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337Y1 -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 Google Patents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337Y1
KR200494337Y1 KR2020200001804U KR20200001804U KR200494337Y1 KR 200494337 Y1 KR200494337 Y1 KR 200494337Y1 KR 2020200001804 U KR2020200001804 U KR 2020200001804U KR 20200001804 U KR20200001804 U KR 20200001804U KR 200494337 Y1 KR200494337 Y1 KR 2004943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vibrating membrane
vibrating
voice
outer periph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18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경호
Original Assignee
양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경호 filed Critical 양경호
Priority to KR20202000018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3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3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3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12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 H04R7/127Non-planar diaphragms or cones dome-shape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Abstract

본 고안은 마스크 착용자의 음성에 의해 진동하여 음성을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는, 외주연부가 마스크 본체에 개방되게 형성된 설치공의 주변부에 부착되며, 중앙부에 외부로 볼록한 돔 형태의 진동유도부가 형성되어 마스크 착용자의 음성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Sound Transmitting Device for Mask}
본 고안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음성에 의해 진동하면서 음성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한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는, 개인이 가스, 증기, 에어로졸(예를 들어, 먼지, 안개 및/또는 생물학적 작용제)과 같은 위험한 물질에 노출되는 환경에서 사용된다. 마스크는 저렴한 일회용 마스크부터, 교체가능한 여과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재사용가능한 마스크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유형을 갖는다.
통상의 마스크는 착용자의 입 전체를 가리기 때문에 사용자의 음성이 마스크에 부딪혀 음파가 외부로 정확하게 전달되지 않아 착용자의 스피치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없게 하는 경향이 있어서 사람 간의 소통을 어렵게 만든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국내 공개특허 10-2018-0115670호에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음파에 응답하여 진동하도록 구성된 음성 전달 멤브레인을 갖는 음성 전달 특징부를 구비한 호흡기 마스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호흡기 마스크에 구비되는 음성 전달 멤브레인은 두께가 얇은 평면으로 이루어지며, 얇은 천이나 직물로 이루어진 마스크에 적용할 경우 음성 전달을 명확하게 하는데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115670호(2018.10.23. 공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마스크 착용자의 음성에 의해 진동하여 음성을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는, 외주연부가 마스크 본체에 개방되게 형성된 설치공의 주변부에 부착되며, 중앙부에 외부로 볼록한 돔 형태의 진동유도부가 형성되어 마스크 착용자의 음성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는, 상기 설치공의 주변부에 설치되며, 전단부에 상기 진동막의 외주연부가 부착되는 링 형태의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의 전단부에는 상기 진동막을 가리는 다공성 막으로 된 보호막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의 전단부와 진동막의 외주연부 사이에는 유연한 재질로 된 링 형태의 진동막연결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진동막은 진동유도부의 외주연부에서 마스크의 전방 및 반경방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원추형 진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원추형 진동부에는 링 형태로 된 적어도 1개 이상의 계단식 주름부가 형성될 수있다.
상기 진동막의 진동유도부와 외주연부 사이에는 링 형태로 된 적어도 1개 이상의 계단식 주름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마스크 본체의 소정 부위(예를 들어 착용자의 입술과 대응하는 중앙부)에 음파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막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발성을 할 때 음파에 의해 진동막이 원활하게 진동하게 되므로 진동막에 의해 외부로 명확한 음성을 전달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진동막의 중앙에 돔 형태의 진동유도부가 배치되어 음성에 의해 진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더욱 명확한 음성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홀더를 이용하여 진동막을 설치하는 경우, 진동막과 진동막의 오염이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막을 마스크 본체에 설치하기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가 적용된 마스크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를 나타낸 도 1의 I-I 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와 대응하는 도면으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와 대응하는 도면으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와 대응하는 도면으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와 대응하는 도면으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개시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개시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개시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개시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개시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마스크(1)는 미세먼지나 가스, 에어로졸 등을 차단할 수 있는 유연한 직물이나 종이로 된 마스크 본체(2)와, 마스크 본체(2)를 착용자의 귀 또는 후두부에 걸수 있는 끈(3)을 포함한다. 마스크 본체(2)의 중앙부에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설치공(4)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4)에는 착용자의 음성을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한 음성 전달장치로서 진동막(10)이 설치된다.
상기 진동막(10)은 착용자의 음성에 의해 원활하게 진동할 수 있도록 얇은 천이나 필름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진동막(10)은 설치공(4)과 대응하는 크기의 원반형으로 이루어지며, 외주연부가 설치공(4)의 주변부에 부착된다. 또한 진동막(10)은 음파에 의한 진동폭을 증가시키도록 중심부에 외부로(전방으로) 볼록한 돔 형태의 진동유도부(11)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진동막(10)이 단순한 평면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중앙부에 원형 돔 형태의 진동유도부(11)가 형성된 원반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음파에 의한 진동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진동막(10)은 진동유도부(1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 즉, 진동유도부(11)와 외주연부 사이 부분은 단순한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도 3에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것과 같이 진동유도부(11)와 외주연부 사이에 링 형태로 된 계단식 주름부(12)가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계단식 주름부(12)는 이 실시예에서와 같이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배열될 수도 있지만 단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진동막(10)은 진동유도부(11)의 외주연부에서 마스크의 전방 및 반경방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원추형 진동부(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원추형 진동부(13)는 테두리 부분이 후방으로 연장되면서 마스크 본체(2)의 설치공(4)의 주변부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진동유도부(11)의 외측에 원추형 진동부(13)가 형성됨으로써 착용자의 음성에 의해 진동막(10)이 더욱 원활하게 진동하여 제3자에게 음성을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원추형 진동부(13)는 편평한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도 5에 변형된 실시예로 나타낸 것과 같이 링 형태로 된 적어도 1개 이상의 계단식 주름부(12)가 형성된 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진동막(10)이 직접 마스크 본체(2)에 부착된 구조를 예시하고 있지만,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설치공(4)의 주변부에 원형 링 형태의 홀더(20)가 설치되고, 홀더(20)의 전단부에 진동막(10)의 외주연부가 부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진동막(10)이 홀더(20)를 매개로 마스크 본체(2)의 설치공(4)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진동막(10)의 외주연부는 상기 홀더(20)의 전단부에 직접 부착될 수도 있지만, 진동막(10)의 진동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홀더(20)의 전단부와 진동막(10)의 외주연부 사이에는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된 링 형태의 진동막연결재(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진동막(10)은 중심부에 형성된 진동유도부(11)의 외측에 전방 및 반경방향 외측으로 경사진 원추형 진동부(13)가 형성되고, 원추형 진동부(13)에 계단식 주름부(12)가 형성된 형태를 갖지만, 전술한 첫번째 실시예 및 두번째 실시예의 진동막(10)과 같이 진동유도부(11)의 외측이 대체로 편평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홀더(20)의 전단부에는 상기 진동막(10)을 가림으로써 진동막(10)이 먼지나 바이러스나 유해 세균을 포함한 에어로졸에 의해 오염되거나 외부 물체에 의해 찢어지는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보호막(4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막(40)은 음파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다공성 막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미세 구멍이 무수히 많이 형성되어 있는 얇은 천이나 메쉬(mesh)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홀더(20)를 이용하여 진동막(10)을 설치하는 경우, 진동막(10)과 보호막(40)을 마스크 본체(2)에 설치하기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음성 전달장치는 마스크 본체(2)의 소정 부위, 특히 착용자의 입술과 대응하는 중앙부에 음파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막(10)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발성을 할 때 음파에 의해 진동막(10)이 원활하게 진동하여 외부로 명확한 음성을 전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고안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 : 마스크 2 : 마스크 본체
3 : 끈 4 : 설치공
10 : 진동막 11 : 진동유도부
12 : 계단식 주름부 13 : 원추형 진동부
20 : 홀더 30 : 진동막연결재
40 : 보호막

Claims (7)

  1. 마스크 본체(2)에 개방되게 형성된 설치공(4)과 대응하는 크기의 원반형으로 이루어져 외주연부가 상기 설치공(4)의 주변부에 부착되며, 중앙부에 외부로 볼록한 돔 형태의 진동유도부(11)가 형성되어 마스크 착용자의 음성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막(10)을 포함하며,
    상기 진동막(10)은 진동유도부(11)의 외주연부와 진동막(10)의 외주연부 사이에 마스크 본체(2)의 전방 및 반경방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원추형 진동부(13)를 구비하며, 상기 원추형 진동부(13)에 주름부(12)가 형성된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4)의 주변부에 설치되며, 전단부에 상기 진동막(10)의 외주연부가 부착되는 링 형태의 홀더(20)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20200001804U 2020-05-28 2020-05-28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KR2004943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804U KR200494337Y1 (ko) 2020-05-28 2020-05-28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1804U KR200494337Y1 (ko) 2020-05-28 2020-05-28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337Y1 true KR200494337Y1 (ko) 2021-09-16

Family

ID=77914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1804U KR200494337Y1 (ko) 2020-05-28 2020-05-28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337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9185A (ja) * 2001-01-26 2002-08-06 Koken Ltd 防護マスク用伝声装置
KR20030008844A (ko) * 2001-07-20 2003-01-29 삼성전기주식회사 돔형 스피커
KR20160108518A (ko) * 2014-01-26 2016-09-19 고어텍 인크 다중 진동막 스피커
KR20170138925A (ko) * 2016-06-08 2017-12-18 게리 자우어 음성 전달 구조를 구비한 마스크
KR20180115670A (ko) 2015-10-22 2018-10-23 스코트 테크놀로지즈, 인크. 음성 전달 특징부를 갖는 호흡기 마스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9185A (ja) * 2001-01-26 2002-08-06 Koken Ltd 防護マスク用伝声装置
KR20030008844A (ko) * 2001-07-20 2003-01-29 삼성전기주식회사 돔형 스피커
KR20160108518A (ko) * 2014-01-26 2016-09-19 고어텍 인크 다중 진동막 스피커
KR20180115670A (ko) 2015-10-22 2018-10-23 스코트 테크놀로지즈, 인크. 음성 전달 특징부를 갖는 호흡기 마스크
KR20170138925A (ko) * 2016-06-08 2017-12-18 게리 자우어 음성 전달 구조를 구비한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26001B2 (ja) 音声伝達機能を備えた呼吸用マスク
US7783034B2 (en) Communication privacy mask
JP2018531104A6 (ja) 音声伝達機能を備えた呼吸用マスク
US9833644B2 (en) Air purification respirator voice amplifier
US11865377B2 (en) System and method for fit test and monitoring for respiratory products
SE500417C2 (sv) Öronkåpa för hörselskydd eller hörlurar
KR20170138925A (ko) 음성 전달 구조를 구비한 마스크
KR102234853B1 (ko)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US20210331001A1 (en) Head encapsulation unit
EP0101292B1 (en) Respirator speech transmitter
KR200494337Y1 (ko)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KR102325079B1 (ko) 다목적용 방진 마스크
KR20120000306A (ko) 방독면용 음성전달 모듈
EP1484087A1 (en) A microphone adaptor for a respirator
AU2012339559A1 (en) Communication system in respiratory protection masks
WO2014126083A1 (ja) 伝声器
KR200496018Y1 (ko)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JP2011104166A (ja) 顔面装着用マスク
GB2388787A (en) Microphone mounting arrangement
KR200496058Y1 (ko)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WO2022177074A2 (ko)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KR101686662B1 (ko) 원터치 방독면
JP3231344U (ja) メガホン構造
WO2022025501A1 (ko) 마스크용 음성 전달장치
CN219087270U (zh) 一种口罩麦克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