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676Y1 - 방진 마스크 - Google Patents

방진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676Y1
KR200485676Y1 KR2020170002865U KR20170002865U KR200485676Y1 KR 200485676 Y1 KR200485676 Y1 KR 200485676Y1 KR 2020170002865 U KR2020170002865 U KR 2020170002865U KR 20170002865 U KR20170002865 U KR 20170002865U KR 200485676 Y1 KR200485676 Y1 KR 2004856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body
suction
wearer
hol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8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호
Original Assignee
정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호 filed Critical 정진호
Priority to KR20201700028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6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6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676Y1/ko
Priority to PCT/KR2018/004907 priority patent/WO201822594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3Means for influencing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breathing ga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4Couplings; Supporting fra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흡입팬의 내측에 필터를 구비하여 착용자의 입과 코에 대한 흡입 공기의 직접적인 분사가 최소화되도록 하고 착용자의 입에 대응하여 방출공을 형성하여 방출공을 통해 내부 공기가 강제 방출되면서 착용자의 공기를 뱉어 내는 행위가 안정적이면서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착용자의 말소리가 외부로 원활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방진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본 방진 마스크는 방출공(11)과 흡입공(12)을 가지는 마스크본체(10)와, 상기 흡입공(12)에 대응하여 상기 마스크본체(10)의 외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흡입팬(20)과, 상기 흡입공(12)에 대응하여 상기 마스크본체(10)의 내부면에 설치되는 필터(30)와, 상기 마스크본체(10)의 양측에 양단이 연결되는 고정밴드(40)와, 상기 고정밴드(40)에 장착되는 배터리(50)와, 상기 고정밴드(40)에 설치되는 온오프스위치(6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진 마스크{DUSTPROOF MASK}
본 고안은 방진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흡입팬의 내측에 필터를 구비하여 착용자의 입과 코에 대한 흡입 공기의 직접적인 분사가 최소화되도록 하고 착용자의 입에 대응하여 방출공을 형성하여 방출공을 통해 내부 공기가 강제 방출되면서 착용자의 공기를 뱉어 내는 행위가 안정적이면서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착용자의 말소리가 외부로 원활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방진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진 마스크는 제지공장, 방직공장, 채석장이나 혹은 화학공장 및 용접 도금 등의 금속가공공장 등의 각종 산업현장에 종사하는 작업자들이 작업과정에서 발생한 다량의 유해 분진 등의 이물질이 호흡기로 유입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방진 마스크는 최근의 극심한 미세먼지나 황사 현상 등에 의해 작업 현장의 작업자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많이 사용하는 주요한 아이템이 되었다.
종래의 방진 마스크의 일반적인 구조는 부직포 및 정전필터를 구비하며 작업자의 입과 코 주변부를 감쌀 수 있도록 반구형상의 곡면체 구조로 이루어진 마스크본체와, 상기 마스크본체를 작업자의 얼굴에 고정시키는 수단인 밴드로 크게 구성된다.
즉, 방진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공기를 흡입하면 외부공기는 마스크본체의 앞쪽에 형성된 흡기구를 통해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필터를 거쳐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로 마스크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후, 작업자의 호흡기로 전해지게 되는데, 이때 공기가 다수의 필터를 통과하기 위해서는 그만큼의 큰 흡입력을 발생시켜야 함으로서 작업자의 호흡작용에 많은 무리가 가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고자 필터의 후방에 모터로 구동되는 흡입팬을 구비하여 외부의 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내측으로 분사시키도록 하는 방진 마스크가 제안되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강제 흡입식 방진 마스크는 필터를 거친 공기가 마스크본체의 내측에서 착용자의 입과 코를 향해 분사됨으로써, 착용자가 공기를 흡입할 때는 용이하지만 흡입팬에 의해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착용자의 공기를 뱉어 내는 행위가, 즉 쉼을 내쉬는 행위가 매우 불편하여 사용상의 불편함이 상존하면서 올바른 호흡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방진 마스크는 착용자의 입을 둘러싸서 폐쇄하는 형태로 구비되어 착용자가 말을 하는 경우에 그 말소리가 외부로 적절히 전달되지 못하는 등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었다.
등록실용 제20-0422942호 "방진 마스크"(2006. 07. 26.)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흡입팬의 내측에 필터를 구비하여 착용자의 입과 코에 대한 흡입 공기의 직접적인 분사가 최소화되도록 하고 착용자의 입에 대응하여 방출공을 형성하여 방출공을 통해 내부 공기가 강제 방출되면서 착용자의 공기를 뱉어 내는 행위가 안정적이면서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착용자의 말소리가 외부로 원활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방진 마스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방진 마스크"는, 착용자의 입과 코 주변부를 감쌀 수 있도록 반구형상의 곡면체 구조로 형성되고, 착용자의 입에 대응하여 방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방출공의 양측에 관통되게 한 쌍의 흡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공을 통해 양측에서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착용자의 내쉬는 숨과 함께 전방으로 유도되어 상시 방출공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마스크본체와; 상기 각각의 흡입공의 전면에 대응하여 상기 마스크본체의 외부면에 설치되고, 전원의 공급에 의해 구동되면서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흡입공을 통해 상기 마스크본체의 내부로 분사시키는 한 쌍의 흡입팬과; 상기 각각의 흡입공의 배면에 대응하여 상기 마스크본체의 내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팬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한 쌍의 필터와; 상기 마스크본체의 양측단에 양단이 장착되고, 상기 마스크본체를 착용자의 얼굴에 고정시키는 고정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방진 마스크"의 상기 마스크본체는, 상기 각각의 흡입공에 대응하여 상기 마스크본체의 외측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설치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팬은, 상기 각각의 설치턱에 하부가 끼워진 상태로 부착되는 원형케이스와, 상기 원형케이스의 상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상부통공과, 상기 흡입공에 대응하여 상기 원형케이스의 하면에 형성되는 하부통공과, 상기 원형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설치되는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방진 마스크"의 상기 마스크본체는, 상기 각각의 흡입공에 대응하여 상기 마스크본체의 내측 둘레에 원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외측 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내측단에 상기 필터가 배치되는 한 쌍의 나선턱과, 내측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의해 상기 나선턱에 체결되어 상기 필터를 분해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필터고정캡과,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필터고정캡에 상하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연통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방진 마스크"는, 상기 흡입팬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고정밴드의 선단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일단에 충전기가 연결되도록 연결잭이 구비되는 한 쌍의 배터리와; 상기 고정밴드의 중앙 부위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팬을 온/오프시키는 온오프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방진 마스크"의 상기 마스크본체는, 상기 방출공과 연통되면서 상기 마스크본체의 전면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내경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공기의 배출속도가 상대적으로 빨라지도록 하며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급속배출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진 마스크는, 상기 급속배출관의 선단에 체결되도록 외측에 나사산을 갖는 체결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관의 상단 양측에서 상기 체결관의 상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라운드지게 외측라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급속배출관의 외측으로 상기 체결관의 둘레에 연통되게 다수개로 외측배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라운드부의 하단 둘레에 연통되게 다수의 하단배기공이 형성되어 상기 급속배출관의 선단을 통해 외부 공기의 진입을 차단하면서 내부 공기의 배출을 유도하는 차단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흡입팬의 내측에 필터를 구비하여 착용자의 입과 코에 대한 흡입 공기의 직접적인 분사가 최소화되고, 착용자의 입에 대응하여 방출공을 형성하여 방출공을 통해 내부 공기가 강제 방출되면서 착용자의 공기를 뱉어 내는 행위가 안정적이면서 손쉽게 이루어지며, 착용자의 말소리가 외부로 원활히 전달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상의 편의성이 월등히 향상되고 호흡 중의 숨막힘이 방지되며 흡입팬에 의한 흡기와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방진 마스크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방진 마스크의 개략적인 요부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방진 마스크의 개략적인 요부 배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방진 마스크의 개략적인 평단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진 마스크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평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고안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방진 마스크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방진 마스크는 방출공(11)과 흡입공(12)을 가지는 마스크본체(10)와, 상기 흡입공(12)에 대응하여 상기 마스크본체(10)의 외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흡입팬(20)과, 상기 흡입공(12)에 대응하여 상기 마스크본체(10)의 내부면에 설치되는 필터(30)와, 상기 마스크본체(10)의 양측에 양단이 연결되는 고정밴드(40)와, 상기 고정밴드(40)에 장착되는 배터리(50)와, 상기 고정밴드(40)에 설치되는 온오프스위치(60)를 포함한다.
상기 마스크본체(10)는 착용자의 입과 코 주변부를 감쌀 수 있도록 반구형상의 곡면체 구조로 형성되고 착용자의 입에 대응하여 방출공(11)이 형성되며 상기 방출공(11)의 양측에 관통되게 한 쌍의 흡입공(12)이 형성되는 것으로, 통상 합성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입과 코를 밀폐되게 커버하는 역할을 하는 공지의 것이다.
상기 방출공(11)은 상하로 긴 타원형의 구멍으로 착용자의 입에 대응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착용자의 입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마스크본체(10)를 관통하여 상기 마스크본체(10)의 외부로 직선상으로 배출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흡입공(12)으로 유입된 공기가 순환된 후에 착용자의 날숨과 함께 상기 마스크본체(10)의 전방으로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 방출공(11)은 착용자의 입에 대응되어 착용자의 목소리가 상기 방출공(11)을 통해 원활하게 외부로 방출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착용자 간의 대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흡입공(12)은 상기 흡입팬(20)을 통해 외부 공기가 흡입된 후에 상기 마스크본체(10)의 내부로 착용자의 입과 코의 양측을 향해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흡입공(12)은 착용자의 입의 양측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입을 향해 직접 공기가 분사되지 않아 착용자의 호흡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즉,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크본체(10)의 외부에서 상기 흡입공(12)을 통해 양측에서 상기 마스크본체(1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의 일부는 착용자의 입과 코를 통해 흡입되고 나머지는 착용자의 내쉬는 숨과 함께 전방으로 유도되어 상시 방출공(11)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는 공기 순환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착용자는 들숨과 날숨을 자연스럽고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마스크본체(10)는 상기 각각의 흡입공(12)에 대응하여 상기 마스크본체(10)의 외측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설치턱(13)을 더 포함한다. 상기 설치턱(13)은 상기 흡입팬(20)이 삽입된 상태로 부착되어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마스크본체(10)는 상기 각각의 흡입공(12)에 대응하여 상기 마스크본체(10)의 내측 둘레에 원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외측 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내측단에 상기 필터(30)가 배치되는 한 쌍의 나선턱(14)과, 내측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의해 상기 나선턱(14)에 체결되어 상기 필터(30)를 분해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필터고정캡(15)과, 상기 필터(30)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필터고정캡(15)에 상하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연통공(16)을 더 포함한다.
상기 나선턱(14)은 상기 필터(30)가 상단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필터고정캡(15)이 체결되어 분해 가능하게 고정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필터고정캡(15)은 상기 나선턱(14)의 상단에 상기 필터(30)를 올려놓은 상태로 상기 나선턱(14)에 체결되어 상기 필터(30)를 고정시키거나 상기 나선턱(14)에서 분해되어 상기 필터(30)를 분해 및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연통공(16)은 상기 필터(3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필터고정캡(15)을 관통하여 상기 마스크본체(1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흡입팬(20)은 상기 각각의 흡입공(12)의 전면에 대응하여 상기 마스크본체(10)의 외부면에 한 쌍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전원의 공급에 의해 구동되면서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흡입공(12)을 통해 상기 마스크본체(10)의 내부로 분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흡입팬(20)은 상기 각각의 설치턱(13)에 하부가 끼워진 상태로 부착되는 원형케이스(21)와, 상기 원형케이스(21)의 상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상부통공(22)과, 상기 흡입공(12)에 대응하여 상기 원형케이스(21)의 하면에 형성되는 하부통공(23)과, 상기 원형케이스(21)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24)와, 상기 모터(24)에 설치되는 프로펠러(25)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팬(20)은 상기 모터(24)에 의해 상기 프로펠러(25)가 회전되면서 상기 원형케이스(21)의 외측에 있는 외부 공기를 상기 상부통공(22)을 통해 흡입하여 상기 하부통공(23)을 통해 상기 흡입공(12)으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필터(30)는 상기 각각의 흡입공(12)의 배면에 대응하여 상기 마스크본체(10)의 내부면에 한 쌍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흡입팬(20)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역할을 하는 공지의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필터(30)는 상기 흡입공(12)의 내측으로 상기 마스크본체(10)의 내부면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흡입팬(20)에 의해 분사되는 공기가 상기 필터(30)에 의해 저지되어 보다 저속으로 안정적으로 착용자에게 유입되도록 하고, 그에 따라 상기 흡입팬(20)에 의해 분사되는 공기에 의한 착용자의 호흡 방해가 적절히 해소된다.
상기 고정밴드(40)는 상기 마스크본체(10)의 양측단에 양단이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마스크본체(10)를 착용자의 얼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공지의 것이다.
상기 배터리(5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흡입팬(20)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고정밴드(40)의 선단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일단에 충전기가 연결되도록 연결잭(51)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잭(51)에 의해 외부 전원이 연결되어 전기가 충전되고 충전된 전기를 상기 흡입팬(20)에 공급하여 상기 모터(24)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온오프스위치(60)는 상기 고정밴드(40)의 중앙 부위에 설치되는 것으로, 착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흡입팬(20)을 온/오프시키는 공지의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진 마스크의 개략적인 요부 확대 평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진 마스크의 상기 마스크본체(10)는 상기 방출공(11)과 연통되면서 상기 마스크본체(10)의 전면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내경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공기의 배출속도가 상대적으로 빨라지도록 하며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급속배출관(17)을 더 포함한다.
상기 급속배출관(17)은 상기 방출공(11)의 전방으로 내경이 점차 좁아지는 관을 설치하여 상기 흡입팬(20)에 의해 주입되어 착용자의 날숨과 함께 상기 방출공(11)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속도를 상승시켜 공기가 보다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방진 마스크는 상기 급속배출관(17)에 설치되는 차단마개(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차단마개(70)는 상기 급속배출관(17)으로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시키면서 내부 공기가 원활히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차단마개(70)는 상기 급속배출관(17)의 선단에 체결되도록 외측에 나사산을 갖는 체결관(71)과, 상기 체결관(71)의 상단 양측에서 상기 체결관(71)의 상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외측라운드부(72)와, 상기 급속배출관(17)의 외측으로 상기 체결관(71)의 둘레에 연통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외측배기공(73)과, 상기 외측라운드부(72)의 하단 둘레에 연통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하단배기공(74)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관(71)은 상기 급속배출관(17)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차단마개(70)가 분해 가능하게 상기 급속배출관(17)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외측라운드부(72)는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외측에서 상기 급속배출관(17)의 선단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상기 급속배출관(17)의 외측으로 유도하여 외부 공기의 진입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외측배기공(73)은 상기 급속배출관(17)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체결관(71)의 상단 둘레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하단배기공(74)은 상기 체결관(71)을 통과한 내부 공기가 상기 외측라운드부(72)의 내부면을 따라 하단으로 유도된 후에 상기 외측라운드부(72)의 하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 : 마스크본체
11 : 방출공 12 : 흡입공
13 : 설치턱 14 : 나선턱
15 : 필터고정캡 16 : 연통공
17 : 급속배출관
20 : 흡입팬
21 : 원형케이스 22 : 상부통공
23 : 하부통공 24 : 모터
25 : 프로펠러
30 : 필터
40 : 고정밴드
50 : 배터리
51 : 연결잭
60 : 온오프스위치
70 : 차단마개
71 : 체결관 72 : 외측라운드부
73 : 외측배기공 74 : 하단배기공

Claims (5)

  1. 착용자의 입과 코 주변부를 감쌀 수 있도록 반구형상의 곡면체 구조로 형성되고, 착용자의 입의 전방에 대응하여 방출공(11)이 형성되며, 상기 방출공(11)의 양측에 관통되게 한 쌍의 흡입공(12)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공(12)을 통해 양측에서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착용자의 내쉬는 숨과 함께 전방으로 유도되어 상시 방출공(11)을 통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며, 상기 방출공(11)과 연통되면서 전면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내경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공기의 배출속도가 상대적으로 빨라지도록 하는 급속배출관(17)을 가지는 마스크본체(10)와;
    상기 각각의 흡입공(12)의 전면에 대응하여 상기 마스크본체(10)의 외부면에 설치되고, 전원의 공급에 의해 구동되면서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흡입공(12)을 통해 상기 마스크본체(10)의 내부로 분사시키는 한 쌍의 흡입팬(20)과;
    상기 각각의 흡입공(12)의 배면에 대응하여 상기 마스크본체(10)의 내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팬(20)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한 쌍의 필터(30)와;
    상기 마스크본체(10)의 양측단에 양단이 장착되고, 상기 마스크본체(10)를 착용자의 얼굴에 고정시키는 고정밴드(40)를; 포함하고,
    상기 방출공(11)은,
    상하로 긴 타원형의 구멍으로 착용자의 입에 대응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착용자의 입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마스크본체(10)를 관통하여 상기 마스크본체(10)의 외부로 직선상으로 배출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마스크본체(10)는,
    상기 각각의 흡입공(12)에 대응하여 상기 마스크본체(10)의 외측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설치턱(13)을,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팬(20)은,
    상기 각각의 설치턱(13)에 하부가 끼워진 상태로 부착되는 원형케이스(21)와,
    상기 원형케이스(21)의 상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상부통공(22)과,
    상기 흡입공(12)에 대응하여 상기 원형케이스(21)의 하면에 형성되는 하부통공(23)과,
    상기 원형케이스(21)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24)와,
    상기 모터(24)에 설치되는 프로펠러(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마스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본체(10)는,
    상기 각각의 흡입공(12)에 대응하여 상기 마스크본체(10)의 내측 둘레에 원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외측 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내측단에 상기 필터(30)가 배치되는 한 쌍의 나선턱(14)과,
    내측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의해 상기 나선턱(14)에 체결되어 상기 필터(30)를 분해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필터고정캡(15)과,
    상기 필터(30)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필터고정캡(15)에 상하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연통공(1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마스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 마스크는,
    상기 흡입팬(20)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고정밴드(40)의 선단 양측에 각각 장착되며, 일단에 충전기가 연결되도록 연결잭(51)이 구비되는 한 쌍의 배터리(50)와;
    상기 고정밴드(40)의 중앙 부위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팬(20)을 온/오프시키는 온오프스위치(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마스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 마스크는,
    상기 급속배출관(17)의 선단에 체결되도록 외측에 나사산을 갖는 체결관(71)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관(71)의 상단 양측에서 상기 체결관(71)의 상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라운드지게 외측라운드부(72)가 형성되며, 상기 급속배출관(17)의 외측으로 상기 체결관(71)의 둘레에 연통되게 다수개로 외측배기공(73)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라운드부(72)의 하단 둘레에 연통되게 다수의 하단배기공(74)이 형성되어 상기 급속배출관(17)의 선단을 통해 외부 공기의 진입을 차단하면서 내부 공기의 배출을 유도하는 차단마개(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마스크.
KR2020170002865U 2017-06-08 2017-06-08 방진 마스크 KR2004856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865U KR200485676Y1 (ko) 2017-06-08 2017-06-08 방진 마스크
PCT/KR2018/004907 WO2018225946A1 (ko) 2017-06-08 2018-04-27 방진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865U KR200485676Y1 (ko) 2017-06-08 2017-06-08 방진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676Y1 true KR200485676Y1 (ko) 2018-02-07

Family

ID=61282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865U KR200485676Y1 (ko) 2017-06-08 2017-06-08 방진 마스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5676Y1 (ko)
WO (1) WO201822594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37342A (zh) * 2018-07-11 2018-11-20 朱其厚 可拆装模块式送风口罩
CN109011245A (zh) * 2018-10-08 2018-12-18 刘振功 一种室内装修用具有甲醛吸收功能的防尘口罩
KR20200131575A (ko) 2019-05-14 2020-11-24 권범중 탈부착형 마스크용 호흡 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15735A (zh) * 2018-04-02 2018-11-16 华北电力大学 一种智能口罩
CN113304408A (zh) * 2020-02-26 2021-08-27 山西邦奥伟业半导体照明有限公司 一种煤矿用自吸过滤式纳米防尘口罩
CN111869952B (zh) * 2020-06-29 2024-02-09 新乡市金世康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带有口罩过滤器的防尘口罩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7013A (ja) * 2001-10-12 2003-04-22 Yamamoto Kogaku Co Ltd 呼吸用保護具
KR20040022942A (ko) 2002-09-10 2004-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습장치가 구비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20100105607A (ko) * 2007-11-20 2010-09-29 애번 프로텍션 시스템 인코포레이티드 모듈식 전동 공기 정화 호흡보호구
KR20120123969A (ko) * 2011-05-02 2012-11-12 홍진형 방진마스크
JP2013180044A (ja) * 2012-03-01 2013-09-12 Asahi Gakuen Group:Kk 防災マスク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280B1 (ko) * 2014-07-16 2015-02-27 신동헌 필터카트리지를 구비한 방진마스크
KR101698933B1 (ko) * 2015-04-09 2017-01-23 박지석 팬모터를 구비한 마스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7013A (ja) * 2001-10-12 2003-04-22 Yamamoto Kogaku Co Ltd 呼吸用保護具
KR20040022942A (ko) 2002-09-10 2004-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습장치가 구비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20100105607A (ko) * 2007-11-20 2010-09-29 애번 프로텍션 시스템 인코포레이티드 모듈식 전동 공기 정화 호흡보호구
KR20120123969A (ko) * 2011-05-02 2012-11-12 홍진형 방진마스크
JP2013180044A (ja) * 2012-03-01 2013-09-12 Asahi Gakuen Group:Kk 防災マスク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37342A (zh) * 2018-07-11 2018-11-20 朱其厚 可拆装模块式送风口罩
CN108837342B (zh) * 2018-07-11 2024-02-27 东莞市联贯激光科技有限公司 可拆装模块式送风口罩
CN109011245A (zh) * 2018-10-08 2018-12-18 刘振功 一种室内装修用具有甲醛吸收功能的防尘口罩
KR20200131575A (ko) 2019-05-14 2020-11-24 권범중 탈부착형 마스크용 호흡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25946A1 (ko) 2018-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5676Y1 (ko) 방진 마스크
KR101925388B1 (ko) 에어마스크
KR20200104780A (ko) 공기제어 마스크
CN109011247B (zh) 一种防窒息安全头盔
KR102093862B1 (ko) 착용형의 미세 먼지 차단장치
US20230181938A1 (en) Wearable air purifier
US20230191168A1 (en) Wearable air purifier
KR102069369B1 (ko) 다기능 마스크
KR102425539B1 (ko) 강제 송풍식 마스크 및 이를 이용한 호흡용 공기 순환 방법
KR20090010452U (ko) 방진 마스크
US20210008411A1 (en) Lung clearing and body building machine
CN211861875U (zh) 一种自制一次性防护面罩
KR20180049661A (ko) 방독면
TWI630353B (zh) 空氣過濾傘
CN105935472A (zh) 辅助送风防毒面具
TWM605814U (zh) 呼吸輔助裝置
CN111493409A (zh) 一种自增压防护口罩及其通气方法
KR200443491Y1 (ko) 휴대용 호흡기
KR20170000318U (ko) 마스크
KR20190111204A (ko) 기능성 고분자 나노섬유필터를 포함한 호흡 마스크
CN219963779U (zh) 一种带供氧接口和呼吸阀的口罩
TWM606570U (zh) 具進氣及排氣功能之口罩
CN209075897U (zh) 风幕式防尘装置及具有其的安全帽
CN220360634U (zh) 一种口罩进气件及n95口罩
CN220125292U (zh) 一种呼吸机用呼吸面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