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306A - 방독면용 음성전달 모듈 - Google Patents

방독면용 음성전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306A
KR20120000306A KR1020100060609A KR20100060609A KR20120000306A KR 20120000306 A KR20120000306 A KR 20120000306A KR 1020100060609 A KR1020100060609 A KR 1020100060609A KR 20100060609 A KR20100060609 A KR 20100060609A KR 20120000306 A KR20120000306 A KR 20120000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valve body
gas mask
gas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영만
Original Assignee
삼공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공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공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0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0306A/ko
Publication of KR20120000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3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4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gasproof shelt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4Couplings; Supporting fra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독면용 음성전달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독면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음성전달이 자유로울 수 있도록 한 방독면용 음성전달 모듈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마스크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오염된 공기를 걸러줄 수 있도록 한 정화통이 택일적으로 장착가능한 정화통 장착부와, 착용자의 호흡을 배기할 수 있도록 한 배기밸브체로 이루어진 방독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마스크에 관통되게 설치되며 양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에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지지부가 구비되는 밸브몸체와, 상기 지지부에 일부가 끼움결합되어 택일적으로 상기 통공을 개폐하는 흡기방지막과,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한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며 일측면이 상기 밸브몸체와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일측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결합봉에 의해 상기 밸브몸체 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이 돔 형태로 블록하게 형성되는 전성기를 포함하는 방독면용 음성전달 모듈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방독면용 음성전달 모듈{Voice transfer module for gas mask}
본 발명은 방독면용 음성전달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독면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음성전달이 자유로울 수 있도록 한 방독면용 음성전달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독면은 유독가스 및 유해물질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통상 군인, 경찰 및 유해 환경에서 근무하는 근무자에 의해 사용된다.
상술한 방독면은 유독가스 및 유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된 지역에서 착용자가 불편함 없이 호흡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정화통을 이용하여 오염된 공기를 걸러낸 후 착용자가 흡입하도록 함으로써, 오염된 지역에서도 안전하게 호흡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독면은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안면이 외기와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없도록 착용자의 안면 전체를 덮도록 형성됨으로써, 방독면을 착용하는 경우 착용자는 타인과 의사소통을 하려 해도 착용자의 음성이 방독면에 의하여 차단되어 소리를 지르거나 수신호로 의사소통을 해야 하는 등 타인에게 의사를 전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착용자의 입 부근이 위치되는 부분에 음성진동판을 착설하고 외부에는 확성 스피커를 착설하여 방독면 착용자의 음성이 방독면 외부의 확성 스피커를 통하여 정확한 발음과 똑똑한 음성이 전달되도록 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독면은 음성진동판을 구비함으로써 방독면의 내부 및 외부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여 제품의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음성진동판을 장시간 사용하면 진동으로 인한 두통유발 등 착용자의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방독면을 착용한 상태에서 명확한 음성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타인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방독면에 음성전달을 위한 음성전달모듈이 항상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오염된 지역에서도 의사전달을 의한 전성장치를 부착하지 않아도 되도록 한 방독면용 음성전달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오염된 공기를 걸러줄 수 있도록 한 정화통이 택일적으로 장착가능한 정화통 장착부와, 착용자의 호흡을 배기할 수 있도록 한 배기밸브체로 이루어진 방독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마스크에 관통되게 설치되며 양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에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지지부가 구비되는 밸브몸체와, 상기 지지부에 일부가 끼움결합되어 택일적으로 상기 통공을 개폐하는 흡기방지막과,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한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며 일측면이 상기 밸브몸체와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일측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결합봉에 의해 상기 밸브몸체 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이 돔 형태로 블록하게 형성되는 전성기를 포함하는 방독면용 음성전달 모듈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밸브몸체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마스크 내에 위치된 일단으로부터 외부위 위치된 타단으로 향할수록 확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성기는 일측이 돔 형태로 형성되며, 타측에 소리의 흐름을 안내하는 복수개의 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의 중앙으로 함몰되게 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독면용 음성전달 모듈은 방독면에 설치되는 호흡 배기밸브의 구조 및 배기밸브 내에 전성기(170)를 설치하여 음성전달을 위한 별도의 마이크로폰 및 확성스피커 등을 구비하지 않아도 타인에게 명확하게 의사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호흡 배기밸브 내에 전성기(170)를 설치함으로써, 방독면에 전성장치를 부착하기 위해 벗지 않아도 됨으로써, 유독성 가스로 인해 착용자가 손상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로 음성전달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독면용 음성전달 모듈이 설치된 방독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전달 모듈을 분해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음성전달 모듈만을 발췌하여 확대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흡입방지막이 구부러짐에 따라 전성기로 향하는 공기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착용자가 방독면을 착용한 상태에서 음성전달 모듈 내로 음성이 전달되어 확성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독면용 음성전달 모듈을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방독면(100)은 착용자의 얼굴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마스크(110)와, 상기 마스크(110)에 설치되며 착용자의 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투시창(120)과, 오염된 공기를 걸러줄 수 있도록 한 정화통(P)이 택일적으로 장착가능한 정화통 장착부(130), 그리고, 착용자의 호흡을 배기할 수 있도록 한 배기밸브체(160)를 포함한다.
또한, 마스크(110)는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의 밴딩부(140)가 형성되어 착용자의 얼굴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전달 모듈(150)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방독면의 배기밸브체(160) 및 상기 배기밸브체(160) 내에 설치되는 전성기(170)를 포함한다.
배기밸브체(160)는 마스크(110) 내에 설치되어 마스크(110)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성을 갖는 코틀부재(110a)에 고정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코틀부재(110a)는 사람의 입 부근을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기밸브체(160)와의 조립시 상기 배기밸브체(160)를 견고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기밸브체(16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착용자가 정화통(P)을 통해 걸러진 공기를 흡입한 후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밸브몸체(162)와, 흡입방지막(164), 그리고, 커버(166)로 이루어진다.
밸브몸체(16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크(110)를 관통하도록 위치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마스크(110) 내에 위치되도록 하고, 타단은 마스크(110)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밸브몸체(162)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전성기(17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며,상기 마스크(110) 내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양 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덧붙여,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마스크(110) 내에 위치된 밸브몸체(162)의 일단으로부터 외부에 위치된 타단으로 향할수록 확장되게 형성된다.
즉, 착용자가 상기 마스크(110)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밸브몸체(162)를 통해 호흡을 배출하면 공기가 확산될 수 있게 된다. 즉, 공간적으로 소리가 규칙적으로 흘러가도록 함으로써, 유동이 원활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마스크(110)의 내측에 위치된 밸브몸체(162)의 일단에는 흡입방지막(164)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지지부(163)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63)는 복수개의 통공(163b)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흡입방지막(164)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 끼움공(163a)이 형성된다.
상기 흡입방지막(164)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면에 상기 지지부(163)의 끼움공(163a)에 삽입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결합돌기(16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흡입방지막(164)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되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마스크(110) 내에서 호흡을 배출할 경우 바람에 의해 구부러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커버(166)는 상기 마스크(110)의 외부에 위치되는 밸브몸체(162) 타단에 끼움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166)는 상하부에 각각 끼움돌기(167)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대응되는 밸브몸체(162)에는 상기 끼움돌기(167)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끼움홈(162a)이 형성되어 상기 밸브몸체(162)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166)의 전면에는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한 복수개의 통공(166a)이 형성된다.
또한, 커버(166)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결합봉(168)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봉(168)은 후술하는 전성기(17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봉(168)은 상기 밸브몸체(162)의 수용공간 내에 위치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166)의 일측에 3개의 결합봉(168)을 구비하여 삼각형 형태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후술하는 전성기(170)가 상기 결합봉(168)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한다.
전성기(170)는 일측이 돔 형태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상기 돔 형태로 볼록하게 형성된 부분은 배출되는 소리가 부드럽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돔 형태로 형성된 전성기(170)의 타측에는 배출되는 소리를 안내하는 복수개의 가이드(172) 및 상기 가이드(172)의 중앙으로 함몰되게 중공부(174)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172) 및 중공부(174)는 상기 흡입방지막(164)을 통해 배출된 공기 흐름을 안내하여 외측으로 향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172)는 흡입방지막(164)과 전성기(170) 사이에서 발생하는 노이즈 발생을 억제한다.
구체적으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110) 내에서 착용자가 소리를 내게 되면 상기 흡입방지막(164)이 구부러지면서 공기가 유동되게 된다. 이때, 구부러진 흡입방지막(164)이 상기 전성기(170)의 하부측에 접촉되면서 난류가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밸브몸체(162) 내에 파장이 심해지는 등 소음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게 되는데, 이때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172) 및 중공부(174)가 화살표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여 난류를 상쇄시킴으로서, 노이즈 발생을 억제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돔 형태로 이루어진 전성기(170)에는 상술한 커버(166)의 결합봉(168)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봉(168)과 대응되게 결합공(176)이 형성된다.
즉, 상기 커버(166)의 결합봉(168)이 상기 결합공(176) 내측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전성기(170)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용 음성전달 모듈(150)의 결합방법 및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음성전달 모듈(150)은 착용자의 안면을 보호할 수 있도록 마련된 마스크(110)에 밸브조립체(160)의 밸브몸체(162)를 관통되게 결합한 후 내측에 위치된 밸브몸체(162)를 코틀부재(110a)에 고정설치한다.
이후 상기 밸브몸체(162)에 형성된 지지부(163)의 끼움공(163a)에 흡입방지막(164)의 결합돌기(165)를 삽입하여 끼움 결합한다.
이후 커버(166)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결합봉(168)에 전성기(170)를 고정결합시킨다.
이후 전성기(170)가 결합된 커버(166)를 밸브몸체(162)에 결합하여 결합을 완료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독면용 음성전달 모듈(150)은 상기와 같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 음성진동판 및 스피커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음성전달 모듈(150) 내로 음성이 전달되어 확성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우선 착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전달 모듈(150)이 설치된 방독면(100)을 착용한 상태에서 말을 하여 소리를 발생시키면, 압력에 의해 상기 흡입방지막(164)이 일방향으로 구부러져 소리가 밸브몸체(162) 내로 유입되게 된다.
이후 유입된 소리는 밸브몸체(162) 내에 마련된 전성기(170)와 일측으로 확장되게 형성된 수용공간을 통해 소리가 확성되어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음성진동판 및 스피커를 마련하지 않고도 마스크(110) 외부로 배출되는 소리를 확성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인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0 : 방독면 110 : 마스크
110a : 코틀부재 120 : 투시창
130 : 정화통 장착부 140 : 밴딩부
150 : 음성전달 모듈 160 : 배기밸브체
162 : 밸브몸체 163 : 지지부
163a : 끼움공 163b : 통공
164 : 흡입방지막 166 : 커버
167 : 끼움돌기 168 : 결합봉
170 : 전성기 172 : 가이드
174 : 중공부 176 : 결합공
P : 정화통

Claims (3)

  1. 마스크와, 상기 마스크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오염된 공기를 걸러줄 수 있도록 한 정화통이 택일적으로 장착가능한 정화통 장착부와, 착용자의 호흡을 배기할 수 있도록 한 배기밸브체로 이루어진 방독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마스크에 관통되게 설치되며 양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에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지지부가 구비되는 밸브몸체;
    상기 지지부에 일부가 끼움결합되어 택일적으로 상기 통공을 개폐하는 흡기방지막;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한 복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며 일측면이 상기 밸브몸체와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일측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결합봉에 의해 상기 밸브몸체 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이 돔 형태로 블록하게 형성되는 전성기를 포함하는 방독면용 음성전달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며 상기 마스크 내에 위치된 일단으로부터 외부위 위치된 타단으로 향할수록 확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용 음성전달 모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성기는
    일측이 돔 형태로 형성되며, 타측에 소리의 흐름을 안내하는 복수개의 가이드 및 상기 가이드의 중앙으로 함몰되게 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용 음성전달 모듈.
KR1020100060609A 2010-06-25 2010-06-25 방독면용 음성전달 모듈 KR201200003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609A KR20120000306A (ko) 2010-06-25 2010-06-25 방독면용 음성전달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609A KR20120000306A (ko) 2010-06-25 2010-06-25 방독면용 음성전달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306A true KR20120000306A (ko) 2012-01-02

Family

ID=45608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609A KR20120000306A (ko) 2010-06-25 2010-06-25 방독면용 음성전달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030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9661A (ko) * 2016-11-03 2018-05-11 한명일 방독면
KR200486429Y1 (ko) * 2017-11-01 2018-05-16 주식회사 산청 방독면용 확성기
KR101953988B1 (ko) * 2017-08-31 2019-03-04 프랭크 자우어 소리를 전달할 수 있는 통기성 마스크
WO2019043619A1 (en) * 2017-09-01 2019-03-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SPIRATOR
WO2019043620A1 (en) * 2017-09-01 2019-03-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SPIRATOR
WO2019198842A1 (ko) * 2018-04-12 2019-10-17 한명일 방독면
KR20200138860A (ko) * 2019-06-03 2020-12-11 주식회사 티앤테크 확성기 기능을 구비한 방진 마스크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9661A (ko) * 2016-11-03 2018-05-11 한명일 방독면
KR101953988B1 (ko) * 2017-08-31 2019-03-04 프랭크 자우어 소리를 전달할 수 있는 통기성 마스크
WO2019043619A1 (en) * 2017-09-01 2019-03-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SPIRATOR
WO2019043620A1 (en) * 2017-09-01 2019-03-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SPIRATOR
CN111050857A (zh) * 2017-09-01 2020-04-21 3M创新有限公司 呼吸器
CN111065441A (zh) * 2017-09-01 2020-04-24 3M创新有限公司 呼吸器
CN115025412A (zh) * 2017-09-01 2022-09-09 3M创新有限公司 呼吸器
KR200486429Y1 (ko) * 2017-11-01 2018-05-16 주식회사 산청 방독면용 확성기
WO2019198842A1 (ko) * 2018-04-12 2019-10-17 한명일 방독면
KR20200138860A (ko) * 2019-06-03 2020-12-11 주식회사 티앤테크 확성기 기능을 구비한 방진 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0306A (ko) 방독면용 음성전달 모듈
JP7426001B2 (ja) 音声伝達機能を備えた呼吸用マスク
EP2186205B1 (en) Communication privacy mask
KR20150110582A (ko) 호흡기 마스크 음성 향상 장치 및 방법
US9833644B2 (en) Air purification respirator voice amplifier
JP2018531104A6 (ja) 音声伝達機能を備えた呼吸用マスク
US20210370108A1 (en) Devices for preventing inhalation of, exposure to, airborne material
US20230356010A1 (en) Head encapsulation unit
KR20200131782A (ko) 비말유입을 차단하며 필터 교체가 가능한 위생마스크
KR20110106728A (ko) 블루투스 단말기가 장착된 방진 마스크
KR20210011648A (ko) 다목적용 방진 마스크
KR101547601B1 (ko) 휴대용 방연/방독 마스크
CN211672579U (zh) 一种可透音的防护口罩
CN215505206U (zh) 防护面罩
JP5927667B2 (ja) マスク
KR102401356B1 (ko) 마스크
WO2021235385A1 (ja) 防護具の防護具本体及び防護具
KR20220063015A (ko) 웨어러블 공기 청정기
CN112933451A (zh) 防护面罩
KR20200117929A (ko) 비말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위생 마스크
CN218420701U (zh) 一种语音防护面罩及呼吸装置
JP6292840B2 (ja) 航空機搭乗員用マスク
KR200410466Y1 (ko) 액세서리 타입 방진 방독 코마개
US20230405370A1 (en) Full head encapsulation solar powered respirator
US20210387027A1 (en) Ventilation and Audio Mask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