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466Y1 - 액세서리 타입 방진 방독 코마개 - Google Patents

액세서리 타입 방진 방독 코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466Y1
KR200410466Y1 KR2020050035347U KR20050035347U KR200410466Y1 KR 200410466 Y1 KR200410466 Y1 KR 200410466Y1 KR 2020050035347 U KR2020050035347 U KR 2020050035347U KR 20050035347 U KR20050035347 U KR 20050035347U KR 200410466 Y1 KR200410466 Y1 KR 2004104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nose
vent pipe
accessory type
access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53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관순
Original Assignee
임관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관순 filed Critical 임관순
Priority to KR20200500353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4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4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4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8Inhaling devices inserted into the 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4Check- or non-retur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75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18N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필터가 액세서리 타입으로 콧속이 아닌 외부에 배치되므로 필터 용량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어 공기청정, 제독 및 살균기능을 충분히 확보하고 이에 따라 유해환경에서 호흡기관을 보호하는 품질특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며, 유희감을 주어 착용 거부감을 줄이고 착용 및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는 액세서리 타입 방진 방독 코마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인체의 콧속으로 삽입되는 코삽입부와 외부로 노출되는 필터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코삽입부의 전방에는 날숨 배출을 위한 제1체크밸브가 설치되는 통기관과, 상기 통기관의 필터연결부에 장착되는 공기정화용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상기 통기관은 엘보우형태로 대향하여 양측으로 설치되며 유연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양측 엘보우형 통기관 사이에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코의 격벽에 착탈되는 취부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필터연결부에는 들숨 흡입을 위한 제2체크밸브가 설치되며 선단부에 상기 필터가 수용되기 위한 필터하우징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세서리 타입 방진 방독 코마개{A ACCESSORY-TYPE NOSE MASK FOR DUSTPROOF AND ANTI-GA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일 실시예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일 실시예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고안의 액세서리 타입 방진 방독 코마개
10: 통기관 11: 코삽입부 12: 에어챔버
13: 필터연결부 15: 제1체크밸브 16: 제2체크밸브
17: 필터하우징 30: 필터 50: 취부수단
71: 마우스피스 90: 방독면
본 고안은 액세서리 타입 방진 방독 코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필터가 액세서리 타입으로 콧속이 아닌 외부에 배치되므로 필터 용량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어 공기청정, 제독 및 살균기능을 충분히 확보하고 이에 따라 유해환경에서 호흡기관을 보호하는 품질특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며, 유희감을 주어 착용 거부감을 줄이고 착용 및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는 액세서리 타입 방진 방독 코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마개는 분진이 많이 발생하는 산업현장에서 주로 사용되었으나 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공기오염이 심각한 지하철역 구내나 복잡한 시내, 또는 화재현장과 같은 곳에서 유독성 가스나 공기중 떠다니는 먼지, 세균 등 유해물질의 호흡기관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코마개의 종래 기술은 콧속에 삽입되는 삽입체 내에 상기 유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가 구비되는 한편 들숨은 필터를 경유하여 유입되고 날숨은 방해받지 않도록 하는 체크밸브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필터가 한정된 공간인 콧속 삽입체 내에 설치됨으로써 필터 및 여과용량이 미흡하여 방진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필터가 액세서리 타입으로 콧속이 아닌 외부에 배치되므로 필터 용량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어 공기청정, 제독 및 살균기능을 충분히 확보하고 이에 따라 유해환경에서 호흡기관을 보호하는 품질특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도록 하는 액세서리 타입 방진 방독 코마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필터가 액세서리처럼 유희감을 주어 착용에 대한 저항감을 줄여주고 착용 및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는 액세서리 타입 방진 방독 코마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액세서리 타입 방진 방독 코마개는,
인체의 콧속으로 삽입되는 코삽입부와 외부로 노출되는 필터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코삽입부의 전방에는 날숨 배출을 위한 제1체크밸브가 설치되는 통기관과, 상기 통기관의 필터연결부에 장착되는 공기정화용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통기관은 엘보우형태로 대향하여 양측으로 설치되며 유연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양측 엘보우형 통기관 사이에는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코의 격벽에 착탈되는 취부수단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필터연결부에는 들숨 흡입을 위한 제2 체크밸브가 설치되며 선단부에 상기 필터가 수용되기 위한 필터하우징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액세서리 타입 방진 방독 코마개 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액세서리 타입 방진 방독 코마개(1)는 인체의 콧속으로 삽입되는 코삽입부(11)와 외부로 노출되는 필터연결부(13)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코삽입부(11)의 전방에는 날숨 배출을 위한 제1체크밸브(15)가 설치되는 통기관(10)과, 상기 통기관(10)의 필터연결부(13)에 장착되는 공기정화용 필터(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필터(30)는 활성탄 등의 제독물질이 포함되어 여과기능과 함께 세균과 같은 유해물질의 방독 및 살균기능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통기관(10)은 엘보우형태로 대향하여 양측으로 설치되며 유연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양측 엘보우형 통기관(10) 사이에는 연결부(18)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코의 격벽에 착탈되는 취부수단(50)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통기관(10)은 각각 분리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취부수단(50)은 스프링을 이용하는 클립형태로 이루어지며, 피부에 닿는 부분은 완충패킹(51)이 부여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터연결부(13)에는 들숨 흡입을 위한 제2체크밸브(16)가 설치되 며 선단부에 상기 필터(30)가 수용되기 위한 필터하우징(17)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통기관의 필터연결부(13)는 귓바퀴에 걸 수 있도록 연장형성되고 일부 구간에 가요성 심재(14)가 부설될 수도 있다. 상기 가요성 심재(14)는 예컨대 금속 와이어를 비롯하여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하우징(17)에는 착용자의 머리나 의복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17a)이 더 구비될 수 있다(도 3a 내지 도 3c 참조).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기관(10)은 전방에 상기 제1체크밸브(15)가 하나 이상 구비된 에어챔버(12)의 양측으로 상기 코삽입부(11)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연결부(13)가 상향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필터하우징(17')은 콧잔등에 안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필터하우징은 콧잔등에서 흘러내리지 않도록 점착부(17c)가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필터하우징의 일부는 망체(17d)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기관의 필터연결부(13)에는 마우스연결관(72)이 티이(T)이음 연결되고 상기 마우스연결관(72)의 선단부에는 전방에 상기 제1체크밸브(15)가 구비된 마우스피스(7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우스연결관(72)은 통기관(10)에 일체 또는 분리 결합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기관(10)과 필터(30) 및 마우스피스 (71)를 포함하는 코마개는 시야가 확보되는 방독면(90)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방독면은 투명비닐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고안에 따른 액세서리 타입 방진 방독 코마개(1)의 작용상태를 살펴본다.
본 고안은 필터(30)가 콧속이 아닌 외부에 설치됨으로써 필터 용량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음으로 충분히 여과, 제독 및 살균된 청정공기를 호흡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코삽입부(11) 전방에는 내뱉는 날숨 배출방향으로만 열리는 제1체크밸브(15)가 설치되고 필터연결부(13)에는 들이쉬는 들숨 방향으로만 열리는 제2체크밸브(16)가 구비됨으로써 날숨에 의하여 필터(30)가 젖는 것이 방지되고 호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필터(30)를 예컨대 인조수염 또는 콧잔등에 안착시키는 등 액세서리처럼 구성함으로써 유희감을 주고 착용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으며, 유연재로 형성되는 상기 필터연결부(13)를 연장하여 귓바퀴에 걸어 고정할 경우 착용이 용이하다. 이때 상기 가요성 심재(14)는 귓바퀴에 닿는 부분에 안경다리처럼 부설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하우징(17)에 핀과 같은 고정수단(17a)을 구비하여 착용자의 머리에 꽂거나 옷에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화재현장 및 산업현장은 물론이고, 지하철역 구내, 지 하상가 등과 같이 분진문제가 심각한 공간에서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다.
또한, 마우스피스(71)가 추가 연결될 경우 코와 함께 입까지 방진커버되어 유해환경에서 호흡기관을 완벽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본 고안이 방독면(90)에 결합될 경우 방독면을 보다 가볍고 적은 체적으로 만들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액세서리 타입 방진 방독 코마개는 필터가 액세서리 타입으로 콧속이 아닌 외부에 배치되므로 필터 용량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어 공기청정, 제독 및 살균기능을 충분히 확보하고 이에 따라 유해환경에서 호흡기관을 보호하는 품질특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필터가 액세서리처럼 구성되어 유희감을 줄 수도 있으며, 유연재질로 되어 착용 및 휴대가 간편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마우스피스가 추가되고 방독면에 설치될 경우 방독면을 보다 가볍고 적은 체적으로 만들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인체의 콧속으로 삽입되는 코삽입부(11)와 외부로 노출되는 필터연결부(13)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코삽입부(11)의 전방에는 날숨 배출을 위한 제1체크밸브(15)가 설치되는 통기관(10)과, 상기 통기관(10)의 필터연결부(13)에 장착되는 공기정화용 필터(3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타입 방진 방독 코마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관(10)은 엘보우형태로 대향하여 양측으로 설치되며 유연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양측 엘보우형 통기관(10) 사이에는 연결부(18)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는 코의 격벽에 착탈되는 취부수단(5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타입 방진 방독 코마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연결부(13)에는 들숨 흡입을 위한 제2체크밸브(16)가 설치되며 선단부에 상기 필터(30)가 수용되기 위한 필터하우징(17)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타입 방진 방독 코마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하우징(17)에는 착용자의 머리나 의복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17a)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타입 방진 방독 코마개.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관의 필터연결부(13)는 귓바퀴에 걸 수 있도록 연장형성되고 일부 구간에 가요성 심재(14)가 부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타입 방진 방독 코마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관(10)은 전방에 상기 제1체크밸브(15)가 하나 이상 구비된 에어챔버(12)의 양측으로 상기 코삽입부(11)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연결부(13)가 상향 설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필터하우징(17')은 콧잔등에 안착되는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타입 방진 방독 코마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관의 필터연결부(13)에는 마우스연결관(72)이 티이(T)이음 연결되고 상기 마우스연결관(72)의 선단부에는 전방에 상기 제1체크밸브(15)가 구비된 마우스피스(71)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타입 방진 방독 코마개.
  8.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관(10)과 필터(30) 및 마우스피스(71)를 포함하는 것은 시야가 확보되는 방독면(90)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서리 타입 방진 방독 코마개.
KR2020050035347U 2005-12-15 2005-12-15 액세서리 타입 방진 방독 코마개 KR2004104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347U KR200410466Y1 (ko) 2005-12-15 2005-12-15 액세서리 타입 방진 방독 코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347U KR200410466Y1 (ko) 2005-12-15 2005-12-15 액세서리 타입 방진 방독 코마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3939 Division 2005-12-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466Y1 true KR200410466Y1 (ko) 2006-03-09

Family

ID=41760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347U KR200410466Y1 (ko) 2005-12-15 2005-12-15 액세서리 타입 방진 방독 코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4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144B1 (ko) * 2016-07-08 2018-01-17 이명호 정화공기공급수단이 구비된 안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9144B1 (ko) * 2016-07-08 2018-01-17 이명호 정화공기공급수단이 구비된 안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8311B2 (ja) 改良型呼吸装置
KR102173429B1 (ko) 산소 증강형 미세 먼지 제거 마스크
US20080223370A1 (en) Dustproof mask
US20100108071A1 (en) Apparatuses to filter air
JP2016506791A (ja) 清浄空気吸入室を有する呼吸用マスク
KR100887496B1 (ko) 코 마스크
PL1962964T3 (pl) Filtrująca maska na twarz z jednokierunkowym zaworem posiadającym sztywną nienaprężoną giętką klapkę
CN104105528A (zh) 多功能口罩
KR20120033615A (ko) 다기능 마스크
JP2018504205A (ja) 呼吸装置
KR20150115154A (ko) 초미세 먼지용 다목적 마스크
CN113873909B (zh) 佩戴式空气净化系统
KR20120000306A (ko) 방독면용 음성전달 모듈
JP2011200421A (ja) マスク
KR20110106728A (ko) 블루투스 단말기가 장착된 방진 마스크
KR101294333B1 (ko) 구난호흡기
KR200410466Y1 (ko) 액세서리 타입 방진 방독 코마개
KR20070064746A (ko) 방진마스크
KR200389362Y1 (ko) 습기방지용 안면 마스크
WO2001045797A1 (ko) Compact multipurpose dustproof mask
KR200321106Y1 (ko) 휴대용 비상 호흡기
CN203400428U (zh) 随身呼吸空气过滤器
KR20210101551A (ko) 마스크
KR20220114464A (ko) 마스크
CN218356974U (zh) 一种新型高效防护过滤鼻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