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4780A - 공기제어 마스크 - Google Patents

공기제어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4780A
KR20200104780A KR1020190126643A KR20190126643A KR20200104780A KR 20200104780 A KR20200104780 A KR 20200104780A KR 1020190126643 A KR1020190126643 A KR 1020190126643A KR 20190126643 A KR20190126643 A KR 20190126643A KR 20200104780 A KR20200104780 A KR 20200104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wearer
air
mask body
suction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기
Original Assignee
김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기 filed Critical 김준기
Publication of KR20200104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7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6Adaptations for consuming refreshments without unmask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03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having means for creating a fresh air curtai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2Respiratory apparatus with fresh-air h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 및 공기가 배출되는 날숨 배기부를 형성하며, 착용자의 코와 입 부위를 커버하는 마스크 본체;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기 유입부에 마련되어, 상기 마스크 본체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기 날숨 배기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밸브; 및 상기 밸브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날숨 배기부의 닫힘 및 열림을 감지하여, 착용자의 들숨시 상기 흡입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제어 마스크{AIR CONTROL MASK}
본 발명은, 공기제어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마스크 내부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공기제어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세먼지 마스크의 특징은 여과의 능력이 높을수록 호흡의 어려움이 동반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소형화된 팬모터를 적용한 전동화 마스크가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전동화 마스크는 단순히 외부의 공기를 마스크 내부로 빨아들이거나, 혹은 반대로 마스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게끔 만들어진 구조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문제는 공기의 유로(流路)를 염두해 두지 않았기 때문에 효율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가끔은 호흡의 방해를 일으키기도 한다.
또한 날숨 중에 팬모터가 작동할 경우, 날숨이 배출되는 날숨 배출구의의 따라 병목 현상이 발생한다.
팬모터의 출력보다 날숨시에 나오는 압력이 더 강할 경우에는 날숨 배출구 뿐 아니라 공기가 마스크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로도 공기가 빠져 나가려 한다.
이러한 현상이 지속될 경우, 팬모터의 날개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압력이 발생하여 날개 회전에 저항을 초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호흡이 불편해지고, 마스크의 들뜸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유입구에서 발생하는 공기 충돌 현상으로 소음과, 진동 그리고 배터리 과다전류 등의 현상도 나타난다.
착용자의 들숨 및 날숨을 감지하여, 들숨시에만 흡입팬을 작동하여, 착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할 때, 병목 현상 및 마스크의 들뜸 현상을 방지하고, 자연스럽고 편안한 호흡을 유도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공기 중에 함유된 미세먼지를 여과한 후, 여과된 공기를 코의 양측으로 균등하게 제공하고,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여, 편안한 호흡을 유도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 및 공기가 배출되는 날숨 배기부를 형성하며, 착용자의 코와 입 부위를 커버하는 마스크 본체;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기 유입부에 마련되어, 상기 마스크 본체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기 날숨 배기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밸브; 및 상기 밸브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날숨 배기부의 닫힘 및 열림을 감지하여, 착용자의 들숨시 상기 흡입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마스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 및 공기가 배출되는 날숨 배기부를 형성하며, 착용자의 코와 입 부위를 커버하는 마스크 본체;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기 유입부에 마련되어, 상기 마스크 본체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 및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기 날숨 배기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팬은 착용자의 들숨시 작동하고, 착용자의 날숨시 작동하지 않는 마스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를 형성하며, 착용자의 코와 입 부위를 커버하는 마스크 본체; 상기 마스크 본체의 유입부에 마련되어, 상기 마스크 본체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 상기 흡입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착용자의 코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튜브; 및 상기 마스크 본체의 유입부 또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튜브에 마련되어, 상기 흡입팬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 중에 함유된 미세먼지를 여과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마스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용자의 들숨 및 날숨을 감지하여, 들숨시에만 흡입팬을 작동하는 마스크를 제공하여, 착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할 때, 병목 현상 및 마스크의 들뜸 현상을 방지하고, 자연스럽고 편안한 호흡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크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공기 중에 함유된 미세먼지를 여과한 후, 여과된 공기를 한쪽으로 치우침 없이 균등하게 코의 양측으로 제공하고,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여, 편안한 호흡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착용하고, 착용자의 들숨 상태를 도시한 일측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착용하고, 착용자의 날숨 상태를 도시한 일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착용하고, 착용자의 날숨 이후 상태를 도시한 일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에 포함되는 밸브의 일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정면도,
도 7은 도 6의 일측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일측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는 마스크 본체(10), 밸브(20), 및 흡입팬(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는 제1 접지 센서(61), 제2 접지 센서(62), 및 탄성체(7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는 전원부(80) 및 회전부(90)를 더 포함한다.
마스크 본체(10)는 착용자의 코와 입 부위를 커버하는 크기 및 형태를 가진다. 마스크 본체(10)는 착용자의 안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마스크 본체(10)는 합성수지와 같은 비통기성 소재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마스크 본체(10)는 착용자의 안면과의 밀착력을 증대시켜 외부의 공기가 외부 공기가 코와 입으로 직접 유입되지 않도록, 안면과 접촉되는 부위에 메모리 폼 등의 형상 복원 재질의 쿠션이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마스크 본체(10)는 마스크 본체(10)를 얼굴에 밀착시킨 뒤, 귀 또는 머리에 걸어 마스크 본체(10)를 고정하는 끈, 벨트 등의 고정수단(11)이 구비될 수 있다.
마스크 본체(10)에는 마스크 본체(10) 주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13)와, 마스크(1) 착용자의 날숨이 배출되는 날숨 배기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유입부(13)는 마스크 본체(1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다. 유입부(13)에는 흡입팬(30)과 필터(50)가 마련될 수 있다. 흡입팬(30)과 필터(5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유입부(13)가 마스크 본체(1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마스크 본체(10)의 일 영역에 마련될 수도 있다.
날숨 배기부(15)는 마스크 본체(1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다.
날숨 배기부(15)에는 밸브(20)가 마련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에 포함되는 밸브의 일측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밸브(20)는 날숨 배기부(15)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날숨 배기부(15)를 개폐한다.
밸브(20)는 착용자가 내쉬는 공기가 마스크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되, 외부의 공기가 밸브(20)를 통해서 마스크 본체(10)의 내부 즉, 착용자의 안면부 방향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밸브(20)는 착용자의 들숨시 탄성체(70)와 이격된다. 밸브(20)는 착용자의 날숨시 탄성체(70)와 적어도 일부가 접촉한다.
밸브(20)는 착용자의 들숨시 마스크 본체(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밸브(21, 22) 및 마스크 본체(10)의 외부에 배치되는 외부 밸브(23)를 포함한다. 내부 밸브(21, 22)는 회전부(90)와 연결된다. 내부 밸브는(21, 22)는 예를 들어, "ㄴ"자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내부 밸브(21, 22)는 제2 접지 센서(62)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는 제1 내부 밸브(21) 및 회전부(90)와 외부 밸브(23)를 연결하는 제2 내부 밸브(22)를 포함한다. 착용자의 날숨 및 들숨에 따른 밸브(20)의 움직임은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흡입팬(30)은 마스크 본체(10)의 유입부(13)에 마련되어, 마스크 본체(10) 주변의 공기를 흡입한다. 흡입팬(30)은 예를 들어 모터와 연결된 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를 착용한 상태에서 흡입팬(30)을 작동시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10) 주변의 공기가 흡입팬(30)을 향해 흡입된다.
이 때, 흡입팬(30)으로 흡입되는 공기 중에 함유된 미세먼지는 필터(50)를 통과하며 여과되어, 여과된 공기가 흡입팬(30)을 통과하게 된다.
마스크(10)는 한 쌍의 가이드 튜브(도 6의 40)를 더 포함한다. 한 쌍의 가이드 튜브(도 6의 40)는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는 속이 빈 파이프 형상을 가진다. 가이드 튜브에 대해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필터(50)는 마스크 본체(10)의 유입부(13)에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50)가 마스크 본체(10)의 유입부(13)에 마련된 흡입팬(30)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필터(50)는 유입부(13)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함유된 미세먼지를 여과하며, 공기의 통과가 가능한 헤파 필터(Hepa filter)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필터(50)는 교체가 가능하도록 마스크 본체(10)의 유입부(13)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50)가 흡입팬(30)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터(50)는 흡입팬(30)의 전방에 배치되거나, 또는 한 쌍의 가이드 튜브(도 6의 40)에 마련될 수도 있다.
제1 접지 센서(61)는 마스크 본체(10)와 연결된다. 제2 접지 센서(62)는 밸브(20)와 연결된다. 제1 접지 센서(61) 및 제2 접지 센서(62)는 착용자의 들숨시 적어도 일부가 접촉한다. 제1 접지 센서(61) 및 제2 접지 센서(62)가 서로 접촉하면, 전원부(80)로 제1 전원이 공급되고, 제1 전원을 공급받은 전원부(80)는 제2 전원을 흡입팬(30)에 공급하여, 흡입팬(30)이 작동한다. 제1 접지 센서(61) 및 제2 접지 센서(62)는 착용자의 날숨시 서로 이격된다. 제1 접지 센서(61) 및 제2 접지 센서(62)가 서로 이격되면, 전원부(80)에 제1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이에 따라 흡입팬(30)에도 제2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흡입팬(30)이 작동하지 않는다.
탄성체(70)는 전원부(80) 및 밸브(20) 사이에 제공된다. 탄성체(70)는 전원부(80)와 접촉한다. 탄성체(70)는 적어도 일부가 탄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체(70)는 스폰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전원부(80)는 밸브(20)의 움직임에 따른 날숨 배기부(15)의 닫힘 및 열림을 감지하여, 착용자의 들숨시 흡입팬(3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80)는 제1 접지 센서(61) 및 제2 접지 센서(62)가 서로 접촉할 때 제1 전원을 공급받아, 흡입팬(30)에 제2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80)는 착용자의 날숨시 흡입팬(30)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다. 전원부(80)는 제1 접지 센서(61) 및 제2 접지 센서(62)가 서로 이격될 때 제1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고, 이에 따라 흡입팬(30)에 제2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다.
전원부(80)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전지일 수 있다.
착용자의 들숨시, 흡입팬(30)을 통과한 여과된 공기는 착용자의 안면부와 마스크 본체(10)의 상단 사이로 유입된다. 이 때, 제1 접지 센서(61) 및 제2 접지 센서(62)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접촉하여, 전원부(80)에 제1 전원을 공급하고, 전원부(80)는 제1 전원을 공급받아, 흡입팬(30)에 제2 전원을 공급한다.
착용자의 날숨시, 착용자의 입으로부터 토출되는 날숨 및 여과된 공기에 의해, 마스크 본체(10)의 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밸브(20)에 압력이 가해진다. 밸브(20)와 연결된 회전부(90)에 의해 외부 밸브(23)는 마스크 본체(10)의 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움직이고, 이에 따라 내부 밸브(21, 22)와 연결된 제2 접지 센서(62)는 제1 접지 센서(61)와 이격된다. 이에 따라 전원부(80)에 제1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전원부(80)는 흡입팬(30)으로 제2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착용자의 날숨시에는 흡입팬(30)이 작동하지 않는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는 착용자의 들숨 및 날숨을 감지하여, 들숨시에만 흡입팬을 작동하여, 착용자가 마스크(1)를 착용할 때, 자연스럽고 편안한 호흡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마스크에서, 날숨이 배출되는 날숨 배출구의 크기에 따라 발생하는 병목 현상, 마스크의 들뜸 현상을 방지하고, 편안한 호흡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는 마스크 본체(10), 흡입팬(30), 한 쌍의 가이드 튜브(40), 필터(50)를 포함한다.
마스크 본체(10)는 착용자의 코와 입 부위를 커버하는 크기 및 형태를 가진다. 마스크 본체(10)는 착용자의 안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마스크 본체(10)는 합성수지와 같은 비통기성 소재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마스크 본체(10)는 착용자의 안면과의 밀착력을 증대시켜 외부의 공기가 외부 공기가 코와 입으로 직접 유입되지 않도록, 안면과 접촉되는 부위에 메모리 폼 등의 형상 복원 재질의 쿠션이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마스크 본체(10)는 마스크 본체(10)를 얼굴에 밀착시킨 뒤, 귀 또는 머리에 걸어 마스크 본체(10)를 고정하는 끈, 벨트 등의 고정수단(11)이 구비될 수 있다.
마스크 본체(10)에는 마스크 본체(10) 주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13)와, 마스크(1) 착용자의 날숨이 배출되는 날숨 배기부(15)가 형성되어 있다.
유입부(13)는 마스크 본체(1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다. 유입부(13)에는 흡입팬(30)과 필터(50)가 마련될 수 있다. 흡입팬(30)과 필터(5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유입부(13)가 마스크 본체(1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마스크 본체(10)의 일 영역에 마련될 수도 있다.
날숨 배기부(15)는 마스크 본체(10)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다.
날숨 배기부(15)에는 밸브(20)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밸브(20)로서 판 형상의 플랩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밸브(20)는 날숨 배기부(15)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날숨 배기부(15)를 개폐한다.
밸브(20)는 착용자가 내쉬는 공기가 마스크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되, 외부의 공기가 밸브(20)를 통해서 마스크 본체(10)의 내부 즉, 착용자의 안면부 방향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흡입팬(30)은 마스크 본체(10)의 유입부(13)에 마련되어, 마스크 본체(10) 주변의 공기를 흡입한다.
한 쌍의 가이드 튜브(40)는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는 속이 빈 파이프 형상을 가진다.
한 쌍의 가이드 튜브(40)는 착용자의 안면을 향하는 마스크 본체(10)의 내면에 마련된다. 또한, 한 쌍의 가이드 튜브(40)는 흡입팬(30)의 토출 영역에 연결되어 흡입팬(30)의 양측에 대칭되게 배치됨과 동시에, 각 가이드 튜브(40)의 자유단부는 착용자의 코(101)의 양측을 향해 배치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가이드 튜브(40)는 흡입팬(30)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코(101)의 양측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고, 흡입팬(30)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마스크 본체(10)의 코(101)의 양측으로 균등하게 제공된다.
필터(50)는 마스크 본체(10)의 유입부(13)에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50)가 마스크 본체(10)의 유입부(13)에 마련된 흡입팬(30)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필터(50)는 유입부(13)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함유된 미세먼지를 여과하며, 공기의 통과가 가능한 헤파 필터(Hepa filter)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필터(50)는 교체가 가능하도록 마스크 본체(10)의 유입부(13)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50)가 흡입팬(30)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터(50)는 흡입팬(30)의 전방에 배치되거나, 또는 한 쌍의 가이드 튜브(40)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에는, 마스크 본체(10) 주변의 공기가 필터(50)를 거쳐 흡입팬(30)을 통과한 후, 한 쌍의 가이드 튜브(40)를 거쳐 마스크(1) 착용자의 코(101)의 양측으로 유동하는 공기 유동 경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를 착용한 상태에서 흡입팬(30)을 작동시키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10) 주변의 공기가 흡입팬(30)을 향해 흡입된다.
이 때, 흡입팬(30)으로 흡입되는 공기 중에 함유된 미세먼지는 필터(50)를 통과하며 여과되어, 여과된 공기가 흡입팬(30)을 통과하게 된다.
흡입팬(30)을 통과한 여과된 공기는 흡입팬(30)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된 한 쌍의 가이드 튜브(40)를 따라 흐트러지지 않고 유동하여, 착용자의 안면부와 마스크 본체(10)의 상단 사이로 유입된다.
한편, 착용자의 안면부와 마스크 본체(10)의 상단 사이로 여과된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착용자의 안면부와 마스크 본체(10) 사이에는 정압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착용자의 안면부와 마스크 본체(10) 사이의 여과된 공기는 마스크 본체의 좌우측에서 중앙으로 이동하여 마스크 본체(10)의 하단으로 이동하고, 하단으로 이동하는 여과된 공기의 일부는 착용자의 들숨에 의해 착용자의 양측 콧구멍으로 균등하게 흡입되고, 나머지 여과된 공기는 마스크 본체(10)의 하단으로 이동하며 자체의 압력에 의해 마스크 본체(10)의 하부에 위치한 밸브(20)를 개방하여, 마스크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착용자의 입으로부터 토출되는 날숨 또한 나머지 여과된 공기와 함께 밸브(20)를 통해 마스크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는 착용자의 안면부와 마스크 본체(10) 사이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켜, 자연스럽고 편안한 호흡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크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공기 중에 함유된 미세먼지를 여과한 후, 여과된 공기를 한쪽으로 치우침 없이 균등하게 코(101)의 양측으로 제공하여,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여, 편안한 호흡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마스크
10: 마스크 본체
11: 고정수단
13: 유입부
15: 날숨 배기부
20: 밸브
30: 흡입팬
40: 가이드 튜브
50: 필터
61: 제1 접지 센서
62: 제2 접지 센서
70: 탄성체
80: 전원부
90: 회전부

Claims (10)

  1.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 및 공기가 배출되는 날숨 배기부를 형성하며, 착용자의 코와 입 부위를 커버하는 마스크 본체;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기 유입부에 마련되어, 상기 마스크 본체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기 날숨 배기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밸브; 및
    상기 밸브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날숨 배기부의 닫힘 및 열림을 감지하여, 착용자의 들숨시 상기 흡입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착용자의 날숨시 상기 흡입팬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마스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와 연결되는 제1 접지 센서; 및
    상기 밸브와 연결되는 제2 접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지 센서 및 상기 제2 접지 센서는
    착용자의 들숨시 적어도 일부가 접촉하고,
    착용자의 날숨시 서로 이격되는 마스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 및 상기 밸브 사이에 제공되고, 상기 전원부와 접촉하는 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착용자의 들숨시 상기 탄성체와 이격되고,
    착용자의 날숨시 상기 탄성체와 적어도 일부가 접촉하는 마스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의 유입부에 마련되어, 상기 흡입팬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 중에 함유된 미세먼지를 여과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착용자의 코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튜브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9.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 및 공기가 배출되는 날숨 배기부를 형성하며, 착용자의 코와 입 부위를 커버하는 마스크 본체;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기 유입부에 마련되어, 상기 마스크 본체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 및
    상기 마스크 본체의 상기 날숨 배기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팬은
    착용자의 들숨시 작동하고,
    착용자의 날숨시 작동하지 않는 마스크.
  10.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를 형성하며, 착용자의 코와 입 부위를 커버하는 마스크 본체;
    상기 마스크 본체의 유입부에 마련되어, 상기 마스크 본체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
    상기 흡입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착용자의 코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튜브; 및
    상기 마스크 본체의 유입부 또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튜브에 마련되어, 상기 흡입팬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 중에 함유된 미세먼지를 여과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마스크.
KR1020190126643A 2019-02-27 2019-10-14 공기제어 마스크 KR202001047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412 2019-02-27
KR20190023412 2019-0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780A true KR20200104780A (ko) 2020-09-04

Family

ID=72470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643A KR20200104780A (ko) 2019-02-27 2019-10-14 공기제어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478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982B1 (ko) * 2020-09-11 2021-08-27 박성민 스마트 마스크
CN114190630A (zh) * 2020-09-17 2022-03-18 捷科罗股份有限公司 口罩用风扇过滤装置
KR20220051074A (ko) * 2020-10-16 2022-04-26 주식회사 블룸스타코리아 마스크
KR20230081376A (ko) 2021-11-30 2023-06-07 주식회사 그린동화 전자마스크
GB2621285A (en) * 2020-12-17 2024-02-07 Dyson Technology Ltd Wearable air purifi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982B1 (ko) * 2020-09-11 2021-08-27 박성민 스마트 마스크
CN114190630A (zh) * 2020-09-17 2022-03-18 捷科罗股份有限公司 口罩用风扇过滤装置
KR20220051074A (ko) * 2020-10-16 2022-04-26 주식회사 블룸스타코리아 마스크
GB2621285A (en) * 2020-12-17 2024-02-07 Dyson Technology Ltd Wearable air purifier
KR20230081376A (ko) 2021-11-30 2023-06-07 주식회사 그린동화 전자마스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04780A (ko) 공기제어 마스크
KR101826466B1 (ko) 들숨 및 날숨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 마스크
KR101959664B1 (ko) 들숨 및 날숨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 마스크
KR101953127B1 (ko) 비상 밸브를 구비한 안면 마스크
KR20200029979A (ko) 안면 마스크
KR20200016489A (ko) 영역분리구조를 갖는 배기정화형 공기 청정 마스크
KR101630369B1 (ko) 공기 공급형 마스크
KR200485676Y1 (ko) 방진 마스크
KR20130035294A (ko) 마스크
KR20210048117A (ko) 마스크
KR101083435B1 (ko) 김서림방지마스크
KR102069369B1 (ko) 다기능 마스크
CN109562240B (zh) 包括散射腔的用于辅助呼吸的面罩、系统和方法
KR102388276B1 (ko) 마스크
CN107096146A (zh) 一种过滤式防毒面具
US20200360736A1 (en) Portable air treatment device and method for supplying filtered air to a person
KR102219597B1 (ko) 호흡 개선용 마스크
US20210220679A1 (en) Filter-type respiratory protective device
US20210370105A1 (en) Air inhalation and exhalation filtering mask
KR20170000318U (ko) 마스크
KR101914642B1 (ko) 안면 마스크
KR101864531B1 (ko) 에어 듀플렉서 타입 마스크
TWM605814U (zh) 呼吸輔助裝置
KR20170127845A (ko) 고글형 마스크 구조물
KR101672697B1 (ko) 방진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