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9661A - 방독면 - Google Patents

방독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9661A
KR20180049661A KR1020160145868A KR20160145868A KR20180049661A KR 20180049661 A KR20180049661 A KR 20180049661A KR 1020160145868 A KR1020160145868 A KR 1020160145868A KR 20160145868 A KR20160145868 A KR 20160145868A KR 20180049661 A KR20180049661 A KR 20180049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sk
support frame
lenses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5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9708B1 (ko
Inventor
한명일
Original Assignee
한명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명일 filed Critical 한명일
Priority to KR1020160145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708B1/ko
Publication of KR20180049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9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06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with pumps for forced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2Assembling eyepieces, lenses or vision-correction means in or on gas-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6Adaptations for consuming refreshments without unmask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독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독면의 내부공기를 원활하게 유도하여 배출시키므로 렌즈에 김서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렌즈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방독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얼굴 전체를 감싸주는 마스크와, 시야를 확보해주는 렌즈와, 호흡가스를 마스크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부와, 마스크 내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통 및 상기 마스크 내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입과 코부분을 별도로 감싸 들숨과 날숨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 포켓부를 포함하는 방독면에 있어서, 상기 렌즈를 지지해주는 지지프레임; 상기 렌즈의 상부 영역에서 지지프레임에 마련되어 마스크 내부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시킴과 동시에 배출되는 공기를 렌즈의 외표면으로 분사하여 렌즈의 김서림을 방지하면서 렌즈의 외표면에 묻는 이물질을 제거해주는 공기배출 및 이물질제거장치; 상기 공기배출 및 이물질제거장치와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 및 차단하여 온/오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 및 상기 포켓부의 외측에 설치되어 정화통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들이마셔 내뱉은 호흡가스를 마스크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해주는 공기배출부;를 포함하는 방독면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방독면{Gas mask}
본 발명은 방독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독면의 내부공기를 원활하게 유도하여 배출시키므로 렌즈에 김서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렌즈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방독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독면은 유독가스 및 유해물질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통상 군인, 경찰 소방 및 유해 환경에서 근무하는 근무자에 의해 사용된다.
상술한 방독면은 유독가스 및 유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된 지역에서 착용자가 불편함 없이 호흡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얼굴을 감싸는 마스크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렌즈와, 상기 마스크의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로 음성전달 및 착용자의 호흡가스가 마스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배기밸브와, 마스크 내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방독면은 유독가스 및 유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된 지역에서 착용자가 불편함 없이 호흡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정화통을 이용하여 오염된 공기를 걸러낸 후 흡기유닛을 통해 숨을 들이쉬고, 상기 배기유닛을 통해 착용자가 흡입한 공기를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오염된 지역에서도 안전하게 호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마스크 내에는 착용자의 코와 입을 감싸주어 원활한 호흡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포켓부가 마련된다. 상기 포켓부는 착용자가 호흡시 들이마시는 들숨과 내뱉는 날숨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신선한 공기를 흡입한 후 내뱉는 이산화탄소가 마스크 내에 잔류하지 않고 전량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착용자로 하여금 호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마스크는 내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렌즈의 내측 표면에 습기에 의한 김서림이 발생하여 시야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렌즈에 김서림이 발생되면 근무 또는 작업 중에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정밀작업의 수행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9007045호가 등록된 바 있다.
본 발명은 방독면의 내부공기를 원활하게 유도하여 배출시키므로 렌즈에 김서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렌즈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방독면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얼굴 전체를 감싸주는 마스크와, 시야를 확보해주는 렌즈와, 호흡가스를 마스크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부와, 마스크 내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통 및 상기 마스크 내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입과 코부분을 별도로 감싸 들숨과 날숨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 포켓부를 포함하는 방독면에 있어서, 상기 렌즈를 지지해주는 지지프레임; 상기 렌즈의 상부 영역에서 지지프레임에 마련되어 마스크 내부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시킴과 동시에 배출되는 공기를 렌즈의 외표면으로 분사하여 렌즈의 김서림을 방지하면서 렌즈의 외표면에 묻는 이물질을 제거해주는 공기배출 및 이물질제거장치; 상기 공기배출 및 이물질제거장치와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 및 차단하여 온/오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 및 상기 포켓부의 외측에 설치되어 정화통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들이마셔 내뱉은 호흡가스를 마스크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해주는 공기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공기배출 및 이물질제거장치는 상기 마스크의 내부 공기를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해주는 공기배출수단;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외측에 걸쳐 배치되어 공기배출수단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렌즈의 외표면에 분사시켜 이물질을 제거해주는 이물질제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공기배출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배치되며, 상하면에 개구홀이 형성되는 팬 덕트; 상기 팬 덕트 내에 구비되는 공기순환팬; 상기 공기순환팬을 회전시키는 팬 모터; 상기 지지프레임 내에 마련되어 팬 모터에 동력을 제공하는 베터리; 상기 팬 덕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면에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단 중앙에 핀으로 고정되어 복수 개의 통공을 덮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는 개폐밸브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외측에 걸쳐 배치되되, 일측에는 상기 공기배출수단를 덮어주도록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덕트부와, 타측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수직으로 배치되며, 돌출단부가 렌즈의 외표면을 향하는 수직덕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덕트부의 내부에는 공기배출수단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원활하게 수직덕트부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해주는 가이드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밸브부재는 얇은 연질의 실리콘 또는 고무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배출부는 복수 개의 배출공이 형성되고, 이 복수 개의 배출공을 덮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는 개폐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개폐부재는 포켓부의 외면에 구비되어 들숨은 차단하고 날숨만이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독면의 내부공기를 원활하게 유도하여 배출시켜주어 렌즈에 김서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렌즈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 전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의 지지프레임에 공기배출 및 이물질제거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공기배출 및 이물질제거장치가 작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의 공기배출 및 이물질제거장치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의 공기배출수단이 작동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의 공기배출수단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의 포켓부에 개폐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를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의 방독면(1)은 얼굴 전체를 감싸주는 마스크(2)와, 시야를 확보해주는 렌즈(3)와, 호흡가스를 마스크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부(4)와, 마스크(2) 내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통(5) 및 상기 마스크(2) 내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입과 코부분을 별도로 감싸 들숨과 날숨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 포켓부(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방독면(1)은 내부공기를 원활하게 유도하여 배출시키므로 렌즈에 김서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렌즈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지지프레임(100), 공기배출 및 이물질제거장치(200), 전원스위치(300), 공기배출부(400)가 포함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렌즈(3)를 지지해주는 구조물이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100)은 플라스틱의 사출물일 수 있다.
이러한 지지프레임(100)은 렌즈(3)를 보호하기 위해 렌즈(3)의 둘레에 배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지지프레임(100)은 공기배출 및 이물질제거장치(200)가 배치되는 상부가 하부보다 두껍게 제작된다. 따라서 공기배출 및 이물질제거장치(200)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편리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공기배출 및 이물질제거장치(200)는 렌즈(3)의 상부 영역에서 지지프레임(100)에 마련되어 마스크(2) 내부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시킴과 동시에 배출되는 공기를 렌즈(3)의 외표면으로 분사하여 렌즈(3)의 김서림을 방지하면서 렌즈(3)의 외표면에 묻는 이물질을 제거해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공기배출 및 이물질제거장치(200)는 상기 마스크(2)의 내부 공기를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해주는 공기배출수단(210)이 포함된다.
더하여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내외측에 걸쳐 배치되어 공기배출수단(210)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렌즈(3)의 외표면에 분사시켜 이물질을 제거해주는 이물질제거수단(220)이 포함된다.
상기 공기배출수단(210)은 팬 덕트(211)와, 공기순환팬(212)과, 팬 모터(213)와, 베터리(214)와, 몸체부(215) 및 개폐밸브부재(216)를 포함한다.
상기 팬 덕트(211)는 지지프레임(100)의 내측에 형성되는 개구부(110)에 배치된다.
또한, 팬 덕트(211)의 상하면에는 개구홀(211a)이 형성된다. 따라서 공기순환팬(212)이 가동되면 마스크(2)의 내부공간에 위치되는 공기는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팬 덕트(211)의 개구홀을 통해 배출되어 이물질제거수단(220)으로 향할 수 있다.
상기 공기순환팬(212)은 팬 덕트(211) 내에 마련되는 팬(fan)이다. 전술한 것처럼 회전시 마스크(2)의 내부공간에 위치되는 공기가 개구홀(211a)을 통해 배출되도록 공기 흐름을 형성시킨다.
상기 팬 모터(213)는 공기순환팬(212)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팬 모터(213)는 전원스위치(300)와 케이블 연결되어 전원스위치(300)의 온/오프 제어에 따라 구동된다.
상기 배터리(214)는 지지프레임(100) 내에 마련되어 팬 모터(213)에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배터리(214)는 교체 가능하도록 착탈식 또는 충전고정식으로 배치되되, 착탈식일 경우에는 지지프레임(100)의 상부에 배터리(214)를 교체하기 위한 도어(도면에 미도시함)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214)가 충전고정식일 경우 지지프레임에 마련된 충전용 USB 단자(도면에 미도시함)를 통해 충전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215)는 팬 덕트(211)의 상부에 배치되어 팬 덕트(211)의 개구홀(211a)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어 재차 배출시키도록 복수 개의 통공(215a)이 형성된다.
상기 개폐밸브부재(216)는 몸체부(215)의 상단에 고정핀(217)에 의해 고정되어 몸체부(215)에 형성된 복수 개의 통공(215a)을 덮어주어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밀폐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것으로, 상기 개폐밸브부재(216)는 얇은 연질의 실리콘 또는 고무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개폐밸부재(216)는 공기순환팬(212)이 작동됨에 따라 몸체부(215)의 통공(215a)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공기압에 의해 상향으로 뒤집히면서 통공(215a)으로 마스크(2) 내의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되었다가 공기순환팬(212)의 작동이 멈추면 뒤집힌 개폐밸브부재(216)가 하강하여 복원되어 통공(215a)을 덮어주므로 통공(215a)으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시켜 준다.
상기 이물질제거수단(220)은 지지프레임(100)의 내외측에 걸쳐 배치되어 공기배출수단(210)부터 배출되는 마스크(2) 내의 공기가 렌즈(3)로 원활하게 이동시켜 렌즈(3)의 외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한 것으로, 상기 이물질제거수단(220)의 일측에는 공기배출수단(210)을 덮어주도록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덕트부(22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지지프레임(100)의 저면으로 돌출되도록 수직으로 배치되며, 돌출단부가 렌즈(3)의 외표면을 향하는 수직덕트부(22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수평덕트부(221)의 내부에는 공기배출수단(210)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원활하게 수직덕트부(222)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해주는 가이드판(22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스위치(300)는 공기배출 및 이물질제거장치(200)와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 및 차단하여 온/오프 제어하는 것으로, 지지프레임(100)의 상단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스위치(300)를 도면상에서는 지지프레임(100)에 일체로 설치되어 버튼식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별도의 무선리모컨(도면에 미도시함)을 통해 제어할 수도 있음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전술한 공기배출 및 이물질제거장치(200)가 도면상에서는 한 쌍으로 마련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길게 하나가 적용될 수도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배출부(400)는 포켓부(6)의 외측에 설치되어 정화통(5)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들이마셔 내뱉은 호흡가스를 마스크(2)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해주는 것으로, 상기 공기배출부(400)는 복수 개의 배출공(410)이 형성되고, 이 복수 개의 배출공(410)을 덮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는 개폐부재(4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420)는 전술한 개폐밸브부재(216)와 동일한 것으로, 상기 포켓부(6)의 외면에 구비되어 들숨은 차단하고 날숨만이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즉, 착용자가 정화통(5)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들이마신 후 내뱉는 날숨에 의해 개폐부재(420)가 뒤집혔다가 바로 복원되어 배출공(410)을 덮어주므로 마스크(2) 내에 공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마스크(2) 내의 공기가 포켓부(6)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주어 마스크(2) 내에 공기가 항상 잔류되도록 하여 공기배출 및 이물질제거장치(200)를 통해 마스크(2) 내의 공기를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방독면(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착용자가 방독면(1)을 착용하고 일정시간이 지나 렌즈(3)에 김서림이 발생하면, 착용자가 전원스위치(300)을 눌러 팬 모터(213)를 구동시킴에 따라 공기순환팬(212)이 가동되면 마스크(2)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공기는 도 3에 도시된 화살표방향을 따라 팬 덕트(211)의 개구홀(211a)을 거쳐 몸체부(215)에 형성된 복수 개의 통공(215a)으로 재차 배출되어 이물질제거수단(220)으로 향할 수 있다. 따라서 렌즈(3)의 김서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포켓부(6)에 구비된 공기배출부(400)를 통해 마스크(2)의 내부공간에 공기를 지속적으로 제공해주므로 공기배출수단(210)을 통해 마스크(2)의 내부공간의 공기를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이물질제거수단(220)으로 향하는 공기는 렌즈(3)의 외표면을 향하는 수직덕트부(222)의 돌출단부를 통해 분사되어 렌즈(3)의 외표면으로 향하게 된다. 따라서 렌즈(3)의 외표면에 묻는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이물질이 렌즈(3)의 외표면에 묻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 방독면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1 : 방독면
100 : 지지프레임
110 : 개구부
200 : 공기배출 및 이물질제거장치
210 : 공기배출수단 211 : 팬 덕트 211a : 개구홀
212 : 공기순환팬 213 : 팬 모터 214 : 베터리 215 : 몸체부
215a : 통공 216 : 개폐밸브부재 217 : 고정핀
220 : 이물질제거수단 221 : 수평덕트부 221a : 가이드판
222 : 수직덕트부
300 : 전원스위치
400 : 공기배출부
410 : 배출공 420 : 개폐부재

Claims (5)

  1. 얼굴 전체를 감싸주는 마스크와, 시야를 확보해주는 렌즈와, 호흡가스를 마스크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부와, 마스크 내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통 및 상기 마스크 내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입과 코부분을 별도로 감싸 들숨과 날숨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 포켓부를 포함하는 방독면에 있어서,
    상기 렌즈를 지지해주는 지지프레임;
    상기 렌즈의 상부 영역에서 지지프레임에 마련되어 마스크 내부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시킴과 동시에 배출되는 공기를 렌즈의 외표면으로 분사하여 렌즈의 김서림을 방지하면서 렌즈의 외표면에 묻는 이물질을 제거해주는 공기배출 및 이물질제거장치;
    상기 공기배출 및 이물질제거장치와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 및 차단하여 온/오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 및
    상기 포켓부의 외측에 설치되어 정화통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들이마셔 내뱉은 호흡가스를 마스크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해주는 공기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 및 이물질제거장치는,
    상기 마스크의 내부 공기를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해주는 공기배출수단;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외측에 걸쳐 배치되어 공기배출수단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렌즈의 외표면에 분사시켜 이물질을 제거해주는 이물질제거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공기배출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배치되어 상하면에 개구홀이 형성되는 팬 덕트;
    상기 팬 덕트 내에 구비되는 공기순환팬;
    상기 공기순환팬을 회전시키는 팬 모터;
    상기 지지프레임 내에 마련되어 팬 모터에 동력을 제공하는 베터리;
    상기 팬 덕트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면에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단 중앙에 핀으로 고정되어 복수 개의 통공을 덮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는 개폐밸브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외측에 걸쳐 배치되되, 일측에는 상기 공기배출수단를 덮어주도록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덕트부와, 타측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전면으로 돌출되도록 수직으로 배치되며, 돌출단부가 렌즈의 외표면을 향하는 수직덕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덕트부의 내부에는 공기배출수단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원활하게 수직덕트부로 이동되도록 가이드해주는 가이드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부재는 얇은 연질의 실리콘 또는 고무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부는 복수 개의 배출공이 형성되고, 이 복수 개의 배출공을 덮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는 개폐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개폐부재는 포켓부의 외면에 구비되어 들숨은 차단하고 날숨만이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독면.
KR1020160145868A 2016-11-03 2016-11-03 방독면 KR102099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868A KR102099708B1 (ko) 2016-11-03 2016-11-03 방독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868A KR102099708B1 (ko) 2016-11-03 2016-11-03 방독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661A true KR20180049661A (ko) 2018-05-11
KR102099708B1 KR102099708B1 (ko) 2020-04-10

Family

ID=62185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868A KR102099708B1 (ko) 2016-11-03 2016-11-03 방독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7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8842A1 (ko) * 2018-04-12 2019-10-17 한명일 방독면
CN111744119A (zh) * 2020-04-22 2020-10-09 于奎 基于多道过滤功能的供排气式口罩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2443Y1 (ko) * 1996-10-11 1999-06-01 이건 방독면용 흡기막의 개방간격 유지장치
KR200343730Y1 (ko) * 2003-12-06 2004-03-09 박국현 방진 및 방독용 보안경
KR200446949Y1 (ko) * 2008-02-04 2009-12-17 주식회사 모아세이프 배기밸브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
KR20120000306A (ko) * 2010-06-25 2012-01-02 삼공물산 주식회사 방독면용 음성전달 모듈
KR20120033615A (ko) * 2010-09-30 2012-04-09 왕종문 다기능 마스크
KR20130063287A (ko) * 2011-12-06 2013-06-14 왕종문 다기능 마스크
US9007045B2 (en) 2009-06-19 2015-04-14 Mitsumi Electric Co., Ltd. Output device which supplies a current with improved transient response characteristic and reduced current consumption
KR200480344Y1 (ko) * 2016-02-24 2016-05-12 한명일 보안경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2443Y1 (ko) * 1996-10-11 1999-06-01 이건 방독면용 흡기막의 개방간격 유지장치
KR200343730Y1 (ko) * 2003-12-06 2004-03-09 박국현 방진 및 방독용 보안경
KR200446949Y1 (ko) * 2008-02-04 2009-12-17 주식회사 모아세이프 배기밸브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
US9007045B2 (en) 2009-06-19 2015-04-14 Mitsumi Electric Co., Ltd. Output device which supplies a current with improved transient response characteristic and reduced current consumption
KR20120000306A (ko) * 2010-06-25 2012-01-02 삼공물산 주식회사 방독면용 음성전달 모듈
KR20120033615A (ko) * 2010-09-30 2012-04-09 왕종문 다기능 마스크
KR20130063287A (ko) * 2011-12-06 2013-06-14 왕종문 다기능 마스크
KR200480344Y1 (ko) * 2016-02-24 2016-05-12 한명일 보안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8842A1 (ko) * 2018-04-12 2019-10-17 한명일 방독면
CN111744119A (zh) * 2020-04-22 2020-10-09 于奎 基于多道过滤功能的供排气式口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708B1 (ko) 2020-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9608B1 (ko) 전동 마스크
EP3077064B1 (en) An active venting system and devices incorporating active venting system
KR101925388B1 (ko) 에어마스크
US7178932B1 (en) Welding helmet
KR102136990B1 (ko) 2채널 공기공급 구조를 가지는 전동식 호흡 보호구
KR101865298B1 (ko) 화재대피용 라이프마스크
KR20120123969A (ko) 방진마스크
RU2301094C2 (ru) Противогаз
EP2486959B1 (en) Respiratory device
US20210308496A1 (en) Respiratory mask
KR20160121012A (ko) 팬모터를 구비한 마스크
KR200495663Y1 (ko) 공기 살균 보호 커버
WO2015084255A1 (en) An active venting system and devices incorporating active venting system
KR200485676Y1 (ko) 방진 마스크
KR20200104780A (ko) 공기제어 마스크
JP7417993B2 (ja) マスク用冷却装置およびマスク装置
KR20180049661A (ko) 방독면
KR102069369B1 (ko) 다기능 마스크
JP2007275190A (ja) 電動ファン付き呼吸用保護具
KR20120019069A (ko) 질식 방지를 위한 휴대용 산소호흡기
KR101914642B1 (ko) 안면 마스크
WO2019198842A1 (ko) 방독면
TWM532287U (zh) 主動排氣系統
KR20170000318U (ko) 마스크
KR102358720B1 (ko) 전면형 호흡용 보호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435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1022

Effective date: 202001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