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8117A - 마스크 - Google Patents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8117A
KR20210048117A KR1020190131996A KR20190131996A KR20210048117A KR 20210048117 A KR20210048117 A KR 20210048117A KR 1020190131996 A KR1020190131996 A KR 1020190131996A KR 20190131996 A KR20190131996 A KR 20190131996A KR 20210048117 A KR20210048117 A KR 20210048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fine dust
wearer
mask body
cover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리오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리오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리오니
Priority to KR1020190131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8117A/ko
Priority to PCT/KR2020/009786 priority patent/WO2021080131A1/ko
Publication of KR20210048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1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06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with pumps for forced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6Indicators or warning devices, e.g. of low pressure, conta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먼지의 흡입을 차단하는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착용자의 입과 코를 가리며 들숨이 유입되는 흡입공(26,27)이 형성된 메인커버부(20)와, 이 메인커버부(20)의 가장자리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며 돌출선단이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되는 보조테두리부(30)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커버부(20) 또는 보조테두리부(30) 중 어느 일측에 착용자의 날숨이 배출되는 배기공(31)이 형성된 마스크본체(10); 상기 마스크본체(10)의 배기공(31)에 구비되어 들숨의 유입을 차단하는 체크밸브(40); 상기 마스크본체(10)의 메인커버부(20)에 일체 또는 별체로 구비되며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필터(50); 상기 마스크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되어 마스크본체(10)의 외부의 미세먼지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농도측정부(60); 상기 마스크본체(10)의 보조테두리부(30) 중 착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육안으로 확인가능한 상면에 구비되며 빛을 발산하는 표시부(70); 및 상기 미세먼지농도측정부(60)로부터 측정된 미세먼지농도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표시부(70)가 미세먼지농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이다.

Description

마스크{Mask}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한 상태에서 현재위치의 미세먼지농도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호흡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필터링효과를 높이고 호흡기 질환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세먼지농도가 높은 날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미세먼지를 차단하기 위해 마스크를 착용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종래 마스크는 보통 시트상의 여과재를 포함한 본체가 착용자의 입과 코를 덮고, 본체에 연결된 끈을 귀에 걸어서 사용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국내에서는 미세먼지농도에 따라 좋음, 보통, 나쁨, 매우나쁨 등과 같이 단계를 나누어 예보하고 있으며, 나쁨과 매우나쁨 단계에서는 마스크를 착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이때, 마스크를 착용하면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것에 비해 호흡기로 들숨이 신속하게 흡입되지 못하여 호흡이 불편한 문제가 있으므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미세먼지농도가 좋음이나 보통 단계에서는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을 꺼려한다.
그런데 미세먼지농도가 나쁨 단계여서 마스크를 착용한 사람이 위치를 이동할 경우, 위치에 따라 미세먼지농도가 달라져서 이동한 장소의 미세먼지농도가 보통이나 좋음 단계에 해당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마스크 착용자는 현재위치의 미세먼지농도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마스크를 계속 착용함으로써 특히, 노약자나 환자 등이 호흡이 불편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종래 마스크는 여과재가 본체에 일체로 구비되어 여과재를 교체할 수 없으므로, 마스크가 1회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비용이 증가되고 필터링 효과가 저하되어 미세먼지의 흡입으로 인해 호흡기질환이 유발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034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현재위치의 미세먼지농도를 별도의 장비를 꺼내서 확인할 필요없이 육안으로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미세먼지농도가 낮아서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고도 활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마스크를 벗을 수 있도록 하여 특히, 노약자나 환자들이 마스크를 벗고 보다 원활하게 호흡하면서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도록 하고, 미세먼지농도가 높은 경우 마스크를 계속 착용할 수 있어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도 호흡 및 활동을 좀 더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며, 마스크 착용시에도 외부공기를 신속하게 흡입시켜 호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필터를 자동 살균하여 필터링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마스크 착용시 착용자의 코의 비염이나 코감기 등의 호흡기 질환을 완화 또는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한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미세먼지의 흡입을 차단하는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착용자의 입과 코를 가리며 들숨이 유입되는 흡입공(26,27)이 형성된 메인커버부(20)와, 이 메인커버부(20)의 가장자리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며 돌출선단이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되는 보조테두리부(30)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커버부(20) 또는 보조테두리부(30) 중 어느 일측에 착용자의 날숨이 배출되는 배기공(31)이 형성된 마스크본체(10); 상기 마스크본체(10)의 배기공(31)에 구비되어 들숨의 유입을 차단하는 체크밸브(40); 상기 마스크본체(10)의 메인커버부(20)에 일체 또는 별체로 구비되며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필터(50); 상기 마스크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되어 마스크본체(10)의 외부의 미세먼지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농도측정부(60); 상기 마스크본체(10)의 보조테두리부(30) 중 착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육안으로 확인가능한 상면에 구비되며 빛을 발산하는 표시부(70); 및 상기 미세먼지농도측정부(60)로부터 측정된 미세먼지농도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표시부(70)가 미세먼지농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마스크본체(10)의 메인커버부(20)의 내측면에는 착용자의 코를 향해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램프(9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마스크본체(10)의 일측에는 외부공기를 마스크본체(10)의 흡입공(26,27)을 통해 내측으로 흡입하는 팬(10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필터(50)는 마스크본체(10)의 메인커버부(20)와 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마스크본체(10)의 메인커버부(20)에는 필터(5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장착홈(22)이 형성되고, 이 필터장착홈(22)의 일측에는 필터(50)를 살균하는 자외선램프(11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마스크 착용자는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마스크본체(10)에 구비되어 현재위치의 미세먼지농도를 표시해주는 표시부(70)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휴대폰 등 별도의 장비를 꺼내서 확인할 필요없이 미세먼지농도를 즉각적으로 알 수 있어, 미세먼지농도가 좋음 단계일 경우 마스크를 신속하게 벗어서 호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양한 활동을 호흡에 지장없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호흡기가 약한 노약자나 환자에게 효과적이다. 그리고 미세먼지농도가 나쁨 단계일 경우에는 계속 마스크를 착용하여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휴대폰의 앱을 구동시키는 등 별도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현재위치에서의 미세먼지농도를 즉각적으로 알 수 있으므로, 마스크를 계속 착용할지 여부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마스크를 벗어도 되면 신속하게 마스크를 벗어서 호흡을 원활하게 하고 마스크를 계속 착용하여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마스크본체(10)에 착용자의 코에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램프(90)가 구비되어, 비염이나 코감기 등 호흡기질환의 환자는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미세먼지를 차단하면서도 적외선에 의한 염증완화 등 질환을 완화시키거나 개선시킬 수 있다. 그리고 마스크본체(10)에는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팬(100)이 구비되어 마스크를 착용하더라도 외부공기를 보다 신속하게 흡입함으로써 호흡이 좀 더 원활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한편, 필터(50)가 마스크본체(10)의 필터장착홈(22)에 착탈되며, 마스크본체(10)에는 자외선램프(110)가 필터장착홈(22)을 통해 필터(50)를 살균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필터(50)의 필터링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미세먼지 차단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착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평단면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착용상태의 측단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마스크본체(10), 체크밸브(40), 필터(50), 미세먼지농도측정부(60), 표시부(70) 및 제어부(80)를 포함한다.
상기 마스크본체(10)는 착용자의 입과 코를 커버하는 메인커버부(20)와, 이 메인커버부(20)의 가장자리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며 돌출선단이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되는 보조테두리부(30)를 포함한다. 이때, 메인커버부(20)에는 들숨이 유입되는 흡입공(26,27)이 형성되는데, 도 3 및 도 4와 같이, 메인커버부(20)는 중공(20a)이 형성되며, 메인커버부(20)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흡입공(26,27)이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그리고 메인커버부(20) 또는 보조테두리부(30) 중 어느 일측에는 날숨이 배출되는 배기공(31)이 형성되는데, 도시된 실시예에서 배기공(31)은 보조테두리부(30)에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한편, 도 1 및 도 2와 같이 보조테두리부(30)의 적어도 상면은 착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육안으로 볼 수 있도록 전후방향 폭을 적절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와 같이 마스크 착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로 눈동자를 아래로 향하면 보조테두리부(30)가 육안으로 보일 수 있도록 보조테두리부(30)의 폭을 적절히 설정하여 제작한다. 그리고 한편, 보조테두리부(30)의 선단에는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되어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탄성이 부여된 밀폐부재(3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조테두리부(30)에는 끈(140)이 구비되어 착용자의 귀나 머리에 걸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체크밸브(40)는 마스크본체(10)의 배기공(31)에 설치되어 날숨은 배출되되 들숨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체크밸브(40)의 형태는 판막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상기 필터(50)는 마스크본체(10)의 메인커버부(20)에 일체 또는 별체로 구비되어 미세먼지를 걸러준다. 필터(50)는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HEPA FILTER 등 다양한 형태의 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미세먼지농도측정부(60)는 마스크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되어 마스크본체(10)의 내부 또는 외부의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한다. 미세먼지농도측정부(60)는 주지된 바와 같은 광산란 방식이나 중량 포집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미세먼지농도측정부(60)는 마스크본체(10)의 메인커버부(20) 또는 보조테두리부(30)에 구비되어 마스크본체(10)의 외부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부(70)는 착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위치 즉, 마스크본체(10)의 보조테두리부(30) 중 상면에 구비되어 빛을 발산함으로써 착용자에게 미세먼지농도가 어떤 상태인지를 알려준다. 표시부(70)에는 도시안된 LED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80)는 미세먼지농도측정부(60)로부터 측정된 미세먼지농도 측정값을 수신하여 미세먼지의 농도에 따라 표시부(70)에서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산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마스크 착용자는 표시부(70)에서 발산된 빛의 색상만 보고도 미세먼지농도가 좋음, 보통, 나쁨, 매우나쁨과 같이 어떤 단계에 해당되는지를 알 수 있도록 표시부(70)에서 발산되는 빛의 색상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미세먼지농도 예보나 시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공기청정기에서 미세먼지농도에 따라 조사되는 설정된 색상과 일치시킴으로써 착용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미세먼지농도 예보나 공기청정기에서 파란색이면 미세먼지농도는 좋음, 녹색이면 보통, 주황색이면 나쁨, 빨강색이면 매우나쁨과 같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표시부(70)에서 발산되는 빛의 색상도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착용한 착용자는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마스크본체(10)의 보조테두리부(30)에 구비된 표시부(70)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미세먼지농도에 따라 다른 색상을 빛을 발산하는 표시부(70)를 통해 현재위치에서 미세먼지농도가 어떤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미세먼지농도가 나쁜 상태에서 마스크를 착용한 후 이동한 장소에서 미세먼지농도가 좋은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불필요하게 마스크를 계속 착용하지 않고 마스크를 벗을 수 있으므로 보다 원활하게 호흡할 수 있어 다양한 활동을 호흡에 제약없이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마스크본체(10)의 메인커버부(20)에 적외선램프(90)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도 4와 같이 적외선램프(90)는 메인커버부(20)의 중공(20a)에 설치되어 마스크 착용자의 코를 향해 적외선을 조사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비염이 있거나 코감기 등 호흡기질환에 걸린 마스크 착용자는 마스크를 착용하여 미세먼지를 차단하면서도 적외선에 의해 비염이나 코감기 등 호흡기질환이 완화 또는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마스크본체(10)의 메인커버부(20)에 팬(100)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도 3과 같이 팬(100)은 메인커버부(20)의 중공(20a)에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팬(100)에 의해 마스크본체(10)의 외부공기가 마스크본체(10)의 흡입공(26,27)을 통해 내측으로 보다 신속하고 원활하게 흡입되므로, 마스크 착용자는 호흡이 용이해지며 특히, 호흡기가 약한 노약자나 환자의 호흡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마스크본체(10)의 메인커버부(20)에는 팬(100)을 구동시키는 배터리(120)가 내장되고, 메인커버부(20) 또는 보조테두리부(30)에는 충전단자(32)가 구비되어 배터리(120)를 충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필터(50)가 마스크본체(10)의 메인커버부(20)와 별체로 이루어져서 마스크본체(10)의 메인커버부(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마스크본체(10)의 메인커버부(20)에는 필터(5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장착홈(22)이 구비된다. 이 필터장착홈(22)은 메인커버부(20)의 전면에서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팬(100)과 연통되는 통기공(2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필터(50)를 마스크본체(10)에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으므로, 필터(50)의 세척 및 교체가 용이하다. 한편, 마스크본체(10)의 메인커버부(20)에는 필터(50)를 살균하는 자외선램프(110)가 구비되는데, 이 자외선램프(110)는 상기 메인커버부(20)의 중공(20a)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필터장착홈(22)의 측면에는 자외선램프(110)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는 조사공(24)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마스크본체(10)의 메인커버부(20)는 팬(100)과 필터(50)가 구비된 몸체(21)와, 이 몸체(21)의 전면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며 흡입공(26,27)이 형성된 외장커버(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필터(50)는 마스크본체(10)의 메인커버부(20)의 전면에 구비되고, 외장커버(25)가 필터(50)를 외부로부터 은폐시키며, 외장커버(25)와 몸체(21) 사이에는 상기 흡입공(26,27)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이동되는 유로(20b)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외장커버(25)를 몸체(21)에서 분리시켜 필터(50)를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외장커버(25)를 다양한 색상으로 구성하여 착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색상의 외장커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단일의 마스크를 착용하는 단조로움에서 벗어나서 다양한 색상의 여러 개의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되므로 질리지 않고, 기존에 많이 사용되는 하얀색과 검은색 마스크에 비해 세련되고 외관이 미려한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80)는 적외선램프(90)와 자외선램프(110)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때, 마스크본체(10)에는 적외선램프(90) 및 자외선램프(110)의 작동을 조작하는 조작버튼이 구비될 수 있는데, 표시부(70) 자체를 눌러지는 버튼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때의 표시부(70)가 조작버튼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한편, 마스크본체(10)에는 미세먼지농도측정부(60)를 작동시키는 전원버튼(130)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버튼 형태의 표시부(70)가 전원버튼을 대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착용한 착용자는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마스크본체(10)의 보조테두리부(30)에 구비된 표시부(70)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미세먼지농도에 따라 다른 색상을 빛을 발산하는 표시부(70)를 통해 현재위치에서 미세먼지농도가 어떤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미세먼지농도가 나쁜 상태에서 마스크를 착용한 후 이동한 장소에서 미세먼지농도가 좋은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불필요하게 마스크를 계속 착용하지 않고 마스크를 벗을 수 있으므로 보다 원활하게 호흡할 수 있어 다양한 활동을 호흡에 제약없이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마스크본체 20 : 메인커버부
21 : 몸체 22 : 필터장착홈
25 : 외장커버 26,27 : 흡입공
30 : 보조테두리부 31 : 배기공
40 : 체크밸브 50 : 필터
60 : 미세먼지농도측정부 70 : 표시부
80 : 제어부

Claims (4)

  1. 미세먼지의 흡입을 차단하는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착용자의 입과 코를 가리며 들숨이 유입되는 흡입공(26,27)이 형성된 메인커버부(20)와, 이 메인커버부(20)의 가장자리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며 돌출선단이 착용자의 안면에 접촉되는 보조테두리부(30)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커버부(20) 또는 보조테두리부(30) 중 어느 일측에 착용자의 날숨이 배출되는 배기공(31)이 형성된 마스크본체(10);
    상기 마스크본체(10)의 배기공(31)에 구비되어 들숨의 유입을 차단하는 체크밸브(40);
    상기 마스크본체(10)의 메인커버부(20)에 일체 또는 별체로 구비되며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필터(50);
    상기 마스크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되어 마스크본체(10)의 외부의 미세먼지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농도측정부(60);
    상기 마스크본체(10)의 보조테두리부(30) 중 착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육안으로 확인가능한 상면에 구비되며 빛을 발산하는 표시부(70); 및
    상기 미세먼지농도측정부(60)로부터 측정된 미세먼지농도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표시부(70)가 미세먼지농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산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본체(10)의 메인커버부(20)의 내측면에는 착용자의 코를 향해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램프(9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본체(10)의 일측에는 외부공기를 마스크본체(10)의 흡입공(26,27)을 통해 내측으로 흡입하는 팬(10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50)는 마스크본체(10)의 메인커버부(20)와 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마스크본체(10)의 메인커버부(20)에는 필터(5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장착홈(22)이 형성되고, 이 필터장착홈(22)의 일측에는 필터(50)를 살균하는 자외선램프(11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KR1020190131996A 2019-10-23 2019-10-23 마스크 KR2021004811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996A KR20210048117A (ko) 2019-10-23 2019-10-23 마스크
PCT/KR2020/009786 WO2021080131A1 (ko) 2019-10-23 2020-07-24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위치기반 제어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996A KR20210048117A (ko) 2019-10-23 2019-10-23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117A true KR20210048117A (ko) 2021-05-03

Family

ID=75620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996A KR20210048117A (ko) 2019-10-23 2019-10-23 마스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48117A (ko)
WO (1) WO2021080131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150B1 (ko) 2022-05-26 2023-02-17 김형준 마스크 밸브
KR20230059666A (ko) 2021-10-26 2023-05-03 김형준 마스크 밸브
KR20230060410A (ko) 2021-10-27 2023-05-04 김형준 마스크 밸브
WO2024080540A1 (ko) * 2022-10-11 2024-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스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341Y1 (ko) 2004-08-17 2004-12-17 김재성 기능성 웰빙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805B1 (ko) * 2008-10-17 2011-10-04 정기출 비염치료용 보조 온열기
KR20160002280A (ko) * 2014-06-30 2016-01-07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마스크 및 그 제어 방법
KR101942785B1 (ko) * 2016-07-18 2019-01-28 신홍제 기능성 마스크
KR20190014960A (ko) * 2017-08-04 2019-02-13 (주)바이오융합기술 헬멧
KR102089839B1 (ko) * 2017-12-12 2020-03-16 김예린 인공지능형 마스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341Y1 (ko) 2004-08-17 2004-12-17 김재성 기능성 웰빙 마스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9666A (ko) 2021-10-26 2023-05-03 김형준 마스크 밸브
KR20230060410A (ko) 2021-10-27 2023-05-04 김형준 마스크 밸브
KR102501150B1 (ko) 2022-05-26 2023-02-17 김형준 마스크 밸브
WO2024080540A1 (ko) * 2022-10-11 2024-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80131A1 (ko) 202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48117A (ko) 마스크
KR102177108B1 (ko) 스마트 마스크
KR102117442B1 (ko) 팬이 구비된 마스크
US20120279503A1 (en) Breathing Apparatus With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KR102216080B1 (ko) 일체형 안면 보호구
KR102035719B1 (ko) 개방 필터가 형성된 마스크
KR101951239B1 (ko)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고글
KR20200104780A (ko) 공기제어 마스크
US20220240604A1 (en) Portable protective device for preventing respiratory viruses
KR102229882B1 (ko) 마스크용 디스팬서
CN111227383A (zh) 一种透明口罩
JP2002345985A (ja) 鼻呼吸マスク
KR20210145046A (ko) 휴대용 공기공급장치
KR102303186B1 (ko) 착탈식 감염 예방 마스크 공기 배출장치
KR101812518B1 (ko) 공기공급기능을 구비한 마스크
KR102359502B1 (ko) 강제 흡배기 기능을 갖는 마스크
CN211798333U (zh) 光触媒杀菌过滤口罩
KR102573128B1 (ko) 비말 감염 예방용 플라스틱 마스크
KR102249558B1 (ko) 확진환자용 자가 격리 led 마스크
KR102327702B1 (ko) 광물 미세분말을 도포한 교체형 필터가 구비된 기능성 마스크
KR102393006B1 (ko) 클립형 날숨 배출기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
WO2021187989A1 (en) A face mask, an air treatment unit and a protection system comprising the face mask and the air treatment unit
KR20170127845A (ko) 고글형 마스크 구조물
KR102548569B1 (ko) 스마트 마스크
KR20210101551A (ko)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