는 암나사산부가 형성된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외주면에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유닛의 내주면에 상기 홀더의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가 탄력적으로 삽입되면서 결합되는 결합돌기 또는 결합홈이 형성된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와 진동막의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어 클램프유닛이 홀더의 테두리에 결합될 때 진동막의 테두리를 홀더에 대해 탄력적으로 지지하면서 진동막을 홀더의 면에 대해 일정 거리 이격시키는 탄성 재질의 가스켓링을 더 포함하는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의 개구부 내주면에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줄어드는 원추형의 구멍 형태로 형성되는 집음부가 형성된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11. 삭제
  12. 삭제
KR1020200119099A 2020-07-28 2020-09-16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KR102234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099A KR102234853B1 (ko) 2020-09-16 2020-09-16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PCT/KR2021/009199 WO2022025501A1 (ko) 2020-07-28 2021-07-16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099A KR102234853B1 (ko) 2020-09-16 2020-09-16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4853B1 true KR102234853B1 (ko) 2021-04-01

Family

ID=75441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099A KR102234853B1 (ko) 2020-07-28 2020-09-16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8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501A1 (ko) * 2020-07-28 2022-02-03 주식회사 이보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US20220399004A1 (en) * 2021-06-11 2022-12-15 Suetsugu Katsunori Voice augmentation device, partition, mask, mouth shield, and face shield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6033A (ja) * 1998-12-15 2000-06-27 Koken Ltd 伝声機能付きマスク
JP2002219185A (ja) * 2001-01-26 2002-08-06 Koken Ltd 防護マスク用伝声装置
KR20030075556A (ko) * 2002-03-19 2003-09-26 삼공물산 주식회사 방독마스크용 전성배기밸브
KR200335505Y1 (ko) * 2003-09-18 2003-12-06 주식회사 산청 방독면 전성배기유닛
US6997178B1 (en) * 1998-11-25 2006-02-14 Thomson-Csf Sextant Oxygen inhaler mask with sound pickup device
KR20120000331A (ko) * 2010-06-25 2012-01-02 삼공물산 주식회사 방독면용 흡기밸브 유닛
KR20180064337A (ko) * 2018-05-25 2018-06-14 강용미 흡기구 및 배기구를 갖는 밀착형 마스크
KR20180115670A (ko) 2015-10-22 2018-10-23 스코트 테크놀로지즈, 인크. 음성 전달 특징부를 갖는 호흡기 마스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7178B1 (en) * 1998-11-25 2006-02-14 Thomson-Csf Sextant Oxygen inhaler mask with sound pickup device
JP2000176033A (ja) * 1998-12-15 2000-06-27 Koken Ltd 伝声機能付きマスク
JP2002219185A (ja) * 2001-01-26 2002-08-06 Koken Ltd 防護マスク用伝声装置
KR20030075556A (ko) * 2002-03-19 2003-09-26 삼공물산 주식회사 방독마스크용 전성배기밸브
KR200335505Y1 (ko) * 2003-09-18 2003-12-06 주식회사 산청 방독면 전성배기유닛
KR20120000331A (ko) * 2010-06-25 2012-01-02 삼공물산 주식회사 방독면용 흡기밸브 유닛
KR20180115670A (ko) 2015-10-22 2018-10-23 스코트 테크놀로지즈, 인크. 음성 전달 특징부를 갖는 호흡기 마스크
KR20180064337A (ko) * 2018-05-25 2018-06-14 강용미 흡기구 및 배기구를 갖는 밀착형 마스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501A1 (ko) * 2020-07-28 2022-02-03 주식회사 이보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US20220399004A1 (en) * 2021-06-11 2022-12-15 Suetsugu Katsunori Voice augmentation device, partition, mask, mouth shield, and face shiel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4853B1 (ko)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JP7426001B2 (ja) 音声伝達機能を備えた呼吸用マスク
US5579761A (en) Respirator having snap-fit filter cartridge
US2235624A (en) Filter unit for respirators
US10052234B2 (en) Hearing protection device with convoluted acoustic horn
KR101789107B1 (ko) 이종의 재질을 갖는 방진마스크
JP2005514963A (ja) 呼吸器用面体
JP2018531104A6 (ja) 音声伝達機能を備えた呼吸用マスク
JP2023527407A (ja) 浮遊物質の吸入およびそれへの曝露を防止するための装置
KR20200131782A (ko) 비말유입을 차단하며 필터 교체가 가능한 위생마스크
KR102325079B1 (ko) 다목적용 방진 마스크
EP0101292B1 (en) Respirator speech transmitter
EP1484087A1 (en) A microphone adaptor for a respirator
KR200496058Y1 (ko)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KR20190078852A (ko) 마스크
JP3012823B2 (ja) 防じんマスク
KR200496018Y1 (ko)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US20220152432A1 (en) Face mask
JP3012845B1 (ja) 伝声機能付きマスク
KR200494337Y1 (ko)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WO2022025501A1 (ko)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US2705052A (en) Voice transmitting gas mask
KR102487561B1 (ko)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KR20230108105A (ko) 마스크용 발광형 음성 전달장치
KR20220063654A (ko) 귀걸이용 끈이 생략된 투명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